위키문헌:사랑방

(위키문헌:사랑에서 넘어옴)
마지막 의견: 3일 전 (Aspere님) - 주제: 초안 이름공간 도입 제안
사랑방
사랑방은 위키문헌 공동체의 토론 문서입니다. 자유롭게 질문하거나 의견을 남겨 주세요. 기존 토론에 참여하거나 새 문단을 만들어서 참여하시면 됩니다.

관리 등 관리자가 필요한 요청의 경우 관리자 게시판을 이용하면 더 빠를 수 있습니다.


위키문헌 사랑방
보존 문서



위키미디어 운동 헌장 비준 투표가 곧 종료됩니다

편집
이 메시지는 메타 위키에서 다른 언어로 번역된 것을 찾을 수 있습니다. 당신의 언어로 번역해 주세요

모두들 안녕하세요,

이는 위키미디어 운동 헌장 비준을 위한 투표 기간이 2024년 7월 9일 23시 59분 UTC에 마감됨을 알려드리는 안내입니다.

아직 투표하지 않은 경우 SecurePoll에서 투표하십시오.

헌장 선거 위원회를 대표하여,

RamzyM (WMF) 2024년 7월 8일 (월) 12:47 (KST)답변

U4C Special Election - Call for Candidates

편집
You can find this message translated into additional languages on Meta-wiki. 당신의 언어로 번역해 주세요

Hello all,

A special election has been called to fill additional vacancies on the U4C. The call for candidates phase is open from now through July 19, 2024.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a global group dedicated to providing an equitable and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UCoC. Community members are invited to submit their applications in the special election for the U4C. For more information an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U4C, please review the U4C Charter.

In this special election, according to chapter 2 of the U4C charter, there are 9 seats available on the U4C: four community-at-large seats and five regional seats to ensure the U4C represents the diversity of the movement. No more than two members of the U4C can be elected from the same home wiki. Therefore, candidates must not have English Wikipedia, German Wikipedia, or Italian Wikipedia as their home wiki.

Read more and submit your application on Meta-wiki.

In cooperation with the U4C,

-- Keegan (WMF) (talk) 2024년 7월 10일 (수) 09:03 (KST)답변

Wikimedia Movement Charter ratification voting results

편집
You can find this message translated into additional languages on Meta-wiki. 당신의 언어로 번역해 주세요

Hello everyone,

After carefully tallying both individual and affiliate votes, the Charter Electoral Commission is pleased to announce the final results of the Wikimedia Movement Charter voting.  

As communicated by the Charter Electoral Commission, we reached the quorum for both Affiliate and individual votes by the time the vote closed on July 9, 23:59 UTC. We thank all 2,451 individuals and 129 Affiliate representatives who voted in the ratification process. Your votes and comments are invaluable for the future steps in Movement Strategy.

The final results of the Wikimedia Movement Charter ratification voting held between 25 June and 9 July 2024 are as follows:

Individual vote:

Out of 2,451 individuals who voted as of July 9 23:59 (UTC), 2,446 have been accepted as valid votes. Among these, 1,710 voted “yes”; 623 voted “no”; and 113 selected “–” (neutral). Because the neutral votes don’t count towards the total number of votes cast, 73.30% voted to approve the Charter (1710/2333), while 26.70% voted to reject the Charter (623/2333).

Affiliates vote:

Out of 129 Affiliates designated voters who voted as of July 9 23:59 (UTC), 129 votes are confirmed as valid votes. Among these, 93 voted “yes”; 18 voted “no”; and 18 selected “–” (neutral). Because the neutral votes don’t count towards the total number of votes cast, 83.78% voted to approve the Charter (93/111), while 16.22% voted to reject the Charter (18/111).

Board of Trustees of the Wikimedia Foundation:

The Wikimedia Foundation Board of Trustees voted not to ratify the proposed Charter during their special Board meeting on July 8, 2024. The Chair of the Wikimedia Foundation Board of Trustees, Nataliia Tymkiv, shared the result of the vote, the resolution, meeting minutes and proposed next steps.  

With this, the Wikimedia Movement Charter in its current revision is not ratified.

We thank you for your participation in this important moment in our movement’s governance.

The Charter Electoral Commission,

Abhinav619, Borschts, Iwuala Lucy, Tochiprecious, Der-Wir-Ing

MediaWiki message delivery (토론) 2024년 7월 19일 (금) 02:53 (KST)답변

Vote now to fill vacancies of the first U4C

편집
You can find this message translated into additional languages on Meta-wiki. 당신의 언어로 번역해 주세요

Dear all,

I am writing to you to let you know the voting period for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open now through August 10, 2024. Read the information on the voting page on Meta-wiki to learn more about voting and voter eligibility.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a global group dedicated to providing an equitable and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UCoC. Community members were invited to submit their applications for the U4C. For more information an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U4C, please review the U4C Charter.

Please share this message with members of your community so they can participate as well.

In cooperation with the U4C,

RamzyM (WMF) 2024년 7월 27일 (토) 11:47 (KST)답변

Reminder! Vote closing soon to fill vacancies of the first U4C

편집
You can find this message translated into additional languages on Meta-wiki. 당신의 언어로 번역해 주세요

Dear all,

The voting period for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is closing soon. It is open through 10 August 2024. Read the information on the voting page on Meta-wiki to learn more about voting and voter eligibility. If you are eligible to vote and have not voted in this special election, it is important that you vote now.

Why should you vote? The U4C is a global group dedicated to providing an equitable and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UCoC. Community input into the committee membership is critical to the success of the UCoC.

Please share this message with members of your community so they can participate as well.

In cooperation with the U4C,

-- Keegan (WMF) (talk) 2024년 8월 7일 (수) 00:30 (KST)답변

Coming soon: A new sub-referencing feature – try it!

편집
 

Hello. For many years, community members have requested an easy way to re-use references with different details. Now, a MediaWiki solution is coming: The new sub-referencing feature will work for wikitext and Visual Editor and will enhance the existing reference system. You can continue to use different ways of referencing, but you will probably encounter sub-references in articles written by other users. More information on the project page.

We want your feedback to make sure this feature works well for you:

Wikimedia Deutschland’s Technical Wishes team is planning to bring this feature to Wikimedia wikis later this year. We will reach out to creators/maintainers of tools and templates related to references beforehand.

Please help us spread the message. --Johannes Richter (WMDE) (talk) 10:36, 19 August 2024 (UTC)

Sign up for the language community meeting on August 30th, 15:00 UTC

편집

Hi all,

The next language community meeting is scheduled in a few weeks—on August 30th at 15:00 UTC. If you're interested in joining, you can sign up on this wiki page.

This participant-driven meeting will focus on sharing language-specific updates related to various projects, discussing technical issues related to language wikis, and working together to find possible solutions. For example, in the last meeting, topics included the Language Converter, the state of language research, updates on the Incubator conversations, and technical challenges around external links not working with special characters on Bengali sites.

Do you have any ideas for topics to share technical updates or discuss challenges? Please add agenda items to the document here and reach out to ssethi(__AT__)wikimedia.org. We look forward to your participation!

MediaWiki message delivery (토론) 2024년 8월 23일 (금) 08:20 (KST)답변

Announcing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편집
Original message at wikimedia-l. You can find this message translated into additional languages on Meta-wiki. 당신의 언어로 번역해 주세요

Hello all,

The scrutineers have finished reviewing the vote and the Elections Committee have certified the results for the Universal Code of Conduct Coordinating Committee (U4C) special election.

I am pleased to announce the following individual as regional members of the U4C, who will fulfill a term until 15 June 2026:

  • North America (USA and Canada)
    • Ajraddatz

The following seats were not filled during this special election:

  • Latin America and Caribbean
  • Central and East Europe (CEE)
  • Sub-Saharan Africa
  • South Asia
  • The four remaining Community-At-Large seats

Thank you again to everyone who participated in this process and much appreciation to the candidates for your leadership and dedication to the Wikimedia movement and community.

Over the next few weeks, the U4C will begin meeting and planning the 2024-25 year in supporting the implementation and review of the UCoC and Enforcement Guidelines. You can follow their work on Meta-Wiki.

On behalf of the U4C and the Elections Committee,

RamzyM (WMF) 2024년 9월 2일 (월) 23:06 (KST)답변

Have your say: Vote for the 2024 Board of Trustees!

편집

Hello all,

The voting period for the 2024 Board of Trustees election is now open. There are twelve (12) candidates running for four (4) seats on the Board.

Learn more about the candidates by reading their statements and their answers to community questions.

When you are ready, go to the SecurePoll voting page to vote. The vote is open from September 3rd at 00:00 UTC to September 17th at 23:59 UTC.

To check your voter eligibility, please visit the voter eligibility page.

Best regards,

The Elections Committee and Board Selection Working Group

MediaWiki message delivery (토론) 2024년 9월 3일 (화) 21:15 (KST)답변

Scholarship Applications Now Open for Wikisource Conference 2025!

편집

Dear Wikimedians,

We are thrilled to announce that the Wikisource Conference is returning after a decade! It will be held from 14 to 16 February 2025 in Denpasar, Bali, Indonesia. This event will be a great opportunity for us to come together, share experiences, and discuss the future of Wikisource and its community. We are now accepting scholarship applications for the Wikisource Conference 2025 to promote diversity and inclusion. Scholarships are open to active contributors, community members, developers, and partners involved with Wikisource or related projects.

Important Details:

  • Application Period: 1 September 2024 to 20 September 2024
  • Application Deadline: 20 September 2024
  • Meta page: Link

We encourage everyone who is passionate about Wikisource and interested in attending this unique gathering to apply for a scholarship. The selection committee will carefully review all applications, focusing on contributions to the Wikisource project, community engagement, and the potential impact of participation in the conference.

To apply, please fill out the scholarship application form. We will provide updates soon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conference, including program details, speakers, and venue.

If you have any questions or need help with your application, feel free to reach out on the Meta Talk page or email us at wikisourceconference@gmail.com.

We look forward to receiving your applications and hope to see many of you in Bali for the Wikisource Conference 2025!

Regards,

Nitesh Gill

The Wikisource Conference 2025 Team

MediaWiki message delivery (토론) 2024년 9월 5일 (목) 20:14 (KST)답변

틀:분수

편집

위키백과의 w:틀:분수를 업어와서 틀:분수를 만들려고 했더니 css 권한이 필요하네요. 권한 있으신 분 긁어와 주세요. -- Jjw (토론) 2024년 9월 8일 (일) 23:21 (KST)답변

  완료 제 권한으로는 못 할 줄 알았더니 되네요;; --Aspere (토론) 2024년 9월 9일 (월) 21:49 (KST)답변

위키문헌 카카오톡 채팅방 개설 안내

편집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9월 7일 오프라인 모임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위키문헌 카카오톡 채팅방을 개설하였습니다.

조금 부드러운 분위기에서 서로 질문이나 제안 등을 자유롭게 논의하는 자리로서 고안하였습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 Aspere (토론) 2024년 9월 9일 (월) 23:51 (KST)답변

사용자 모임 페이지 개선

편집

현재의 위키문헌:사용자 모임을 비롯한 각종 도움말, 토론란 등의 디자인이 너무 좋지 않아 개선하고자 합니다. 일단 사용자 모임 페이지를 손보려 하는데요. 사용자:Jjw/작업장 보시고 의견 부탁드립니다. -- Jjw (토론) 2024년 9월 10일 (화) 14:31 (KST)답변

현재 사용자 모임의 상태가 너무 좋지 않은 만큼 그대로 적용해도 지금보다는 낫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현재 문헌의 상태에 맞춰,
  1. 위키프로젝트 란 삭제 (위키프로젝트 자체가 존재하지 않음)
  2. 관리 요청의 일원화 (요청 자체가 적어 여러 공간으로 나눌 필요가 적음)
의 수정이 있으면 좋으리라 생각합니다. --Aspere (토론) 2024년 9월 13일 (금) 17:48 (KST)답변

의견이 제시된 지 장시간이 지났고 활동 저조로 추가적인 의견이 나오지 않으리라고 생각해, 편집은 과감하게 정신을 바탕으로 문서를 제안하신 내용으로 바꾸겠습니다. 수정은 필요하겠지만 모든 것이 처음부터 완벽할 수는 없고, 무엇보다 지금 문헌의 상태로 보아 일단 뭐라도 해 보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Aspere (토론) 2024년 11월 12일 (화) 18:58 (KST)답변

위키컨퍼런스 서울 2024 중앙공지 준비 알림

편집

10월 26일 진행되는 위키컨퍼런스 서울 2024에 대한 중앙공지(Centralnotice)를 준비중입니다. 중앙공지는 메타에서 설정한 프로젝트의 상단에 알리는 공지로 사이트노티스와 유사합니다.

10월11일부터 26일까지 위키컨퍼런스 서울 2024에 대한 중앙공지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커뮤니티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의견을 제시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강철 (WMKR) (토론) 2024년 9월 13일 (금) 16:46 (KST)답변

Scholarship Application Deadline Extended for Wikisource Conference 2025!

편집

Dear Wikimedians,

This message is about the Wikisource Conference, taking place from 14 to 16 February 2025 in Denpasar, Bali, Indonesia, after a decade-long break. This conference will be a fantastic opportunity to reconnect, share insights, and discuss the future of Wikisource and its vibrant community.

In the spirit of promoting diversity and inclusion, we're pleased to inform you that the deadline for scholarship applications has been extended to 29 September 2024.

If you still need to apply, please fill out the application form.

For any questions or assistance, feel free to contact us via the Meta Talk page or by email at wikisourceconference@gmail.com.

We look forward to your applications and hope to see you at the Wikisource Conference 2025!

Thank you MediaWiki message delivery (토론) 2024년 9월 20일 (금) 22:32 (KST)답변

Wikisource Conference 2025 Scholarship Team

All files need a license template + suggest to delete hundreds of files

편집

Hello! All files need to be under a free license or meet the requirements for non-free files per wmf:Resolution:Licensing_policy. Files that does not have a valid license should be deleted.

Most files are uploaded by 사용자:뭉게구름 and 사용자:Sjsws1078 that does not appear to be active. But if my active users uploaded files please make sure they have a source, author and a valid license.

Many files are unused: 특수:안쓰는파일. So I suggest to delete the files. That will reduce the number of unlicensed files. MGA73 (토론) 2024년 9월 25일 (수) 03:51 (KST)답변

위키문헌:한문 해석문의 수록의 지침 도입 토론 안내

편집

위키문헌:한문 해석문의 수록을 지침으로 도입하고자 하는 토론이 해당 문서의 토론 페이지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상당히 많은 문서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는 만큼, 여러분의 많은 의견 제시 부탁드립니다. Aspere (토론) 2024년 9월 27일 (금) 21:11 (KST)답변

편집
Apologies for cross-posting in English. Please consider translating this message.틀:Tracked

Hello everyone, a small change will soon be coming to the user-interface of your Wikimedia project. The Wikidata item sitelink currently found under the General section of the Tools sidebar menu will move into the In Other Projects section.

We would like the Wiki communities feedback so please let us know or ask questions on the Discussion page before we enable the change which can take place October 4 2024, circa 15:00 UTC+2. More information can be found on the project page.

We welcome your feedback and questions.
MediaWiki message delivery (토론) 2024년 9월 28일 (토) 03:58 (KST)답변

Final Reminder: Wikisource Conference 2025 Scholarship Deadline

편집

Dear Wikimedians,

This is a final reminder that the scholarship application deadline for the Wikisource Conference 2025 is 29 September 2024. The conference will take place from 14-16 February 2025 in Denpasar, Bali, Indonesia, after a decade-long break.

If you haven’t applied yet, please do so by completing the scholarship application form by 11:59 AM UTC, 29th September 2024.

For any questions, reach out via the Meta Talk page or email us at wikisourceconference@gmail.com.

We look forward to your participation!

Regards, Wikisource Conference 2025 Scholarship Team

MediaWiki message delivery (토론) 2024년 9월 30일 (월) 02:31 (KST)답변

2024년 위키미디어 재단 이사회 선거 예비 결과

편집

모두들 안녕하세요,

2024년 위키미디어 재단 이사회 선거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180개 이상의 위키 프로젝트에서 6000명에 가까운 커뮤니티 구성원이 투표했습니다.

다음 4명의 후보가 가장 많은 표를 얻었습니다:

  1. Christel Steigenberger
  2. Maciej Artur Nadzikiewicz
  3. Victoria Doronina
  4. Lorenzo Losa

이 후보자들은 투표를 통해 순위가 매겨졌지만, 여전히 이사회에 임명되어야 합니다. 그들은 성공적인 배경 조사를 통과하고 정관에 명시된 자격을 충족해야 합니다. 새로운 이사는 2024년 12월에 열리는 다음 이사회에서 임명될 것입니다.

메타위키에서 결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감사를 전하며,

선거위원회 및 이사회 선정 실무 그룹


MPossoupe_(WMF) 2024년 10월 14일 (월) 17:26 (KST)답변

운동 위원회에 참여할 자원봉사자를 모집합니다

편집

매년, 일반적으로 10월부터 12월까지, 이 운동의 여러 위원회는 새로운 자원봉사자를 모집합니다.

위원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메타위키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위원회 신청은 2024년 10월 16일에 시작합니다. 가맹위원회 신청은 2024년 11월 18일에 마감되고, 옴부즈 위원회와 사례 검토 위원회 신청은 2024년 12월 2일에 마감됩니다. 메타위키의 임명 페이지를 방문하여 신청 방법을 알아보세요. 토론 페이지에 게시하거나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cst@wikimedia.org로 이메일을 보내세요.

위원회 지원팀을 위해,


-- Keegan (WMF) (talk) 2024년 10월 17일 (목) 08:09 (KST)답변

편집

Hello everyone, I previously wrote on the 27th September to advise that the Wikidata item sitelink will change places in the sidebar menu, moving from the General section into the In Other Projects section. The scheduled rollout date of 04.10.2024 was delayed due to a necessary request for Mobile/MinervaNeue skin. I am happy to inform that the global rollout can now proceed and will occur later today, 22.10.2024 at 15:00 UTC-2. Please let us know if you notice any problems or bugs after this change. There should be no need for null-edits or purging cache for the changes to occur. Kind regards, -Danny Benjafield (WMDE) 2024년 10월 22일 (화) 20:29 (KST)답변

Won1017의 전역 추방안

편집

메타의 전역 추방안 정책에 의거해, 사용자:Won1017 사용자의 전역 추방안이 제안되었음을 알립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Takipoint123 (토론) 2024년 10월 26일 (토) 07:46 (KST)답변

Sign up for the language community meeting on November 29th, 16:00 UTC

편집

Hello everyone,

The next language community meeting is coming up next week, on November 29th, at 16:00 UTC (Zonestamp! For your timezone <https://zonestamp.toolforge.org/1732896000>). If you're interested in joining, you can sign up on this wiki page: <https://www.mediawiki.org/wiki/Wikimedia_Language_and_Product_Localization/Community_meetings#29_November_2024>.

This participant-driven meeting will be organized by the Wikimedia Foundation’s Language Product Localization team and the Language Diversity Hub. There will be presentations on topics like developing language keyboards, the creation of the Moore Wikipedia, and the language support track at Wiki Indaba. We will also have members from the Wayuunaiki community joining us to share their experiences with the Incubator and as a new community within our movement. This meeting will have a Spanish interpretation.

Looking forward to seeing you at the language community meeting! Cheers, Srishti 2024년 11월 22일 (금) 04:55 (KST)답변

{{정치적 연설}}의 자유로운 사용과 관련하여

편집
  • 제24조(정치적 연설 등의 이용) 공개적으로 행한 정치적 연설 및 법정·국회 또는 지방의회에서 공개적으로 행한 진술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동일한 저작자의 연설이나 진술을 편집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제36조(번역 등에 의한 이용) 제24조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저작물을 번역하여 이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 저작권법


베른협약 제2조의2 제1항은 재판절차에서의 진술 및 정치적 연설의 제한에 대해서는 동맹국의 재량에 맡기고 있으나, 개정안에서는 다른 선진국의 예 8)에 따라 “공개적으로 행한 정치적 연설”을 저작권 제한 대상으로 확대하여 국민의 알권리와 저작권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하고 있음.

한편, 베른협약 제2조의2 제3항은 재판절차에서의 진술 및 정치적 연설 등의 저작자는 편집저작물을 작성할 권리를 갖도록 규정하고 있는 바, 개정안은 동일한 저작자의 것을 편집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저작물을 무단으로 이용할 수 없도록 예외규정을 마련하여 베른협약과의 조화를 도모하고 있음.

— 김문희, "저작권법 전부개정법률안 (이광철의원 대표발의) 및 저작권법 일부개정법률안 (우상호의원 대표발의) 검토보고서", 국회 의안정보시스템, 2005년 11월.


따라서 ‘공개적으로 행한 정치적 연설’ 및 ‘법정·국회 또는 지방의회에서 공개적으로 행한 진술’에 해당한다면 연설자나 진술자의 의도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인쇄출판, 방송, 녹음, 녹화 등의 방법으로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며, 저작권법 제36조 제2항에 따라 번역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동일한 저작자의 연설이나 진술만을 따로 모아 편집한다면 이 규정의 적용을 받을 수 없다. 예를 들어, 인권 운동가였던 마틴 루터킹(1968년 사망)이 생전에 했던 정치적 연설만을 따로 편집하여 출판물 등을 제작하는 것은 제한되며, 필요하다면 그의 유족 등 저작권자로부터 허락을 받아야 할 것이다.

— "2022 저작권상담사례집", 한국저작권위원회, 2022, ISBN 978-89-6120-525-2.


(초록) 무엇보다도 비보호 저작물이 아니라 저작재산권 제한 사유로 규정한 취지를 고려해 볼 때, 단서 규정의 편집 이용은 저작자의 의도가 왜곡되는 형태로의 이용을 규제하는 것으로 해석함이 타당하다. 따라서 특정인의 정치적 연설들을 모아서 연설집 형태로 이용하는 것도 허용되고, 같은 이유에서 2인 이상의 정치적 연설들을 모아서 이용하는 것도 허용하며, 다만 저작자의 의도를 왜곡하고나 오해할 우려가 있는 형태로 연설을 편집하여 이용하는 행위인 경우 금지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문 116쪽) 즉, 편집의 의미를 소재의 선택, 배열 또는 구성에 인위적 조작을 하여 단순 집합물 이상의 결과물을 만드는 것으로 이해하면 동일인의 정치적 연설을 단순히 모아서 이용하는 것은 편집 이용이 아니라고 해석할 수 있다.

— 강명수. 정치적 연설의 자유 이용의 범위. 산업재산권. 한국지식재산학회. 2023, 74: 99–132. doi:10.36669/ip.2023.74.3.


2006년 개정된 저작권법에서 정치적 연설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되, "편집하여 이용"하는 것을 제외한 것은 베른 협약에서 말하는 원 저작자의 "저작물의 수집물을 만들 배타적 권리"를 보호함에 있는 것 같습니다. 퍼블릭 도메인일지라도 저작인격권은 여전히 존재하는 것처럼요. 그렇다면 드는 의문점이 다음과 같습니다.

  1. 위키문헌에 이러한 저작물들을 업로드하고, 저자 이름공간을 마련하여서 웹 페이지에서 볼 수 있도록 한 것은 "연설이나 진술만을 따로 모아 편집한" 출판물에 해당하는 것이 아닌지?
  2. 1번에 해당한다면, 한국저작권위원회에서는 특정 인물의 정치적 연설만을 따로 편집하여 출판물을 만드는 것이 금지된다고 하였는데, 강명수(2023)에서 말하는 것처럼, 변형 없이 원문을 모은 것은 편집에 해당하지 않는 것인지? 한국저작권위원회에서 든 예시는 마틴 루터킹의 어록과 함께 사진, 역사적 사실, 엮은이의 견해 등을 담은 형태의 "편집"을 한 책을 말하는 건지?

--Namoroka (토론) 2024년 12월 24일 (화) 23:54 (KST)답변

충분히 일리가 있는 말씀이라고는 생각하는데, 법률 관련 문제면 복잡할 수도 있는 만큼 단순히 총의를 모으는 것보다는 확실하게 관련 기관(저작권위원회라던지...)에 질의를 해 보시는 편이 어떨까 생각합니다. --Aspere (토론) 2024년 12월 25일 (수) 19:55 (KST)답변
시간이 나면 물어봐야겠네요. 추가로 {{PD-매니페스토}}도 이상한 것 같습니다. 메타의 Copyright of Political Speeches에 따르면 적어도 미국에서는 미국 정치인이 한 정치적 연설이 저작권으로 보호가 된다고 하네요. 미국 정부의 저작물은 퍼블릭 도메인이지만 연설을 해당 업무의 연장선으로 보지 않네요. 해당 틀은 다국어, 루마니어판에만 남아있고 적어도 영어판에서는 모두 삭제되었네요. 추가로 대한민국에서는 명확히 정치인이 아닌 단체에서 공개한 2005년 1월 17일 자유청년동지회 성명나 대학 교수 시국 선언들은 저작권이 있는 것 같습니다.--Namoroka (토론) 2024년 12월 25일 (수) 20:52 (KST)답변

한국저작권위원회로부터 답변을 받았습니다.

정치적 연설 등은 국민의 알권리 충족을 위하여 널리 공중에게 전달되고 자유롭게 이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기에 2006년 개정 저작권법이 신설한 규정입니다. 다만, 동일한 저작자의 연설이나 진술을 편집하여 이용하는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기에 ‘A 정치인 연설집’과 같은 편집저작물을 작성하는 것은 이용에 대한 허락이 필요합니다.

귀하가 첨부한 두 번째 링크는 특정인의 선언·연설 등을 저작물의 이름이나 간략한 정보만을 제시하고 그 저작물이 존재하는 세부적인 페이지로 바로 연결시키는 ‘직접링크’로 모아둔 것이며, 링크행위는 서버에 저장된 저작물의 웹 위치 정보나 경로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링크를 모아둔 것이 저작자의 연설이나 진술을 편집하여 이용하였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그렇다면 일단 저자 이름공간은 OK인데, 위키문헌의 독자로 하여금 해당 연설문을 모아 출판 등의 저작을 허락하는 것(2차 창작)은 여전히 금지되므로 여전히 실을 수 없는 것이 아닐련지요? 이 판단은 위키문헌에서 자체적으로 결정해야할 것 같습니다. 저작권 상의 제한인지 아니면 위 강명수(2023)에서와 같은 경우만 제한하는 건지요.

추가로 계엄사령부 포고령(제1호)에 대해서 물어봤는데 "제7조에 해당하는 보호받지 못하는 저작물에 해당할 것으로 보"이나, "포고령이 명령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저작권법 내에서 판단할 수 없으며 상담관 개인의 해석인 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Namoroka (토론) 2025년 1월 10일 (금) 22:20 (KST)답변

@Namoroka: 직접 고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단의 라이선스 결의안에 따르면 모든 프로젝트는 자유 컨텐츠 라이선스에 부합하는 경우만 수록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데, 자유 컨텐츠 라이선스의 정의에는 변경 및 개선을 할 자유(freedom to make changes and improvements)라는 문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현재의 저작권 정책에 보면 (당연하실 수도 있지만) "동일조건변경허락"(Share Alike)이라고 명시되어 있는데, 위 경우는 변경금지(No Derivative Works)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위에서 받으신 답변과 종합하여 보면 원문을 그대로 배포하는 것은 괜찮을지 몰라도 위키문헌의 저작권 정책과는 충돌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따라서 관련 문서를 일단 즉시 지운 다음 복구 여부를 토론하는 것이 더 합당하리라는 생각이 드는데, 혹시 다른 생각이 있으신지 마지막으로 여쭙고 싶습니다. --Aspere (토론) 2025년 1월 10일 (금) 22:54 (KST)답변
덧붙여 계엄사령부 포고령은 솔직히 저게 저작권이 있다고 하는 게 더 웃기지 않을까요... 문헌에 이미 이전 군사정권 시절 포고령도 올라와 있기도 하고요. --Aspere (토론) 2025년 1월 10일 (금) 22:54 (KST)답변
계엄사령부 포고령은 그냥 저거 하나만 물어보기 뭐해서 같이 물어봤습니다. 이번 같은 경우에 공식적인 경로로 포고령을 발표하거나 공개한 것이 아닌 것 같아서요. 포고령은 명령에 해당한다고 답변해줬습니다.
하여튼 삭제해야 하는 것이 맞아 보이나, 두 명이서 단순히 결정할 사항은 아닌 듯 싶습니다. 만약 삭제하더라도 문서 양도 많고, 문서 별로 다른 조건에 해당하는지 따져봐야할 문제로 보입니다. 토론: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 과거 관련된 토론 링크--Namoroka (토론) 2025년 1월 10일 (금) 23:22 (KST)답변
일반적인 문제라면 말씀이 맞긴 하나 총의보다 우선하는 몇 안되는 것이 "재단 규정"이라서 아무래도 빨리 없애는 게 좋다고 생각하긴 합니다. 물론 거의 20년 정도 있던 문서들도 있으니 하루이틀 더 놔둔다고 딱히 변할 것 같지도 않은 게 사실이긴 하지만요. Aspere (토론) 2025년 1월 10일 (금) 23:36 (KST)답변

위키미디어 재단 관계자나 직원이나 위키미디아 프로젝트의 지역 정책에 의해 회피되거나 해소되거나 무시될 수 없습니다.


해당 내용은 위키미디어 재단 정책으로 토론될 사항이 아니며, 무조건 삭제되어야 합니다. Takipoint123 (토론) 2025년 1월 10일 (금) 23:37 (KST)답변
네 동의합니다만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 문서처럼 현재 틀이 아니라 {{PD-대한민국}}이 적용될 수도 있는 사항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는 검토를 해봐야 한다는 말이었습니다. 문자 그대로 10년 묵은 사항이었으니까요. 제가 물어본 것도 내방하여 전문 변호사에게 상담받은 유권해석이라기 보단 단순히 온라인으로 저작권상담팀 직원 한분께 여쭤본 것에 불과하니까요.--Namoroka (토론) 2025년 1월 10일 (금) 23:47 (KST)답변
솔직히 위키문헌도 단순한 일개 인터넷 웹사이트인데 일일이 법의 잣대를 전문적으로 들이댈 수 없습니다. 모든 문서를 일일이 점검받아볼 수도 없는 것이고요. 어느 정도는 과감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예시로 드신 문서는 제 생각에는 여러 방향으로 해석이 된다기보다는 그냥 틀을 잘못 붙인 게 아닐까 싶긴 합니다만... Aspere (토론) 2025년 1월 10일 (금) 23:52 (KST)답변
그리고 정말 엄밀한 의미에서는 문서에 틀이 잘못 붙어 있으면 그냥 잘못된 라이선스 주장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 삭제 사유로 볼 수도 있습니다. 물론 이렇게 딱딱하게 적용하는 것은 저도 반대입니다만 일단 그렇긴 합니다. Aspere (토론) 2025년 1월 10일 (금) 23:53 (KST)답변
"다만, 동일한 저작자의 연설이나 진술을 편집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저작권법 24조) 이 말인 즉슨, 퍼블릭 도메인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위키미디어 정책상 퍼블릭 도메인은 그 어떠한 이용에서도 자유로워야 합니다. 그 예외 사항으로는 CC-BY, CC-BY-SA 뿐입니다. 변경금지는 허용되지 않음으로, 삭제되는게 맞다고 봅니다. Takipoint123 (토론) 2025년 1월 10일 (금) 23:55 (KST)답변
기존에도 정치적 연설은 단순히 퍼블릭 도메인이 아니라 Copyrighted free use에 가까운 걸로 본 것 같은데요. 하여튼, 말씀하시는 삭제하자는 의견에 반대하는게 아닙니다. 단 몇 분 만에 일괄 삭제를 하지 말자는 거죠.--Namoroka (토론) 2025년 1월 11일 (토) 00:14 (KST)답변
@Namoroka, Takipoint123: 해당 틀을 사용하는 문서가 700개를 약간 넘습니다. 많긴 한데 일일이 검토를 못 해볼 정도까지는 아닐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일일이 다른 틀로 분류하는 과정을 거치면 될 것 같습니다.
  1. {{PD-대한민국}} 등 다른 틀을 적용할 수 있는 경우 틀 교체
  2. 다른 틀 적용이 불가능할 경우 {{정치적 연설}} 제거하고 삭제 신청
의 방식으로 정리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정치적 연설 틀 자체는 해당 틀을 가리키는 문서가 0이 되면 지우겠습니다. 이렇게 하는 건 어떠신가요? Aspere (토론) 2025년 1월 11일 (토) 00:15 (KST)답변
덧붙여서 Namoroka님이 방금 남겨주신 의견을 저장 후에 봤습니다. 제가 글을 아에 밑으로 빼서 편집 충돌이 나지 않아서 좀 늦게 봤습니다. Aspere (토론) 2025년 1월 11일 (토) 00:16 (KST)답변
지금 다시 봤는데 {{PD-매니페스토}}도 링크 때문에 같이 잡히네요. 어차피 이 틀도 애매한 만큼 같은 방식으로 정리하면 어떨까 생각합니다. Aspere (토론) 2025년 1월 11일 (토) 00:32 (KST)답변
네 해당 틀도 없애야 할 것 같습니다. 다만 개중에도 전후 50주년의 종전기념일을 맞아 등 일부 외국 문건은 사용이 여전히 가능해 보이네요.--Namoroka (토론) 2025년 1월 11일 (토) 00:42 (KST)답변
해당 문서들만 삭제할 것이 아니라, 문서 삭제 시 위키문헌이나 위키백과 등 다른 자매 사이트에 있는 역링크도 삭제를 같이 하는 것이 더 좋아 보입니다.--Namoroka (토론) 2025년 1월 11일 (토) 19:05 (KST)답변
또한 모든 문서들은 미국 서버에서도 자유 사용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모든 법령과 같은 문서에는 en:Template:PD-EdictGov 같은 틀도 필요해 보입니다.--Namoroka (토론) 2025년 1월 11일 (토) 19:09 (KST)답변
@Aspere: 위키문헌의 역링크를 제거할 때 저자 이름공간의 항목은 이렇게 또는 이렇게 링크만 없애는 게 맞을까요, 아님 해당 항목을 아예 지우는게 맞을까요? 저작권이 있는 경우 대표작만 남겨두는게 맞겠죠?--Namoroka (토론) 2025년 1월 11일 (토) 23:03 (KST)답변
정말 보수적으로 보면 저자 이름공간은 "문서"를 모아 두는 거지 저자가 낸 책 모음이 아니니까 지우는 게 맞습니다. 그런데 뭐 이미 있는 저자 문서들도 링크 없이 적어놓은 애들이 대다수라서 항목을 남겨둬도 문제는 없을 것 같기도 하고요. 제 생각에는 편하신 대로 작업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정책이 미비한 거라서 정책을 만든 다음 정리하는 게 순서상 맞는 것 같기도 합니다. Aspere (토론) 2025년 1월 11일 (토) 23:21 (KST)답변
법적으로 볼때 저자 이름공간에서 링크만 안하면 문제 없고 한 단체에서 복수의 선언을 낸것도 아닌데 집단 명의의 연설을 지운건 월권입니다. 또한 공직자가 기관장 명의로 내놓은 신년사나 연설까지 지운것도 이상합니다.(업무상 저작물로 간주 가능) 제가 알기로는 문재인 연설집을 모으는건법에 저촉되나, 성전환 숙대 A씨 찬반 연설집이나 필리버스터 연설집을 만드는 등 이슈별 모음은 문제가 없는걸로 압니다.(물론 정치인이 아닌 경우 도의적인 허락은 필요) 2013 시국선언 빨리 복구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1월 12일 (일) 12:44 (KST)
판문점 선언은 조약과 유사한 것으로 봐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2001:2D8:EE6B:435F:0:0:85B:4B45 (토론) 2025년 1월 12일 (일) 12:44 (KST)답변
해당 사항은 서버 운영자인 위키미디어 재단의 저작권 정책에 저촉되기 때문에 하위 단체에 해당하는 한국어 위키문헌에서 뒤집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해당 내용을 올리시려면 다른 사이트를 이용해주세요. Aspere (토론) 2025년 1월 12일 (일) 13:06 (KST)답변
판문점 선언 등은 관보 등에 올라와 있으므로 저작권법 제7조에 해당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일부를 제외하고는 남북 관련된 사항 대부분이 관보에 올라와 있는 것 같습니다.--Namoroka (토론) 2025년 1월 12일 (일) 19:46 (KST)답변

대통령 연설이 정책브리핑 등에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올라와 있는 경우에도 사용 가능한 것으로 봐야할지요.. 청와대나 외교부 등 기타 사이트에는 거의 표시가 없거나 있더라도 제4유형이었는데, 정책브리핑에는 일부가 제1유형으로 올라와있습니다. 2020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에 대한 정부의 시정연설의 경우 공공누리가 있는 경우없는 경우 두가지가 다 있었습니다.--Namoroka (토론) 2025년 1월 13일 (월) 00:23 (KST)답변

제20대 대한민국 대통령 취임사처럼 1, 2, 3개 이상이 있는 경우도 있네요.--Namoroka (토론) 2025년 1월 13일 (월) 00:34 (KST)답변
사용 가능한 라이선스로 배포하는 출처가 하나라도 있으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정확히 똑같이 적용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공용의 다중 라이선스 정책도 호환 되는것과 안되는것이 같이 있으면 되는걸로 기재하라고 하고 있습니다. --Aspere (토론) 2025년 1월 13일 (월) 00:43 (KST)답변

대문 개선에 관한 의견 수렴

편집

현재의 대문이 굉장히 오래 된 것도 맞고 현실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내용도 없다는 의견을 많이 받아, 대문의 모습과 내용을 일부 바꿔 보았습니다.

현재 대문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변경하였습니다.

  • 최상단 오른쪽의 링크 일부 수정
  • 위키문헌에 대한 기본적인 소개 삽입
  • "둘러보기"에 분류와 더불어 대표적인 포털을 삽입
    • 제대로 정비된 포털 자체가 많지 않아 그나마 단기간에 발전시킬 수 있을 만한 포털을 중심으로 삽입하였습니다. 대표 이미지 또한 완벽하지 않으며 바뀔 수 있습니다.
  • 대표적인 문헌 몇 개를 선정해 "추천 문헌" 란 제작
    • 마찬가지로 포함된 문헌 자체는 바꿀 여지가 있습니다.
  • 거의 유지관리가 되지 않는 "특집 기사", "오늘의 역사", "하이라이트" 항목 삭제

한 번씩 보시고 드시는 감상이나 의견을 말씀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둘러보기"나 "추천 문헌"에 어떤 것이 들어가면 좋겠다는 간단한 것도 환영합니다. Aspere (토론) 2025년 1월 3일 (금) 19:57 (KST)답변

소개 부분이 조금 길고 여백이 많은 것 같습니다. 또한 각 항목간의 여백이 일정치 않습니다. "위키문헌이란" 항목의 제일 밑 부분은 여백이 없는데 "진행중인 공동 작업"과 "새로 올라온 문헌"에는 여백이 있고요. 주제별 색인에서 그림은 가운데 정렬을 하거나 기본 갤러리 기능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그림을 표현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조선노동당"이 들어가 있는 이유는 잘 모르겠네요. 또한 추천 문헌에서 훈민정음 그림과 하단의 "숙종의 한글편지", "개벽/1923년 2월/님의 노래" 부분이 서로 조화가 안 되는 것 같습니다.--Namoroka (토론) 2025년 1월 7일 (화) 19:04 (KST)답변
여백은 기기 환경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는 만큼 정확히 일치시키기가 어렵습니다. 타 언어판 대문을 보시더라도 좌우 불균형이 거의 기본일 정도입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일부러 여백이 많아 보이게끔 배치한 게 맞습니다 (현재 대문이 너무 빡빡하다는 지적을 몇 번 받아서). 포털도 마찬가지로 강제로 가운데 정렬시키면 환경에 따라 깨지기 때문에 기본 정렬로 놔둔 것입니다.
또한 추천 문헌의 위아래 부분은 전혀 다른 부분인데 둘 사이가 조화되지 않는다는 말씀이 무엇을 말씀하시고자 하는지 전혀 모르겠습니다. 디자인적으로 어울리지 않는다는 말씀이신가요, 아니면 내용상으로 어울리지 않는다는 말씀이신가요? Aspere (토론) 2025년 1월 7일 (화) 19:23 (KST)답변
여백을 일부로 의도하신거라면 이해하겠습니다. 훈민정음만 왜 우측에 따로 나와있는지 모르겠다는 의미였습니다. 또한 와이드스크린으로 보면 ----로 구분된 부분이 훈민정음 그림의 좌측으로 올라와 보기 좋지가 않습니다. 벡터 2022가 아니라 기존 벡터 스킨을 쓰시면 바로 확인이 되겠네요. 그림 링크--Namoroka (토론) 2025년 1월 7일 (화) 23:24 (KST)답변
@Namoroka: 그림 남겨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사실 지금 문제 확인이 안 되서 가지고 있는 모든 모니터를 다 꺼내오고 있었던 중이었는데... 일단 오른쪽 먹는 문제는 {{clear}}를 넣어 봤습니다. 제가 레거시벡터를 거의 안 써서 저게 넘어간다고 인지를 못 했네요. (제가 주로 쓰는 모니터에서도 우연의 일치로 레거시벡터에서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리고 그림에 생기는 여백 문제는 틀을 가져온 일본어판 대문에도 확인해보니 그대로 나타나고 있었습니다. 저 정도로 여백이 크게 나타난다면 확실히 고치긴 해야 한다는 것에는 공감합니다. 그런데 어떻게 고칠지 당장은 생각이 안 나네요. Aspere (토론) 2025년 1월 7일 (화) 23:42 (KST)답변
"위키문헌이란"의 윗부분과 "새로 올라온 문헌"의 윗부분의 여백도 아~주 미묘하게 여백이 다르네요. 해당 부분의 margin을 %가 아닌 em으로 지정하면 문제가 안 발생할 것 같습니다. 다른 부분에서도 margin을 1% 1% 1% 0로 정의했다가 같은 줄에서 1em 0로 지정하는 등 중복되는 부분이 많아 보입니다. 이러면 가장 마지막에 지정한 margin만 적용되는것 아닌가요? / 그리고 그림이 8개가 있으면 좁은 스크린에서, 적어도 벡터 2022에서는 그림이 3개/3개/2개 이런식으로 표시되는데 그러면 좌우를 비교했을 때 우측에 빈 공간이 너무 많이 남지 않는가요?--Namoroka (토론) 2025년 1월 7일 (화) 23:48 (KST)답변
일단 그림은 center 태그를 강제로 넣으면 가운데로 가기는 합니다. (이게 더 보기 좋은지 확신이 안 서서 원래대로 되돌려놓기는 했습니다만) 그리고 표시되는 그림 개수 자체는 화면의 좌우폭에 따라 자동으로 되는 거라 신벡터 스킨 자체의 문제는 아닙니다. (저는 6개 / 2개로 나옵니다) 남는 폭이 애매하게 그림 하나가 안 되면 그렇게 되는 것 같습니다. Aspere (토론) 2025년 1월 7일 (화) 23:53 (KST)답변
<gallery align="center">은 잘못된 코드 같고, <center><gallery align="center"> 대신 <gallery style="text-align:center"> 이게 맞을 듯 싶습니다.--Namoroka (토론) 2025년 1월 8일 (수) 00:01 (KST)답변
<gallery class="center">가 있네요. 아니면 <gallery mode=packed><gallery mode=packed-hover>는 어떠신지요.--Namoroka (토론) 2025년 1월 8일 (수) 00:14 (KST)답변
추가로 만약에 packed를 쓰거나, 쓰지 않더라도 대문에 병렬되어 표시되는 그림은 가로세로 비율이 똑같이 나오도록 나중에 자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Namoroka (토론) 2025년 1월 8일 (수) 00:23 (KST)답변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자르는 거야 어렵지 않고 여차하면 대문 용도로 문헌에 로컬 업로드도 해버리면 되니까요. 사진은 그래도 조금 더 어울리는 게 있을지 한번 더 찾아본 다음 잘라보겠습니다.
일단은 packed-hover가 제일 나은 것 같아서 그걸로 해 두긴 했습니다. 이런 게 있는지도 몰랐는데 많이 배워가네요. Aspere (토론) 2025년 1월 8일 (수) 00:34 (KST)답변
그리고 좌우 높이가 약간 다른 건 말슴하신 대로 퍼센트 빼니까 동일하게 보입니다. 일단 제가 가지고 있는 모니터 상으로는 동일하게 나오는데 혹시 또 문제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Aspere (토론) 2025년 1월 8일 (수) 00:35 (KST)답변
그림에서 packed를 쓸지 말지는, 취향 차이인 듯 싶으니 이건 다른 사용자분들도 보시고 의견을 달아주셨으면 좋겠네요.--Namoroka (토론) 2025년 1월 8일 (수) 22:38 (KST)답변

저작권 틀의 번역명

편집

저작권 틀의 명칭이 {{PD-미국}}과 같이 한국어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저는 이를 모두 다른 언어판에 맞춰 영어식으로 바꾸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해당 틀은 미국 연방 정부의 작품만 해당하는데 이름은 그냥 "미국"이라고만 말하고 있습니다. 원래 이름은 PD-USGov이고요. 해당 틀들을 모두 PD-미국-정부 이런 식으로 번역하는 수고를 할 것이 아닌 이상, 다른 언어판이나 공용에서 부르는 이름을 그대로 카피해 오는게 훨씬 수월합니다.--Namoroka (토론) 2025년 1월 12일 (일) 03:18 (KST)답변

틀이 전체적으로 굉장히 오래전에 만들어진 것이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틀 내용이 오래 된 경우도 많고요. 어차피 넘겨주기를 남겨두면 괜찮을 테니 과감히 바꾸셔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Aspere (토론) 2025년 1월 12일 (일) 03:25 (KST)답변

초안 이름공간 도입 제안

편집

현재 위키문헌에는 등재 기준 자체는 충족하는 것으로 보이나 문서의 상태가 너무 좋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90마745 문서나 71다2016 같이 봇으로 긁어온 판례 문서, 분석심리학 논문집/Chapter2와 같이 번역되지 않고 방치된 문서,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 같이 대체 어디서 온 건지 모르겠는 경우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또 문서 품질이 안 좋다고 지우는 것은 점차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라는 위키미디어 운동의 취지 자체에 반하는 것이어서 손을 대지는 못 하고 있습니다.

차라리 그래서 위키백과의 초안 이름공간을 동일하게 도입해서 이러한 문서를 따로 격리해 놓는 것은 어떨까 제안해봅니다. 저품질 문서가 표시된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 참여에 의한 문서 개선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입니다. 이에 관하여 여러분의 의견을 묻고 싶습니다. Aspere (토론) 2025년 1월 13일 (월) 16:47 (KST)답변

  찬성: 동의합니다. Korbine287 (토론) 2025년 1월 15일 (수) 17:03 (KST)답변
  찬성 --Namoroka (토론) 2025년 1월 16일 (목) 22:01 (KST)답변

  지침화를 위해 위키문헌:초안 문서를 생성하였습니다. 위키백과의 해당 문서를 들고 온 다음 위키문헌 실정에 맞게 약간 수정해 주었는데, 어색한 부분이 보이신다면 자유로운 수정 부탁드립니다. --Aspere (토론) 2025년 1월 19일 (일) 17:45 (KST)답변

틀:번역 미완료 삭제 제안

편집

해당 틀이 저작권적으로 모호한 면이 많고 최대한 자유로운 사용을 보장해야 한다는 위키미디어 운동 자체의 취지와 맞지 않다고 생각하는 바, {{번역 미완료}} 틀을 삭제하고 전부 {{GFDL/CC-BY-SA-4.0}} 틀로 교체할 것을 제안합니다.

  1. 완성되지 않은 문서의 저작권을 판단할 수 없게끔 하는 구조
    • 위키문헌에 있는 모든 문서는 최소한 {{GFDL/CC-BY-SA-4.0}} 라이선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것보다 더 풀어질 수는 있지만 더 좁혀질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특별히 라이선스를 정한 것이 아니라면 {{GFDL/CC-BY-SA-4.0}} 라이선스를 가정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 문서가 미완성인 경우에도 이 라이선스 규칙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그런데 해당 틀의 내용은 "미완성 상태이기 때문에 쓰지 말고 기다려봐라" 라는 내용에 가깝습니다. 이는 문서 기여의 근본적 취지와는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문서를 완성해야만 자유 저작물이 된다고 보는 것도 이상하고요.
  2. 저작권 결정권을 "번역을 완성한 사용자"에게 주는 시스템 자체의 의문
    • 위키문헌은 그 특성 상 여러 명이 기여하며, 저작권 정책에 따라 문서에 기여한 부분에 대한 저작권은 개인이 가지나 문서 전체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기여자가 문서 전체에 대한 라이선스를 결정"하는 것 자체가 이상하다고 생각합니다.
    • 만약 기여자가 여러 명인데 각자 사용하고자 하는 라이선스가 다른 경우에 부분별로 라이선스를 나눠서 표시할 수도 없을 것이고, 한 사용자가 CC-BY-SA를 주장하는 부분을 다른 사용자가 편집한 다음 "나는 퍼블릭으로 배포하겠다"라고 하면 이것을 저작권 침해로 봐야 하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원래대로라면 해당 틀을 사용한 문서의 주기여자 모두에게 연락을 넣어야 하겠으나, 현실적으로 이 틀을 사용하는 문서는 오래 전 미완료 상태로 방치된 문서인 경우가 많아 현실적으로 연락이 닿을 가능성도 낮을 것 같고, {{GFDL/CC-BY-SA-4.0}}와 호환되지 않는 라이선스를 주장하며 위키문헌에 올렸을 것이라고 생각하기도 어렵습니다 (만약 그럴 경우 삭제 대상입니다). 따라서 현재 사용자분들의 총의만으로 결정해도 괜찮은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관련해서 여러분의 의견을 묻고 싶습니다. Aspere (토론) 2025년 1월 15일 (수) 20:47 (KST)답변

동의합니다. 저장하기를 누른 그 순간 GFDL/CC-BY-SA-4.0로 배포하는 것을 허락한 것입니다.--Namoroka (토론) 2025년 1월 16일 (목) 14:03 (KST)답변

what is this word?

편집

What is this word?

편집

What is this word?

편집

틀:판독 불가 개편 알림

편집

{{판독 불가}} 틀을 한국어 위키문헌 실정에 맞게 '□' 기호를 표시하게끔 변경하였습니다. 틀을 이용하면 추적이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으므로, 앞으로 작업하시는 분들께서는 수동으로 '□' 기호를 입력하기보다는 해당 틀을 사용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넘겨주기인 {{?}}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spere (토론) 2025년 1월 17일 (금) 10:50 (KST)답변

영어판과 틀 구성이 조금 다른데, {{판독 불가}}는 한 글자에만 사용하고 {{미판독 문자}}는 두 글자 이상에 사용하는 것이 맞을까요?
그 틀도 따로 있다는 걸 까먹고 있었네요. 일단 역할이 동일하니 넘겨주기 처리하겠습니다. 지금 외출 중이어서 정리 작업은 조금만 있다가 하겠습니다.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Aspere (토론) 2025년 1월 18일 (토) 17:25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