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PuzzletChung (토론 | 기여) 잔글 →制字解: 訣曰은 앞 문단에 줄바꿈 없이 붙어 있음 |
PuzzletChung (토론 | 기여) 복제본을 참고해서 교정. 훈민정음언해에만 추가된 문장 삭제. 이체자를 최대한 살림. (爲→為, 発→彂 등) 토론:훈민정음#자형에 대한 문제 참고. |
||
22번째 줄:
나라말이 중국과 달라, 한문・한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끝내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를 불쌍히 여겨, 새로 스물 여덟 글자를 만드니, 사람마다 하여금 쉽게 익혀, 날마다 씀에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br />
ㄱ은 아음이니, 君 자의 처음 발하는 소리와 같다.<br />
나란히 쓰면
ㅋ은 아음이니, 快 자의 처음 발하는 소리와 같다.<br />
ㆁ은 아음이니, 業 자의 처음 발하는 소리와 같다.<br />
ㄷ은 설음이니, 斗 자의 처음 발하는 소리와 같다.<br />
나란히 쓰면
ㅌ은 설음이니, 呑 자의 처음 발하는 소리와 같다.<br />
ㄴ은 설음이니, 那 자의 처음 발하는 소리와 같다.<br />
39번째 줄:
나란히 쓰면 邪 자의 처음 발하는 소리와 같다.<br />
ㆆ은 후음이니, 挹 자의 처음 발하는 소리와 같다.<br />
ㅎ은 후음이니, 虗(虛) 자의 처음 발하는 소리와 같다.<br />
나란히 쓰면 洪 자의 처음 발하는 소리와 같다.<br />
ㅇ은 후음이니, 欲 자의 처음 발하는 소리와 같다.<br />
48번째 줄:
ㅣ는 侵 자의 중성과 같다.<br />
ㅗ는 洪 자의 중성과 같다.<br />
ㅏ는
ㅜ는 君 자의 중성과 같다.<br />
ㅓ는 業 자의 중성과 같다.<br />
57번째 줄:
종성은 초성을 다시 쓴다. ㅇ을 순음 아래 이어 쓰면 순경음이 된다. 초성을 합해 쓰려면 나란히 쓴다. 종성도 마찬가지다. ㆍ, ㅡ, ㅗ, ㅜ, ㅛ, ㅠ는 초성 아래에 붙여 쓰고, ㅣ, ㅏ, ㅓ, ㅑ, ㅕ는 오른쪽에 붙여 쓴다. 무릇 글자는 반드시 합해져서 소리(음절)를 이룬다. 왼쪽에 한 점을 더하면 거성이요, 두 점을 더하면 상성이요, 없으면 평성이요, 입성은 점을 더함은 같되 빠르다.
|
國之語音,異乎中國,與文字不相流通,故愚民,有所欲言,而終不得伸其情者,多矣。予
ㄱ
並書
ㅋ
ㆁ
ㄷ
並書
ㅌ
ㄴ
ㅂ
並書
ㅍ
ㅁ
ㅈ
並書
ㅊ
ㅅ
並書。如邪字初
ㆆ
ㅎ
並書
ㅇ
ㄹ
ㅿ
ㆍ
ㅡ
ㅣ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
終聲。復用初聲。ㅇ連書脣音之下,則
}}
줄 101 ⟶ 100:
天地之道,一
천지의 도는 오직 음양오행뿐이다. 곤(坤)과 복(復) 사이가 태극이 되고, 움직이고 멈춘 뒤에 음양이 된다. 무릇 어떤 살아가는 무리든 하늘과 땅 사이에 있는 것들이 음양을 버리고 어디로 갈 것인가? 그러므로 사람의 소리에도 다 음양의 이치가 있는데, 사람이 살피지 않을 뿐이다. 이제 훈민정음을 만든 것도, 처음부터 슬기로써 마련하고 힘으로써 찾아낸 것이 아니라, 다만 그 소리를 바탕으로 그 이치를 다할 따름이다. 이치가 이미 둘이 아니거늘, 어찌 능히 하늘과 땅과 귀신과 더불어 그 씀을 함께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br />
正音二十八字,各象其形而制之。<br />
훈민정음 스물 여덟 글자는 각각
初聲凡十七字。牙音ㄱ,象舌根閉喉之形。舌音ㄴ,象舌附上腭之形。脣音ㅁ,象口形。齒音ㅅ,象齒形。喉音ㅇ,象喉形。ㅋ比ㄱ,聲出稍厲,故加
초성은 무릇 열 일곱자이다. 아음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뜨고, 설음 ㄴ은 혀가 위턱(윗잇몸)에 붙는 모양을 본뜨고, 순음 ㅁ은 입모양을 본뜨고, 치음 ㅅ은 이빨 모양을 본뜨고, 후음 ㅇ은 목구멍 모양을 본떴다. ㅋ은 ㄱ에 비해 소리가 세게 나는 까닭으록 획을 더하였다. ㄴ에서 ㄷ, ㄷ에서 ㅌ, ㅁ에서 ㅂ, ㅂ에서 ㅍ, ㅅ에서 ㅈ, ㅈ에서 ㅊ, ㅇ에서 ㆆ, ㆆ에서 ㅎ으로도, 그 소리를 바탕으로 획을 더한 뜻은 모두 같으나, 오직 ㆁ만은 달리 했다. 반혓소리 ㄹ, 반잇소리 ㅿ도 또한 혀와 이의 모양을 본떴으나 그 모양새를 달리해서, 획을 더한 뜻은 없다.<br />
夫人之有聲本於五行。故合諸四時而不悖,叶之五音而不
대저 사람이 소리를 가짐은 오행에 근본을 두고 있으므로, 네 계절과 어울려 보아도 어그러지지 않고, 오음에 맞추어도 어긋나지 않는다. 목구멍은 깊고 젖어 있으니, 물이다. 소리는 비어 있고 통하니, 물이 투명하고 흘러 통하는 것과 같다. 계절로는 겨울이 되고, 소리로는 우(羽)가 된다. 어금니는 어긋나고 기니, 나무다. 소리는 목구멍과 비슷하나 차 있으니, 나무가 물에서 나서 형체가 있는 것과 같다. 계절로는 봄이 되고, 소리로는 각(角)이 된다. 혀는 날카롭고 움직이니, 불이다. 소리가 구르고 날리니, 불이 구르고 퍼져 휘날리는 것과 같다. 계절로는 여름이 되고, 소리로는 치(徴)가 된다. 이는 단단하고 물건을 끊으니, 쇠이다. 소리가 부스러지고 걸리니, 쇠가 부스러져 가루가 되고 단련되어 이루어지는 것과 같다. 계절로는 가을이 되고, 소리로는 상(商)이 된다. 입술은
又以聲音
또 소리의 청탁으로써 말하자면, ㄱ, ㄷ, ㅂ, ㅈ, ㅅ, ㆆ은 전청이 되고, ㅋ, ㅌ, ㅍ, ㅊ, ㅎ은 차청이 되고, ㄲ, ㄸ, ㅃ, ㅉ, ㅆ, ㆅ은 전탁이 되고, ㆁ, ㄴ, ㅁ, ㅇ, ㄹ, ㅿ은 불청불탁이 된다. ㄴ, ㅁ, ㅇ은 그 소리가 가장 거세지 않으므로, 순서가 비록 뒤에 있으나, 모양을 본떠서 글자를 만듦에는 처음으로 두었다. ㅅ과 ㅈ은 비록 모두 전청이지만, ㅅ은 ㅈ에 비해서 소리가 세지 않으므로, 또한 글자를 만듦에 처음으로 두었다. 다만 어금닛소리의 ㆁ은 비록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고 소리의 기운이 코로 나오나, 그 소리가 ㅇ과 비슷하므로, 운서(韻書)도 의(疑)모(母)와 유(喩)모(母)와 자주 서로 혼용하며, 여기서도 또한 목구멍의 모양을 본뜬 것을 취하되, 아음을 만드는 처음으로 두지 않았다. 생각건대 목구멍은 물에 속하고 어금니는 나무에 속하므로, ㆁ이 비록 아음에 있지만 ㅇ과 비슷한 것은, 마치 나무의 싹이 물에서 나와서 부드럽고 여려서, 아직 물기가 많은 것과 같다. ㄱ은 나무가 바탕을 이룬 것이요, ㅋ은 나무가 무성히 자란 것이며, ㄲ은 나무가 나이가 들어 장년이 된 것이므로, 이에 이르기까지 모두 어금니의 모양을 취했다. 전청을 나란히 쓰면 전탁이 되는 것은, 그 전청의 소리가 엉기면 전탁이 되기 때문이다. 다만 후음만은 차청이 전탁이 되는 것은, 아마 ㆆ의 소리가 깊어서 엉기지 않고, ㅎ은 ㆆ에 비해 소리가 얕아서, 엉기어 전탁이 되는 것일 테다. ㅇ을 순음 아래에 이어 쓰면 순경음이 되는 것은, 가벼운 소리로써 입술이 잠깐 합쳐지고 후음이 많기 때문이다.<br />
中聲凡十一字。ㆍ舌縮而聲深,天開於子也。形之圓,象乎天也。ㅡ舌小縮而聲不深不淺,地闢於丑也。形之平,象乎地也。ㅣ舌不縮而聲淺,人生於寅也。形之立,象乎人也。此下八聲,一闔一闢。ㅗ與ㆍ同而口蹙,其形則ㆍ與ㅡ合而成,取天地初交之義也。ㅏ與ㆍ同而口張,其形則ㅣ與ㆍ合而成,取天地之用
중성은 무릇 열한 글자이다. ㆍ는 혀가 오그라져 소리가 깊으니, 하늘이 자시(子時)에 열린 것이다. 모양이 둥근 것은 하늘을 본뜬 것이다. ㅡ는 혀가 조금 오그라져 소리가 깊지도 얕지도 않으니, 땅이 축시(丑時)에 열린 것이다. 모양이 평평한 것은 땅을 본뜬 것이다. ㅣ는 혀가 오그라지지 않아 소리가 얕으니, 사람이 인시(寅時)에 생긴 것이다. 모양이 서 있음은 사람을 본뜬 것이다. 이 아래의 여덟 소리는 하나는 닫힘이며 하나는 열림이다. ㅗ는 ㆍ와 같으나 입이 오므려지고, 그 모양은 ㆍ가 ㅡ와 합해서 이룸이며, 하늘과 땅이 처음으로 사귄다는 뜻을 취하였다. ㅏ는 ㆍ와 같으나 입이 벌어지고, 그 모양은 ㅣ가 ㆍ와 합해서 이룸이며, 천지의 작용이 사물에서 발해 사람을 기다려서 이루어짐을 취하였다. ㅜ는 ㅡ와 같으나 입이 오므려지고, 그 모양이 ㅡ가 ㆍ와 합해서 이룸이며, 역시 하늘과 땅이 처음으로 사귄다는 뜻을 취하였다. ㅓ는 ㅡ와 같으나 입이 벌어지고, 그 모양은 ㆍ가 ㅣ가 합해서 이룸이며, 역시 천지의 작용이 사물에서 발해 사람을 기다려서 이루어짐을 취하였다. ㅛ는 ㅗ와 같으나 ㅣ에서 일어나고, ㅑ는 ㅏ와 같으나 ㅣ에서 일어나고, ㅠ는 ㅜ와 같으나 ㅣ에서 일어나고, ㅕ는 ㅓ와 같으나 ㅣ에서 일어난다.<br />
ㅗ
ㅗ, ㅏ, ㅜ, ㅓ는 하늘과 땅에서 비롯하니, 처음 나온 것이 된다. ㅛ, ㅑ, ㅠ, ㅕ는 ㅣ에서 일어나서 사람을 겸하니, 두 번째 나온 것이 된다. ㅗ, ㅏ, ㅜ, ㅓ의 둥근 점이 하나인 것은, 처음에 생긴 뜻을 취한 것이며, ㅛ, ㅑ, ㅠ, ㅕ의 둥근 점이 둘인 것은, 두 번째로 생긴 뜻을 취함이다. ㅗ, ㅏ, ㅛ, ㅑ의 둥근 점이 위와 밖에 있는 것은, 그것이 하늘에서 나와서 양이 되기 때문이며, ㅜ, ㅓ, ㅠ, ㅕ의 둥근 점이 아래와 안에 있는 것은, 그것이 땅에서 나와서 음이 되기 때문이다. ㆍ가 여덟 소리에 일관됨은, 마치 양이 음을 거느려서 만물에 두루 흐름과 같다. ㅛ, ㅑ, ㅠ, ㅕ가 모두 사람을 겸한 것은, 사람이 만물의 영장으로 능히 음양에 참여하기 때문이다. 하늘, 땅, 사람을 본뜬 것을 취하여 삼재(三才)의 도리가 갖추어졌다. 그러나 삼재는 만물의 앞섬이 되고, 하늘은 또한 삼재의 근원이니, 마치 ㆍ, ㅡ, ㅣ 세 글자가 여덟 글자의 우두머리가 되고, ㆍ 또한 세 글자의 으뜸이 되는 것과 같다.<br />
ㅗ初生於天,天一生水之位也。ㅏ次之,天三生木之位也。ㅜ初生於地,地二生火之位也。ㅓ次之,地四生金之位也。ㅛ再生於天,天七成火之數也。ㅑ次之,天九成金之數也。ㅠ再生於地,地六成水之數也。ㅕ次之,地八成木之數也。水火未離乎氣,
ㅗ는 처음으로 하늘에서 생겨나니, 천(天)1이고 물을 낳는 자리다. ㅏ는 그 다음이니, 천3이고 나무를 낳는 자리다. ㅜ는 처음으로 땅에서 생겨나니, 지(地)2이고 불을 낳는 자리다. ㅓ는 그 다음이니, 지4이고 쇠를 낳는 자리다. ㅛ는 두 번째로 하늘에서 생겨나니, 천7이고 불을 이루어내는 수이다. ㅑ는 그 다음이니, 천9이고 쇠를 이루어내는 수이다. ㅠ는 두 번째로 땅에서 생겨나니, 지6이고 물을 이루어내는 수이다. ㅕ는 그 다음이니, 지8이고 나무를 이루어내는 수이다. 물과 불은 아직 기(氣)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음양이 사귀어 어우르는 시초이므로, (입이) 닫힌다. 나무와 쇠는 음양이 고정된 바탕이므로, 열린다. ㆍ는 천5이고 흙을 낳는 자리이다. ㅡ는 지10이고 흙을 이루어내는 수이다. ㅣ만 홀로 자리와 수가 없는 것은, 아마 사람은
以初聲對中聲而言之。
초성으로써 중성에 대해 말하자면, 음과 양은 하늘의 도리이고, 단단함과 부드러움은 땅의 도리이다. 중성이란, 하나가 깊으면 하나는 얕고, 하나가 닫히면 하나가 열리니, 이는 곧 음양이 나뉘고 오행의 기운이 갖추어짐이니, 하늘의 작용이다. 초성이란, 어떤 것은 비어 있고, 어떤 것은 차 있으며, 어떤 것은 날리고, 어떤 것은 걸리며, 어떤 것은 무겁거나 가벼우니, 이는 곧 단단함과 부드러움이 나타나서 오행의 바탕을 이룸이니, 땅의 공로이다. 중성이 깊고 얕음과 오므려지고 펴짐으로써 앞에서 부르면, 초성이 오음과 청탁으로써 뒤에서 화답하여, 초성이 되고 또 종성이 된다. 또한 만물이 처음 땅에서 나서 다시 땅으로 돌아감을 볼 수 있다. <br />
以初中終合成之字言之,亦有動
초성・중성・종성이 합하여 이룬 글자로써 말하자면, 또한 움직임과 멈추어 있음이 서로 근본이 되고 음과 양이 서로 바뀌는 뜻이 있는 것이다. 움직이는 것은 하늘이요, 멈추어 있는 것은 땅이요, 움직임과 멈추어 있음을 겸한 것은 사람이다. 생각건대 오행이 하늘에 있어서는 신의 운행이요, 땅에 있어서는 바탕의 이룸이요, 사람에 있어서는 인・예・신・의・지는 신의 운행이요, 간장・심장・비장・폐장・신장은 바탕의 이룸이다. 초성은 발하여 움직이는 뜻이 있으니, 하늘의 일이다. 초성은 그치고 정해지는 뜻이 있으니, 땅의 일이다. 중성은 초성이 생기는 것을 이어받아, 종성이 이루어주는 것을 이어주니, 사람의 일이다. 생각건대 자운의 핵심은 중성에 있어, 초성과 중성을 합하여 소리를 이룬다. 또한 마치 천지가 만물을 이루어도, 그것을 재성보상(財成輔相)하려면 사람에 힘입어야 하는 것과 같다. 종성이 초성을 다시 쓰는 것은, 움직여서 양인 것도 건(乾)이요, 멈추어서 음인 것도 또한 건이니, 건은 사실 음양이 나뉘어 다스리지 않음이 없기 때문이다. 한 원(元)의 기운이 두르 흘러서 다함이 없고, 네 계절의 운행이 순환하여 끝이 없는 까닭으로, 정(貞)이 가서 다시 원이 오고, 겨울이 가서 다시 봄이 오는 것이다. 초성이 다시 종성이 됨도, 종성이 다시 초성이 됨도, 또한 이런 뜻이다.<br />
旴。正音作而天地萬物之理咸備,其神矣
聖心而假手焉者乎。訣曰<br />
아아! 정음이 만들어져서 천지만물의 이치가 모두 갖추어졌으니, 그 신령함이여! 이는 분명 하늘이<br />
줄 229 ⟶ 228:
<poem>
天地之化本一氣
物於兩間有形聲
元本無二理數通
正音制字尙其象
因聲之厲每加
音出牙舌脣齒喉
是
牙取舌根閉喉形
唯業似欲取義別
줄 248 ⟶ 247:
配諸四時與沖氣
五行五音無不協
維喉
牙迺春木其音角
徵音夏火是舌聲
齒則商秋又是金
脣於位數本無
聲音又自有
要於初
全
卽戌挹亦全
若迺快呑漂侵
五音各一
全濁之聲虯
又有慈邪亦有洪
全
唯洪自
業那彌欲及閭穰
其聲不
欲之連書
喉聲多而脣乍合
中聲十一亦取象
줄 275 ⟶ 274:
其形之平象乎地
侵象人立厥聲淺
三才之道斯
洪出於天尙
象取天圓合地平
用初生義一其圓
出天
欲穰兼人
二圓
君業戌彆出於地
據例自知何湏評
呑之
維天之用徧流行
四聲兼人亦有由
人參天地
且就三聲究至理
自有剛柔與
中是天用
初迺地功剛柔彰
中聲唱之初聲和
天先乎地理自然
和者
物生復歸皆於坤
一動一
初聲復有
終聲比地
字音於此止
韻成要在中聲用
人能輔相天地宜
陽之
至而伸則反而歸
初終雖云分兩儀
終用初聲義可知
正音之字只
探賾錯綜窮深幾
指遠言近牖民易
天授何
</poem>
}}
줄 319 ⟶ 318:
=== 初聲解 ===
正音初聲,卽韻書之字母也。聲音由此而生,故曰母。如牙音君字初聲是ㄱ,ㄱ與ᅟᅮᆫ而
:君快虯業其聲牙
:舌聲斗呑及
:彆漂步彌則是脣
:齒有卽侵慈戌邪
:挹
:閭
:二十三字是
:萬聲生生皆自此
=== 中聲解 ===
中聲者,居字韻之中,合初終而成音。如呑字中聲是ㆍ,ㆍ居ㅌㄴ之間而
二字合用者,ㅗ與ㅏ同出於ㆍ,故合而
:母字之音各有中
:須就中聲尋闢闔
:洪
:君業出則亦可合
:欲之與穰戌與彆
:各有所從義可推
:侵之
:於十四聲徧相隨
=== 終聲解 ===
終聲者,承初中而成字韻。如卽字終聲是ㄱ,ㄱ居즈終而
聲有緩急之殊,故平上去其終聲不類入聲之促急。不
:不
:
:全
:是皆
:初作終聲理固然
:只將八字用不窮
줄 356 ⟶ 355:
:若書卽字終用君
:洪彆亦以業斗終
:君業
:以那彆彌次第推
:六聲通乎文與諺
줄 362 ⟶ 361:
:五音緩急各自對
:君聲迺是業之促
:斗彆聲緩
:穰欲亦對戌與挹
:閭宜於諺不宜文
:斗
=== 合字解 ===
줄 372 ⟶ 371:
中聲則圓者橫者在初聲之下,ㆍㅡㅗㅛㅜㅠ是也。縱者在初聲之右 ㅣㅏㅑㅓㅕ是也。如呑字ㆍ在ㅌ下,卽字ㅡ在ㅈ下,侵字ㅣ在ㅊ右之類。<br />
終聲在初中之下。如君字ㄴ在구下,業字ㅂ在ᅌᅥ下之類。<br />
初聲二字三字合用並書,如諺語ᄯᅡ〮
中聲二字三字合用,如諺語과〮
諺語平上去入,如활
初聲之ㆆ與ㅇ相似,於諺可以通用也。半舌有
:初聲在中聲左上
:挹欲於諺用相同
줄 386 ⟶ 385:
:諺之四聲何以辨
:平聲則弓上則石
:刀
:觀此四物他可識
:音因左
:一去二上無
:語入無
:文之入則似去聲
:方言俚語萬不同
줄 400 ⟶ 399:
=== 用字例 ===
初聲ㄱ,如감〯
ㅋ,如우케〮
ㆁ,如러ᅌᅮᆯ〮
ㄷ,如뒤〮
ㅌ,如고티〮
ㄴ,如노로
ㅂ,如ᄇᆞᆯ
ㅍ,如파〮
ㅁ,如뫼〯
ㅸ,如사ᄫᅵ〮
ㅈ,如자〮
ㅊ,如체〮
ㅅ,如손〮
ㅎ,如부〮ᄒ<nowiki></nowiki>ᅥᇰ
ㅇ,如비〮육
ㄹ,如무〮뤼
ㅿ,如아ᅀᆞ
中聲ㆍ,如ᄐᆞᆨ〮
ㅡ,如믈〮
ㅣ,如깃〮
ㅗ,如논〮
ㅏ,如밥〮
ㅜ,如숫
ㅓ,如브ᅀᅥᆸ
ㅛ,如ᄌ<nowiki></nowiki>ᅭᇰ〯
ㅑ,如남ᄉ<nowiki></nowiki>ᅣᇰ
ㅠ,如율믜
ㅕ,如엿〮
終聲ㄱ,如닥
ㆁ,如굼〯ᄇ<nowiki></nowiki>ᅥᇰ
ㄷ,如갇〮
ㄴ,如신〮
ㅂ,如섭
ㅁ,如범〯
ㅅ,如잣〯
ㄹ,如ᄃᆞᆯ〮
=== (정인지의 서. 원문에선 따로 제목이 없음) ===
:有天地自然之聲,則必有天地自然之文。所以古人因聲制字,以通萬物之情,以載三才之道,而後世不能易也。然四方風
:殿下創制正音二十八字,略揭例義以示之,名曰訓民正音。象形而字倣古篆,因聲而音叶七調。三極之義。二氣之妙。莫不該括。以二十八字而轉換無窮
:命詳加解釋,以喩諸人。於是,臣與集賢殿應敎臣崔恒,副校理臣朴彭年,臣申叔舟,修撰臣成三問,敦寧府注簿臣姜希顔,行集賢殿副修撰臣李塏,臣李善老等,謹作諸解及例,以敍其梗
:殿下,天縱之聖,制度施
:大智,蓋有待於今日也
訓民正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