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인사담집 2/좌평 성충
그것은 봄답지 않은 암담한 봄날이었다. 들에는 기화요초(琪花瑤草)가 만발하고 온갖 새와 나비가 날아드는 — 말하자면 절기로는 봄임에 틀림이 없지만 백성의 기분에는 봄답지 않은 암류가 흐르고 있었다.
백제의 의자왕(義慈王) 16년 춘삼월, 겨우내 혹독한 추위에 얼었던 땅이 따스한 봄기운에 녹아남에 따라서 추위를 피하노라고 방에 꾹 박혀있던 백제의 백성들도 길거리로 나다니기는 하지만 얼굴에는 음산한 기분과 근심이 서리어 있었다.
웬만한 근심, 웬만한 수심은 모두 녹여버리는 꽃의 시절인 봄이거늘 백제 창생의 근심은 이 시절의 힘으로도 녹여버릴 수가 없었다.
그들의 근심은 다른 것이 아니었다. 국왕의 방탕과 국력의 쇠약에 겸하여, 이 백제의 쇠약을 호시탐탐 기 다리는 신라국의 태도가 그들의 근심의 근원이었다.
지금 왕—선왕(先王)인 무왕(武王)의 아드님으로서 지극히도 담략과 패기가 있는 분이어서 그 등극 초에는 백제의 창생이 그야말로 이 명군의 아래 삼국통일의 대업이 이루어지리라고까지 믿었던 바이었다.
이 현철하고 용감하고 자비한 왕은 등극 초에는 극력으로 국력양성과 국토확장에 힘을 써서 인방(隣邦) 신라 같은 나라는 백제에 병합이 되지 않나 생각하게 할 만하였다. 신라의 변방은 모두 이 왕의 정복한 바가 되고 미후성(城), 대야성(大耶城) 등 신라의 거성이 모두 이 왕께 항복하여 백제의 영토가 되었다.
그러나 그 업적이 10년이 넘으면서부터는 왕은 이제는 안심을 한 탓인지 차차 안일에 빠지게 되었다. 3천 후궁을 데리고 매일 큰 연회를 열고, 혹은 사냥을 다니고, 여기 침닉한 왕은 이제는 국사를 돌보려 하지도 않았다.
국정이 차차 흐리게 되었는지라 국력도 자연히 쇠약하게 되었다.
왕이 현철하기 때문에 숱한 욕을 보고도 감히 대항할 생각을 못하던 신라는 백제의 왕도가 차차 흐려가는 기회를 타서 복수전의 준비를 차리기 시작하였다.
더구나 신라에도 태종무열왕(太宗 武烈王)이 등극하고 명장 김유신(金庾信) 등이 대두하면서부터는 이제는 깔보지 못할 형세인 데다가 더욱이 복수의 일념까지 강하게 되었으니 백제의 마음 있는 자는 물론 근심치 않을 수가 없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왕은 나날이 연락(宴樂)만 즐기고 왕도는 돌볼 생각도 안 한다.
이렇기 때문에 백제의 민심은 전전긍긍하였다. 춘삼월—좋은 시절이지만 백제 백성들의 얼굴에서는 겨울의 음산한 기운이 그냥 사라지지 않았다.
🙝 🙟
인심은 흥흥하고 암담하지만 그래도 시절은 봄이라고 복숭아꽃 살구꽃이 민가의 울 넘어서 찬란한 빛을 자랑하고 있다.
그 꽃들을 음산한 낯으로 바라보면서 말고삐를 채며 하인도 간단히 가는 사람, 그는 이 백제의 재상 성충(成忠)이었다.
약간 부는 꽃바람에 나부끼는 백발을 성가신 듯이 왼손을 들어서 쓰다듬으면서 말을 재촉하여 대궐로 들어간다.
주색에 빠진 왕께 마지막 충간(忠諫)을 하여 보려고 예궐(詣闕)하는 길이었다. 그 새도 누차 간하여 보지 않은 바는 아니었지만 오늘도 최후의 역간(力諫)을 하여볼 결심으로 예궐을 하는 길이었다.
역간을 하여 그래도 듣지 않으면 자기의 이 늙은 목숨까지도 내어 던지려 이미 가족과도 작별을 하고 자식에게는 뒤부탁까지 남김없이 하였다.
지금 입귈이 최후의 길, 만약 임금으로서 자기의 간을 용납하여 주면 이에 더 기쁜 일이 없겠거니와 그렇지 못하면 이 길이 마지막 길이로다.
나부끼는 꽃가지도 마지막 구경이로다. 이 애마의 안장도 마지막이로다. 밝은 일월도 마지막이로다.
나라를 위하여 바치는 목숨이 아깝기는 무엇이 아까우랴만 그래도 이 길이 마지막 길인가 하면 쓸쓸한 심사는 역시 억제키 어려웠다.
적적한 눈을 들어서 꽃빛을 보는 재상의 눈에는 엷은 눈물의 흔적이 있었다.
🙝 🙟
"나랏님!"
그 날도 좌우에 궁녀를 늘이우고 여전히 연락에 잠겨있는 어전에 성충은 꿇어 엎드렸다.
"나랏님!"
비오듯 쏟아지는 눈물.
"오오, 좌평(佐平), 참 잘 오셨소. 마침 무료하던 때에……."
잘 왔다 하나 내심으로는 귀찮다는 기색이 분명하였다. 이 잔소리 잘하는 재상이 또 무슨 귀찮은 소리를 하려 함인가 하는 기색이 분명하였다.
"나랏님!"
"누구 좌평께 술을 따라라."
"나랏님!"
"좌평, 자 이 꽃 피고 새 노래하는 시절에 술이나 한 잔 받으시오."
궁녀가 따라가지고 성충의 앞에 갖다 놓은 술. 성충은 눈을 들어서 궁녀를 흘겼다. 그 서슬에 뒤로 물러 가는 궁녀를 버려두고 이번에는 눈을 왕께로 돌렸다.
"나랏님!"
그러나 이 늙은이의 잔소리를 미리 짐작하는 왕은 피하려 달려들었다 왕은 성충의 말을 못 들은 체하였다.
"어 취해. 누구 무릎을 좀 가져오너라."
그리고는 마치 취하여 정신을 못 차리겠다는 듯이 그 자리에 드러누울 준비를 시작하였다. 궁녀 한 사람이 빨리 무릎을 왕의 머리 아래로 받치려고 하였다.
성충은 왕의 내심을 뻔히 안다. 요만 술로는 왕은 이렇듯 취하지 않을 것이다. 단지 성충 자기를 피하기 위하여 취한 체하는 것이었다.
성충은 무릎걸음으로 왕에게 가까이 나아갔다. 그리고 손을 들어서 바야흐로 왕께 무릎을 바치려는 궁녀를 떼밀었다.
"노부(老夫)의 무릎 더럽고 뼈투성이 입지만 성충의 무릎이옵니다. 받으시옵소서."
그리고 자기의 무릎을 왕의 머리 아래로 디밀었다.
한 각(刻), 두 각.
고요한 전내(殿內)에 왕께 무릎을 바치고 단정히 꿇어앉아 있는 늙은 대신.
머리에는 천 가지 만 가지의 생각이 왕래하였다.
돌아보건대, 이 임금의 통솔 아래 미후성 이하 신라 40여 주를 정벌할 때에 하늘 아래 이 임금을 당할 자 어디 있었더냐. 항복치 않으면 치고, 치면 반드시 이기는 전승군(全勝軍)의 통수자로서의 이 용감하던 임금.
강대함을 자랑하던 신라도 이 임금의 지휘 아래는 마치 수레를 반항하는 당랑(螳螂)과 같지 않았던가.
온조(溫祚) 대왕 건국 이래 7백 년에 가까운 백제가 이 왕의 초년만치 혁혁하였던 때가 있었더냐. 그렇던 왕의 오늘의 이 난정(亂政)은 어떠하냐? 지금 신라는 호시탐탐히 복수전을 꾀하고 있고 당나라까지 신라와 연합하여 변방을 침략할 기세가 보이는 이때에 국왕은 국사를 잊고 오로지 주색에만 잠겨있으니, 마음 있는 자 어찌 가슴 아프지 않으랴.
임금도 사람인 이상에는 때로는 유혹에 빠지기도 오히려 예사일 것이다. 신하된 자가 이런 때에 임금께 역간하여 임금으로 하여금 길을 돌게 하지 못하면 신도(臣道)를 다하지 못하는 바이다.
지금 백제의 조정에는 적지 않은 수효의 신하가 있다 하지만 신도를 다할 만한 신하가 과연 몇이나 되느냐. 이런 때에 임하여 선왕 때부터 받은 그 큰 은혜의 보답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다. 이미 늙은 몸, 언제 죽더라도 아깝지 않은 몸 — 바치자. 나라와 임금을 위하여 바치자. 이 늙은 머리를 백제의 주춧돌로 삼자.
널따란 전각 안에서 왕께 무릎을 바치고 고요히 앉아있는 늙은 재상의 얼굴에는 다시금 결심의 빛이 나타났다.
🙝 🙟
왕은 누차 눈을 뜨려 하다가는 다시 잠든 체하여 버리고 만다.
아아, 왜 이렇듯도 왕은 나를 꺼리느냐. 자기인들 편안하기를 싫어하며 놀기를 싫어 하랴. 어의(御意)에 맞추어서 더욱이 총애나 사면 일신에 오죽 편안하랴, 그러나 그런 일을 하지 않고 성의에 거슬리는 일을 하려는 것은 오로지 나라를 위함이요 임금을 위함이어늘 임금께서는 왜 이다지도 자기를 꺼리시나.
또 한 각, 두 각.
그냥 성충이 지키는지라 그냥 일어나지 못하는 왕께 그래도 무릎을 그냥 받치고 있는 재상. 발이 저리고 오금이 쏘았다. 늙은 몸, 가만 누워 있을지라로 사지가 쏠 것이어늘 이렇듯 움쩍을 못하고 있으니까 온몸이 거의 쓰지 못하리만치 저리다.
그러면서도 그냥 움쩍을 않고 있는 이 마음을 임금께서는 왜 몰라주시나?
눈물이 핑 돌았다.
그 돌던 눈물은 드디어 눈시울에 맺혔다. 맺혔던 눈물은 툭 떨어졌다.
성충은 깜짝 놀랐다. 눈물이 용안(龍顔) — 이마에 떨어진 것이다.
순간 왕이 벌떡 일어났다. 아직껏 깊이 잠든 체하던 왕이 한 방울 눈물에 벌떡 일어난 것이었다.
일어나는 순간, 소매를 들어 이마를 닦았다.
"엑, 더러워!"
펄떡 놀라서 물러 앉는 늙은 재상을 흘기는 왕의 눈자위는 무서웠다.
"더러워! 비즙(鼻汁)을!"
"나랏님."
"그래, 내게 비즙을!"
"나랏님."
"누구 없느냐. 소세할 물을 가져오너라!"
이 소란에 궁녀 몇이 전내로 달려왔다.
"소세할 물을 가져오너라. 좌평이 비즙을 내게 뿌렸다. 에익, 더러운, 괘씸한!"
"나랏님! 비즙이 아니오라 소신의 눈물이옵니다. "
"소세할 물을!"
궁녀의 갖다 바치는 소세물에 왕은 더러운 듯이 용 안을 활활 씻었다. 그리고는 벌떡 일어서서 내전으로 들어가려 하였다.
이제는 최후의 길밖에 없었다. 이제 임금을 놓쳤다가는 다시는 임금은 자기를 보지 않을 것이다. 다시 임금을 보지 못하면 다시는 간을 할 기회도 없을 것이다. 이 기회를 놓쳤다가는 이 왕께 다시 간할 기회가 없는 지라 이 마지막 기회는 결코 놓쳤다가는 안 된다. 예사로운 간을 왕이 듣지 않는 때에는 최후의 방도를 쓰려던 그 방도를 쓸 밖에는 도리가 없었다.
성충은 한 걸음 뛰었다. 떨치는 왕의 소매를 꽉 붙들었다.
"나랏님."
"에익!"
"나랏님. 잠깐만!"
"소매를 놓오."
"못 놓겠습니다. 나랏님. 잠깐만 앉읍서요."
"누구 좌평을 끌어내라!"
왕령에 좌우로 모여드는 궁액(宮掖)들에게 성충은 틀어서 돌아보며 고요히 호령하였다.
"물렀거라!"
이 늙은 재상의 위세에 주춤하는 궁액들을 깔보며 성충은 몸을 일으켰다.
"나랏님."
일어선 성충. 말로는 나랏님이라 하나 억압하는 태도였다
"나랏님. 잠시 진정합시오. 소신의 주상하는 바를 들어주시기를 바라옵니다. 아니, 소신의 주상이 아니오라 선묘(先廟) 폐하의 유탁(遺託)에 의지하온 선묘의 유지를 소신이 대언(代言)하는 바이옵니다. 선묘 대점시(大漸時:병세가 심해질 때)에 소신을 와 내(臥內)에 부르오시고 소신께 나랏님을 부탁하시던 그 유탁을 나랏님께오서도 기억하실 것이나, '천추만세 후에 이 성충을 나로 알고 의지하고 믿고 어려운 일이 있거든 의논해라' 합시던 유탁, 나랏님께오서는 벌써 잊으셨습니까? 그 거룩하신 유탁에 의지하여 오늘 소신이 주상하옵는 말씀, 이는 소신의 말씀이 아니오라 선묘의 어명이옵니다."
고요한 전내에 울리는 성충의 말.
"나랏님! 정신을 차립쇼. 온조대왕 이래로 칠백년간을 면면히 물려내려온 이 사직이 바야흐로 위태롭지 않습니까? 이 사직 여차하는 날에는 나랏님은 무엇으로서 사죄를 하시렵니까. 술을 삼갑쇼. 계집을 삼갑쇼.
정신을 차립쇼. 신라의 군비를 경계할 줄을 아십쇼.
당적(唐賊)을 방비할 꾀를 아십쇼. 지금 정신 차리지 않았다가는 한을 천추에 남기리리다. 충신의 충언을 쓰다 마십쇼."
위연(威然)히 서서 왕을 호령을 한 뒤에 성충은 뒷걸음쳐 물러서 다시 꿇어 엎드렸다.
"나랏님."
할 말을 다 한 뒤에는 목이 메어 말이 나오지 않았다.
"나랏님, 나랏님."
눈물만 비오듯 하였다.
🙝 🙟
성충은 드디어 왕옥(王獄)에 갇힌 바 되었다. 용안에 콧물을 떨어뜨렸다는 것이 제1 죄안(罪案)이었다.
왕령을 거슬렀다는 것이 제2 죄안이었다.
신하의 도리로 왕을 호령하였다는 것이 제3 죄안이었다.
이 태평성대에 요망스러운 소리를 하여 민심을 소란케 한다는 것이 제4 죄안이었다 이러한 명목으로 성충을 옥에 내린 뒤에 이제는 더 간쟁을 할 신하도 없는 시원한 천지에서 왕은 더욱더 주색을 즐겼다.
마음에 간하고 싶은 생각을 가진 신하도 없는 바는 아니었다. 그러나 간한댔자 마이동풍이며 효력 없는 간을 한 뒤에는 제 몸에 재앙이 내리겠는지라 모두 입을 봉해버렸다.
그리고는 이 난륜의 왕을 피하기 위하여 조정을 떠나서 농사나 벗을 하였다.
이제는 차차 충신은 떠나는 조정에서 왕과 소인배들이 제멋대로 놀아나서 조정은 난잡탕이 되고 암담한 기분은 온 백제를 덮었다.
🙝 🙟
옥에 갇힌 성충.
왕의 노염을 사기 때문에 받은 악형으로 인하여 찢어지고 부서지고 늙은 몸을 옥 안에서 전전히 구르면서도 그래도 국사는 잊을 수가 없었다.
가만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가까운 장래에 반드시 큰 전쟁이 있을 것이다. 나날이 창성해 가는 신라와 나날이 위축해가는 백제인지라 반드시 가까운 장래에 전쟁이 벌어질 것이다.
이때를 방비할 자 누구냐. 이때에 임하여 이 국운을 그래도 버티어 볼 자 누구냐.
몸과 마음이 너무도 아프기 때문에 잠도 못 자고 음식도 받지 않았으므로 이제는 손가락 하나 움직일 수도 없도록 쇠약한 성충이었다. 늙은 몸에 받은 외부적 상처와 아울러 불면불식(不眠不食)으로 말미암아 받은 생리적 쇠약까지 겸한 위에 또한 심로(心勞)까지 합친 지라, 이제 다시 생명이 유지되기는 가망도 없었다.
어차피 수일 내로 죽을 몸. 단지 그래도 마음에 걸리는 바는 망국유신(亡國遺臣)이 되리라는 근심이다.
온몸이 쑤신다. 부서진 뼈의 마디마디가 숨쉴 때마다 버걱버걱 한다.
이 고통 아래서 망연히 창으로 우러러 보면, 그래도 봄이라고 창틈으로는 멀리 꽃가지가 보인다.
"봄!"
아아. 백성의 마음에는 언제나 봄이 이르려느냐.
🙝 🙟
며칠이나 지났는지 모른다. 옥 안에서 지내는 날은 짧은 듯하고도 길고, 긴 듯하고도 짧아서 밝았다가는 어둡고 어두웠다가는 도로 밝는 날이 벌써 며칠이나 지났는지.
그 어느 날 아침, 성충은 간신히 몸을 일으켰다 부석부석 몸을 일으킬 때에 부러진 다리뼈가 가죽을 뻗치어 유난히도 두드러진다.
몸을 일으킨 성충은 겨우 부비적부비적하여 북향(北向)하여 돌아 앉았다. 그리고 잠시 합장을 하고 있다가 간신히 꿇어 엎드려 절을 한 뒤에 자유로이 움직이지 않는 팔을 겨우 써서 어떻게 자기의 속옷을 벗었다.
그 속옷을 무릎 앞에 폈다. 그런 뒤에 손가락을 입에 넣고 힘을 주어서 깨물었다.
딱! 하는 소리와 함께 입안으로 뜨거운 피가 수르르 떨어질 적에 성충은 그 손가락으로 펴놓은 속옷에 마지막 상소문을 썼다.
'전하께 마지막 상소로소이다.
전하는 소신을 잊으셨겠사오나 소신은 전하를 잊을 수 없사와 죽음에 대하여 마지막으로 또 한 번 상소 하나이다.
어지럽고 아픈 몸이오라 문식(文飾)은 할 여가가 없사오니 소신의 생각하는 바만 황황히 기록하나이다.
지금 시세의 변함을 살피옵건대 반드시 가까운 장래에 큰 전쟁이 있을 줄 믿사옵니다. 전쟁에는 선공(先攻)을 상으로 삼되 선공이 불능한 때는 방비라도 충분히 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오니, 우리나라의 지세를 살피옵건대 상류에 진(陳)하여서 적을 막은 후에야 능히 국토를 보전할 수가 있을 것이오니 적병이 강역을 침노한다 할지라도 육로로는 탄현(炭峴)을 굳게 지키고 수로로는 기벌포(伎伐浦)를 힘써 막아오면 적병이 능히 경도를 침범치 못할 줄 아오니 전하 비록 유연(遊宴)에서 떠나실 여가가 없으시더라도 장군 계백(階伯)에게 하명하와 이 두 길만이라도 미리 방비하여 두오시면 소신 죽을지라도 능히 눈을 감을 수 있겠사옵니다.
차차 정신이 혼미하와 더 아뢰지 못하옵니다. 전하 만수무강하옵소서. 소신은 황천에서 전하와 백제의 만만세를 축수하오리다.'
🙝 🙟
피가 마르면 다시 손을 깨물고 하여 간신히 썼다.
그 뒤에 또 한 장, 장군 계백에게도 쓰려고 하였으나 이제 더 기운이 없었다.
성충은 옥사쟁이를 불러서 이 상소문을 전하였다.
그런 뒤에는 그 자리에 고요히 엎드렸다.
🙝 🙟
성충의 상소문이 대궐에 들어온 것은 왕이 여전히 후원에 자리를 하고 큰 잔치를 할 때였다.
왕은 처음에는 무엇인지 모르고 그 옷소매를 받아 펴보고 깜짝 놀랐다. 옷소매에 아직 마르지도 않은 피의 흔적은 왕의 가슴을 서늘하게 하였다.
왕은 그 상소문을 획 내던졌다. 무슨 더러운 물건이라도 만진 듯이 손까지 털었다.
그날 성충을 옥에 내린 뒤에는 성충의 존재를 벌써 잊어버렸던 왕이었다. 왕의 좌우에 모시는 소인들도 성충에 관한 말은 일체 하지 않았다. 그래서 기억에서 사라졌던 일이 이 피묻은 옷소매 때문에 다시 소생한 것이었다.
"이게 뭐냐, 더럽게. 멀리 집어치워라!"
성충의 이 마지막 혈서도 읽어보려 하지도 않았다.
그리고 이 즐거운 연희의 흥을 깨뜨린 더러운 물건이라 하여 그냥 내버렸다. 이 날 장군청에 입직(入直)해 있던 계백 장군은 연희장에서 수군수군 새어나오는 이 소문을 어렴풋이 들었다.
뜻 있는 신하들은 한 사람 두 사람 모두 물러간 이 백제 조정에 그래도 아직 한 사람이 남아 있었다. 임금이 황음(荒淫)하다고 나라를 버리면 이 나라를 지킬 자 누구냐? 이제라도 신라의 연합군이 몰려오면 이 나라를 지킬 자 누구냐? 이러한 마음으로 동료들이 모두 은퇴하고 소인들만 남아있는 이 조정에 노장군 계백은 그냥 홀로 남아 지키고 있던 것이다.
그 약관 시대부터 선배로 섬기며 함께 나라를 지켜 오던 성충을 옥에 보내고 항상 마음을 쓰던 이 노장군은, 이날 이 소문을 듣고 곧 연희장인 후원 근처로 들어갔다.
그리고 궁액(宮掖)을 불러서 아까 성충의 혈서를 어디다 버렸는가 물어보았다.
장군은 그것을 얻어내었다.
자자구구(字字句句)가 충국의 글자로 된 피글씨를 얻어 편 노 장군은 묵연(默然)히 서서 탄식하였다. 그의 굳게 닫긴 눈가에서는 눈물이 줄줄 주름살 잡힌 얼굴로 흘러내렸다.
"성좌평, 계백이 아직 살아있는 동안에야 어찌 좌평의 뜻을 저버리리까? 좌평의 심모원려(深謀遠慮), 전하께옵서 불고하신다 해도 계백이 맡아서 당하리다. "
어서 좌평을 가서 만나보자. 글로 보매 임종도 목첩간(目睫間)인 모양, 임종하기 전에 가서 마지막 손이라도 잡아보고 마지막 위로라도 하여서 눈을 감게 해 드리자.
계백은 성충이 갇혀있는 왕옥으로 걸음을 빨리 하여 갔다.
🙝 🙟
"옥문을 열어라!"
노 장군의 위엄 있는 호령에 옥사쟁이는 문을 열었다.
옥사쟁이가 열어주는 문으로 썩 들어서 보매, 성충은 북향하여 고요히 엎드려 있다. 옥에 갇힌 이래 빗질을 못하여 산산히 헤진 그의 백발의 머리가 움직임도 없이…… 계백은 잠시 기다렸다. 성충이 일어나든가 몸이 움직이기를…….
반 각(刻), 거의 한 각이나 지나도 성충은 그냥 그 자세대로 엎드려서 움직이지를 않는다. 여기서 비로소 의심이 덜컥 난 계백이 달려가서 성충을 흔들어 보매, 성충의 몸은 벌써 차디찬 주검으로 변하여 있다. 갑자기 옥 안에서 나는 이상한 소리에 옥사쟁이가 놀라서 달려와 보매, 노장군 계백이 성충의 시체를 쓸어 안고 발을 구르며 호랑이 같은 소리로 통곡을 하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