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
(대한민국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에서 넘어옴)
관인규정 보고통제규정 기관간업무협조규정 서식제정절차규정]] |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7697호 제정기관: 대통령 |
시행: 2016.12.27 |
타법개정: 2016.12.27 |
조문
편집제1장 총칙
편집- 제1조(목적) 이 영은 행정기관의 행정업무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행정업무의 간소화·표준화·과학화 및 정보화를 도모하고 행정기관 간 협업을 촉진하여 행정의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정 2016.4.26.>
- 제2조(적용범위) 중앙행정기관(대통령 직속기관과 국무총리 직속기관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과 그 소속기관,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과 군(軍)의 기관(이하 "행정기관"이라 한다)의 행정업무 운영에 관하여 다른 법령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영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 제3조(정의) 이 영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14.2.18.>
- 1. "공문서"란 행정기관에서 공무상 작성하거나 시행하는 문서(도면·사진·디스크·테이프·필름·슬라이드·전자문서 등의 특수매체기록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와 행정기관이 접수한 모든 문서를 말한다.
- 2. "전자문서"란 컴퓨터 등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장치에 의하여 전자적인 형태로 작성되거나 송신·수신 또는 저장된 문서를 말한다.
- 3. "문서과"란 행정기관 내의 공문서를 분류·배부·보존하는 업무를 수행하거나 수신·발신하는 업무를 지원하는 등 문서에 관한 업무를 주관하는 과(課)·담당관 등을 말한다.
- 4. "처리과"란 업무 처리를 주관하는 과·담당관 등을 말한다.
- 5. "서명"이란 기안자·검토자·협조자·결재권자[제10조에 따라 결재, 위임전결 또는 대결(代決)하는 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 또는 발신명의인이 공문서(전자문서는 제외한다)에 자필로 자기의 성명을 다른 사람이 알아볼 수 있도록 한글로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 6. "전자이미지서명"이란 기안자·검토자·협조자·결재권자 또는 발신명의인이 전자문서상에 전자적인 이미지 형태로 된 자기의 성명을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 7. "전자문자서명"이란 기안자·검토자·협조자·결재권자 또는 발신명의인이 전자문서상에 자동 생성된 자기의 성명을 전자적인 문자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 8. "행정전자서명"이란 기안자·검토자·협조자·결재권자 또는 발신명의인의 신원과 전자문서의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그 전자문서에 첨부되거나 결합된 전자적 형태의 정보로서 「전자정부법 시행령」 제29조에 따른 인증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은 것을 말한다.
- 9. "전자이미지관인"이란 관인의 인영(印影)을 컴퓨터 등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장치에 전자적인 이미지 형태로 입력하여 사용하는 관인을 말한다.
- 10. "전자문서시스템"이란 문서의 기안·검토·협조·결재·등록·시행·분류·편철·보관·보존·이관·접수·배부·공람·검색·활용 등 모든 처리절차가 전자적으로 처리되는 시스템을 말한다.
- 11. "업무관리시스템"이란 행정기관이 업무처리의 모든 과정을 제22조제1항에 따른 과제관리카드 및 문서관리카드 등을 이용하여 전자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 12. "행정정보시스템"이란 행정기관이 행정정보를 생산·수집·가공·저장·검색·제공·송신·수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등을 통합한 시스템을 말한다.
- 13. "정보통신망"이란 「전기통신사업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전기통신설비를 활용하거나 전기통신설비와 컴퓨터 및 컴퓨터의 이용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가공·저장·검색·송신 또는 수신하는 정보통신체제를 말한다.
- 14. "정책실명제"란 정책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이기 위하여 행정기관에서 소관 업무와 관련하여 수립·시행하는 주요 정책의 결정 및 집행 과정에 참여하는 관련자의 실명과 의견을 기록·관리하는 제도를 말한다.
제2장 공문서 관리 등 행정업무의 처리
편집제1절 공문서의 작성 및 처리
편집- 제4조(공문서의 종류) 공문서(이하 "문서"라 한다)의 종류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다.
- 1. 법규문서: 헌법·법률·대통령령·총리령·부령·조례·규칙(이하 "법령"이라 한다) 등에 관한 문서
- 2. 지시문서: 훈령·지시·예규·일일명령 등 행정기관이 그 하급기관이나 소속 공무원에 대하여 일정한 사항을 지시하는 문서
- 3. 공고문서: 고시·공고 등 행정기관이 일정한 사항을 일반에게 알리는 문서
- 4. 비치문서: 행정기관이 일정한 사항을 기록하여 행정기관 내부에 비치하면서 업무에 활용하는 대장, 카드 등의 문서
- 5. 민원문서: 민원인이 행정기관에 허가, 인가, 그 밖의 처분 등 특정한 행위를 요구하는 문서와 그에 대한 처리문서
- 6. 일반문서: 제1호부터 제5호까지의 문서에 속하지 아니하는 모든 문서
- 제5조(문서의 전자적 처리) 행정기관의 장(법령에 따라 행정권한을 위임받거나 위탁받은 자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은 문서의 기안·검토·협조·결재·등록·시행·분류·편철·보관·보존·이관·접수·배부·공람·검색·활용 등 처리절차를 전자문서시스템 또는 업무관리시스템 상에서 전자적으로 처리하도록 하여야 한다.
- 제6조(문서의 성립 및 효력 발생) ① 문서는 결재권자가 해당 문서에 서명(전자이미지서명, 전자문자서명 및 행정전자서명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의 방식으로 결재함으로써 성립한다.
- ② 문서는 수신자에게 도달(전자문서의 경우는 수신자가 관리하거나 지정한 전자적 시스템 등에 입력되는 것을 말한다)됨으로써 효력을 발생한다.
- ③ 제2항에도 불구하고 공고문서는 그 문서에서 효력발생 시기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지 않으면 그 고시 또는 공고 등이 있은 날부터 5일이 경과한 때에 효력이 발생한다.
- 제7조(문서 작성의 일반원칙) ① 문서는 「국어기본법」 제3조제3호에 따른 어문규범에 맞게 한글로 작성하되, 뜻을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괄호 안에 한자나 그 밖의 외국어를 함께 적을 수 있으며,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가로로 쓴다.
- ② 문서의 내용은 간결하고 명확하게 표현하고 일반화되지 않은 약어와 전문용어 등의 사용을 피하여 이해하기 쉽게 작성하여야 한다.
- ③ 문서에는 음성정보나 영상정보 등이 수록되거나 연계된 바코드 등을 표기할 수 있다.
- ④ 문서에 쓰는 숫자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아라비아 숫자를 쓴다.
- ⑤ 문서에 쓰는 날짜는 숫자로 표기하되, 연·월·일의 글자는 생략하고 그 자리에 온점을 찍어 표시하며, 시·분은 24시각제에 따라 숫자로 표기하되, 시·분의 글자는 생략하고 그 사이에 쌍점을 찍어 구분한다. 다만, 특별한 사유가 있으면 다른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 ⑥ 문서 작성에 사용하는 용지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가로 210밀리미터, 세로 297밀리미터의 직사각형 용지로 한다.
- ⑦ 제1항부터 제6항까지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문서 작성에 필요한 사항은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3.3.23., 2014.11.19.>
- 제8조(문서의 기안) ① 문서의 기안은 전자문서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업무의 성질상 전자문서로 기안하기 곤란하거나 그 밖의 특별한 사정이 있으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 ② 문서의 기안은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하는 기안문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관계 서식이 따로 있는 경우에는 그 내용을 관계 서식에 기입하는 방법으로 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2014.11.19.>
- ③ 둘 이상의 행정기관의 장의 결재가 필요한 문서는 그 문서 처리를 주관하는 행정기관에서 기안하여야 한다.
- ④ 기안문에는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발의자(기안하도록 지시하거나 스스로 기안한 사람을 말한다)와 보고자를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문서에는 발의자와 보고자의 표시를 생략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2014.11.19.>
- 1. 검토나 결정이 필요하지 아니한 문서
- 2. 각종 증명 발급, 회의록, 그 밖의 단순 사실을 기록한 문서
- 3. 일상적·반복적인 업무로서 경미한 사항에 관한 문서
- 제9조(문서의 검토 및 협조) ① 기안문은 결재권자의 결재를 받기 전에 보조기관 또는 보좌기관의 검토를 받아야 한다. 다만, 보조기관 또는 보좌기관이 출장 등의 사유로 검토할 수 없는 등 부득이한 경우에는 검토를 생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검토자의 서명란에 출장 등의 사유를 적어야 한다.
- ② 기안문의 내용이 행정기관 내의 다른 보조기관 또는 보좌기관의 업무와 관련이 있을 때에는 그 보조기관 또는 보좌기관의 협조를 받아야 한다.
- ③ 보조기관 또는 보좌기관이 제1항에 따라 기안문을 검토하는 경우에 그 내용과 다른 의견이 있으면 기안문을 직접 수정하거나 기안문 또는 별지에 그 의견을 표시하여야 한다.
- ④ 보조기관 또는 보좌기관이 제2항에 따라 협조하는 경우에 그 내용과 다른 의견이 있으면 기안문 또는 별지에 그 의견을 표시하여야 한다.
- 제10조(문서의 결재) ① 문서는 해당 행정기관의 장의 결재를 받아야 한다. 다만, 보조기관 또는 보좌기관의 명의로 발신하는 문서는 그 보조기관 또는 보좌기관의 결재를 받아야 한다.
- ② 행정기관의 장은 업무의 내용에 따라 보조기관 또는 보좌기관이나 해당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으로 하여금 위임전결하게 할 수 있으며, 그 위임전결 사항은 해당 기관의 장이 훈령이나 지방자치단체의 규칙으로 정한다.
- ③ 제1항이나 제2항에 따라 결재할 수 있는 사람이 휴가, 출장, 그 밖의 사유로 결재할 수 없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리하는 사람이 대결하고 내용이 중요한 문서는 사후에 보고하여야 한다.
- 제11조(문서의 등록 등) ① 행정기관은 문서를 생산(제6조제1항에 따라 문서가 성립된 경우를 말한다. 이하 같다)하였을 때에는 지체 없이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0조에 따라 생산등록번호(이하 "생산등록번호"라 한다)를 부여하고 등록하여야 한다.
- 제12조(시행문의 작성) ① 결재를 받은 문서 가운데 발신하여야 하는 문서는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하는 시행문으로 작성하여 발신한다. <개정 2013.3.23., 2014.11.19.>
- ② 시행문의 수신자가 여럿인 경우 그 수신자 전체를 함께 표시하여 시행문을 작성·시행할 수 있다. 다만, 수신자의 개인정보 보호 등을 위하여 필요할 때에는 수신자별로 작성·시행하여야 한다.
- 제13조(발신 명의) ① 문서의 발신 명의는 행정기관의 장으로 한다. 다만, 합의제기관의 권한에 속하는 문서의 발신 명의는 그 합의제기관으로 한다.
-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행정기관 내의 보조기관 또는 보좌기관 상호간에 발신하는 문서는 해당 보조기관 또는 보좌기관의 명의로 한다.
- ③ 발신할 필요가 없는 내부결재문서는 발신 명의를 표시하지 아니한다.
- 제14조(관인날인 또는 서명) ① 제13조제1항 본문 또는 단서에 따라 행정기관의 장 또는 합의제기관의 명의로 발신하는 문서의 발신 명의에는 관인(전자이미지관인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을 찍는다. 이 경우 제13조제1항 본문에 따라 행정기관의 장의 명의로 발신하는 문서의 발신 명의에는 행정기관의 장이 관인의 날인(捺印)을 갈음하여 서명(전자문자서명과 행정전자서명은 제외한다)을 할 수도 있다.
- ② 제13조제2항에 따라 행정기관 내의 보조기관 또는 보좌기관 상호 간에 발신하는 문서의 발신 명의에는 보조기관 또는 보좌기관이 서명을 한다.
- ③ 관보나 신문 등에 실리는 문서에는 관인을 찍거나 서명하지 아니하며, 경미한 내용의 문서에는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관인날인 또는 서명을 생략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2014.11.19.>
- ④ 관인을 찍어야 할 문서로서 다수의 수신자에게 동시에 발신 또는 교부하거나 알리는 문서에는 관인의 날인을 갈음하여 관인의 인영을 인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제 규격대로 인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관인의 실제 규격보다 축소하여 인쇄할 수 있다.
- 제15조(문서의 발신) ① 문서는 직접 처리하여야 할 행정기관에 발신한다. 다만, 필요한 경우에는 행정조직상의 계통에 따라 발신한다.
- ② 하급기관이 바로 위 상급기관 외의 상급기관(바로 위 상급기관에 대한 지휘·감독권을 가지는 상급기관을 말한다)에 발신하는 문서 중에서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문서는 그 바로 위 상급기관을 거쳐 발신하여야 한다.
- ③ 상급기관이 바로 아래 하급기관 외의 하급기관(바로 아래 하급기관의 지휘·감독을 받는 하급기관을 말한다)에 발신하는 문서 중에서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문서는 그 바로 아래 하급기관을 거쳐서 발신하여야 한다.
- ④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문서를 생산한 처리과의 장의 승인을 받아 이미 발신한 문서의 수신자를 변경하거나 추가하여 다시 발신할 수 있다.
- 1. 결재권자나 해당 문서를 생산한 처리과의 장의 지시가 있는 경우
- 2. 수신자의 명칭이 변경된 경우
- 3. 착오로 인하여 수신자를 누락하였거나 잘못 지정한 경우
- 4. 해당 업무와 관련된 기관의 요청이 있는 경우
- 제16조(문서의 발신방법 등) ① 문서는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발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업무의 성질상 제1항에 따른 발신방법이 적절하지 아니하거나 그 밖의 특별한 사정이 있으면 우편·팩스 등의 방법으로 문서를 발신할 수 있으며, 내용이 중요한 문서는 등기우편이나 그 밖에 발신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특수한 방법으로 발신하여야 한다.
- ③ 행정기관이 아닌 자에게는 행정기관의 홈페이지나 행정기관이 공무원에게 부여한 전자우편주소를 이용하여 문서를 발신할 수 있다.
- ④ 행정기관의 장은 문서를 수신·발신하는 경우에 문서의 보안 유지와 위조, 변조, 분실, 훼손 및 도난 방지를 위한 적절한 조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 ⑤ 결재권자는 비밀사항이거나 누설되면 국가안전보장, 질서유지, 경제안정, 그 밖의 국가이익을 해칠 우려가 있는 내용의 문서를 결재할 때에는 그 문서 내용의 암호화 등 보안 유지가 가능한 발신방법을 지정하여야 한다.
- 제17조(결재받은 문서의 수정) 결재를 받은 문서의 일부분을 삭제하거나 수정할 때에는 재작성하여 결재를 받아야 한다. 다만, 종이문서의 경우로서 삭제하거나 수정하려는 사항이 명백한 오류의 정정 등 경미한 사항인 경우에는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삭제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2014.11.19.>
- 제18조(문서의 접수·처리) ① 문서는 처리과에서 접수하여야 하며, 접수한 문서에는 접수일시와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0조에 따른 접수등록번호(이하 "접수등록번호"라 한다)를 전자적으로 표시하되, 종이문서인 경우에는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하는 접수인을 찍고 접수일시와 접수등록번호를 적는다. <개정 2013.3.23., 2014.11.19.>
-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문서과에서 받은 문서는 문서과에서 접수일시를 전자적으로 표시하거나 적고 지체 없이 처리과에 배부하여야 한다. 이 경우 처리과는 배부받은 문서에 접수등록번호를 표시하거나 적는다.
- ③ 행정기관은 문서의 접수 및 배부 경로에 관한 정보를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0조에 따른 등록정보로 관리하여야 한다.
- ④ 처리과에서 문서 수신·발신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은 접수한 문서를 처리담당자에게 인계하여야 하고, 처리담당자는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하는 문서인 경우에는 공람할 자의 범위를 정하여 그 문서를 공람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문서를 공람하였다는 기록이 업무관리시스템 또는 전자문서시스템 상에서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13.3.23., 2014.11.19.>
- ⑤ 제4항에 따라 공람을 하는 결재권자는 문서의 처리기한과 처리방법을 지시할 수 있으며, 필요하면 조직 관계 법령 또는 제60조에 따라 업무분장된 담당자 외에 그 문서의 처리담당자를 따로 지정할 수 있다.
- ⑥ 행정기관의 홈페이지나 행정기관이 부여한 공무원의 전자우편주소 등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행정기관이 아닌 자로부터 받은 문서는 제1항부터 제5항까지의 규정에 따라 처리한다. 이 경우 해당 문서에 대한 위조·변조 방지 조치 등으로 인하여 접수일시와 접수등록번호를 표시할 수 없으면 그 문서에 표시하지 아니할 수 있고 발신자의 주소와 성명 등이 불분명할 때에는 접수하지 아니할 수 있다.
- 제19조(문서의 쪽 번호 등 표시) 2장 이상으로 이루어진 문서가 제1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2호 각 목의 구분에 따라 쪽 번호 또는 발급번호를 표시하거나 간인(間印) 등을 하여야 한다. <개정 2013.3.23., 2014.11.19.>
- 1. 대상 문서
- 가. 문서의 순서 또는 연결 관계를 명백히 할 필요가 있는 문서
- 나. 사실관계나 법률관계의 증명에 관계되는 문서
- 다. 허가, 인가 및 등록 등에 관계되는 문서
- 2. 표시 방법
- 가. 전자문서인 경우: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전자적 방법으로 쪽 번호 또는 발급번호를 표시한다.
- 나. 종이문서인 경우: 관인 관리자가 관인을 이용하여 간인한다. 다만, 민원서류나 그 밖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종이문서에는 간인을 갈음하여 천공(穿孔)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 1. 대상 문서
- 제20조(외국어로 된 문서 등에 대한 특례) 외국어로 된 문서에는 제7조, 제13조, 제14조, 제17조 및 제19조를 적용하지 아니할 수 있고, 법규문서 중에서 법률에 관한 문서는 이 영의 적용을 받지 아니하는 기관에서 다른 관행이 있는 경우에는 그 관행에 따를 수 있다.
제2절 업무관리시스템의 구축·운영
편집- 제21조(업무관리시스템) ① 행정기관의 장은 업무처리의 모든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업무관리시스템을 구축·운영하여야 한다. 다만, 업무의 성질상 업무관리시스템의 구축·운영이 곤란하거나 그 밖의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②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또는 지방교육행정기관의 장은 제1항 본문에 따라 업무관리시스템을 구축·운영하는 경우에 그 소속기관 등을 포함하여 구축·운영할 수 있다.
- ③ 행정자치부장관은 제1항과 제2항에 따른 업무관리시스템의 구축·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시행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2014.11.19.>
- 제22조(업무관리시스템의 구성 및 운영) ① 업무관리시스템에는 행정기관 업무의 기능별 단위 과제의 담당자·내용·추진실적 등을 기록·관리하기 위한 카드(이하 "과제관리카드"라 한다)와 문서의 작성·검토·결재·등록·공개·공유 등 문서처리의 모든 과정을 기록·관리하는 카드(이하 "문서관리카드"라 한다)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 경우 문서관리카드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개정 2014.2.18.>
- 1. 기안 내용
- 2. 의사결정 과정에서 제기된 의견, 수정 내용과 지시 사항
- 3. 의사결정 내용
- ② 제1항과 제2항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업무관리시스템의 구성 및 운영 등에 필요한 세부사항은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3.3.23., 2014.11.19.>
- 제23조(업무관리시스템 등과 행정정보시스템 간의 연계·운영) ① 행정기관의 장은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하여 업무관리시스템 또는 전자문서시스템을 기능분류시스템(행정기관의 업무를 기능별로 분류하고 관련 행정정보를 연계하여 전자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하 같다) 등 행정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다만, 업무의 성질상 연계하여 운영하는 것이 적합하지 아니하거나 그 밖의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② 행정기관의 장은 업무관리시스템으로 관리한 업무실적 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 제24조(업무관리시스템 등의 표준 고시) ① 행정자치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표준을 정하여야 한다. 다만,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한국산업표준이 제정되어 있는 사항은 그 표준을 따른다. <개정 2013.3.23., 2014.11.19.>
- 1. 업무관리시스템의 규격에 관한 표준과 업무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전자문서 등의 유통에 관한 표준
- 2. 전자문서시스템의 규격에 관한 표준과 전자문서시스템을 이용한 전자문서 등의 유통에 관한 표준
- 3. 업무관리시스템 또는 전자문서시스템과 행정정보시스템 간 연계를 위한 표준
- ② 행정자치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규격·유통 및 연계에 관한 표준을 정하였으면 그 내용을 관보에 고시하고 인터넷에 게시하여야 한다. 그 표준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개정 2013.3.23., 2014.11.19.>
- ③ 행정기관의 장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제2항에 따라 고시된 표준과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제39조에 따른 표준에 적합한 업무관리시스템이나 전자문서시스템을 구축·운영하여야 한다.
- 제25조(정부전자문서유통지원센터) ① 행정자치부장관은 전자문서의 원활한 유통을 지원하기 위하여 행정자치부에 정부전자문서유통지원센터(이하 이 조에서 "센터"라 한다)를 둔다. <개정 2013.3.23., 2014.11.19.>
- ② 센터는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한다.
- 1. 전자문서의 원활한 유통을 위한 지원과 유통 및 연계에 관한 표준 등의 운영
- 2. 전자문서의 효율적인 유통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 3. 전자문서의 유통 시 발생하는 장애를 복구하기 위한 지원
- 4. 유통되는 전자문서의 위조·변조·훼손 또는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대책 마련
- ③ 제1항 및 제2항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센터의 운영에 필요한 세부 사항은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3.3.23., 2014.11.19.>
제3절 서식의 제정 및 활용
편집- 제26조(서식의 제정) 행정기관에서 장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문서로서 정형화할 수 있는 문서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서식으로 정하여 사용한다.
- 제27조(서식 제정 방법) ① 다음 각 호의 서식은 법령으로 정하여야 한다. 다만, 법령에서 고시 등으로 정하도록 한 경우와 그 밖의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고시·훈령·예규 등으로 정할 수 있다.
- 1. 국민의 권리·의무와 직접 관련되는 사항을 기재사항으로 정하는 서식
- 2. 인가, 허가, 승인 등 민원에 관계되는 서식
- 3. 행정기관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서식 중 중요한 서식
- ② 제1항에 따른 서식 외의 서식은 고시·훈령·예규 등으로 정할 수 있다.
- 제28조(서식 설계의 일반 원칙) ① 서식은 글씨의 크기, 항목 간의 간격, 적어 넣을 칸의 크기 등을 균형 있게 조절하여 서식에 적을 사항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② 서식에는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하고, 불필요하거나 활용도가 낮은 항목을 넣어서는 아니 된다.
- ③ 서식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별도의 기안문과 시행문을 작성하지 아니하고 그 서식 자체를 기안문과 시행문으로 갈음할 수 있도록 생산등록번호·접수등록번호·수신자·시행일 및 접수일 등의 항목을 넣어야 한다.
- ④ 법령에서 서식에 날인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지 아니하면 서명이나 날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⑤ 서식에는 가능하면 행정기관의 로고·상징·마크·홍보문구 등을 표시하여 행정기관의 이미지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⑥ 민원서식에는 민원인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그 민원업무의 처리흐름도, 처리기간, 전자적 처리가 가능한지 등을 표시하여야 하며, 음성정보나 영상정보 등을 수록하거나 연계한 바코드 등을 표기할 수 있다.
- ⑦ 서식에는 용지의 규격과 지질을 표시하여야 한다.
- ⑧ 제1항부터 제7항까지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서식 설계에 관한 세부 기준은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3.3.23., 2014.11.19.>
- 제29조(서식의 승인 등) ① 중앙행정기관이 제27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 따라 법령으로 서식을 제정하거나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제28조에 따라 설계하여야 한다. 이 경우 서식을 제정하려는 경우에는 행정자치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서식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해당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제28조에 따른 원칙과 기준에 따라 자체심사를 하여야 한다. <개정 2013.3.23., 2014.11.19., 2015.8.3.>
- ② 중앙행정기관의 소속기관이 서식을 정하거나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제28조에 따라 설계하여 소속 중앙행정기관의 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 ③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승인된 서식을 업무관리시스템, 행정정보시스템 등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서식의 주요 내용을 변경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기재항목 또는 형식 등을 변경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단순히 자구, 활자크기, 용지의 지질 등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항 및 제2항에도 불구하고 사후통보로 승인을 갈음할 수 있다.
- ④ 서식을 제정한 기관은 그 서식을 폐지하였을 때에는 지체 없이 그 서식을 승인한 기관에 그 사실을 통보하여야 한다.
- ⑤ 제27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 따른 서식 외에 지방자치단체의 장이나 지방교육행정기관의 장은 소관 업무의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서식을 제28조에 따라 정할 수 있다.
- 제30조(서식 승인의 신청) ① 중앙행정기관은 해당 법령의 입법예고와 동시에 제29조제1항에 따른 서식 승인의 신청을 하여야 한다.
- ② 둘 이상 기관의 업무에 관계되는 서식은 관계 기관 간의 사전 협의를 거쳐 승인을 신청하여야 한다.
- 제31조(서식의 제공) 행정기관의 장은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소관 업무와 관련된 서식을 제공하여 국민이 편리하게 그 서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 제32조(서식에 해당 국가 언어의 병기 등) 재외공관의 장은 재외공관에서 사용하는 서식에 그 국가의 언어를 병기(倂記)하여 사용하게 하거나 그 국가의 언어로 번역한 서식을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제4절 관인의 관리
편집- 제33조(관인의 종류 및 비치) ① 관인은 행정기관의 명의로 발신하거나 교부하는 문서에 사용하는 청인(廳印)과 행정기관의 장이나 보조기관의 명의로 발신하거나 교부하는 문서에 사용하는 직인(職印)으로 구분한다.
- ② 각급 행정기관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관인을 가진다.
- ③ 각급 행정기관은 전자문서에 사용하기 위하여 전자이미지관인을 가진다.
- 제34조(특수 관인) ① 행정기관의 장은 유가증권 등 특수한 증표 발행, 민원업무 또는 재무에 관한 업무 등 특수한 업무 처리에 사용하는 관인을 따로 가질 수 있다.
- ② 세입징수관, 지출관, 회계 등 재무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의 직인은 기획재정부장관이, 국립의 각급 학교에서 사용하는 관인은 교육부장관이, 외교부와 재외공관에서 외교문서에 사용하는 관인은 외교부장관이, 검찰기관에서 사용하는 관인은 법무부장관이, 군 기관에서 사용하는 관인은 국방부장관이 각각 그 규격과 등록 등 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정한다. <개정 2013.3.23.>
- 제35조(규격) 관인의 모양은 별표의 규격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행정기관의 장이 정한다.
- 제36조(등록) ① 행정기관은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관인의 인영을 그 행정기관의 관인대장에 등록하여야 하며, 전자이미지관인의 인영은 그 행정기관의 전자이미지관인대장에 등록하여야 한다. 다만, 부득이한 경우에는 그 행정기관의 바로 위 상급기관에 등록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2014.11.19.>
- ② 행정기관은 제1항에 따라 등록하지 아니한 관인을 사용할 수 없다.
- ③ 행정기관의 장은 관인을 위조·변조하거나 부정하게 사용하지 못하도록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 제37조(재등록 및 폐기) ① 행정기관이 분실, 마멸, 그 밖의 사유로 관인을 갱신할 때에는 제36조에 따라 등록한 행정기관에 갱신한 관인을 등록(이하 "재등록"이라 한다)하여야 한다.
- ② 행정기관이 관인을 폐기할 때에는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관인대장에 관인 폐기일과 폐기 사유 등을 적고, 그 관인을 제39조에 따른 관인폐기 공고문과 함께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 이관하여야 한다. 이 경우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은 폐기된 관인이 사용되거나 유출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13.3.23., 2014.11.19.>
- ③ 전자이미지관인을 사용하는 기관은 관인을 폐기하거나 재등록한 경우 즉시 사용 중인 전자이미지관인을 삭제하고, 재등록한 관인의 인영을 전자이미지관인으로 재등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 ④ 전자이미지관인을 사용하는 기관은 사용 중인 전자이미지관인의 인영의 원형이 제대로 표시되지 아니하는 경우 전자이미지관인을 재등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 ⑤ 제3항과 제4항에 따라 전자이미지관인을 폐기하거나 재등록하는 경우 전자이미지관인대장에 그 사유를 적어야 한다.
- 제38조(전자이미지관인의 제출 및 관리) ① 둘 이상의 행정기관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행정정보시스템을 구축·운영하는 행정기관의 장(이하 이 조에서 "행정정보시스템 운영기관장"이라 한다)은 그 행정정보시스템에 전자이미지관인을 전자입력하기 위하여 그 행정정보시스템을 사용하는 행정기관의 장에게 전자이미지관인을 제출하게 할 수 있다.
- ② 제1항에 따라 전자이미지관인을 제출한 행정기관의 장은 제37조에 따라 전자이미지관인을 재등록하거나 폐기하려는 경우에는 그 사실을 지체 없이 행정정보시스템 운영기관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 ③ 제37조에 따라 전자이미지관인을 재등록하거나 폐기한 행정기관의 장은 공동으로 사용하는 행정정보시스템에 재등록한 전자이미지관인을 전자입력하거나 폐기한 전자이미지관인을 삭제하여야 한다. 다만, 직접 전자이미지관인을 전자입력하거나 삭제할 수 없는 경우에는 행정정보시스템 운영기관장이 제37조에 따라 재등록된 전자이미지관인을 제출받아 전자입력하거나 폐기된 전자이미지관인을 삭제할 수 있다.
- 제39조(공고) 제36조에 따른 등록기관은 관인을 등록 또는 재등록하거나 폐기하였을 때에는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사실을 관보에 공고하여야 한다. <개정 2013.3.23., 2014.11.19.>
- 제40조(공인) 지방자치단체의 기관에서 사용하는 공인(公印)에 관하여는 이 절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그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른다.
제3장 행정업무의 효율적 수행
편집제1절 행정협업의 촉진 <개정 2016.4.26.>
편집- 제41조(행정협업의 촉진) ① 행정기관의 장은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행정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른 행정기관과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해당 행정기관 상호간의 기능을 연계하거나 시설·장비 및 정보 등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방식의 행정기관 간 협업(이하 "행정협업"이라 한다)을 촉진하고 이에 적합한 업무과제(이하 "행정협업과제"라 한다)를 발굴하여야 한다. 이 경우 행정기관의 장은 발굴한 행정협업과제 수행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개정 2016.4.26.>
- ② 행정협업과제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업무를 대상으로 한다. <신설 2016.4.26.>
- 1. 다수의 행정기관이 공동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는 업무
- 2. 다른 행정기관의 행정지원을 필요로 하는 업무
- 3. 법령에 따라 다른 행정기관의 인가·승인 등을 거쳐야 하는 업무
- 4. 행정기관 간 행정정보의 공유 또는 제46조의4에 따른 행정정보시스템의 상호 연계나 통합이 필요한 업무
- 5. 그 밖에 다른 행정기관의 협의·동의 및 의견조회 등이 필요한 업무
- ③ 행정자치부장관은 행정협업을 촉진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시행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2014.11.19., 2016.4.26.>
- ④ 행정자치부장관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국무조정실장에게 행정협업의 촉진에 필요한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신설 2016.4.26.>
- [제목개정 2016.4.26.]
- [제44조에서 이동, 종전 제41조는 삭제 <2016.4.26.>]
- 제42조(행정협업과제의 등록 ① 행정기관의 장은 제41조제1항 전단에 따라 발굴한 과제를 행정자치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제46조의2에 따른 행정협업시스템에 등록·관리하여야 한다. 이 경우 행정기관의 장은 등록하려는 행정협업과제를 공동으로 수행할 관련 행정기관의 장과 사전에 협의하여야 하며, 협의를 요청받은 행정기관의 장은 협조하여야 한다.
- ② 행정기관의 장은 제1항에 따라 행정협업과제를 행정협업시스템에 등록하려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하여 등록하여야 한다.
- 1. 행정협업과제의 주관부서 및 과제담당자와 협업부서 및 담당자
- 2. 행정협업과제와 관련된 다른 행정기관의 단위과제
- 3. 행정협업과제의 이력, 내용 및 취지
- 4. 그 밖에 행정자치부장관이 정하는 사항
- [본조신설 2016.4.26.]
- [종전 제42조는 제46조의2로 이동 <2016.4.26.>]
- 제43조(행정협업과제의 추가 발굴 등) ① 행정자치부장관은 행정협업을 촉진하기 위하여 제41조제1항 전단에 따라 행정기관의 장이 발굴한 행정협업과제 외의 행정협업과제를 추가로 발굴할 수 있다.
- ② 행정자치부장관은 제1항에 따라 행정협업과제를 추가로 발굴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행정기관, 국민, 공공기관, 민간 기업 또는 단체 등을 대상으로 다음 각 호의 사항과 관련된 행정협업의 수요, 현황 및 애로사항 등을 조사할 수 있다.
- 1. 목표달성을 위하여 다수의 행정기관이 함께 협력할 필요가 있고 구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행정기관이 필요한 정책 또는 사업
- 2. 행정기관 간 협력을 통하여 비용 또는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정책 또는 사업
- 3. 행정기관 간 이해상충 가능성이 높아 이견에 대한 협의·조정이 필요한 정책 또는 사업
- 4. 그 밖에 관련 행정기관과의 협의 결과 행정협업과제 발굴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③ 행정자치부장관은 제2항에 따른 조사의 전문성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행정자치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관련 학회 등 연구단체, 전문기관 또는 민간 기업에 제1항 각 호의 사항의 전부 또는 일부에 관한 조사를 의뢰할 수 있다.
- ④ 행정자치부장관은 제2항에 따른 조사 결과로 발굴된 행정협업과제를 관련 행정기관과의 협의를 통하여 확정한다.
- ⑤ 행정자치부장관은 제4항에 따라 확정된 행정협업과제를 제46조의2에 따른 행정협업시스템에 등록·관리하여야 한다.
- ⑥ 제5항에 따른 행정협업과제의 등록 사항에 관하여는 제42조제2항을 준용한다.
- [본조신설 2016.4.26.]
- [종전 제43조는 제46조의3으로 이동 <2016.4.26.>]
제2절 삭제 <2016.4.26.>
편집- 제44조(행정협업과제의 점검·관리 및 지원) ① 행정협업과제를 수행하는 행정기관은 관련 행정기관과 협조하여 그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하여야 한다. <개정 2016.4.26.>
- ② 행정기관의 장은 그 행정기관의 행정협업과제의 수행 성과를 평가·분석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개정 2016.4.26.>
- ③ 행정자치부장관은 필요하다고 인정하거나 관련 행정기관이 요청한 경우에는 행정협업과제의 수행에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개정 2016.4.26.>
- ④ 행정자치부장관은 행정협업과제의 발굴 및 수행 과정에서 관련 행정기관 간 이견이 발생하는 경우 제46조제1항에 따라 임명된 관련 행정기관의 협업책임관 간의 회의 등을 통하여 원활한 협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신설 2016.4.26.>
- [제목개정 2016.4.26.]
- [제46조에서 이동, 종전 제44조는 제41조로 이동 <2016.4.26.>]
- 제44조의2
- [제44조의2는 제46조의4로 이동 <2016.4.26.>]
- 제44조의3
- [제44조의3은 제46조의5로 이동 <2016.4.26.>]
- 제45조(협의체 구성 및 업무협약 체결) 행정기관은 행정협업과제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관련 행정기관과 협의체를 구성하거나 행정협업과제의 목적, 협력 범위 및 기능 분담 등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할 수 있다. <개정 2016.4.26.>
- 제46조(협업책임관) ① 행정기관의 장은 소속 기획조정실장 또는 이에 준하는 직위의 공무원을 해당 행정기관의 행정협업에 관한 업무를 총괄하는 책임관(이하 "협업책임관"이라 한다)으로 임명하여야 한다.
- ② 협업책임관의 업무는 다음 각 호와 같다.
- 1. 해당 행정기관의 행정협업 과제 발굴 및 수행의 총괄
- 2. 해당 행정기관의 행정정보시스템의 다른 행정기관과의 연계 및 효율적 운영에 관한 총괄 관리
- 3. 해당 행정기관의 행정협업 촉진을 위한 행정업무 절차, 관련 제도 등의 정비·개선
- 4. 해당 행정기관의 행정협업과제 수행과 관련된 다른 행정기관과의 협의·조정
- 5. 그 밖에 행정협업의 촉진을 위하여 필요한 업무
- ③ 행정기관의 장은 제1항에 따라 협업책임관을 임명한 경우에는 행정자치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사실을 제46조의2에 따른 행정협업시스템에 등록하여야 한다.
- [본조신설 2016.4.26.]
- [종전 제46조는 제44조로 이동 <2016.4.26.>]
- 제46조의2(행정협업시스템의 구축·운영) ① 행정자치부장관은 행정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실시간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공동작업 및 실적관리가 필요한 업무를 등록·관리할 수 있는 전자적 협업지원시스템(이하 "행정협업시스템"이라 한다)을 구축하여야 한다. <개정 2014.2.18., 2014.11.19., 2016.4.26.>
- ② 행정기관의 장은 행정협업시스템을 이용하여 행정협업을 수행하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행정협업시스템을 이용하여 행정협업을 요청하거나 요청받은 행정기관은 관련문서 등을 행정협업시스템을 통하여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업무의 성질상 행정협업시스템을 통하여 공동으로 이용하는 것이 곤란하거나 그 밖의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6.4.26.>
- ③ 제1항 및 제2항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행정협업시스템의 구축·운영 등에 필요한 세부 사항은 행정자치부장관이 정한다. <개정 2013.3.23., 2014.11.19., 2016.4.26.>
- [제목개정 2016.4.26.]
- [제42조에서 이동 <2016.4.26.>]
- 제46조의3(행정협업시스템의 활용 촉진) ①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 업무 중 행정협업시스템을 이용하여 업무를 수행한 실적 등 행정협업시스템 활용 실태를 평가·분석하고 그 활용을 촉진하여야 한다. <개정 2016.4.26.>
- ② 행정자치부장관은 각급 행정기관의 행정협업시스템 활용 실태를 점검·평가하고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2014.11.19., 2016.4.26.>
- [제목개정 2016.4.26.]
- [제43조에서 이동 <2016.4.26.>]
- 제46조의4(행정정보시스템의 상호 연계 및 통합) ① 행정협업과제를 수행하는 행정기관의 장은 행정협업과제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행정기관 간 행정정보시스템의 상호 연계나 통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개정 2016.4.26.>
- ② 행정자치부장관은 행정협업과제의 수행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거나 관련 행정기관의 지원 요청이 있는 경우 행정정보시스템의 연계·통합에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개정 2014.11.19., 2016.4.26.>
- [본조신설 2014.2.18.]
- [제44조의2에서 이동 <2016.4.26.>]
- 제46조의5(행정협업조직의 설치) ① 행정기관의 장은 다수의 행정기관이 수행하는 사무의 목적, 대상 또는 관할구역 등이 유사하거나 연관성이 높은 경우에는 관련 기능, 업무처리절차 및 정보시스템 등을 연계·통합하거나 시설·인력 등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등 협력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조직(이하 "행정협업조직"이라 한다)을 설치·운영할 수 있다. <개정 2016.4.26.>
- ② 제1항에 따라 행정협업조직 설치·운영에 참여하는 관계 행정기관의 장은 해당 행정협업조직의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공동운영규정을 제정할 수 있다. <개정 2016.4.26.>
- [본조신설 2015.8.3.]
- [제목개정 2016.4.26.]
- [제44조의3에서 이동 <2016.4.26.>]
- 제46조의6(행정협업 관련 시설 등의 확보) ① 행정기관의 장은 행정협업의 효율적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공동시설·공간·설비 등을 마련하여 다른 행정기관에 제공할 수 있다.
- ② 행정자치부장관은 「전자정부법」 제32조에 따라 전자적 행정업무 수행을 위하여 정부가 설치한 시설이 행정협업 관련 시설로 활용되거나 연계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 [본조신설 2016.4.26.]
- 제46조의7(행정협업문화의 조성 및 국제협력 등) ① 행정자치부장관은 행정협업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행정협업문화를 조성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 1. 행정협업 우수사례의 발굴·포상 및 홍보
- 2. 행정협업 활성화를 위한 자문 등 전문인력 및 기술지원
- 3. 행정협업 활성화를 위한 포럼 및 세미나 개최
- 4. 행정협업 활성화를 위한 교육콘텐츠의 개발·보급
- 5. 행정협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연구 및 제도개선 사업
- 6. 그 밖에 행정협업의 활성화에 필요한 사업
- ② 행정자치부장관은 행정협업의 참고사례 발굴 및 우수사례의 전파, 전문인력의 양성 및 교류, 관련 전문기술의 확보 등을 위하여 국제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 [본조신설 2016.4.26.]
- 제46조의8(행정협업우수기관 포상 및 홍보 등) ① 행정자치부장관은 행정협업성과가 우수한 행정기관을 선정하여 포상 또는 홍보할 수 있다.
- ② 행정기관의 장은 행정협업에 이바지한 공로가 뚜렷한 공무원 등을 포상하고 인사상 우대조치 등을 할 수 있다.
- [본조신설 2016.4.26.]
제3절 지식행정의 활성화
편집- 제47조(행정기관의 지식행정 활성화) ① 행정기관의 장은 해당 기관의 행정정보(「전자정부법」 제2조제6호에 따른 행정정보를 말한다), 행정업무 수행의 경험 및 업무에 관한 지식(이하 "행정지식"이라 한다)의 공동이용 등을 통하여 정책과 행정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방식의 행정(이하 "지식행정"이라 한다)을 활성화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개정 2014.2.18.>
- ②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지방교육행정기관의 장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하는 지식행정활성화계획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다만, 「전자정부법 시행령」 제35조제1항에 따른 행정지식관리시스템(이하 "행정지식관리시스템"이라 한다)을 구축·운영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4호의 사항은 제외할 수 있다. <개정 2016.4.26.>
- 1. 지식행정의 목표 및 활용 전략
- 2. 지식행정 담당자의 지정
- 2의2. 연구모임에 관한 사항
- 2의3. 지식정보의 수집·관리·활용 방안
- 3. 지식행정 활성화를 위한 평가·보상 방안
- 4. 행정지식관리시스템의 관리자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사항
- 5. 그 밖에 지식행정 활성화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
- ③ 행정기관의 장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전자문서시스템, 업무관리시스템, 행정지식관리시스템 등 각종 행정정보시스템과 「전자정부법 시행령」 제35조제3항에 따라 행정자치부장관이 구축·운영하는 행정지식의 공동 활용을 위한 시스템(이하 "정부통합지식행정시스템"이라 한다)을 연계하여 행정지식이 범정부적으로 활용·관리되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13.3.23., 2014.2.18., 2014.11.19.>
- 제48조(정부지식행정활성화계획) 행정자치부장관은 행정기관의 지식행정 활성화를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하는 정부지식행정활성화계획을 수립·시행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2014.11.19.>
- 1. 정부 지식행정 활성화 추진 전략
- 2. 행정지식관리시스템과 정부통합지식행정시스템의 운영 및 활용 실태의 점검·평가에 관한 사항
- 3. 지식행정 우수사례 발굴·포상에 관한 사항
- 4. 분야별 전문가가 질의에 답변하는 운영방식 등 전문지식 활용 촉진에 관한 사항
- 5. 그 밖에 정부 지식행정 활성화를 위하여 필요한 지원 등에 관한 사항
제4절 정책연구의 관리
편집- 제49조(정책연구) 중앙행정기관(그 소속기관을 포함한다. 이하 이 절에서 같다)의 장은 정책의 개발 또는 주요 정책현안에 대한 조사·연구 등을 목적으로 정책연구를 수행할 자(이하 "연구자"라 한다)와의 계약을 통하여 정책연구를 하게 할 수 있다.
- 제50조(정책연구심의위원회 설치) ①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제49조에 따른 계약을 통한 정책연구(이하 "정책연구"라 한다)에 관한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정책연구심의위원회(이하 이 절에서 "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 1. 연구과제와 연구자의 선정에 관한 사항
- 2. 연구결과의 평가에 관한 사항
- 3. 연구결과의 활용상황 점검 및 공개 등에 관한 사항
- 4. 그 밖에 정책연구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
- ② 위원회는 위원회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하면 소위원회를 둘 수 있으며, 제1항 각 호의 사항 중에서 연구과제의 선정을 제외한 사항에 대한 심의를 소위원회에 위임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원회는 소위원회의 심의 내용을 확인·점검할 수 있다.
- ③ 위원회나 소위원회의 위원은 본인 또는 본인의 배우자, 4촌 이내의 혈족, 2촌 이내의 인척 또는 그 사람이 속한 기관·단체와의 정책연구 계약에 관한 사항의 심의·의결에 관여하지 못한다.
- ④ 제1항부터 제3항까지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위원회와 소위원회의 구성·운영 등에 필요한 사항은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3.3.23., 2014.11.19.>
- 제51조(연구과제와 연구자의 선정) ①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공정하고 투명하게 정책연구가 이루어지도록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연구과제를 선정하여야 하며 연구과제별로 담당부서의 과장급 공무원을 과제담당관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아니한다.
- 1. 제2항 각 호에 따라 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아니하고 연구자를 선정하여 정책연구를 하는 경우 중 긴급하게 정책연구를 할 필요가 있어 연구과제를 선정하는 경우
- 2. 예산의 편성에 따라 특정 사업 수행의 일부로 정책연구 사업이 정해진 경우로서 그 사업을 주관하는 부서의 장이 그 사업의 내용에 따라 연구과제를 선정하는 경우
- ②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계약의 방법으로 연구자를 선정하되, 같은 법에 따라 계약상대자를 결정하기 전에 연구자 선정에 관하여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아니한다.
- 1.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제7조 본문에 따른 일반경쟁 방식으로 연구자를 선정하는 경우
- 2.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3조에 따른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를 하는 경우
- 3.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43조제1항에 따라 제안서를 제출받아 평가하는 경우
- 제52조(연구결과의 평가 및 활용)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정책연구가 종료된 후 그 정책연구결과를 평가하여야 하며, 정책연구 종료일부터 6개월 이내에 정책연구결과 활용상황을 점검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정책연구결과 평가 및 활용상황 점검에 관한 사항은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 제53조(정책연구관리시스템의 구축·운영) 행정자치부장관은 중앙행정기관이 전자적으로 정책연구과정을 관리하고 정책연구결과를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정책연구관리시스템을 구축·운영하여야 한다. <개정 2013.3.23., 2014.11.19.>
- 제54조(정책연구의 공개) ①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그 공개가 가능한 때에 지체 없이 정책연구관리시스템을 통하여 공개하여야 한다. <개정 2014.2.18.>
- 1. 정책연구의 계약 체결 내용
- 2. 정책연구결과 및 그 평가 결과
- 3. 정책연구결과 활용상황
- 4. 그 밖에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정책연구에 관한 사항
- ②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정책연구가 종료된 후 제1항제2호에 따른 정책연구결과를 정책연구관리시스템을 통하여 공개하여야 한다. <신설 2014.2.18.>
- ③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9조에 따른 비공개 대상 정보에 대해서는 제1항 및 제2항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신설 2014.2.18.>
- 제55조(기관별 성과점검 등 관리) ①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매년 기관의 정책연구 추진과정, 연구결과의 공개 및 활용상황 등을 점검하여야 한다.
- ② 행정자치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기관별 점검사항을 종합하여 정책연구의 성과를 점검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2014.11.19.>
- ③ 행정자치부장관은 제2항에 따른 종합점검 결과를 해당 중앙행정기관의 장, 기획재정부장관 및 감사원장에게 통보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2014.11.19.>
- ④ 기획재정부장관은 제3항에 따라 행정자치부장관으로부터 통보받은 점검결과를 다음 해 예산을 편성할 때에 반영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2014.11.19.>
- 제56조(다른 법령에 따라 관리되는 정책연구 등) 중앙행정기관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연구 또는 조사를 하는 경우에는 이 절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개정 2012.1.20., 2013.3.23., 2014.11.19.>
제5절 영상회의의 운영
편집- 제57조(정부영상회의실의 설치·운영) ① 행정기관의 장은 다음 각 호의 회의를 개최하기 위하여 영상회의실을 설치·운영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2014.2.18.>
- 1. 국무회의 및 차관회의
- 2. 장관·차관이 참석하는 회의
- 3. 둘 이상의 정부청사에 위치한 기관 간에 개최하는 회의
- 4. 정부청사에 위치한 기관과 지방자치단체 간에 개최하는 회의
- 5. 그 밖에 원격지(遠隔地)에 위치한 기관 간 회의
- ② 행정자치부장관은 제1항 각 호의 회의를 개최하기 위하여 정부영상회의실을 설치·운영하거나 행정기관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영상회의실을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행정자치부장관은 원활한 공동사용을 위하여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 <개정 2014.2.18., 2014.11.19.>
- ③ 행정자치부장관이 제2항에 따라 지정한 영상회의실을 운영하는 행정기관의 장은 다른 기관이 영상회의실 사용을 요청하면 적극 협조하여야 한다. <개정 2014.2.18., 2014.11.19.>
- ④ 제1항부터 제3항까지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영상회의실 및 정부영상회의실의 설치·운영, 지정 등에 필요한 사항은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4.2.18., 2014.11.19.>
- ⑤ 삭제 <2014.2.18.>
- [제목개정 2014.2.18.]
- 제58조(영상회의시스템의 구축 및 연계·운영) ① 행정기관의 장은 영상회의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에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행정자치부장관이 정하는 기술규격에 적합하도록 하여 다른 행정기관 등의 영상회의시스템과 연계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개정 2013.3.23., 2014.2.18., 2014.11.19.>
- ② 행정자치부장관은 영상회의실의 연계를 원활히 하고, 이용 편의를 높이기 위하여 공통기반 및 통합 이용 시스템을 구축·운영할 수 있다. <신설 2014.2.18., 2014.11.19.>
- 제59조(영상회의시스템 활용 촉진) ① 행정기관의 장은 원격지에 위치한 기관 간에 회의를 개최하는 경우 영상회의를 우선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 ② 행정자치부장관은 영상회의를 활용하여야 하는 주요 회의와 이용 목표를 정하여 행정기관의 장에게 영상회의를 적극 활용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행정기관의 장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요청에 따라야 한다. <개정 2014.11.19.>
- ③ 행정자치부장관은 행정기관의 영상회의 활용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평가할 수 있다. <개정 2014.11.19.>
- ④ 행정기관의 장은 해당 기관의 영상회의를 총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영상회의 책임관과 영상회의 전담부서를 지정하여야 한다.
- ⑤ 영상회의 책임관은 해당 기관의 영상회의 현황 및 영상회의 실적관리, 영상회의 활성화 계획의 수립·이행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 ⑥ 행정자치부장관은 행정기관의 영상회의 활성화를 위하여 영상회의 이용 홍보 및 교육, 영상회의 책임관 회의 개최, 행정기관별 영상회의 활용 우수사례 발굴·공유 및 우수기관 포상 등을 할 수 있다. <개정 2014.11.19.>
- [전문개정 2014.2.18.]
제4장 행정업무의 관리
편집- 제60조(업무의 분장) 각 처리과의 장은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책임소재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소관 업무를 단위업무별로 분장하되, 소속 공무원 간의 업무량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제61조(업무의 인계·인수) ① 공무원이 조직개편, 인사발령 또는 업무분장 조정 등의 사유로 업무를 인계·인수할 때에는 해당 업무에 관한 모든 사항이 구체적으로 나타나도록 행정자치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업무관리시스템이나 전자문서시스템을 이용하여 인계·인수하여야 한다. <개정 2013.3.23., 2014.11.19.>
- ② 행정기관의 장은 제1항에 따른 인계·인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능분류시스템의 자료를 최신의 정보로 유지하여야 한다.
- 제62조(업무편람의 작성·활용) ① 행정기관이 상당 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하는 업무는 그 업무의 처리가 표준화·전문화될 수 있도록 업무편람을 작성하여 활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② 업무편람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행정편람과 직무편람으로 구분한다.
- 1. 행정편람: 업무처리 절차와 기준, 장비운용 방법, 그 밖의 일상적 근무규칙 등에 관하여 각 업무담당자에게 필요한 지침·기준 또는 지식을 제공하는 업무지도서 또는 업무참고서 등
- 2. 직무편람: 제60조에 따라 분장하는 단위업무에 대한 업무계획, 업무현황 및 그 밖의 참고자료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업무 자료철 등
- ③ 행정기관의 장은 행정편람을 발간할 때 필요하면 그 기관의 공무원이나 관계 전문가에게 자문할 수 있다.
- 제63조(정책의 실명 관리) ① 행정기관의 장은 주요 정책의 결정이나 집행과 관련되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종합적으로 기록·관리하여야 한다.
- 1. 주요 정책의 결정과 집행 과정에 참여한 관련자의 소속, 직급 또는 직위, 성명과 그 의견
- 2. 주요 정책의 결정이나 집행과 관련된 각종 계획서, 보고서, 회의·공청회·세미나 관련 자료 및 그 토의내용
- ② 행정기관의 장은 주요 정책의 결정을 위하여 회의·공청회·세미나 등을 개최하는 경우에는 일시, 참석자, 발언내용, 결정사항, 표결내용 등을 처리과의 직원으로 하여금 기록하게 하여야 한다.
- ③ 행정기관이 언론기관에 보도자료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그 보도자료에 담당부서·담당자·연락처 등을 함께 적어야 한다.
- 제63조의2(정책실명제 책임관 지정) ① 행정기관의 장은 해당 기관의 정책실명제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기획조정실장 등 해당 기관의 기획 업무를 총괄하는 직위에 있는 공무원을 정책실명제 책임관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 ② 정책실명제 책임관은 다음 각 호의 임무를 수행한다.
- 1. 해당 기관의 정책실명제 활성화 계획 수립 및 시행
- 2. 해당 기관의 정책실명제 대상사업 선정 및 추진실적 공개
- 3. 자체 평가 및 교육
- 4. 그 밖에 해당 기관의 정책실명제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업무
- [본조신설 2014.2.18.]
- 제63조의3(정책실명제 중점관리 대상 선정) ① 행정기관의 장은 다음 각 호의 사항 중에서 정책실명제 중점관리 대상사업을 선정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 1. 주요 국정 현안에 관한 사항
- 2.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
- 3. 일정 규모 이상의 연구용역
- 4. 법령 또는 자치법규의 제정·개정 및 폐지
- 5. 그 밖에 중점관리가 필요한 사업
- ② 행정기관의 장은 제1항에 따른 정책실명제 중점관리 대상사업 선정을 위하여 자체 세부 기준을 마련하고, 심의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의를 거친 후 대상사업을 선정하여야 한다.
- ③ 행정기관의 장은 정책실명제 중점관리 대상사업의 추진실적을 해당 기관의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통하여 공개하여야 한다. 다만,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9조에 따른 비공개 대상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본조신설 2014.2.18.]
- 제63조의4(정책실명제 평가) 행정자치부장관은 정책실명제의 활성화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각 행정기관의 정책실명제 추진실적 등을 평가할 수 있다. <개정 2014.11.19.>
- [본조신설 2014.2.18.]
- 제63조의5(정책실명제 세부 규정) ① 정책실명제 중점관리 대상사업 선정, 심의위원회의 구성, 정책실명제 추진실적 평가기준 및 그 밖에 정책실명제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세부 사항은 행정자치부장관이 정한다. <개정 2014.11.19.>
- ② 이 영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정책실명제의 대상 및 범위 등에 관하여 필요한 세부 사항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 또는 규칙으로 정할 수 있다.
- [본조신설 2014.2.18.]
- 제64조(업무개선 및 행정효율성진단) ① 행정기관의 장은 국민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해당 기관의 행정업무의 수행절차 및 방법을 개선하여야 한다.
- ② 행정자치부장관은 업무개선을 촉진하기 위하여 행정기관이 참여하는 행정업무 개선 우수사례 경진대회 등을 개최할 수 있으며, 우수사례에 대해서는 포상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2014.11.19.>
- ③ 행정자치부장관은 행정기관의 업무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행정업무 수행의 절차와 방법, 수행체계 및 관련 제도 등을 분석하고 재설계하는 행정효율성진단을 하고 이에 따라 업무개선을 권고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2014.11.19.>
- ④ 행정자치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진단 등을 할 때에 제3항에 따른 행정효율성진단 결과를 활용하게 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2014.11.19.>
- 1. 「전자정부법」 제48조에 따른 행정기관의 업무 재설계
- 2.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제27조의2에 따른 조직진단
- ⑤ 행정자치부장관은 행정효율성진단을 하는 경우 해당 분야에 대한 경험이나 전문능력을 가진 각급 행정기관 소속 공무원이나 관계 전문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개정 2013.3.23., 2014.11.19.>
제5장 보칙
편집- 제65조(행정업무 운영에 관한 교육) 행정기관의 장은 소속 공무원에 대하여 매년 1회 이상 행정업무의 효율성 증진을 위한 교육을 하여야 한다.
- 제66조(행정업무 운영에 관한 감사) 행정자치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국무총리의 명을 받아 각급 행정기관에 대하여 이 영에서 규정하는 업무운영에 관한 감사를 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2014.11.19.>
- 제67조(문서 미등록자 등에 대한 조치) 행정기관의 장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무원에게 징계나 그 밖에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 1. 결재받은 문서를 등록하지 아니한 사람
- 2. 제10조제2항에 따라 훈령이나 규칙으로 정한 결재권자를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여 기안하거나 검토·결재를 한 사람
- 3. 관인을 부당하게 사용한 사람
- 4. 업무협조 지연의 책임이 있는 사람
- 5. 공무가 아닌 목적으로 업무관리시스템이나 전자문서시스템을 이용한 사람
- 제68조(대통령 또는 국무총리 명의로 시행하는 문서에 관한 특례) 법령에 따라 대통령 또는 국무총리 명의로 시행하여야 하는 문서의 형식 및 처리 방법에 관한 사항은 법령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통령훈령으로 정한다.
- 제69조(국가정보원의 업무운영에 대한 특례) ① 제8조제3항에 따라 국가정보원이 아닌 행정기관에서 문서를 기안할 경우 국가정보원 소관 사항은 국가정보원에서 따로 기안할 수 있다.
- ② 국가정보원에서 작성하는 시행문에는 기안자, 검토자, 협조자, 결재권자의 직위 또는 직급과 서명 및 연락처 등을 표시하지 아니할 수 있다.
- ③ 국가정보원장은 제39조에도 불구하고 관인공고 절차를 생략하거나 제63조제3항에 따른 보도자료를 비실명으로 제공할 수 있다.
- 제70조(권한의 위임) 행정자치부장관은 정부영상회의실의 관리·운영에 관한 권한을 정부청사관리본부장에게 위임한다. <개정 2013.3.23., 2014.11.19., 2016.12.27.>
부칙
편집- 부칙 <대통령령 제23383호, 2011.12.21.>
- 제1조(시행일) 이 영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 제2조(정책연구심의위원회에 관한 경과조치) ① 제50조의 개정규정에 따른 정책연구심의위원회 또는 소위원회의 심의 사항으로서 이 영 시행 당시 국무총리훈령 「정책연구용역관리규정」 및 같은 규정의 위임에 따라 각 중앙행정기관이 정한 규정(이하 “종전규정”이라 한다)으로 설치한 정책연구용역심의위원회 또는 정책연구용역심의소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사항은 제50조의 개정규정에 따른 정책연구심의위원회 또는 소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것으로 본다.
- ② 종전규정에 따라 설치한 정책연구용역심의위원회 및 정책연구용역심의소위원회의 위원은 해당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새로 임명하거나 위촉하지 아니하는 경우 종전규정에 따른 임기가 만료될 때까지 제50조의 개정규정에 따른 정책연구심의위원회 또는 소위원회의 위원으로 본다.
- 제3조(다른 법령의 개정) ①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2조제3호 중 "「사무관리규정」 제3조제3호"를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제3조제4호"로 하고, 같은 조 제7호 중 "「사무관리규정」 제3조제12호 내지 제14호에 따른 전자문서시스템, 행정정보시스템, 업무관리시스템"을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제3조제10호부터 제12호까지의 규정에 따른 전자문서시스템, 업무관리시스템, 행정정보시스템"으로 한다.
- 제20조제1항 단서 중 "「사무관리규정」 제3조제13호 및 제14호에 따른 행정정보시스템 또는 업무관리시스템"을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제3조제11호 및 제12호에 따른 업무관리시스템 또는 행정정보시스템"으로 한다.
- 별표 1 영구의 대상기록물란 제15호 중 "정책자료집, 백서"를 "백서"로 한다.
- ② 공증인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7조제1항 중 "사무관리규정"을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으로 한다.
- ③ 국고금관리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100조제2항을 삭제한다.
- ④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5조제1항 본문 중 "「사무관리규정」 제3조제3호"를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제3조제4호"로 한다.
- ⑤ 민원사무처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25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사무관리규정」"을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으로 한다.
- ⑥ 인감증명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5조의2제3항 중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동법시행령」 및 「사무관리규정」"을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과 같은 법 시행령"으로 한다.
- ⑦ 재외공관 공증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5조제1항 중 "「사무관리규정」"을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으로 한다.
- ⑧ 재외국민등록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8조제2항 중 "「사무관리규정」"을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과 같은 법 시행령"으로 한다.
- ⑨ 전자정부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25조 중 "「사무관리규정」 제3조에 따른 전자문자서명 또는 전자이미지서명"을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제3조제6호 또는 제7호에 따른 전자이미지서명 또는 전자문자서명"으로 한다.
- ⑩ 주민등록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10조제3호 중 "같은 법 시행령 및 「사무관리규정」"을 "같은 법 시행령"으로 한다.
- 제37조제2항 후단 중 "「사무관리규정」 제37조"를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제35조"로 한다.
- ⑪ 행정권한의 위임 및 위탁에 관한 규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8조제2항 중 "「사무관리규정」 제13조에 따라 수임 및 수탁기관의 명의로 시행하여야 한다"를 "수임 및 수탁기관의 명의로 하여야 한다"로 한다.
- ⑫ 행정절차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20조제3항 중 "사무관리규정"을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으로 한다.
- ⑬ 행정조사기본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5조제3항 중 "「사무관리규정」 제3조제10호"를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제3조제8호"로 한다.
- 제4조(다른 법령과의 관계) 이 영 시행 당시 다른 법령에서 「사무관리규정」 또는 그 규정을 인용한 경우 이 영 가운데 그에 해당하는 규정이 있으면 이 영 또는 이 영의 해당 규정을 인용한 것으로 본다.
- 부칙 <대통령령 제23521호, 2012.1.20.> (학술진흥법 시행령)
- 제1조(시행일) 이 영은 2012년 1월 22일부터 시행한다.
- 제2조 생략
- 제3조(다른 법령의 개정)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56조제2호 중 "「학술진흥 및 학자금 대출 신용보증 등에 관한 법률」 제6조"를 "「학술진흥법」"으로 한다.
- 제4조 생략
- 부칙 <대통령령 제24425호, 2013.3.23.> (안전행정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 제1조(시행일) 이 영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부칙 제6조에 따라 개정되는 대통령령 중 이 영 시행 전에 공포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아니한 대통령령을 개정한 부분은 각각 해당 대통령령의 시행일부터 시행한다.
- 제2조부터 제5조까지 생략
- 제6조(다른 법령의 개정) ①부터 <126>까지 생략
- <127>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7조제7항, 제8조제2항 본문, 같은 조 제4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 제11조제2항, 제12조제1항, 제14조제3항, 제17조 단서, 제18조제1항, 같은 조 제4항 전단, 제19조제2호가목, 제22조제2항, 제25조제3항, 제28조제8항, 제36조제1항 본문, 제37조제2항 전단, 제39조, 제41조제3항, 제50조제4항, 제57조제5항 및 제61조제1항 중 "행정안전부령"을 각각 "안전행정부령"으로 한다.
- 제21조제3항, 제24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 같은 조 제2항 전단, 제25조제1항, 제29조제1항, 제42조제1항·제3항, 제43조제2항, 제44조제2항, 제46조제3항, 제47조제3항, 제48조 각 호 외의 부분, 제53조, 제55조제2항부터 제4항까지, 제56조제6호, 제57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같은 조 제3항, 제58조, 제59조제2항, 제64조제2항·제3항, 같은 조 제4항 각 호 외의 부분, 같은 조 제5항, 제66조 및 제70조 중 "행정안전부장관"을 각각 "안전행정부장관"으로 한다.
- 제25조제1항 중 "행정안전부에"를 "안전행정부에"로 한다.
- 제34조제2항 중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을 "교육부장관"으로, "외교통상부"를 "외교부"로, "외교통상부장관"을 "외교부장관"으로 한다.
- <128> 및 <129> 생략
- <127>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부칙 <대통령령 제25186호, 2014.2.18.>
- 제1조(시행일) 이 영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 제2조(정책연구결과 공개에 관한 적용례) 제54조제2항의 개정규정은 이 영 시행 후 종료되는 정책연구의 결과부터 적용한다.
- 부칙 <대통령령 제25751호, 2014.11.19.> (행정자치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 제1조(시행일) 이 영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부칙 제5조에 따라 개정되는 대통령령 중 이 영 시행 전에 공포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아니한 대통령령을 개정한 부분은 각각 해당 대통령령의 시행일부터 시행한다.
- 제2조부터 제4조까지 생략
- 제5조(다른 법령의 개정) ①부터 <244>까지 생략
- <245>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7조제7항, 제8조제2항 본문, 같은 조 제4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 제11조제2항, 제12조제1항, 제14조제3항, 제17조 단서, 제18조제1항, 같은 조 제4항 전단, 제19조제2호가목, 제22조제2항, 제25조제3항, 제28조제8항, 제36조제1항 본문, 제37조제2항 전단, 제39조, 제41조제3항, 제50조제4항, 제57조제4항 및 제61조제1항 중 "안전행정부령"을 각각 "행정자치부령"으로 한다.
- 제21조제3항, 제24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 같은 조 제2항 전단, 제25조제1항, 제29조제1항, 제42조제1항·제3항, 제43조제2항, 제44조제2항, 제44조의2제2항, 제46조제3항, 제47조제3항, 제48조 각 호 외의 부분, 제53조, 제55조제2항부터 제4항까지, 제56조제6호, 제57조제2항 전단·후단, 같은 조 제3항, 제58조제1항·제2항, 제59조제2항 전단, 같은 조 제3항·제6항, 제63조의4, 제63조의5제1항, 제64조제2항·제3항, 같은 조 제4항 각 호 외의 부분, 같은 조 제5항, 제66조 및 제70조 중 "안전행정부장관"을 각각 "행정자치부장관"으로 한다.
- 제25조제1항 중 "안전행정부"를 "행정자치부"로 한다.
- <246>부터 <418>까지 생략
- <245>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부칙 <대통령령 제26456호, 2015.8.3.>
- 제1조(시행일) 이 영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 제2조(서식의 승인 등에 관한 경과조치) 이 영 시행 전에 제30조에 따라 서식 승인의 신청을 한 경우에는 제29조제1항의 개정규정에도 불구하고 종전의 규정에 따른다.
- 부칙 <대통령령 제27103호, 2016.4.26.>
- 제1조(시행일) 이 영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 제2조(다른 법령의 개정) ① 건축기본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22조제1항 중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을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으로 한다.
- ②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2조제3호, 제7호 및 제20조제1항 단서 중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을 각각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으로 한다.
- ③ 공증인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7조제1항 중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을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으로 한다.
- ④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5조제1항 본문 중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을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으로 한다.
- ⑤ 민원 처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30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을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으로 한다.
- ⑥ 재외공관 공증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5조제1항 중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을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으로 한다.
- ⑦ 전자정부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25조 중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을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으로 한다.
- ⑧ 주민등록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37조제2항 후단 중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을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으로 한다.
- ⑨ 행정절차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20조제3항 중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을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으로 한다.
- ⑩ 행정조사기본법 시행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5조제3항 중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을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으로 한다.
- 제3조(다른 법령과의 관계) 이 영 시행 당시 다른 법령에서 종전의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또는 그 규정을 인용한 경우에는 이 영 중 그에 해당하는 규정이 있을 때에는 종전의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또는 그 규정을 갈음하여 이 영 또는 이 영의 해당 조항을 인용한 것으로 본다.
- 부칙 <대통령령 제27697호, 2016.12.27.> (행정자치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 제1조(시행일) 이 영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 제2조 생략
- 제3조(다른 법령의 개정) ① 생략
- ②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70조 중 "정부청사관리소장"을 "정부청사관리본부장"으로 한다.
- ②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별표/서식
편집- [별표] 관인의 규격(제35조 관련)
연혁
편집-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 (제27697호) (시행 2016.12.27)
-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 (제27103호) (시행 2016.4.26)
-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제26456호) (시행 2015.8.3)
-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제25751호) (시행 2014.11.19)
-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제25186호) (시행 2014.2.18)
-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제24425호) (시행 2013.3.23)
-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제23521호) (시행 2012.1.22)
-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제23383호) (시행 2011.12.21)
- 사무관리규정 (제22322호) (시행 2010.8.4)
- 사무관리규정 (제22151호) (시행 2010.5.5)
- 사무관리규정 (제22080호) (시행 2010.5.5)
- 사무관리규정 (제21698호) (시행 2009.8.23)
- 사무관리규정 (제20982호) (시행 2008.9.2)
- 사무관리규정 (제20789호) (시행 2008.5.26)
- 사무관리규정 (제20741호) (시행 2008.2.29)
- 사무관리규정 (제20331호) (시행 2007.10.28)
- 사무관리규정 (제20171호) (시행 2007.7.18)
- 사무관리규정 (제19985호) (시행 2007.4.5)
- 사무관리규정 (제19513호) (시행 2006.7.1)
- 사무관리규정 (제19413호) (시행 2006.3.29)
- 사무관리규정 (제18746호) (시행 2005.3.24)
- 사무관리규정 (제18392호) (시행 2004.5.24)
- 사무관리규정 (제17811호) (시행 2004.1.1)
- 사무관리규정 (제17344호) (시행 2001.8.25)
- 사무관리규정 (제17271호) (시행 2001.7.1)
- 사무관리규정 (제17129호) (시행 2001.2.14)
- 사무관리규정 (제17115호) (시행 2001.1.29)
- 사무관리규정 (제16609호) (시행 2000.1.1)
- 사무관리규정 (제16521호) (시행 1999.9.1)
- 사무관리규정 (제15823호) (시행 1998.7.1)
- 사무관리규정 (제15498호) (시행 1998.1.1)
- 사무관리규정 (제14989호) (시행 1996.7.1)
- 사무관리규정 (제15063호) (시행 1996.6.29)
- 사무관리규정 (제14438호) (시행 1994.12.23)
- 사무관리규정 (제14339호) (시행 1994.7.25)
- 사무관리규정 (제13870호) (시행 1993.3.6)
- 사무관리규정 (제13390호) (시행 1991.10.1)
법령체계도
편집상하위법
편집- 정부조직법
-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
-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 시행규칙
- 행정규칙
- 국립 각급 학교 관인규칙
- 검찰청 관인 관리 규칙
- 외무관인규칙
- 행정규칙
- 자치법규
- 가평군 공인 조례
- 강릉시 공인 조례
- 강원도 공인 조례
- 강원도 정책실명제 운영 조례
- 강원도교육감 및 소속기관 공인 조례
- 강원도교육청 정책실명제 운영 조례
- 강진군 공인 조례
- 강화군 공인 조례
- 거제시 공인 조례
- 거창군 공인조례
- 경기도 공인 조례
- 경기도 정책실명제 운영 조례
- 경기도교육감 소속기관 공인 조례
- 경기도교육청 정책실명제 운영 조례
- 경산시 공인 조례
- 경상남도교육감 및 소속기관 공인 조례
- 경상북도 공인조례
- 경상북도교육감 및 그 소속기관 공인 조례
- 경주시공인조례
- 계룡시 공인 조례
- 고령군 공인 조례
- 고성군 공인 조례
- 고성군 공인조례
- 고양시 공인 조례
- 고창군 공인 조례
- 고흥군 공인 조례
- 곡성군 공인 조례
- 공주시 공인 조례
- 과천시 공인 조례
- 광명시 공인 조례
- 광양시 공인 조례
- 광주광역시 광산구 공인 조례
- 광주광역시 남구 공인 조례
- 광주광역시 동구 공인 조례
- 광주광역시 북구 공인 조례
- 광주광역시 서구 공인 조례
- 광주광역시공인조례
- 광주광역시교육감 및 그 소속기관 공인 조례
- 광주시 공인 조례
- 괴산군 공인 조례
- 구례군 공인 조례
- 구리시 공인 조례
- 구미시공인조례
- 군산시 공인조례
- 군위군 공인 조례
- 군포시공인조례
- 금산군 공인 조례
- 김제시 공인 조례
- 김천시공인조례
- 김포시공인조례
- 김해시 공인 조례
- 나주시 공인 조례
- 남양주시 공인 조례
- 남원시 공인 조례
- 남해군 공인 조례
- 논산시 공인 조례
- 단양군 공인 조례
- 담양군 공인 조례
- 담양군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당진시 공인 조례
- 대구광역시 공인 조례
- 대구광역시 남구 공인 조례
- 대구광역시 달성군 공인 조례
- 대구광역시 동구 공인 조례
- 대구광역시 북구 공인 조례
- 대구광역시 서구 공인 조례
- 대구광역시 정책실명제 운영에 관한 조례
- 대구광역시 중구 공인 조례
- 대구광역시교육청 공인 조례
- 대구광역시달서구 공인 조례
- 대구광역시수성구공인조례
- 대전광역시 공인조례
- 대전광역시 대덕구 공인 조례
- 대전광역시 서구 공인조례
- 대전광역시 중구 공인 조례
- 대전광역시교육감 소관 공인조례
- 대전광역시유성구공인조례
- 동두천시 공인 조례
- [[동해시 공인 조례 <제명개정 2015.10.2.>]]
- 동해시 정책실명제 운영에 관한 조례
- 목포시 공인 조례
- 무안군 공인 조례
- 무주군 공인 조례
- 문경시 공인 조례
- 밀양시 공인 조례
- 보령시 공인 조례
- 보성군 공인조례
- 보은군 공인 조례
- 보은군 정책실명제 운영 조례
- 봉화군 공인 조례
- 부산광역시 강서구 공인 조례
- 부산광역시 공인 조례
- 부산광역시 금정구 공인 조례
- 부산광역시 남구 공인 조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공인 조례
- 부산광역시 북구 공인 조례
- 부산광역시 사상구 공인 조례
- 부산광역시 사하구 공인 조례
- 부산광역시 서구 공인 조례
- 부산광역시 수영구 공인 조례
- 부산광역시 연제구 공인 조례
- 부산광역시 영도구 공인 조례
- 부산광역시 중구 공인 조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공인 조례
- 부산광역시교육감 및 그 소속기관 공인 조례
- 부산광역시기장군공인조례
- 부산광역시동래구 공인 조례
- 부안군 공인 조례
- 부여군 공인 조례
- 부천시 공인 조례
- 사천시 공인조례
- 산청군 공인 조례
- 삼척시 공인 조례
- 상주시 공인 조례
- 서산시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용산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강남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강동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강북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공인조례
- 서울특별시 관악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광진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구로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금천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도봉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동작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사무위임 조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정책실명제 운영 조례
- 서울특별시 서초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성동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성북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양천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은평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종로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중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 중랑구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교육청 공인 조례
- 서울특별시영등포구공인조례
- 서천군 공인 조례
- 서천군 정책실명제 운영 조례
- 성남시 공인 조례
- 성주군공인조례
- 세종특별자치시 공인 조례
- 세종특별자치시 사무위임 조례
-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 및 그 소속기관 공인 조례
- 속초시 공인 조례
- 수원시 공인 조례
- 순창군 공인 조례
- 순천시 공인 조례
- 시흥시 공인 조례
- 신안군 공인 조례
- 아산시 공인 조례
- 안동시공인조례
- 안산시 공인 조례
- 안성시 공인 조례
- 안양시 공인 조례
- 양구군 공인조례
- 양산시 공인조례
- 양양군 공인 조례
- 양주시 공인 조례
- 양평군 공인 조례
- 여수시 공인 조례
- 여주시 공인 조례
- 연천군공인조례
- 영광군공인조례
- 영덕군공인조례
- 영동군 공인 조례
- 영암군 공인 조례
- 영양군 공인 조례
- 영월군 사무위임조례
- 영주시 공인 조례
- 영천시 공인 조례
- 예산군 공인 조례
- 예천군 공인 조례
- 옥천군공인조례
- 옹진군공인조례
- 완도군 공인 조례
- 완주군 공인 조례
- 용인시 공인 조례
- 울릉군 공인 조례
- 울산광역시 공인 조례
- 울산광역시 남구 공인 조례
- 울산광역시 북구 공인 조례
- 울산광역시 울주군 공인 조례
- 울산광역시 중구 공인 조례
- 울산광역시교육감 및 소속기관 공인 조례
- 울산광역시동구 공인 조례
- 울진군공인조례
- 원주시 공인 조례
- 음성군 공인 조례
- 의령군 공인 조례
- 의성군 공인 조례
- 의왕시 공인 조례
- 의정부시 공인 조례
- 이천시 공인 조례
- 익산시공인조례
- 인제군 공인 조례
- 인천광역시 계양구 공인 조례
- 인천광역시 공인 조례
- 인천광역시 남동구 공인 조례
- 인천광역시 서구 공인 조례
- 인천광역시교육청 공인 조례
- 인천광역시남구 공인 조례
- 인천광역시동구 공인 조례
- 인천광역시부평구 공인 조례
- 인천광역시연수구 공인 조례
- 임실군 공인조례
- 장성군 공인 조례
- 장수군 공인 조례
- 전라남도 공인 조례
- 전라남도교육감 및 그 소속기관 공인 조례
- 전라북도 공인 조례
- 전라북도교육감 소속 기관 공인 조례
- 전주시 공인 조례
- 정선군공인조례
- 정읍시 공인 조례
- 제주특별자치도 공인 조례
-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 및 그 소속기관 공인 조례
-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정책실명제 운영에 관한 조례
- 제천시 공인 조례
- 증평군 공인 조례
- 진도군 공인 조례
- 진안군 공인 조례
- 진주시공인조례
- 진천군 공인 조례
- 천안시 공인 조례
- 철원군 공인조례
- 청도군공인조례
- 청송군 공인 조례
- 청양군 공인 조례
- 청주시 공인 조례
- 춘천시 공인조례
- 충주시 공인 조례
- 충청남도 공인 조례
- 충청남도교육감 및 그 소속기관 공인 조례
- 충청북도 공인조례
- 충청북도교육감 및 소속기관 공인 조례
- 칠곡군 공인 조례
- 태백시공인조례
- 태안군공인조례
- 통영시 공인 조례
- 평창군공인조례
- 평택시공인조례
- 포천시 공인조례
- 포항시 공인 조례
- 하남시 공인 조례
- 하동군 공인 조례
- 함안군 공인 조례
- 함양군 공인조례
- 함평군 공인 조례
- 합천군 공인 조례
- 해남군 공인 조례
- 홍성군 공인 조례
- 홍천군공인조례
- 화성시 공인 조례
- 화순군 공인조례
- 화천군공인조례
- 횡성군공인조례
- 가평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강릉시 사무 전결처리 규칙
- 강릉시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강원도교육감 위임전결 규칙
- 강진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강화군 정책실명제 운영에 관한 규칙
- 거제시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거창군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경산시 사무전결처리 규칙
- 경산시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경상남도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경상북도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경주시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계룡시 사무위임 전결처리 규칙
- 계룡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고령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고성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고성군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고양시 사무전결처리 규칙
- 고양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고창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고흥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곡성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공주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과천시 사무전결처리 규칙
- 과천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광명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광양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광주광역시 광산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광주광역시 남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광주광역시 동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광주광역시 북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광주광역시 서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광주광역시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광주시 사무전결처리 규칙
- 광주시 정책실명제 운영에 관한 규칙
- 괴산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구례군 사무 전결처리 규칙
- 구례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구리시 사무 전결처리 규칙
- 구리시 정책실명제 운영에 관한 규칙
- 구미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군산시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군위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군포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금산군 사무위임 전결처리 규칙
- 금산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김제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김천시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김포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김해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나주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남양주시 정책실명제 운영에 관한 규칙
- 남원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남해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논산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단양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당진시 사무전결처리 규칙
- 당진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대구광역시 남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대구광역시 달성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대구광역시 동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대구광역시 북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대구광역시 서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대구광역시 수성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대구광역시 중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대구광역시달서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대전광역시 대덕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대전광역시 동구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대전광역시 서구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대전광역시 유성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대전광역시 정책 실명 관리규칙
- 대전광역시 중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동두천시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목포시 사무전결 처리 규칙
- 무안군 사무전결 처리 규칙
- 무안군 정책실명화 운영 규칙
- 무주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문경시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밀양시 사무전결 처리 규칙
- 보령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보령시의회사무위임전결규칙
- 보성군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보은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봉화군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부산광역시 강서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부산광역시 금정구 사무전결 처리 규칙
- 부산광역시 금정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부산광역시 남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부산광역시 동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부산광역시 북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부산광역시 사상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부산광역시 사하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부산광역시 서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부산광역시 수영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부산광역시 연제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부산광역시 영도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부산광역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부산광역시 중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부산광역시동래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부안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부여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부천시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사천시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산청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삼척시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서산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 강남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 강동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 강북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 강서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 관악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 광진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 구로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 금천구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서울특별시 노원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 도봉구 사무전결 처리 규칙
- 서울특별시 도봉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정책실명에 관한 관리 규칙
- 서울특별시 동작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 마포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 사무전결처리 규칙
- 서울특별시 서초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 성동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 송파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 양천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 용산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 은평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서울특별시 종로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 중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울특별시중랑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서천군 사무위임 전결처리 규칙
- 성남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성주군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세종특별자치시 정책 실명 관리 규칙
- 속초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수원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순창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순천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시흥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신안군 민원사무 위임 전결 규칙
- 신안군 정책실명화 운영 규칙
- 아산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안동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안산시 사무전결 처리 규칙
- 안산시 정책실명제 운영에 관한 규칙
- 안성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안양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양구군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양산시 사무전결 처리 규칙
- 양산시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양양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양주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양평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여수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여주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연천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영광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영덕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영동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영암군 사무전결 처리 규칙
- 영암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영양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영월군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영주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영천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예산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예천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오산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옥천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완주군 정책 실명제 운영 규칙
- 용인시 정책 실명제 운영 규칙
- 울릉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울산광역시 남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울산광역시 북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울산광역시 울주군 사무전결처리 규칙
- 울산광역시 울주군 주요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울산광역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울산광역시 중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울산광역시교육청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울산광역시동구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울진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원주시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음성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음성군의회 사무위임전결 규칙
- 의령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의성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의왕시 사무전결 처리 규칙
- 의왕시 정책실명제 운영에 관한 규칙
- 의정부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이천시 정책실명제 운영에 관한 규칙
- 익산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인제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인천광역시 계양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인천광역시 서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인천광역시 연수구 사무전결처리 규칙
- 인천광역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인천광역시 중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인천광역시남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인천광역시동구 사무전결 처리 규칙
- 인천광역시동구 정책 실명 관리에 관한 운영 규칙
- 인천광역시부평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인천광역시연수구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임실군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장성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장수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장흥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전라남도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전라북도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전라북도교육청 위임전결 규칙
- 전주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정선군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정읍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제주특별자치도 사무전결규칙
- 제주특별자치도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제천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증평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진도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진안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진주시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진천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창녕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창원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천안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철원군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청도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청송군 사무전결 처리 규칙
- 청송군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청양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청주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춘천시 사무전결 처리 규칙
- 춘천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충주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충청남도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충청북도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칠곡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태백시 정책의 실명 관리에 관한 운영 규칙
- 태안군 사무위임 전결처리 규칙
- 태안군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통영시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파주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평창군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평택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포천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포항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하남시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하동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함안군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함양군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함평군 정책실명화 운영 규칙
- 합천군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해남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홍성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홍천군 정책실명제 운영 규칙
- 화순군 정책실명화 운영 규칙
- 화천군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횡성군 사무전결처리규칙
- 횡성군 정책실명제 운영규칙
- 대전광역시교육감 소관 위임전결규정
- 충청남도교육감 사무위임전결 규정
- 충청북도교육청 위임전결규정
-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 시행규칙
-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
관계법령
편집라이선스
편집이 저작물은 대한민국 저작권법 제7조에 따라 비보호저작물로 배포됩니다. 누구든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저작물이 있습니다.
- 헌법·법률·조약·명령·조례 및 규칙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시·공고·훈령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
- 법원의 판결·결정·명령 및 심판이나 행정심판절차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절차에 의한 의결·결정 등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한 것으로서 제1호 내지 제3호에 규정된 것의 편집물 또는 번역물
- 사실의 전달에 불과한 시사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