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금융·경영/부문관리의 이론과 실제/연 구 개 발/기업경영과 연구개발

경영과 연구개발

편집

經營-硏究開發

장기경영계획은 기업성장률의 계획, 기업의 성장방식의 결정, 자본이익률의 향상 등 3가지 기본적인 과제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중 기업성장률은 제품의 매출액 목표로서 표현되며, 신제품 개발목표·제품별 시장점유율목표 등으로 구체화된다. 따라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창조하는 기업활동의 일환책인 연구개발(R&D:research and development)은 장기경영계획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되며 신제품의 개발이나 기존제품의 개량은 연구개발 활동의 본질적 목표가 된다. 대체로 장래의 총매출액 중 기존제품(기존제품의 개량을 포함)에 대한 신제품의 비율이 높을수록 그 기업은 혁신적 경영을 수행하고 있다고 보며, 기존제품의 개량에만 의존한 보수적 경영보다는 기업성장률이 월등히 높게 된다〔그림 1〕.

따라서 기업의 연구개발 담당부문은 경영층이 장기적 관점에서 제시한 연구개발목표(R&D objectives)에 따라 제품이나 기술의 개발활동을 수행한다.

연구개발에 대한 경영층의 역할

편집

硏究開發-經營層-役割국가간에 기술격차가 있듯이 기업간에도 기술격차가 있다. 기술격차는 경영자나 연구담당자들의 노력에 좌우된다. 미국의 대기업이 연구부문 책임자를 부사장직에 두고 있음은 연구개발 활동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연구담당 책임자는 기술개발이나 신제품의 개발에 있어 연구부문과 관련된 제조부문·판매부문·선전부문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경영목표를 수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연구개발 기획부서는 연구책임자를 보좌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부서는 경영적인 감각으로 연구개발의 장기적 방향을 설정하며 연구개발을 위한 장기계획(long-range planning)을 수립하여 경영의사결정을 위한 자료를 제시한다. 장기계획에는 기업과 관련된 사회적·경제적 환경의 변화과정과 과학기술의 동향에 대한 기술예측을 포함한다.

사업별 관리자(project manager)는 연구개발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일선 지휘자의 역할을 수행하며 연구자이면서도 경영자적 소양(素養)을 가진 사람이 적합하다. 그는 사업의 진행상황뿐만 아니라 제조·판매부문의 준비상황까지도 파악·통솔한다.

연구개발의 시스템

편집

硏究開發-system

연구개발 업무는 다음의 3가지로 구분된다.

(1) 기존제품(또는 기술)의 개량 ― ① 기존제품의 불만대책, ② 기존제품의 단기적 개량, ③ 기존제품의 장기적·계속적·소규모적인 개량

(2) 새로운 제품모델의 개발 ― ① 차기(次期)에 발표할 새로운 모델의 개발, ② 기존제품의 제조에 관련된 새로운 기술·재료 및 부품의 개발

(3) 신제품의 도입과 재개발 ― ① 새로운 제품계열 도입을 위한 개발, ② 기존제품의 새로운 용도의 발견, ③ 장래의 시장획득을 위한 신제품의 개발

(4) 장래 중요한 과학기술의 연구

경영자는 위의 연구개발 업무를 어떻게 조직적으로 수행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방침을 수립해야 한다. 연구업무의 할당은 그 기업의 업종·역사·규모 등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1)은 공장의 설계부서나 개발부서에 위임하고, (2)는 사업단위의 연구실이나 개발부서, (3)은 전사적(全社的)인 중앙연구소나 사업단위 연구실에 위임하는 방법이 있다. 연구개발능력의 투입비율은 대체로 (1)에 30%, (2)에 40%, (3)에 30% 정도로 배분하고, 과학기술의 연구에는 많은 시간과 연구비가 투하되므로 전체의 10%를 상회하지 않는 수준에서 한정되는 것이 좋다.

연구개발에 대한 국가의 역할

편집

硏究開發-國家-役割현대의 과학기술의 발전조류는 기술혁신 과정의 심화와 확대, 우주항공·일렉트로닉스·원자력·컴퓨터·해양개발 및 생명현상의 규명 등에서 경이적으로 발전하고 있고, 과학기술의 사회학적 의의가 증가되고 있다.

연구개발에 대한 국가의 역할은 첫째 국가적 사업의 추진, 둘째 사회적 요청에 의한 연구활동의 추진, 셋째 민간기업 연구개발의 강력한 조성에 있다.

원자력개발·우주개발·해양개발과 같은 대형 기술개발에는 거액의 투자와 많은 연구분야의 유기적 결합이 필요하므로 연구자금의 확보와 국가·산업계·연구기관의 조직적인 운영은 국가의 중요 책무이다. 또한 공해·자연재해·질병의 예방 및 국토개발 등 사회개발(community systems development)을 추진하고 농업·중소기업에서의 기술 낙후부문의 근대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으며, 민간기업 연구개발의 조성책으로서는 과학기술정보의 유통촉진, 새로운 기술의 기업화, 연구조합과 같은 공동연구의 추진, 보조금의 지급, 세제면(稅制面)의 우대조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