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일기/도강록: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Jjw (토론 | 기여)
Jjw (토론 | 기여)
1,634번째 줄:
村邊有二窰。 一恰裁燒畢, 塗泥竈門, 擔水數十桶。 連灌窰頂, 窰頂略坎, 受水不溢。 窰身方爛, 得水卽乾, 似當注水, 不焦爲候耳。 一窰先已燒冷, 方取甓出窰。 大約窰制, 與我東之窰判異, 先言我窰之誤, 然後窰制可得。
 
我窰直一臥竈, 非窰也 初無造窰之甎, 故支木而泥築薪 以大松燒, 堅其窰, 其燒堅之費, 先已多矣 窰長而不能高, 故火不炎上 火不能炎上, 故火氣無力 火氣無力, 故必爇松取猛, 爇松取猛, 故火候不齊 火候不齊, 故瓦之近火者, 常患苦窳, 遠火者, 又恨不熟 無論燔瓷燒瓮, 凡爲陶之家, 窰皆如此, 其爇松之法又同, 松膏烈勝他薪也 松一剪則非再孽之樹, 而一遇陶戶, 四山童濯, 百年養之, 一朝盡之, 乃復鳥散逐松而去 此緣一窰失法, 而國中之良材日盡, 陶戶亦日困矣
 
今觀此窰, 甎築灰封, 初無燒堅之費, 任意高大 形如覆鍾, ♣(穴+坎)𥦔頂爲池, 容水數斛, 旁穿烟門四五, 火能炎上也 置甎其中, 相支爲火道, 大約其妙在積, 今使我手能爲之至易也, 然口實難形 正使問, 「其積類品字乎。」 余曰 似是而非也。」 卞主簿問, 「其積類疊冊匣乎。」 余曰, 似是而非也。」 甓不平置, 皆隅立爲十餘行, 若堗♣(勝-力+田)𣎒, 再於其上, 斜駕排立 次次架積, 以抵窰頂, 孔穴自然踈通如麂眼 火氣上達. 相爲咽喉. 引焰如吸, 萬喉遞呑, 火氣常猛, 雖薥稭黍柄, 能匀燔齊熟, 自無攣翻龜坼之患

今我東陶戶不先究窰制, 而自非大松林, 不得設窰 陶非可禁之事, 而松是有限之物, 則莫如先改窰制, 以兩利之 鰲城 李公恒福, 老稼齋皆說甓利 而不詳窰制 甚可恨也 或云‘薥稭三百握 爲一窰之薪 得甎八千’ 薥稭長一丈半 拇指大則一握 僅四五柄耳 然則薥稭爲薪 不過千餘柄 可得近萬之甎耳
</big>
 
줄 1,642 ⟶ 1,644:
마을에는 가마가 둘 있었다. 그 중 하나는 다 썼는 지 불구덩이 문에 진흙을 발라 막고서 물 수십 통을 담아 두었다. 가마 머리에 관이 이어져 구멍으로 물을 담아도 넘치지는 않는다. 가마 몸통이 갈라 터지는 것을 막기 위해 물을 채우는데 (아직 식지 않은 가마는) 곧바로 말라버린다. 마치 물을 부어야만 불타버리지 않을 듯 하다. 다른 가마 하나는 이미 다 식혔는 지 가마에서 벽돌을 꺼내고 있었다. 가마의 대략적인 모습은 우리나라의 것과 아예 달라서 먼저 우리 가마의 잘못된 점을 이야기 하고 난 후에 (이곳) 가마의 모습을 말하려 한다.
 
우리의 가마란 것은 그저 길게 누워 있는 하나의 아궁이이지 가마라 할 수 없다. 애초에 가마를 벽돌로 짓지 않기 때문에 나뭇가지에 진흙을 이겨 바르고 땔나무를 쌓는다. 큰 소나무 장작을 불살라 가마를 굳히는 데 이렇게 가마를 지을 때부터 비용이 먼저 많이 든다. 가마가 길쭉한데 높지 않아서 불길이 위로 타올라 가지 못한다. 불길이 위로 타오르지 못하니 불 기운이 약하다. 불기운이 약하기 때문에 반드시 소나무를 때어 거세지게 하는데 소나무를 때면 불길은 거세지지만 고르지 못하다. 불은 거센데 고르지 못하니 기와를 구우면 가까운 것은 터질까 염려되고 먼 것은 안 구워질까 걱정한다. 자기를 굽는 가마이건 항아리를 굽는 것이건 가릴 것 없이 가마란 것이 모두 같아서 소나무 장작을 때는 것은 똑같은데 송진이 다른 땔감보다 더 열을 많이 내기 때문이다. 소나무는 한 번 베어내면 자손을 남기지 않는 나무라 가마가 하나 놓이면 주변 산이 모두 민둥산이 되어 백 년을 기른 숲이 하루 아침에 없어져 버리고 새떼가 흩어지듯 다시 소나무 숲을 찾아 간다. 이처럼 가마 하나가 숲을 모두 헐벗게 하는 방법을 쓰기 때문에 나라 한의 좋은 목재가 하루 아침에 사라지고 결국엔 가마를 굽는 것도 어려워지고 만다.
 
지금 본 중국의 가마는 벽돌과 석회를 써서 지어서 처음부터 가마를 짓는 비용이 들지 않아 마음대로 크고 높게 지을 수 있다. 모양은 엎어 놓은 종처럼 생겼는데 위쪽은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우묵하게 생겨 수 섬의 물을 담을 수 있고 옆으로 네댓 군데 연기 구멍을 뚫어 불길이 위로 오를 수 있게 하였다. 가마에 벽돌을 쌓을 때는 벽돌 사이로 불이 드나들 수 있는 통로를 교묘하게 만들어 가며 쌓는데 이제 처음 본 나도 따라할 수 있을 만큼 쉽지만 말로 그 모양을 설명하기는 어렵다. 정사가 "벽돌을 쌓은 모양이 품(品)자 같지 않은가?"하고 묻기에 나는 "그 비슷하지만 아닙니다."하고 대답하였다. 변주부가 "책갑을 겹쳐 쌓은 것 같이 생겼나요?"하고 물어도 나는 "그 비슷하지만 아닐세."하였다. 벽돌은 반듯하지 않고 모두 모를 세워 열 줄 가량 씩 쌓아 구들장의 방고래처럼 하였고 다시 그 위로 비스듬히 줄지어 늘여 세웠다. 가마 밑에서 꼭대기까지 차곡차곡 쌓아 올려서 뚫린 자리는 자연스럽게 가마 눈이 된다. 불기운이 위로 다다르면 (벽돌을 쌓아 만든 구멍들이) 서로 목구멍처럼 작용하여 불길을 마시고 뱉으니 불기운이 저절로 강해지기 때문에 수숫대 같은 땔감을 쓰더라도 고르게 열을 전달할 수 있어서 자연히 벽돌이 갈라지고 깨질 염려가 없다.
 
지금 우리나라 도기 장인들은 먼저 가마를 짓는 방법을 연구하지 않고 큰 소나무 숲이 없으면 가마를 세우지 못한다고 여긴다. 도기를 굽는 일이야 막을 수 없는 것이나 소나무는 무한정 있는 자원이 아니기 때문에 먼저 가마 짓는 방법을 개선하여야 서로 이득일 것이다.
</div>
 
{{글 숨김|제목 = 낱말풀이}}
* 判異(판이): 아예 다르다.
* 無論(무론): 이것 저것 가릴 것 없이.
* 松膏(송고): 송진.
* 童濯(동탁): 벌거숭이 아기처럼 산에 나무며 풀이 하나도 없다.
* 任意(임의): 마음대로.
* 𥦔(간): 강희자전 누락 한자. 우묵하다.
* 斛(곡): 부피의 단위인 섬을 뜻한다. 1 섬은 10 말이고 1 말은 10 되, 1 되는 다시 10 홉, 1 홉은 10 작으로 세분되었다. 1 작의 용량은 대략 18 mL 이기 때문에 1 섬은 180 L 가 된다.
* 冊匣(책갑): 책을 넣어 둘 수 있도록 만든 작은 상자나 집.
* 𣎒(?): 강희자전 누락 한자. 방고래, 구들 밑으로 열이 지나가게 세운 것.
* 排立(배립): 줄지어 늘여 세움.
* 孔穴(공혈): 뚫린 자리.
* 咽喉(인후): 목구멍.
* 鰲城李公恒福(오성이공항복): 오성 [[:w:이항복|이항복]]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정치가이다. 한음 [[:w:이덕형]]과의 우정 때문에 "오성과 한음"으로 흔히 불린다.
 
{{글 숨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