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문헌:문서 끼워넣기

문서 끼워넣기
이 문서에서는 작업용 문서(색인 및 페이지 이름공간의 문서)의 내용을 일반 이름공간으로 "끼워넣어" 문서를 만드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끼워넣기(Transclusion)는 한 문서의 내용을 직접 복사할 필요 없이 다른 문서에 표시하여 주는 방법으로, 위키문헌에서는 색인·페이지 이름공간의 문서를 일반 문서의 형태로 만드는 데 주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55년)/서시 문서의 내용은 페이지:Sky, Wind, Star and Poem (1955).djvu/7 문서의 내용을 끼워넣어 만든 것입니다. 전체 색인의 각 페이지가 페이지 이름공간으로 먼저 옮겨진 다음, 장·절 등의 구분에 따라 문서의 형태로 끼워넣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간단한 문서 작성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흔히 사용되는 끼워넣기 방법을 소개합니다. 또한 상황에 따라 필요할 수도 있는 고급 태그에 관한 설명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 문서를 읽고 궁금한 점이 있거나 끼워넣기 중 문제가 생겼다면, 사랑방 또는 질문방에 글을 남겨 주세요.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용자가 있을지도 모릅니다!

페이지 전체를 끼워넣는 경우

편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55년)/별헤는 밤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여러 페이지 문서를 일반 이름공간으로 끼워넣는 경우가 제일 많습니다. 페이지 전체를 끼워넣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는데, 이 중 <pages/> 태그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일 권장합니다. {{페이지}} 틀을 사용하는 방법과 직접 끼워넣는 방법 또한 기술적으로 가능하지만 권장하지 않습니다. 현재 등재된 문서 대부분도 <pages /> 태그를 이용하고 있으나, 오래 전에 만들어진 문서의 경우 간혹 이전 방법을 사용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만약 태그가 <ref></ref> 등 다른 태그 안에 들어가야 한다면 #tag:pages(특수 명령문)를 사용하면 됩니다. 사용하는 속성(변수)의 이름은 이 경우에도 동일합니다.

<pages/> 태그의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pages index="파일명.djvu" from=x to=y />
  • 파일명.djvu는 사용하는 파일명(색인문서명)을 넣으면 됩니다. (여기서 이름공간 접두사 "색인:"은 빼야 합니다)
  • 끼워넣고자 하는 제일 앞 페이지의 빗금 (/) 뒤에 나오는 번호를 x 자리에 입력하면 됩니다.
  • 끼워넣고자 하는 제일 뒤 페이지의 빗금 (/) 뒤에 나오는 번호를 y 자리에 입력하면 됩니다.

예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55년)/별헤는 밤 문서를 만드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pages index="Sky, Wind, Star and Poem (1955).djvu" from=41 to=44 />

페이지 일부만을 끼워넣는 경우

편집

간혹 페이지의 전체가 아닌 일부만을 끼워넣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페이지:예수셩교젼셔 (1887년).pdf/143에서 보이는 것처럼 같은 페이지에 두 장 이상(예수셩교젼셔/말코복음예수셩교젼셔/누가복음)이 나타나는 경우입니다. 이 때는 Labeled Section Transclusion 확장 기능을 이용하여 페이지 일부만 끼워넣기 과정에 호출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각 문단 태그는 페이지 문서 내에서 앵커 기능을 합니다.

문단 태그 삽입

편집

페이지 문서에 문단 태그(<section/>)를 넣을 때는 문단의 제일 앞에 다음 태그를 삽입하면 됩니다.[1]

## 문단명 ##

또는 직접 문단의 앞과 뒤에 <section begin="문단명" /><section end="문단명" /> 태그를 삽입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

  • 문단의 이름은 기술적 문제로 큰따옴표로 둘러쌀 것("이름")을 권장합니다.
  • 문단 이름은 그 어떤 것으로 해도 괜찮으나, 모호성을 없애기 위해 페이지 번호 등을 포함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pages/> 태그를 사용할 경우 한 페이지에서 같은 문단 이름을 2개 이상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소프트웨어가 이름이 같은 문단 중 어떤 것을 끼워넣어야 하는지 결정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 <poem> 태그를 사용할 경우 한 문단 안에서 열고 닫아야 합니다. 만약 문단 바깥으로 나가면 끼워넣기에 오류가 생깁니다.
  • 끼워넣기 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경우 문단 이름을 영문자와 숫자(아스키 코드에 포함되는 기호)만 쓰도록 바꾸면 해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 이름공간으로의 끼워넣기 (파일 기반 색인)

편집

아래 설명은 djvu나 PDF 등 파일을 이용한 색인 문서의 끼워넣기에만 적용할 수 있습니다.

문단이 페이지 중간에 끝나는 경우

편집

<pages/> 태그 내 tosection 속성을 추가로 사용해야 합니다.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pages index="파일명.djvu" from=x to=y tosection="문단명" />
  • 파일명.djvu는 사용하는 파일명(색인문서명)을 넣으면 됩니다. (여기서 이름공간 접두사 "색인:"은 빼야 합니다)
  • 끼워넣고자 하는 제일 앞 페이지의 빗금 (/) 뒤에 나오는 번호를 x 자리에 입력하면 됩니다.
  • 끼워넣고자 하는 제일 뒤 페이지의 빗금 (/) 뒤에 나오는 번호를 y 자리에 입력하면 됩니다.
  • 문단명에는 문단의 이름을 입력하면 됩니다.

예시

예수셩교젼셔/말코복음 문서를 만드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pages index="예수셩교젼셔 (1887년).pdf" from=90 to=143 tosection="말코end" />

속성 값(= 뒤)에 적용되는 띄어쓰기·따옴표 규칙은 HTML과 동일합니다.

  • 값에 띄어쓰기가 포함될 경우 전체를 따옴표로 감싸야 함. (큰따옴표·작은따옴표 모두 사용 가능)
  • 값에 큰따옴표가 포함될 경우 전체를 작은따옴표로 감싸야 함. (예시: index='"The Mummy" Volume 1.djvu')
  • 값에 작은따옴표가 포함될 경우 전체를 큰따옴표로 감싸야 함. (예시: index="'Tis Sixty Years Since.djvu")
  • 값에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가 동시에 포함될 경우, 전체를 큰따옴표로 감싼 후 값 내의 큰따옴표는 대신 &quot;로 적어야 함. (예시: index="'Tis Sixty Years &quot;Since&quot;.djvu")

문단이 페이지 중간에 시작되는 경우

편집

<pages/> 태그 내 fromsection 속성을 추가로 사용해야 합니다.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pages index="파일명.djvu" from=x to=y fromsection="문단명" />

예시

예수셩교젼셔/요안내묵시록 문서를 만드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pages index="예수셩교젼셔 (1887년).pdf" from=639 to=679 fromsection="묵시록start" />

문단이 한 페이지 내에서 시작되고 다른 페이지 내에서 끝나는 경우

편집

이 경우 fromsectiontosection을 동시에 사용하면 됩니다.

<pages index="파일명.djvu" from=x to=y fromsection="문단명1" tosection="문단명2"/>

여기서 fromsectiontosection에서 사용하는 문단명은 서로 다른 페이지에 있는 한 반드시 달라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예시

예수셩교젼셔/누가복음 문서를 만드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pages index="예수셩교젼셔 (1887년).pdf" from=143 to=234 fromsection="누가start" tosection="누가end" />

문단이 한 페이지 내에서 시작되고 끝나는 경우

편집

한 페이지만 끼워넣을 경우, 페이지 번호는 include 속성으로, 문단 이름은 onlysection 속성을 이용하면 됩니다.

<pages index="파일명.djvu" include=X onlysection="문단명" />

예시

한 페이지 내에서 한 문단만 끼워넣으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pages index="파일명.djvu" include=149 onlysection=문단명 />

페이지를 번갈아 끼워넣어야 하는 경우

편집

문헌이 좌우 페이지에 따라 구분되는 등 격순으로 끼워넣어야 할 필요가 있을 때는 step 속성을 사용하면 됩니다.

<pages index="파일명.djvu" from=X to=Y step=2 />

예시

6, 8, 10, 12번 페이지를 끼워넣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pages index="파일명.djvu" from=6 to=12 step=2 />

불규칙하게 끼워넣는 경우

편집

include 속성 내 쉼표(,)나 줄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습니다.

<pages index="파일명.djvu" include="A,B,C,X-Y" />

예시

6, 7, 8, 9, 10, 42번 페이지를 끼워넣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pages index="파일명.djvu" include="6-10,42" />

fromsectiontosection 모두 include와 동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fromsection은 제일 앞, tosection은 제일 뒤 페이지에서 적용됩니다.

일반 이름공간으로의 끼워넣기 (이미지 기반 색인)

편집

각 이미지를 모아서 만든 색인의 경우에도 <pages /> 태그에서 fromto 속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파일 이름에 ,-가 포함된 경우, 기술적 문제로 인해 includeexclude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fromsectiontosection도 앞과 마찬가지로 사용 가능합니다.

또한 각 페이지는 번호가 아니라 각 파일의 이름을 사용합니다.

예시

선조국문유서 문서를 만드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pages index="Royal Edict of King Seonjo Written in Hangeul.jpg" from="Royal Edict of King Seonjo Written in Hangeul.jpg" to="Royal Edict of King Seonjo Written in Hangeul.jpg" />

하지만 이 경우 파일 이름에 ,-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적어도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pages index="Royal Edict of King Seonjo Written in Hangeul.jpg" include="Royal Edict of King Seonjo Written in Hangeul.jpg" />

페이지 태그 없이 끼워넣기

편집

위에서 소개한 <pages .../>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태그는 색인·페이지 이름공간에서 작동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 경우 Labeled Section Transclusion 확장 기능을 직접 사용하면 됩니다.

이 때 사용하는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section:페이지명|문단명}}
  • 페이지명에 끼워넣고자 하는 페이지의 이름을 넣습니다. 이 때 Page: 접두사와 /# 접미사 모두 넣어야 합니다.
  • 문단명은 끼워넣고자 하는 문단의 이름입니다.

{{페이지}} 틀을 이용하는 이전 방법

{{페이지}} 틀을 이용해서 끼워넣을 수도 있습니다. 오래 된 문서에서 간혹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새로운 문서에서는 이 틀을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페이지}} 틀의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일명.djvu를 사용하는 파일의 이름, #를 페이지 번호로 바꾸면 됩니다.

  • {{페이지|파일명.djvu/#|section=문단명}}

이미지 끼워넣기

편집

사진 등 이미지를 전사한 텍스트 사이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사진을 직접 잘라 위키미디어 공용에 별도의 이미지로 업로드한 후 이미지 형태로 본문 속에 넣습니다.

  • [[파일:잘라낸 파일 이름.png|frameless|center]]

파일의 한 페이지를 이미지 형식으로 직접 표시할 수도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

편집

끼워넣기는 교정·검증 절차를 다시 거치지 않고도 텍스트를 여러 번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경우에 따라 여러 문서에서 같은 색인 문서를 끼워넣을 필요가 있을 때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ages/> 함수 이용

편집

문서를 끼워넣을 때는 <pages/> 태그를 이용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이 태그에서의 필수 속성은 index=로, 공란으로 둘 경우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pages index="파일명.djvu"/> 형태로 사용되며, 여기서 파일명.djvu을 사용하고자 하는 파일의 이름으로 바꾸면 됩니다.

만약 태그가 <ref></ref> 등 다른 태그 안에 들어가야 한다면 #tag:pages(특수 명령문)를 사용하면 됩니다. 사용하는 속성(변수)의 이름은 이 경우에도 동일합니다.

파일 이름에 띄어쓰기가 있는 경우 전체를 큰따옴표로 감싸 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pages index=Sky, Wind, Star and Poem (1955).djvu/>의 경우 <pages index="Sky,_Wind,_Star_and_Poem_(1955).djvu"/>로 작성해 주어야 합니다.

반드시 필요한 변수는 index= 뿐이기는 하나, 페이지 번호를 입력해주지 않으면 페이지 문서가 끼워넣어지지 않습니다.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속성(변수)은 다음이 있습니다. 여기서 값으로 사용하는 숫자는 모두 페이지 번호(페이지 이름공간에서 "/" 뒤에 들어가는 숫자)입니다.

  • from= : (to=와 같이 사용) 끼워넣을 제일 앞 페이지의 번호.
  • to= : (from=과 같이 사용) 끼워넣을 제일 뒤 페이지의 번호.
  • fromsection= : (앞 페이지에서) 끼워넣을 제일 앞 문단의 이름.
    앞 페이지의 해당 문단 뒤에 있는 모든 문단이 표시됩니다. 다른 페이지에서는 모든 문단이 표시됩니다.
  • tosection= : (뒤 페이지에서) 끼워넣을 제일 뒤 문단의 이름.
    뒤 페이지의 해당 문단 앞에 있는 모든 문단이 표시됩니다. 다른 페이지에서는 모든 문단이 표시됩니다.
  • onlysection= : 끼워넣을 문단의 이름.
    모든 페이지에서 해당 문단만 표시됩니다.
  • step= : 끼워넣을 페이지 번호의 간격.
    주어진 숫자마다의 페이지를 끼워넣습니다. 예를 들어, <pages from="1" to="10" step="2" />라고 쓰면 1, 3, 5, 7, 9번째 페이지가 표시됩니다.
  • include= : 포함할 페이지의 목록.
    이 방법으로 끼워넣을 페이지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ages include="2-5,9" />라고 쓰면 2, 3, 4, 5, 9번째 페이지가 표시됩니다.
    이 속성은 보통 페이지 한 개를 끼워넣을 때 자주 사용하며, onlysection과 함께 쓰는 경우도 많습니다.
  • exclude= : 특별히 제외해야 할 페이지의 목록.
    예를 들어, <pages from=1 to=10 exclude="2-5,9" />라고 적을 경우 1, 6, 7, 8, 10번째 페이지만 표시됩니다.

한 태그 내에 모든 속성을 같이 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ages from="1" to="10" include="31" exclude="2-4" step="2" />라고 쓰면 1, 5, 7, 9, 31번째 페이지가 표시됩니다.

참고: 기술적인 문제로 <pages> 태그 내에 들어가는 변수는 항상 큰따옴표로 감쌀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끼워넣어지는 문서 내용

편집

표 등 마크업 문법은 전체적으로 시작과 끝이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다시 말해, 한 페이지 내에서 마크업 문법의 시작과 끝이 모두 존재하거나, 페이지 나누기 방법을 참고하여 여러 페이지에서 형식을 통일해 주어야 합니다.

레이아웃

편집

위키문헌:레이아웃 문서를 참조해 주세요.

과거에 사용하였던 대안

편집

이 방법은 작동하기는 하나, <pages/> 태그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 아닌 한 사용하지 말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페이지}} 틀의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페이지|파일명.djvu/x|번호=z}}
  • "파일명.djvu"는 끼워넣고자 하는 파일의 이름으로 바꾸어 쓰면 됩니다.
  • 파일명 뒤 빗금(/)의 뒤에 들어가는 번호(x)는 끼워넣고자 하는 페이지 문서의 번호입니다.
  • 번호(z)에는 표시할 페이지 번호가 들어갑니다. 입력하지 않으면 페이지 번호가 "[페이지]"로 표시됩니다.
  • 이 방법으로는 한 틀당 한 페이지씩만 끼워넣을 수 있습니다.

예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55년)/트루게네프의 언덕 문서의 내용을 끼워넣으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페이지|Sky, Wind, Star and Poem (1955).djvu/167|num=167}}
{{페이지|Sky, Wind, Star and Poem (1955).djvu/168|num=168}}
{{페이지|Sky, Wind, Star and Poem (1955).djvu/169|num=169}}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기술적으로는 EasyLST 소도구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소도구는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