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소학국사보충교재 아동용/권1/10. 고려 3

주자학의 전래

편집

고려의 중기(中期) 이후는 무인(武人)의 세상이 되었고, 또한 전란(戰亂)이 계속됨으로써, 학문이 크게 쇠퇴했다. 그런데 충숙왕(忠肅王) 【제27대】 때, 원나라에서 주자학이 전래되었으며, 이제현(李齊賢), 이색(李穡), 정몽주(鄭夢周) 등의 학자들이 배출되었다.

불교와 미신

편집

태조 왕건 이래 불교를 받들어 믿었는데 신라 시대보다 한층 더 성행하여, 왕자(王子) 등과 같은 사람들도 승려가 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문종의 왕자들 중에는 유명한 대각국사(大覺國師)가 있었다. 그렇지만 불교가 너무나 성행했기 때문에 쓸데없이 공사(公私)의 재산을 낭비했으며, 또한 정치적으로도 폐해가 심했다. 그중 공민왕(恭愍王) 【제31대】 때 승려 신돈(辛旽)이 국정을 농단한 것이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당시 풍수지리설이라는 미신이 성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