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소학국사보충교재 아동용/권1/부록/1. 각 왕조의 역대표

신라 편집

신라
(56왕 992년)
대수 왕명 재위연수 적요
1 혁거세왕(赫居世王) 61 박씨(朴氏), 신라의 시조
2 남해왕(南解王) 21
3 유리왕(儒理王) 34
4 탈해왕(脫解王) 24 왕은 원래 일본 사람이라고 한다.
5 파사왕(婆娑王) 33
6 지마왕(祗摩王) 23
7 일성왕(逸聖王) 21
8 아달라왕(阿達羅王) 31
9 벌휴왕(伐休王) 22
10 내해왕(奈解王) 35
11 조분왕(助賁王) 18
12 첨해왕(沾解王) 15
13 미추왕(味鄒王) 23
14 유례왕(儒禮王) 15
15 기림왕(基臨王) 23
16 흘해왕(訖解王) 47
17 내물왕(奈勿王) 47
18 실성왕(實聖王) 16
19 눌지왕(訥祗王) 42
20 자비왕(慈悲王) 22
21 소지왕(炤知王) 22
22 지증왕(智證王) 15
23 법흥왕(法興王) 27 15년에 처음으로 불법(佛法)을 행했다.
24 진흥왕(眞興王) 37 12년에 고구려의 남쪽 국경을 공격했다.
23년에 임나(任那)를 멸망시켰다.
25 진지왕(眞智王) 4
26 진평왕(眞平王) 54
27 선덕왕(善德王) 16
28 진덕왕(眞德王) 8
29 무열왕(武烈王) 8 7년에 당나라 군대와 함께 백제를 멸망시켰다.
30 문무왕(文武王) 21 8년에 당나라 군대와 함께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널리 반도를 통일했다.
31 신문왕(神文王) 12
32 효소왕(孝昭王) 11
33 성덕왕(聖德王) 36
34 효성왕(孝成王) 6
35 경덕왕(景德王) 24
36 혜공왕(惠恭王) 16
37 선덕왕(宣德王) 6
38 원성왕(元聖王) 14
39 소성왕(昭聖王) 2
40 애장왕(哀莊王) 10
41 헌덕왕(憲德王) 18
42 흥덕왕(興德王) 11
43 희강왕(僖康王) 3
44 민애왕(閔哀王) 2
45 신무왕(神武王) 1년 미만
46 문성왕(文聖王) 19
47 헌안왕(憲安王) 5
48 경문왕(景文王) 15
49 헌강왕(憲康王) 12
50 정강왕(定康王) 2
51 진성왕(眞聖王) 11 6년에 견훤(甄萱)이 왕이라고 칭했다.
52 효공왕(孝恭王) 16 5년에 궁예(弓裔)가 왕이라고 칭했다.
53 신덕왕(神德王) 6
54 경명왕(景明王) 8 2년에 여러 장수들이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옹립하여 왕으로 삼았다.
55 경애왕(景哀王) 4
56 경순왕(敬順王) 9 9년에 고려에게 항복하고 나라가 멸망하였다.


고구려 편집

고구려
(28왕 705년)
대수 왕명 재위연수 적요
1 동명성왕(東明聖王) [주몽(朱蒙)] 19 고구려의 시조
2 유리명왕(瑠璃明王) 37
3 대무신왕(大武神王) 27
4 민중왕(閔中王) 5
5 모본왕(慕本王) 6
6 태조왕(太祖王) 94
7 차대왕(次大王) 20
8 신대왕(新大王) 15
9 고국천왕(故國川王) 19
10 산상왕(山上王) 31
11 동천왕(東川王) 22
12 중천왕(中川王) 23
13 서천왕(西川王) 23
14 봉상왕(烽上王) 9
15 미천왕(美川王) 32
16 고국원왕(故國原王) 41 41년에 백제에 공격당해 화살에 맞아 죽었다.
17 소수림왕(小獸林王) 14 2년에 불교가 처음으로 중국에서 들어왔다.
같은 해에 태학을 설립했다.
18 고국양왕(故國壤王) 9
19 광개토왕(廣開土王) 22 이 왕 때, 백제를 공격하여 크게 반도 땅을 침략했다.
20 장수왕(長壽王) 79 15년에 도읍을 평양으로 옮겼다.
63년에 백제의 수도를 함락시키고, 왕을 참수했다.
21 문자명왕(文咨明王) 28
22 안장왕(安藏王) 13
23 안원왕(安原王) 15
24 양원왕(陽原王) 15
25 평원왕(平原王) 32
26 영양왕(嬰陽王) 29 23년에 을지문덕이 수나라 군대를 크게 무찔렀다.
27 영류왕(榮留王) 25
28 보장왕(寶藏王) 27 27년에 당나라 및 신라의 공격을 받고 멸망했다.

백제 편집

백제
(31왕 678년)
대수 왕명 재위연수 적요
1 온조왕(溫祚王) 46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의 아들이다.
2 다루왕(多婁王) 50
3 이루왕(已婁王) 52
4 개루왕(蓋婁王) 39
5 초고왕(肖古王) 49
6 구수왕(仇首王) 21
7 사반왕(沙伴王) 1년 미만
8 고이왕(古爾王) 53
9 책계왕(責稽王) 13
10 분서왕(汾西王) 7
11 비류왕(比流王) 41
12 계왕(契王) 3
13 근초고왕(近肖古王) 30 26년에 평양을 공격하여 고구려 왕을 패사(敗死)시켰다.
이 왕 때에 처음으로 기록이 시작되었다.
14 근구수왕(近仇首王) 10
15 침류왕(枕流王) 2 원년에 불교가 처음으로 백제에 전래되었다.
16 진사왕(辰斯王) 8
17 아신왕(阿莘王) 14
18 전지왕(腆支王) 16
19 구이신왕(久爾辛王) 8
20 비유왕(毘有王) 29
21 개로왕(蓋鹵王) 21 21년에 고구려의 군대가 수도를 함락시키고 왕을 참수했다.
22 문주왕(文周王) 3 원년에 도읍을 공주(公州)로 옮겼다.
23 삼근왕(三斤王) 3
24 동성왕(東城王) 23
25 무령왕(武寧王) 23
26 성왕(聖王) 32 16년에 도읍을 부여(부여)로 옮겼다.
30년에 불상을 일본에 바쳤다.
27 위덕왕(威德王) 45
28 혜왕(惠王) 2
29 법왕(法王) 2
30 무왕(武王) 42
31 의자왕(義慈王) 20 20년에 당나라 및 신라의 공격을 받아 나라가 멸망했다.
32 풍장(豐璋) 2 일본에 의지하여 부흥을 꾀했지만 이루지 못했다.

고려 편집

고려
(34왕 475년)
대수 왕명 재위연수 적요
1 태조(太祖) 26 19년에 후백제를 멸망시키고 반도를 통일했다.
2 혜종(惠宗) 2
3 정종(定宗) 4
4 광종(光宗) 26
5 경종(景宗) 6
6 성종(成宗) 16 12년에 거란에 복속되었다.
15년에 처음으로 화폐를 주조했다.
7 목종(穆宗) 12 12년에 강조왕(康兆王)을 시해했다.
8 현종(顯宗) 22 9년에 강감찬이 거란군을 크게 격파했다.
9 덕종(德宗) 3
10 정종(靖宗) 12
11 문종(文宗) 37 이 왕 때, 명신 최충(崔沖)과 고승 대각국사 등이 배출되었다.
12 순종(順宗) 1년 미만
13 선종(宣宗) 11
14 헌종(獻宗) 1
15 숙종(肅宗) 10
16 예종(睿宗) 17
17 인종(仁宗) 24 4년에 금(金)나라에 복속되었다.
18 의종(毅宗) 24 24년에 무관(武官)들이 왕을 유폐시키고 문관(文官)들을 살육했다.
19 명종(明宗) 27
20 신종(神宗) 7
21 희종(熙宗) 7
22 강종(康宗) 2
23 고종(高宗) 46 19년에 몽고가 반도에 침입해 왔다.
같은 해에 몽고에 대해 고려를 신하로 칭했다.
24 원종(元宗) 15
25 충렬왕(忠烈王) 34 7년에 원(元)나라와 함께 일본을 공격하여 대패했다.
26 충선왕(忠宣王) 5
27 충숙왕(忠肅王) 17 이 왕 때에 원나라에서 주자학이 전래되었다.
28 충혜왕(忠惠王) 2
29 충숙왕(忠肅王) 8
30 충혜왕(忠惠王) 5
31 충목왕(忠穆王) 4
32 충정왕(忠定王) 3
33 공민왕(恭愍王) 23 이 왕 때, 신돈(辛旽)이 국정을 농단했다.
34 폐왕우(廢王禑) 14
35 폐왕창(廢王昌) 1
36 공양왕(恭讓王) 4 4년에 왕이 폐위되고 나라가 멸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