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논어/위정제이
이 문서는 다른 언어판의 문서(zh:論語/為政第二)를 번역 중입니다. 번역되지 않은 부분은 번역을 마치거나 삭제해 주세요. |
2-1 子曰:「為政以德,譬如北辰,居其所,而眾星共之。」
|} 2-1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덕으로써 정치를 행하는 것은 비유컨대 북극성은 그 자리에 머물고 여러 별들이 그것을 받드는 것과 같다.” 하였다.
2-2 子曰:「詩三百,一言以蔽之,曰思無邪。」
|} 2-2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시 300편[1]을 한마디로 하면, 생각에 거짓이 없다는 것이다.”[2] 하였다.
2-3 子曰:「道之以政,齊之以刑,民免而無恥;道之以德,齊之以禮,有恥且格。」
|} 2-3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정치로써 다스리고 형벌로써 다스리면, 백성은 (형벌에서) 벗어나도 부끄러워 함이 없다. 덕으로써 다스리고 예로써 다스리면, 부끄러운 줄을 알고 그에 더하여 잘못을 바로잡는다.” 하였다.
2-4 子曰:「吾十有五而志於學;三十而立;四十而不惑;五十而知天命;六十而耳順;七十而從心所欲,不踰矩。」
|} 2-4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나는 열다섯 살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 살에 홀로 섰으며, 마흔 살에 현혹됨이 없었고, 쉰 살에 하늘의 뜻을 알게 되었으며, 예순 살에 (무슨 일이든) 듣고 거스르지 아니하였고, 일흔 살에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좇아도 법도를 넘지 않았다.
2-5 孟懿子問孝。子曰:「無違。」樊遲御,子告之曰:「孟孫問孝於我,我對曰:『無違。』」樊遲曰:「何謂也?」子曰:「生,事之以禮;死,葬之以禮,祭之以禮。」
|} 2-5맹의자(孟懿子)[3]가 효(孝)를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거스리지 않는 것이다. ” 하였다. 번수(樊須)[4]가 수레를 몰고 있을 때, 공자께서 그것을 고하여 말하기를, “맹손이 나에게 효를 물으니, 나는 대답하기를 거스리지 않는 것이다.” 라고 하였다. 번지가 말하기를, “어찌 (그렇게) 말씀하시는지요?”라 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살아서는 예(禮)로써 그((부모))를 섬기고, 죽어서는 예로서 그를 장사지내며, 예로써 그를 제사지내라는 것이다.”
2-6 孟武伯問孝。子曰:「父母,唯其疾之憂。」
|} 2-6맹무백(孟武伯)[5]이 효에 대해 물으니,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부모는 오직, 그의 (자식이) 병이 날 것을 걱정한다.” 하였다.
子游問孝。子曰:「今之孝者,是謂能養。至於犬馬,皆能有養。不敬,何以別乎?」
|} 2-7자유(子游)가 효에 대해 물었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요즘의 효라는 것은 능히 봉양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개나 말에 관하여 말하자면, (그것들도) 모두 능히 기르기는 한다. 공경하지 아니한다면 무엇으로 구별하겠는가? ” 하였다.
子夏問孝。子曰:「色難。有事,弟子服其勞;有酒食,先生饌。曾是以為孝乎?」
|} 2-8 자하(子夏)가 효에 대해 물었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자식이 늘 부드러운) 얼굴빛으로 (부모를 섬기기는) 어렵다. 일이 있으면 제자가 그 수고를 행하고, 마실 것과 먹을 것이 있으면 선생께서 드시게 하는것이 효이겠느냐? ”
子曰:「吾與回言終日,不違如愚。退而省其私,亦足以發。回也不愚。」
|} 2-9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주석
편집- ↑ 《시경》의 311편의 시를 말한다.
- ↑ 《詩經》‧〈魯頌‧駉之什‧駉〉 “思無邪,”
- ↑ 맹의자(~기원전 481년)의 성은 희(姬)씨이다. 노(魯)나라 맹손씨(孟孫氏)의 제9대 종주(宗主)이며, 이름은 하기(何忌), 세칭 중손하기(仲孫何忌)이다. 시호는 의(懿)이다. 그는 맹희자(孟僖子)의 아들이고, 남궁경숙(南宮敬叔)의 형이다. 모친은 천구(泉丘)의 딸이다.
- ↑ 번수(기원전 515년 - ?, 《공자가어》(孔子家語)에 의하면 기원전 505년 출생). 자는 자지(子遲)이고, 노나라 사람이며, 공자의 제자이다. 그는 공자에 비하여 약 삼사십세 어리다.
- ↑ 맹무백(孟武伯)은 노나라 맹손씨(孟孫氏) 제10대 종주(宗主)이다. 희성(姬姓)이며, 이름은 체(彘), 세칭 중손체(仲孫彘)이다. 그는 맹의자(孟懿子)의 아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