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사/고대사회의 발전/삼국의 성립과 발전/고대문화의 발전
고대문화의 발전〔槪說〕
편집한문학의 발전
편집삼국 시기에는 한자가 널리 보급되었다. 한자가 처음 전래된 것은 중국의 철기문화와 함께였다고 여겨진다. 기원전 2세기에 진국에서 한나라에 외교문서를 보내려는 것을 위만조선이 가로막은 일이 있었다. 보다 더 구체적인 예로서 기원전 1세기 유적인 경상남도 창원시 다호리의 무덤에서 붓이 출토되어, 이미 한자가 보급되었음을 알려준다.그러나 한자를 사용해 본격적으로 문자생활을 하게 된 것은 삼국 시기부터였다. 삼국이 자체의 국가체제를 정비하고 운영해나가기 위해 능동적으로 선진 중국문물을 받아들이려고 노력함에 따라 한자를 본격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율령의 반포와 함께 한문 소양이 관리에게 필수적인 요소가 된 것이다. 특히 불교가 수용되어 한역(漢譯) 불경이 보급됨으로써 한문에 대한 이해가 촉진되었으며, 승려들은 당대 최고의 지식인으로서 한문의 보급에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고구려에선 372년에 세워진 태학과 청소년 조직의 경당(?堂)에서, 그리고 신라에서는 화랑도(花郞徒)에서 한문 경전을 가르친 것으로 여겨진다. 오늘날 전해지는 고구려의 광개토왕릉비, 백제의 북위에 보낸 국서(國書), 진흥왕순수비(眞興王巡狩碑) 등은 5
6세기 삼국의 한문학 수준을 보여준다.백제의 귀족인 사택지적(砂宅智積)이 만년에 불당을 세운 것을 기술한 바와, 고구려의 유명한 장군 을지문덕(乙支文德)이 전장에서 수나라의 장수에게 보낸 한시는 삼국말기 귀족들 사이에서 한문학 소양이 생활의 일부분이 되었음을 보여준다.삼국 시기 한문학의 대표적인 것은 사서(史書)이다. 백제에선 4세기 중엽 고흥(高興)이 처음 『서기(書記)』를 편찬하였고, 백제말기까지 여러 사서가 편찬되었다. 이러한 백제의 사서들은 일본에 전해져 큰 영향을 끼쳤다. 신라에서도 545년 거칠부(居柒夫)가 『국사(國史)』를 편찬하였다. 고구려에서는 4세기 후반 소수림왕대에 사서가 편찬되었고, 600년에는 이문진(李文眞)이 『신집(新集)』을 편수하였다. 이 시기 편찬된 사서는 기본적으로 왕실의 내력과 국가의 성장과정을 기술하여, 그 정통성과 존엄성을 합리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을 것이다. 또한 왕실과 귀족집안의 내력을 보여주는 각종의 신화와 설화가 풍부히 기술되어 있어 고대 문학의 호수와 같은 것이었다고 여겨진다. 이 시기에 사서가 편찬된 것은 고대국가의 성장을 말해주는 기념비적인 것으로, 이들 사서 가운데 현전하는 것은 없으나, 그 내용은 몇 단계의 전승을 거쳐 기록된『삼국사기』와 그 밖의 후대 사서의기사를 통해 짐작해볼 수 있다.한편 한문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언어생활의 이중성이 초래되었다. 중국어와 우리말의 언어구조가 판이하고 한자가 표의문자이기 때문에, 구어(口語)와 문어(文語)가 일치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불편함을 완화하기 위해 생겨난 것이 차자표기법(借字表記法)으로, 이는 한자의 음과 훈(訓, 새김)을 빌려서 우리말을 기록하는 방법이다. 이런 표기법은 고구려에서 먼저 생겨났고, 신라에 전해져 발달하였다. 처음에는 인명이나 지명·관명 등 고유명사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다가, 이어 우리말의 토씨를 한자로 다는 형식이 나타났고, 뒤에는 우리말의 어순에 따라 한자를 배열해 서술하는 형태로 발달하였다. 이런 표기법을 이두(吏讀) 또는 향찰(鄕札)이라 하였다.이런 이두로 씌어진 신라의 시(詩)가 곧 향가(鄕歌)이다. 현전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향가는 진평왕(眞平王)대에 씌어졌다.
미술의 발전
편집현존하는 삼국 시기의 미술품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과 벽화이고, 다른 하나는 불상과 탑 등 불교미술품이다.고분벽화는 고구려의 것이 대부분이고 백제·신라·가야의 것은 많지 않다. 4세기 이후 출현한 고분벽화는 처음에는 죽은 이의 생시의 생활상을 담은 것이 많았으며, 이어 불교신앙을 강하게 반영한 것이 나타났다.6세기 이후에는 점차 신선도(神仙圖)와, 사방을 진호(鎭護)한다고 여긴 상상의 동물인 청룡(靑龍)·백호(白虎)·주작(朱雀)·현무(玄武) 등을 그린 사신도(四神圖)가 중심이 되어갔다. 초기에는 무덤의 돌방(石室)의 벽면과 천장에 흰 회를 바르고 그 위에 그림을 그렸으나, 후기에는 벽면의 돌을 잘 다듬은 뒤 그 위에 직접 그렸다. 화려하고 강렬한 채색과 약동하는 힘을 담은 고구려 고분벽화는 같은 시기 동아시아 회화 중에서 빼어난 예술성과 역사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고분 출토 유물로는 금관을 비롯해서 다양한 금속공예품과 유리제품·토기 등이 있다. 그 중 신라 금관은 그 양식이 시베리아의 샤먼의 관과 통하는 점을 지니고 있어, 불교 수용 이전 시기 신라문화의 성격의 일면을 전해 주고 있다. 유리제품은 유리의 질과 제품의 양식이 서남아시아 지역의 것과 연결되며, 토기 양식 중에도 그러한 요소가 보인다. 이런 유물들을 통해 삼국 시기의 문화가 지닌 국제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삼국 시기의 불상은 양식 면에서 북중국의 그것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는데, 점차 이를 주체적으로 소화하여 개성적인 면을 보여주게 되었다. 이 시기의 다양한 불상 중 신비의 미소를 머금은 채 한쪽 다리를 무릎에 올려놓고 사색에 잠긴 모습으로 앉아 있는 「금동미륵반가사유상(金銅彌勒半跏思惟像)」은 빼어난 걸작품이다. 또한 서산에 있는 백제 마애삼존불(磨崖三尊佛)의 소박하고 티없이 해맑은 웃음은 보는 이로 하여금 아늑하고 포근한 느낌을 갖게 한다.탑은 초기엔 다층의 목탑이었는데, 7세기 이후로 이 땅에 풍부한 화강암을 재료로 한 5층과 3층의 석탑이 세워졌다. 익산에 있는 미륵사 다층석탑은 목탑의 구조를 그대로 지닌 석탑으로서, 목탑에서 석탑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면모를 잘 보여준다.삼국 시기의 주요 건축물로서 성을 빼놓을 수 없다. 성은 당시 사람들이 가장 많은 노력을 기울인 구조물이었다. 삼국의 영역 내에 현전하는 성만도 수백개에 이른다. 당시의 성에는 평지성과 산성이 있었는데, 대부분은 자연지세를 이용해 산의 능선을 따라 축조한 산성이며, 쌓은 재료에 따라 석성(石城)과 토성(土城)으로 나누어진다. 현존하는 일부 석성의 위용을 통해, 당시 발달한 토목·건축기술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다.
불교신앙
편집불교가 고구려에 전해진 것은 4세기 후반 소수림왕대였다. 백제에는 이보다 조금 뒤에 남중국으로부터 전해졌다. 양국에서는 불교가 왕실의 적극적인 지원하에 별다른 마찰 없이 수용되었다. 이와는 달리 신라의 경우 불교가 고구려로부터 전해졌으나 상당한 마찰과 진통을 거친 후 6세기 전반 법흥왕(法興王)대에 와서야 공인되었다.불교가 처음 삼국에 수용되었을 때, 그 초기 신앙 형태는 교리에 대한 이해에 바탕을 둔 것이라기보다는 주술적이고 현세기복적(現世祈福的)인 성격이 두드러진 것이었다. ‘불교를 믿어 복을 구하라’는 391년의 고구려 고국양왕(故國壤王)과 392년 백제아신왕(阿莘王)의 하교(下敎)는 그러한 불교 이해의 일면을 보여준다. 화를 피하고 복을 부르는 것은 삼국의 재래 무속신앙에서도 공통된 요소로서, 불교는 전래 초기 이런 측면에서 이해되고 수용된 것이다. 이러한 점은 당시 사원 건축물의 배치구조를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498년에 세워진 금강사(金剛寺)로 여겨지는 평양의 청암동 절터의 경우를 보면, 남북으로 일직선상에 중문(中門)·탑·금당(金堂)이 있고, 탑과 금당의 평면적의 비율이 0.7대 1이다. 탑은 평면적의 비율이 후대의 그것에 비해 매우높고, 사원의 구조에서 중심적인 위치에 있었다. 6세기의 백제와 신라의 사원에서도 비슷한 면이 확인된다. 이런 가람 배치와 탑의 비중은, 석가모니의 사리(舍利)나 그와 연관된 물건을 봉안하는 곳으로 여겨진 탑이 당시인의 주요한 신앙 대상이었음을 말해준다. 이는 또 당시의 신앙이 석가모니의 설법 내용과 해탈을 위한 자신의 수행보다는, 사리의 영험에 의거하려는 신비적이고 기복적인 면이 강했음을 말해준다. 삼국 시기에 불교의 한 유파로서 주술성이 강한 밀교(密敎)가 크게 성행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삼국 시기 불교의 또다른 주요 특성은 왕실불교 내지는 국가불교적인 면이다. 불교가 수용될 무렵 삼국은 중앙집권적인 국가체제를 구축해나가고 있었다. 그에 따라 삼국의 지배층은 확대된 영역 내에 포괄된 여러 주민집단들이 지녀온 재래의 잡다한 신앙과 고립적인 의식의 공간들을 한 단계 고양된 차원에서 융합하고, 강화된 왕권의 정통성을 합리화하며 이를 장엄하게 수식해줄 수 있는, 보편성을 지닌 종교가 필요하였다. 때문에 삼국의 왕실은 불교의 진흥을 적극 지원하였고, 불교 승려들은 왕권의 존엄을 강조하고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함양하는 일에 능동적으로 임하였다. 이 같은 점은 전래될 당시의 불교의 성격에 의해 촉진되었다.원래 인도에서는 국가의 불교의 관계가 불교교단은 정법(正法, dharma)을 지키고 전승하며 국가는 그 법을 활용하는 것이었는데, 양자는 정법을 통해 연결되었다. 그래서 불법(佛法)은 왕법(王法)과 공존하며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불교 전래 초기부터 양자간에 갈등이 빚어지다가 불법이 왕법 아래 굴종케 되었다. 특히 4세기 이래 북중국에서 전개된 혼돈과 전란의 와중에서, 승려들은 호족(胡族) 출신 왕조와 밀착하여 그 보호 밑에서 불교를 전파하였다. 그에 따라 승려는 왕권 아래에 굴종하였으며 ‘왕즉불(王卽佛)’의 논리로써 왕실의 존엄과 신성함을 찬양하는 데 복무하였다. 북중국의 불교를 받아들인 고구려에선 불교가 전래 초기부터 왕실과 밀착하였고, 국가불교적인 색채가 농후하였다. ‘왕이 곧 부처’라는 주장은 왕이 천손(天孫), 즉 하늘님의 자손이라는 재래의 관념과 연결되어 쉽게 받아들여지기도 하였다. 그런 면은 삼국 중 상대적으로 후진지역이었던 신라에서 더 현저하게 나타났다. 신라의 왕실이 석가모니 집안의 환생(還生)이라고 하거나, 진흥왕(眞興王)을 정법을 펼치는 위대한 정복군주의 전륜성왕(轉輪聖王)이라고 한 것은 대표적인 예이다.6세기 전반의 법흥왕에서 7세기 전반의 진덕여왕(眞德女王)에 이르는 신라 왕의 이름이 모두 불교식이었다. 신라의 승려들은 당시 가장 앞선 지식층으로서 왕을 수행하며 조언을 하고, 군대에 종군하기도 하였으며, 외교문서를 작성하는 등 정치·군사적인 면에서 주요 역할을 담당하였다. 또한 사찰에서는 외적으로부터 국가가 보호되고 전사한 이들의 영혼이 왕생극락하기를 기원하는 백고좌회(百高座會)와 팔관재회(八關齋會)와 같은 법회들을 국가적 행사로 개최하였다.곧 왕과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불교 교의와 의례를 통해 함양하고 일체감을 도모하였다. 청소년조직인 화랑도에 승려가 배치되어 낭도의 정신적인 교화를 담당하였는데, 그 교화의 내용도 이와 같은 차원의 것이었을 것이다. 즉 신라에서 호국(護國)은 호법(護法)과 동일시되었다. 고구려나 백제도 비슷했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신라의 백고좌회와 팔관재회가 고구려에서 넘어온 승려 혜량(惠亮)에 의해 처음 열렸다는 것을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다.
사택지적비
편집砂宅智積碑
백제 의자왕 때 사택지적이라는 사람이 인생의 덧없음을 서글퍼하며, 금으로 법당, 옥으로 탑을 세운 후 기념으로 세운 비석인데, 높이 102m, 너비 38cm, 두께 29cm인 비에 56자가 남아 있다. 문체는 사륙변려체이고 글씨체는 구양순체이며 현재 국립부여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유기』
편집留記
고구려의 역사서. 국초에 문자를 처음 사용할 때 편찬된 것 같다. 연대·찬자(撰者)는 알 수 없으나 영양왕 때 태학박사(太學博士) 이문진(李文眞)이 명을 받아 『유기』 100권을 요약하여 『신집(新集)』 5권을 편찬하였다는 기록이 보일 뿐이다.
『서기』
편집書記
백제의 역사를 기록한 책. 근초고왕(近肖古王) 때 박사 고흥(高興)이 저술했다고 하나 전하지 않는다. 고흥은 근구수왕 1년(375) 처음으로 박사가 되고, 최초로 글자를 기록할 줄 알아서 서기를 편찬했다. 그 외에도 『백제기(百濟記)』, 『백제신찬(百濟新撰)』, 『백제본기(百濟本記)』 등을 지었다고 하나 전하지 않는다.
『국사』
편집國史
신라의 역사를 기록한 책. 신라의 상대등(上大等)이었던 거칠부(居柒夫)가 진흥왕 6년(372) 왕명으로 지었다고 하나 전하지 않는다.
태학
편집太學
고구려 때 국가에서 세운 유학 교육기관. 고구려에 교육기관이 설치된 것은 소수림왕 3년(545).
태학에서는 중국의 경학과 문학(文學)은 물론 무예도 교육하였으리라 짐작되며, 여기에서는 주로 귀족 자제가 입학하여 교육을 받았다.
경당
편집?堂
고구려의 사학 교육기관(私學敎育機關). 태학이 상류층의 자제를 모아 유학을 중심으로 교육하는 관학(官學)인 데 대해, 후기에 설치된 경당은 일반 평민층이 그들의 자제를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했다. 여기에서는 경전(經典)과 궁술(弓術)을 가르쳤다. 평양 천도 이후 경당은 각처에 설치되어, 문무를 겸비한 인재를 양성하였다.
오경박사
편집五經博士
백제 때 시·경·주역(周易)·예기(禮記)·춘추(春秋) 등에 능통한 사람에게 주던 박사의 칭호. 백제에는 일찍부터 박사 제도가 있었는데, 고흥이 최초의 박사였다. 오경박사 이외에도 여러 가지 명칭의 박사가 있었으나 오경박사가 가장 중요시되었으며, 이들은 특히 일본에 초빙되어 문명을 계발(啓發)하는 데 공헌하였다.
아직기
편집阿直岐
백제 근초고왕 때 일본에 건너간 학자. 아직기는 근초고왕의 명으로 2필의 말을 끌고 일본에 건너가 일본왕에게 선사한 후 말을 기르는 일을 맡아보았다. 그러다 그가 경서에 능한 것을 보고 일본왕이 태자의 스승으로 삼았다. 그가 일본왕에게 추천해서 왕인(王仁)도 일본에 초청되었다 한다. 일본 유학(儒學) 발전의 초보를 마련하는 데 영향이 컸다.
왕인
편집王仁
백제 근구수왕 때의 학자. 왕의 명으로 진손왕(辰孫王)과 함께 『논어(論語)』 10권, 『천자문(千字文)』 1권을 가지고 일본에 건너갔다. 해박한 경서의 지식으로 일본 오오진주(應神王)의 신임을 얻어 태자의 스승이 되었다. 일본의 문화를 깨우친 그는 물론 그의 자손도 대대로 일본에 살면서 학문에 관한 일을 맡아보았다. 일본의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아도
편집阿道
고구려의 중. 일명 아도(我道)·아두(阿頭), 5세에 출가하여 16세 때 위(魏)에 가서 아버지 굴마(堀摩)에게 근친(覲親)하고, 19세 때 다시 고구려에 돌아와 어머니 고도령(高道寧)의 명에 의하여 미추왕 2년(263) 신라 왕가에 불교를 전파하려다 실패했다.그 후 3년 동안 일선현(一善縣, 善山) 모례(毛禮)의 집에 숨어 있었으나 성국공주(成國公主)의 병을 고쳐준 공으로 그때부터 불교의 전도를 허가받고 흥륜사(興輪寺)를 지었다. 미추왕이 죽은 후 사람들의 미움을 사 다시 모례의 집에서 땅굴을 파고 들어앉아 죽었다. 아도는 묵호자(墨胡子)와 같은 사람으로 묵호자는 아도의 별명이라는 설이 있다.
관륵
편집觀勒
백제의 고승. 삼론(三論)에 대한 연구가 깊었고, 외학(外學)에도 뛰어났다. 문무왕 3년(602) 불교 외에 역본(曆本)·천문(天文)·지리(地理) 및 둔갑방술(遁甲方術)의 책을 가지고 일본에 건너가 천황의 환대로 원흥사(元興寺)에 있으면서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였다. 삼론의 학장(學匠)인 그는 일본 불교계의 지주가 되었다.
겸익
편집謙益
백제의 명승. 성왕 4년(526) 인도 상가나대률사(常伽那大律寺)에 이르러 범문(梵文)과 축어(竺語)를 익혀 율부(律部)를 깊이 공부하고 범승(梵僧) 배달다삼장(倍達多三藏)과 더불어 범본 아곤담장(阿昆曇藏)과 오부율문(五部律文)을 가지고 귀국했다. 왕의 환대를 받고 흥륜사(興輪寺)에 있으면서 명승 28명을 소집하여 율부 72권을 번역하였다. 이리하여 예의와 의식에 치중하는 백제 불교의 특징이 이루어졌던 것이다.
이차돈의 순교
편집異次頓-殉敎
신라 법흥왕 때 중 이차돈이 불교를 위해 순교한 사건. 이차돈은 법흥왕의 근신(近臣)으로서 일찍부터 불교를 신봉했으며, 벼슬이 내사사인(內史舍人)에 올랐다. 당시 법흥왕은 불교를 국교(國敎)로 하고자 했으나 재래의 무교(巫敎)에 젖은 귀족들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있었다. 이때 이차돈은 혼자 불교의 공인(公認)을 주장하다가 순교를 자청하여 마침내 주살당했다. 만일 부처가 있다면 자기가 죽은 뒤 반드시 이적(異蹟)이 있으리라고 예언했는데, 과연 죽은 뒤 잘린 목에서 흰 피가 나오고 하늘이 컴컴해지더니 꽃비가 내리는 기적이 일어나 신하들도 마음을 굽혀 불교를 공인하게 되었다 한다.
황룡사
편집黃龍寺
경주에 있던 신라 시대의 절. 경주에서 가장 컸던 사찰. 진흥왕 14년(553) 왕명에 의해 세워졌다. 동왕 27년(566) 일단 준공되었고, 그 후 92년이 지난 선덕여왕 14년(645) 완성되었다.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로 유명했으나 고려 고종 25년(1238) 몽골의 병화로 불탔다.
신륵사
편집神勒寺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상교동(上橋洞)에 있는 절. 신라시대의 창건으로 추측. 1376년(우왕 2)에 나옹왕사(懶翁王寺)가 입적한 곳으로 1379년(우왕 5)에 각신(覺信)·각주(覺珠) 등이 이 절을 크게 짓고, 나옹의 부도(浮屠)를 세웠다. 1440년(세종 22)에 중수. 1473년(성종 4)에 국가에서 확장하여 영릉 원찰(英陵願刹)로 삼고 보은사(報恩寺)라 개칭했다. 1671년(현종 12)에는 계헌(戒軒), 1702년(숙종 28)에는 위학(偉學)·천심(天心) 등이 중수하였다. 신륵이라고 이름짓게 된 것은 신기한 미륵(彌勒), 또는 나옹선사가 신기한 굴레로 용마(龍馬)를 막았다는 전설에 의한 것이라고 전한다. 이 절에는 다층석탑(보물 225호)·다층전탑(보물 226호)·보제존자석종(普濟尊者石鐘:보물 228호)·보제존자석종비(普濟尊者石鐘碑:보물 229호)·대장각기비(大藏閣記碑:보물 230호)·보제존자석등(보물 231호)·조사당(組師堂:보물 180호) 등이 있다.
신라와당
편집新羅瓦當
초기의 것은 월성(月城)·남산성(南山城)·황룡사지(皇龍寺址) 등에서 발견되는데 중국 육조(六朝)시대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백제의 와당과 성질이 같다. 가장자리의 테두리는 두껍고 높으며, 바탕에는 연꽃 무늬를 양각(陽刻), 꽃잎은 여덟이 보통이고 화탁(花托)은 비교적 작은데 6
7개의 꽃씨가 놓여 있다. 신라 후기에는 파와(巴瓦)·당초와(唐草瓦)·귀와(鬼瓦)·치와(?瓦)·평와(平瓦) 등 여러 종류의 기와를 만들었는데 그 중 파와·당초와가 특히 우수하다. 파와는 연꽃무늬가 가장 많고 당초와에는 인동(忍冬) 무늬·보상화(寶相花) 무늬·포도 무늬·연당초(蓮唐草) 무늬·국(菊)당초 무늬·구름 무늬·불꽃 무늬 등을 많이 사용하고 천인(天人)·기린(麒麟)·봉황(鳳凰)·서금(瑞禽)·짐승 등을 무늬놓은 것도 있다. 귀와는 짐승의 얼굴 무늬가 많고, 평와는 직선 무늬·곡선 무늬가 있으며 무늬가 없는 것도 있다. 후기의 와당은 분황사(芬皇寺)·백률사(栢栗寺)·불국사(佛國寺)·석굴암(石窟庵) 등에 남아 있다. 이들 후기의 와당은 초기에 웅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 데 반하여 섬세하고, 세련된 기교를 발휘한 것이 특징이다.
보덕
편집普德
고구려 보장왕(寶藏王) 때의 중. 평양의 영탑사(靈塔寺)를 지었으며 반룡산(盤龍山) 연복사(延福寺)에도 있었다. 도교(道敎)가 당나라에서 들어오면서 불교가 쇠퇴할 때 보덕은
백제에 가서 전주에 경복사(景福寺)를 세우고 열반종을 강론하였는데, 우수한 제자 11명이 각각 절을 세워 열반종을 포교했다.
원광
편집圓光 (542
640)
신라의 고승. 제자백가(諸子百家)·사서삼경(四書三經)·춘추(春秋)·사기(史記) 등을 읽고 불경을 공부하여 진흥왕 27년(526) 중이 되었다. 진지왕 3년(578) 중국의 진(陳)에 건너가 『열반경(涅槃經)』, 『성실론(成實論)』을 배우고 여러 경전을 연구, 불경을 강의하여 이름이 높았다. 또한 수나라에 가서 여러 경전을 배웠으며, 진평왕 22년(600) 귀국하여 『여래장경사기(如來藏經私記)』, 『대방등여래장경소(大方等如來藏經疏)』 등을 지어 신라에 새로운 불교 지식을 전했다. 그 후 청에 의하여 세속오계(世俗五戒)를 화랑도의 실천 이념이 되게 했다. 진평왕 30년(608) 왕명으로 걸사표(乞師表)를 지어 수나라에 출병을 요청했다.
백결선생
편집百結先生
신라 거문고의 명수. 자비왕 때 경주 낭산(浪山) 기슭에 살았는데 몹시 가난하여 옷을 백군데나 기워 입었기 때문에 백결선생이라 불리었다고 한다. 섣달 그믐날 떡방아 대신에 아내에게 들려주었다는 대악(?樂)은 특히 유명하다.
우륵
편집于勒
신라 때의 악사(樂師). 대가야 사람으로 가실왕의 총애를 받았다. 12현금(絃琴, 가야금)을 만들고 12곡을 지었다. 진흥왕 12년(551) 신라에 투항(投降)하여 왕에게 명성이 알려져 하림궁(河臨宮)에서 제자 이문(尼文)과 함께 새 곡을 지어 연주했다. 이 에 감동한 진흥왕의 배려로 국원(國原, 충주)에서 살게 되고, 계고(階古)에게는 가야금을, 법지(法知)에게는 노래를, 만덕(萬德)에게는 춤을 가르쳤다.그 후 진흥왕에 의하여 가야금곡이 궁중 음악이 되었다.
왕산악
편집王山岳
고구려 거문고의 대가. 양원왕 8년(552) 제2국상(國相)으로 진나라에서 들어온 칠현금(七絃琴)을 개조, 1백여 악곡을 지어서 연주하자 현학(玄鶴)이 날아와 춤을 추었다고 한다. 이에 칠현금을 현학금이라 하였으며, 오늘날의 거문고(玄琴)이다.
광개토왕비
편집廣開土王碑
만주 봉천성 집안현 통구(奉天省輯安縣通溝)에 있는 고구려 제19대 광개토왕의 비석.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이라고 씌어 있다. 높이 약 6.27m의 응회암(凝灰岩)으로 된 이 비석은 장수왕 2년(114)에 세워진 것으로서 광개토왕의 일대기(一代記)를 약 1,800자(字)의 대문장(大文章) 속에 담고 있어서 중요한 사료(史料)가 된다. 또한 전한(前漢) 예서(隸書)의 서풍으로 기록되어 있어 금석문 연구의 좋은 자료가 된다.
장군총
편집將軍塚
만주 즙안현의 통구 평야 토구자산(土口子山)의 중허리에 있는 석총(石塚). 산 아래에 유명한 광개토왕비가 있으며, 이 석총묘를 광개토왕의 능이라고 보는 학자들이 많다. 이 묘는 모가진 축단으로 기단(基壇)의 한 변이 약 33m, 높이 약 」13m이며 7층의 단계식 피라미드형을 하고 있다. 기단의 각 면에는 길이 3m의 자연석을 3개씩 세웠으며 정부(頂部)는 만두형(饅頭形)을 하고 상단부에 1열의 구멍이 있어 정상에 건축물이 있었음을 보여준다.안팎 전부를 화강석으로 쌓아올린 석축릉으로 구조가 정연하고 규모가 매우 장대하다. 이 묘는 일찍이 도굴당한 듯하여 아무런 부장품이 남아 있지 않으며, 축석분으로서 거의 안전한 모양을 갖추고 있는 유일한 것이며, 중국에서도 볼 수 없는 독특한 양식이다. 내부구조를 살펴보면, 석실의 위치는 높고 밑으로부터 3단째 단을 상(床)으로 하고 있다. 최상단의 상면(上面)과 거의 같은 높이에 장방형의 거대한 1매의 천정석이 있으며, 연도는 서남방으로 있으며 천장은 큰 돌 3매로 되어 있다. 현실의 4벽은 6단으로 쌓고 각 벽의 위에는 굵고 모진 기둥을 옆으로 높여서 천정석으로 받치고 있다. 현실의 크기는 가로·세로의 높이가 모두 5m 이상이며 상(床)으로 오기(基)의 관대(棺臺)가 있으며, 기단의 4주에는 넓이 4m의 돌을 두르고 자갈로 채워져 있다. 4벽과 천장에는 본래 칠을 하였으며 벽화가 있었던 흔적이 보이나 지금은 전부 박락(剝落)되고 없다. 각 층의 외부에는 기와로 덮었던 것으로 생각되나 모두 무너지고 잡초만이 무성하다. 이 무덤은 적석총의 일종인 적석분의 대표적인 것이다.
쌍영총
편집雙楹塚
평남 용강군 지운면 안성리(池雲面安性里)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토총. 복잡한 구조의 석실로 된 고구려의 벽화분(壁畵墳)으로, 남쪽으로 뻗은 깊이 3m의 연도(羨道)를 따라나가면 그 다음에 약 2.3m 4방의 전실(前室)이 있고 더 들어가면 약 3m 4방의 현실(玄室)이 있다. 전실·현실 모두 고구려 특유의 괴임식(持送式) 천장을 이루었으며, 양 실(室) 중간 도로의 좌우에는 8각형의 돌기둥 한 쌍(雙)이 세워져 있어서 쌍영총이란 이름이 연유되었다. 쌍영총의 현실과 전실 사이에 세워진 팔각(八角)의 두 석주(石柱)와 또 그림으로 나타낸 천장의 장식은 고구려의 건축 양식을 엿보게 한다. 이 분묘는 고구려 후기 건축의 호화를 보인 것으로 석실의 구조가 아주 기발한 것 외에도 당시의 풍속을 말해 주는 남녀거마(男女車馬)의 그림이 많아 고구려 고분 중에서도 특히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분은 통구의 서강(西岡) 61호, 62호, 삼실총(三室塚), 평양 근교의 강서우현리 고분(江西遇賢里古墳) 매산리 사신총(梅山里四神塚) 등이 있다.
금관총
편집金冠塚
경북 경주시 노서동 소재. 경주시 남방 평지에 거대한 봉토가 즐비하게 있는데 그 고분 중의 하나이다. 1921년에 발견되어 금관을 비롯하여 황금 귀고리·초두(?斗)·허리띠와 곡옥(曲玉)·유리잔·칠기 따위가 출토되었다. 금관총의 원형은 직경 50m, 높이 13m 정도로 고대 신라의 특유한 적석총으로 속에 목곽이 만들어졌고, 옻칠한 목관이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개마총
편집鎧馬塚
평남 대동군 대성산(大成山) 기슭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고분(古墳). 벽화는 사신도(四神圖) 외에 무사도(武士圖)가 있는데, 이 무사도에는 보관(寶冠)을 쓴 무사가 서 있고, 그 옆에는 안장을 씌우고 재갈을 물린 말을 붙잡고 서 있는 하인이 있다. 「원왕간개마지상(原王看鎧馬之像」의 7자가 보인다.
백제탑
편집百濟塔
백제 시대의 유명한 석탑. 부여에 있으며, 일명 정림사지탑(定林寺址塔)이라 한다. 대당평 백제기(大唐平百濟記)에 의해 한때 평제탑(平濟塔)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총높이 8.33m의 이 5층 석탑은 최하부에 지대석이 있고, 그 주위 하부에 지반석이 있으며, 지대석 위에 신라식 기단(基壇)을 작게 한 것 같은 기단이 있다. 이 탑은 미륵사탑에서 시작된 백제석탑의 형식을 정비 정형화(定型化)한 것으로 백제석탑의 전형적 형식을 보여 준다. 백제석탑의 형식은 이후 다소의 세부 변화는 있었으나 고려시대까지 계속 계승되었다.
백제고분
편집百濟古墳
백제 시대의 무덤. 백제의 옛 서울이던 지금의 광주·고양·여주 등지에 산재해 있다. 적석총·토총·적석목곽식·횡혈식 등이 있다. 특히 횡혈식 고분은 현실·연도까지 만들어져 있다. 충남 공주 주외면 송산리 구릉에 다수가 남아 있는데, 사방을 돌로 쌓아 칠을 하고 궁륭형의 현실을 만든 횡혈식 고분이다. 특히 6호분은 횡혈식 전축으로, 문양이 박힌 전(塼)으로 사면을 쌓고, 궁륭형 천장을 만들고, 전축 관대를 설치, 배수구까지 만들었다. 사신일월도 등의 벽화가 있으며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미륵사탑
편집彌勒寺塔
백제석탑의 소위 시원형식(始源形式)이라고 불리며 여러 가지 점에서 한국석탑 전체의 출발점이라고 하는 이 석탑은 조형(造形) 연대가 백제 무왕 때로 추정된다. 화강암을 사용한 이 석탑은 신라식 석탑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 기단(基壇)이 없이 지복석(地覆石)으로 구획된 방형 기단에 사방 3간(間)의 다층탑을 쌓아올린 것이다. 지금 동벽 및 북벽 일부만을 제외하고는 모두 붕괴되고 층수도 6층밖에 없다. 현재의 높이는 14.2m로 원래는 7층 내지 9층이었다고 생각되는 한국 최대의 석탑이다. 이 석탑은 목조(木造) 건물의 석재에 의한 모습으로 백제시대의 목탑 모습을 잘 보여준다.
서산마애석불
편집瑞山磨崖石佛
백제 후기에 있어서 중국 및 고구려와의 해상교통을 통한 불교 문물 수용의 요지였던 서산에 있는 석불. 운산면(雲山面)의 운산마애석불은 중앙에 여래입상의 거구(巨軀)를 양각(陽刻)하고 그 향좌(向左)에 보살입상, 향우(向右)에 반가사유형 보살좌상(反跏思惟形菩薩坐像)을 배치하였다.삼존에 나타난 고졸(古拙)한 미소는 백제 불상의 특이상(特異相)으로 지적된다. 태안마애석불과 함께 일반적인 방식을 벗어나서 좌우에 여래입상을 두고 작은 보살입상을 배치한 것으로 양식은 운산마애석불과 유사하다. 이 두 마애석불은 깊은 산의 암벽을 택하여 조형되었으며, 부근에 소암(小庵)을 경영하고 있어서 한국 석굴사원(石窟寺院) 조영(造營)의 시원적 형태를 보인다.
익산미륵사지
편집益山彌勒寺址
사적 150호로 전라북도 익산군 금마면 기양리 소재의 백제 601년(무왕 2)에 세운 절터이다. 이 곳에는 미륵사지석탑(石塔 국보 11호)·미륵사지당간지주(幢竿支柱 보물 236호)외에 무왕과 선화공주(善花公主)의 설화가 깃든 유물과 유적 등이 1966년에 발굴되었다.
담징
편집曇徵 (579
631)
고구려의 승려·화가. 오경(五經)과 채화(彩畵)에 능숙하였다. 영양왕 21년(610) 중 법정(法定)과 함께 일본에 가서 오경, 채화, 공예 및 종이·먹·칠·맷돌 등을 만드는 법을 가르쳤다. 담징이 그린 법륭사(法隆寺)의 금당벽화(金堂壁畵)는 중국의 운강석불(雲岡石佛), 경주의 석굴암과 함께 동양 3대 미술품의 하나로 치나 1948년 불타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