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미술/한국미술의 흐름/한국 선사시대의 미술/금속문화의 유입
세형동검
편집細形銅劍
우리나라 청동기의 유물 가운데서 가장 특색 있는 유물이 동검이라 하겠는데 그 형태에 따라 세형동검과 동과(銅戈:크리스식 동검)로 나뉜다. 세형동검은 검신(劍身)이 매우 좁고 자루(劍莖)가 짧은 30cm 정도의 길이를 가진 단검이다. 끝은 뾰족하고 전체의 주성(鑄成)이 중후하며 동의 질이 견고하고 날이 날카로워 이기(利器)로서 적합하다. 검신과 자루(劍把)가 분리되고 검신기부(劍身基部) 가까이에 홈이 패어 있다. 분포는 전국에 걸쳐 있으며 지석묘나 옹관, 또는 목관을 넣었던 고분의 부장품(副葬品)으로 많이 발굴되고 있다.
동과·동모·동부
편집청동기시대의 여러 유물. 동과는 세형동검과 비슷한 모양이며 더 평평하고 강인하게 만들어진 과신(戈身)에 자루를 장착(裝着)하기 위하여 짧고 평평한 내(內)가 달린 창(槍)이다. 협봉(狹鋒)과 광봉(廣鋒)의 두 가지로 나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협봉의 동과만이 발견된다. 말레이인(人)의 크리스검과 비슷하다 하여 크리스식 동검이라 불리기도 한다. 동모도 역시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것은 협봉의 동모에 한한다. 창신이 가늘고 긴 것과 굵고 짧은 것 두 가지로 나뉘는데 앞의 것은 남한 및 일본 등지에서 뒤의 것은 북한과 중국 만주 등지에서 많이 출토된다. 창에 자루를 낄 구멍이 달려 있는 것이 우리나라에서 출토되는 전형적인 예이다. 분포는 전국적이며 동검과 같은 시대에 속하는 유물이다.
다뉴세문경
편집다뉴세선문경이라고도 불리는 청동기의 특수한 의기(儀器). 일본에서만 극소수가 발견될 뿐이며 중국식 거울과도 구별된다. 외연부(外緣部)가 반원형으로 되어 있거나 비면(匕面)을 이루고 있으며 노끈을 끼어서 잡는 꼭지가 뒷면(鏡背) 중앙부를 비켜서 두 개 내지 세 개가 나란히 있다. 뒷면의 무늬도 가느다란 선을 복합하여 톱니(鋸齒) 모양을 이룬 세선지문(細線地紋)이라는 점이 특이하다. 그 무늬에 따라서 조문식(粗紋式)과 정문식(精紋式)으로 구별된다.
동탁
편집銅鐸
마탁(馬鐸)을 확대해서 의기화(儀器化)한 것으로 추측되는 청동유물. 구조는 쳐서 소리가 나도록 되어 있지 않은 점으로 보아 악기의 일종으로 보기는 어렵다. 크기가 10cm 정도의 소형이 대부분이며 위로 올라가면서 좁아지는 탁신(鐸身) 위에 활모양의 손잡이가 있고 따로 안에 혀(舌)가 달리도록 되어 있다. 일본에 건너가서 대형 의기로 발전했다.
전형쌍령기·팔령기· 포탄형병두식
편집각종 동제 영구(鈴具). 전형쌍령기는 경상북도 월성 지구에서 동모와 함께 발굴된 이형(異形) 영구. 길이 13cm의 평평한 자루에 양쪽으로 쌍방울이 달린 횡지(橫枝)를 부착했고, 방울마다 네 개의 긴 구멍이 뚫렸으며 횡지 표면에는 편대문(編帶文)이 음각되어 있다. 북방의 스키타이 계통 문화의 특색이 엿보인다. 팔령기는 낙동강 유역에서 출토되었는데 팔각형의 판(板)을 중심으로 각 돌기부(突起剖)에 방울이 달리고 음선문(陰線文) 또는 와문(渦紋)이 장식된 다두형(多頭形) 영구 역시 월성 지구에서 발굴된 포탄형 영구는 포탄과 흡사한 통신(筒身)에 길게 네 구멍을 뚫고 방울을 넣은 것인데, 지휘봉의 머리 장식(頭飾=Pole top)이거나 동모의 자루에 꽂혔던 것으로 추측된다. 이들 영구들은 대체로 권력의 상징으로서 아니면 종교와 관계되는 의기로 쓰여졌을 것이다.
동물형 대구
편집動物形帶鉤
경상북도 영천 지구에서 발굴된 우리나라 최초의 조각품. 스키타이 계통 유목 문화의 특색을 현저하게 보이는 의장(意匠)이 특수한 동제 대구이며 호형대구(虎形帶鉤)의 두 가지로 구별된다. 전체의 길이 1.5cm의 마형대구는 꼬리와 머리부분이 원주(圓鑄)로 되고 나머지 반신만 주출(鑄出)된 대구로서, 가슴에서 긴 갈고리가 나와 따로 주조된 고리와 연결된다. 머리와 몸뚱이의 비례에 있어 머리를 체구에 비해 작게 표현한 점, 갈기(頸毛)를 치켜세운 점, 목을 굽게 한 점 등이 역동감(力動感)을 준다. 호형대구는 전체의 길이 19cm로서 마형보다 크나 솜씨는 빈약한 편이다. 원통형(圓筒形)의 약간 추상화된 대구로서 크게 벌린 입모양 때문에 호랑이임을 짐작할 수 있을 정도이다. 기하학적인 선문(線紋)으로 세부를 약하고 있다.
스키타이-오르도스 청동문화
편집靑銅文化
우리나라 청동문화의 배경을 이루는 북방의 청동문화. 스키타이 민족은 기원전 6-7세기경 흑해북안(黑海北岸)에 나타난 유목민으로서 그들은 이 지방을 근거지로 하여 고대 서방문화와 접촉하며 독특한 스키타이 문화를 형성하였다. 스키타이 미술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그 동적인 동물의장이라 할 수 있겠는데, 우리나라의 청동문화·낙랑문화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오르도스는 중국의 황하(黃河) 중간 지점에 위치하며 지역적으로 청동문화의 동서남북 교차로가 되어 은(殷)·카라스크·타가르·스키타이 등 여러 문화 요소들이 혼재(混在)하는 지역이었다. 오르도스 문화를 이룬 민족은 바로 사서(史書)에 등장하는 흉노족(匈奴族)이었는데, 이 오르도스 문화가 스키타이 문화를 흡수, 동류(東流)하여 우리나라의 청동문화를 형성하는 모체(母體)가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