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한국의 종교/한국의 기타 종교/한국의 신흥종교〔서설〕
韓國-新興宗敎〔序說〕 기성종교가 종교 본연의 사명을 다하지 못하고 부패할 때, 그리고 사회·정치·경제적인 혼란의 와중에서 필연적으로 신흥종교는 발생한다. 신흥종교(new-religion)라 함은 유교·그리스도교·불교·이슬람교 등 세계종교를 제외한 새로 일어난 종교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한국의 신흥종교의 경우 1860년 동학 이후에 발생한 것으로 외형상 종교 형성의 3대 요건인 교조(敎祖)나 교주(敎主), 교리(敎理), 그리고 교단조직을 갖추고 내용적으로는 어떤 초월적인 절대자와 관련하여 종교의 기능(function)을 수행하는 기성종교 이외의 종교단체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의 신흥종교는 역사적인 전환기나 사회적인 변동이 심할 때, 우후죽순격으로 집중적인 발생률을 보였던 이른바 위기의 종교(religion of crisis)요, 토마스 F. 오데아(Tnomas F. O'Dea)가 지적한 대로 하층의 중간계급들(lower middle classes)을 위한 서민의 종교(religion of the humbler classes)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신흥종교는 19세기말∼20세기초의 개항기, 일제강점기와 1960∼1970년대 산업화시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이들 신흥종교 집단이 발생하는 요인은 첫째, 기성종교가 급격한 사회변화에 직면하여 방황하는 사람들에게 구체적인 해답을 주지 못할 때 신흥종교는 그것이 비록 환상적이지만 그럴듯한 해답과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매력과 흥미를 느끼게 한다. 그 환상적인 유토피아의 연속이 비록 성취될 수 없을지라도 그 약속에 끌려 들어가고 싶은 것이 서민들의 입장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신흥종교는 눌린 사람, 억압받는 사람, 사회와 기성종교로부터 소외당한 사람들의 종교라고 볼 수 있다. 한 가닥 희망을 걸고 매달리는 곳이 바로 신흥종교 집단이다. 셋째, 기존가치의 상실과 생의 의미 상실로 인하여 쾌락을 추구하고 음주를 하며 마약을 즐기고 그 밖에 유사한 수단이 동원된다. 여기서 인간은 새로운 관심사를 찾게 되는데 이때 흔히 신흥종교가 그들 앞에 어필하게 된다. 넷째 정치·경제·사회적 혼란이 야기될 때 위기의식을 가장 민감하게 느끼는 사람들이 일으키는 반체제종교 운동으로 풀이할 수 있다. 다섯째, 기성종교에서 구체적인 이익과 욕구 충족에 실패한 사람들이 신흥종교에서 욕구충족을 꾀하고 있다. 신흥종교는 철저하게 현실적인 이익을 내세우고 약속하는 이익종교이므로 현실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생활종교이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신흥종교는 기복적(祈福的)이고 교조 숭배유형이며 매우 신비주의적이고 독선배타적이며 극히 현실적이고 복합적인 성격을 지닌 종교집단이라고 매듭 지을 수 있겠다. <卓 明 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독교와 불교는 1945년 이후, 자생종교는 1860년 이후 창립된 교단. ( ) 안은 소재미확인 멸실된 교단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