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언어I·한국문학·논술/삼국-통일신라의 문학/상고시대 문학/원시 예술의 태동

原始藝術-胎動

이 시대는 한국의 민족문화가 태동(胎動)하여 형성되어 가는 맹아기(萌芽期)라고 할 수 있다. 처음으로 우리 문학이 한국 고유의 정서를 간직하면서 출발한 처녀시대(處女時代)로, 태고 이래 민족의 이동에 따른 다른 민족과의 문화 교류가 시작되기 전 곧 외래 문화의 영향이 희박하던 문화의 출발기이다.

물론 미미한 외래 문화의 침입이 있다 하더라도 토착적(土着的)인 고유 문화 속에 이를 충분히 살려 외래 문화를 주체적으로 소화할 여유가 있었다. 그러면 이 시대의 한국문학은 어떠한 성격을 띠고 싹터 자라난 것인가.

지리적으로 한반도는 현재 북으로 압록강·두만강을 경계로 대륙과 접하고 있으며, 동남서의 삼면은 각각 동해·현해탄·발해·황해의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데, 고대에는 동북으로 만주 및 노령(露領)·연해주(沿海州) 일대 그리고 서북으로는 랴오둥 반도(遼東半島)에까지 그 판도가 미치고 있었다. 비옥한 토지와 아름다운 풍광(風光), 무궁한 자원(資源)을 갖춘 땅, 그리고 사계가 뚜렷한 온화한 기후 속에서 생활한 우리 고대인들은 평화롭고 슬기로운 민족성을 형성하면서, 특히 예술에 대한 뛰어난 관심과 재질을 발휘했다.

오늘날 각처에 남아 있는 고대의 유물을 통해 볼 때, 우리의 선인들이 한반도에 이주하게 된 것은 대략 신석기시대라고 한다. 석기시대의 유물로는 대개 석촉(石鏃)·석검(石劍) 등의 돌로 만든 생활도구, 흙으로 만든 토기(土器), 골각(骨角)으로 만든 기명(器皿) 등이 전하고 있다. 원시인들은 이러한 도구로 수렵(狩獵)·어로(漁撈) 생활을 하면서 불을 발명함과 함께 차츰 유동적 생활에서 농경생활로 정착하기에 이르렀다.

그들의 생활도구도 돌에서 쇠붙이로 발전하여 금석 병용과 함께 금속문화 시대를 이루게 된다. 석기와 금속기는 고대인들의 정교(精巧)하고 강인한 생활 감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데 문헌의 기록을 통한 고대인들의 문화생활도 매우 뛰어났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부여(扶餘)의 금은(金銀)장식, 예족(濊族)의 은화(銀花)장식, 옥저(沃沮)에서 사용한 금화(金貨), 고조선(古朝鮮)의 옥(玉) 등이 그것이다.

특히 음악 부문에서 가야금을 가야국(伽耶國)의 가실왕(嘉實王)이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실은 그보다 앞선 변한(弁韓)시대부터 있어 왔고, <삼국사기(三國史記)> 제32권 악현금조(樂玄琴條)의 기록을 통해 고대(古代)부터 현금이 있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악기 가운데 일찍이 현악기인 공후가 발명되었고, 이것은 앞서 발달된 궁술(弓術)에서 연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고시대인들은 이러한 문화의 배경 아래 종교적 제전(祭典), 정치적 의식(儀式), 기타 집단노동과 오락을 통해 가무(歌舞)를 즐기게 되었다. 이렇게 음악·무용·시가 등에 동시적 그리고 종합적으로 이루어진 원시 종합예술의 형태가 오랫동안 존속해 온 것이다. 요컨대 음악·무용·시가 등이 한데 어울린 종합예술에서 차츰 전문적이고 독립적인 분화(分化)가 이루어져 문학 형태가 이루어진 것은 필연적이었다.

이를테면 무용에서는 그 표정과 동작의 면이 연극으로, 가사(歌詞)가 분리되어 시가 되었고, 가사의 반주는 음악이 된 것이다. 이렇게 분화·독립된 문학(시가)은 처음 구송으로 전승된 구비문학(口碑文學)이 되었다가, 문자의 사용으로 기록적인 본격문학(本格文學)이 형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