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양사상/동양의 사상/동양의 고대 교육사상/주시대의 교육

주 이전의 교육 편집

周以前-敎育

주 이전이란 서주(西周;B.C.1112-771) 이전의 상고(上古)시대를 일컫는다. B.C. 약 2천년 경의 원시인들이 사용한 것으로 고증된 흑색도기(黑色陶器)에 문자가 새겨진 것으로 보아 중국의 문자사용은 그 이전에 있었을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상나라(商;B.C.1766-1112) 이전은 사전시대(史前時代)이기 때문에 당시 사회상을 알기 어렵다.

구사가(舊史家)들은 상(혹은 殷)나라 이전에 하(夏)나라가 있던 것으로 믿고 하·상·주를 3대(三代)라고 불렀다. 3대설은 현재고증학자들에 의해 회의시되고 있지만, 오랫동안 중국인들의관념을 지배해 왔다는 점에서 배제하기도 어렵다. 그래서 주 이전의 교육을 '3대의 교육'과 '서주의 교육'으로 나누어서 진술할 수 있다.

서주 이전의 교육 편집

西周以前-敎育

3대의 시기는 중국민족이 유목시대(遊牧時代)에서 농업시대로 진입하는 과도기였다. 그래서 당시 교육은 농업사회의 질서유지를 위해 윤리와 음악교육을 중시한 것 같다. <상서(尙書)> <순전(舜典)>에 의하면, 당시의 고관인 사도(司徒)는 5교(五敎;父義·母慈·兄友·弟恭·子孝)를 담당하고, 전악(典樂)은 시(詩)·가(歌)·악(樂) 등 음악교육을 맡았다. 현직관리가 직접 교육을 맡은 것은 당시의 교육이 정치로부터 독립되지 못하고, 관리와 교사를 분리하지 않은 관사합일(官師合一)의 단계에 머무른 것을 말한다.

<예기(禮記)> <왕제편(王制篇)>은 "유우씨(有虞氏)의 시대에는 대학에서 국로(國老)를 양성하고 소학(小學)에서 서로(庶老)를 양성했다. 하후씨(夏后氏) 때는 국로를 동서(東序)에서 양성하고 서로를 서서(西序)에서 양성하였다. 은인(殷人)은 국로를 우학(右學)에서 양성하고 서로를 좌학(左學)에서 양성하였다"라고 3대의 학교교육에 관해 진술한다. 국로는 고급관리이고 서로는 하급관리이다. 정강성(鄭康成)의 주석에 의하면 상상(上庠)·우학·동서 등은 대학이고, 하상(下庠)·좌학·서서 등은 소학이다. 당시 학교는 관리를 양성하는 주요한 기관으로 대학은 고급관리를, 소학은 하급관리를 양성하였던 것이다.

맹자(孟子)는 3대의 교육이 인륜(人倫)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고 말한다. 당시의 사회는 유목시대로부터 농업시대로 변천하는 과도기였으므로 효(孝)와 양로(養老) 관념이 중시되고, 활쏘기와 같은 사(射)교육도 중시되었다. 따라서 상(庠)·서(序)·학(學)은 오늘날과 같은 단순한 학교가 아니라 양로사상과 효도관념을 고취하는 교육을 하였고, 활쏘기와 음악을 훈련하는 기관이었다. 그러나 당시 교육은 계급적 색채가 짙어 대학교육은 귀족계급의 독점물이었고, 평민은 소학에서 교육받았을 뿐이다.

서주의 학교제도 편집

西周-學校制度

서주의 학제는 윗대의 제도를 집대성한 것이었다. 중국의 교육제도는 이때부터 완비되기 시작한다. <주례(周禮)>에 의하면 사도(司徒)가 교육을 관장하고, 그 밑에 소사도(小司徒)·향사(鄕師)·향대부(鄕大夫)가 각각 중앙 및 지방의 교육을 분담하였다. 당시의 교사는 시임(時任)관리가 아니라 퇴직한 관리들이었다. 학교로는 국학과 향학이 있었는데, 국학은 귀족 자제들을 위한 교육기관이고, 향학은 평민 자제들을 위한 학교였다. 국학은 정도의 심천(深淺)에 따라 소학과 대학의 두 과정으로 분리되어 있었다. <예기> <왕제편>에 의하면 소학은 임금이 공무를 처리하는 곳을 기준으로 하여 남쪽의 좌편에 있었고, 대학은 교외(郊外)에 있었다. 천자(天子)가 설치한 대학을 벽옹이라 하고, 제후(諸侯)가 설립한 것을 반궁(泮宮)이라 하였다. 천자가 설치한 대학에 관해 두 가지 학설이 있다. 일설에 의하면 천자가 설치한 대학은 다섯 개가 있는데, 중앙을 벽옹 또는 태학(太學)이라고도 하여 효양(孝養)사상을 기르는 곳이다. 물로써 주위를 둘러, 물의 남쪽을 성균(成均) 혹은 남학(南學)이라 하여 덕(德)을 배우는 곳이며, 북쪽은 상상(上庠) 또는 북학(北學)이라 하여 글씨를 배우는 곳이다. 동쪽은 동서(東序) 또는 동학(東學)이라 하여 활쏘기를 배우는 곳이고, 서쪽은 고종·서옹(西雍) 또는 서학(西學)이라고 하여 예악(禮樂)을 배우는 곳이다(<周禮正義> 참조). 다른 일설에 의하면 천자의 학교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가 있었다고 한다. 우상(虞庠)은 북쪽에 있고, 하서(夏序)는 동쪽에 있으며, 상교(商校)는 그 서쪽에 있으며, 당대의 학교는 중앙에 위치하여 남쪽을 향하였는데, 교(校) 또는 벽옹이라고 불렀다(<項氏松滋縣學記> 참조). 이상 두 학설이 비록 다소의 차이를 보이지만 주(周)나라 때 학제가 윗대의 제도를 종합했다고 보는 점은 일치한다. 서주(西周)의 지방학교는 향학이라 하며 소학의 정도를 넘지 못했다. 1만 2천5백호를 단위로 한 향(鄕)에는 우상(虞庠)이 설치되고, 2천5백호의 주(州)에는 하서(夏序)가 설치되며, 5백호의 당(黨)에는 상교(商校)가 설치되고, 25호의 여(閭)에는 숙(塾)이 설치되었다.

주대의 선사제도 편집

周代-選士制度

중국의 선사제도는 서주시대에 원형이 갖추어졌다. <예기> <왕제편>은 주나라의 선사제도에 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향관(鄕官)에게 명령하여 뛰어난 인재를 뽑아 사도(司徒)에게 추천하도록 하는 것을 선사라고 한다. 사도는 다시 선사 가운데 가장 우수한 사람을 뽑아 국학(國學)에 추천한다. 이를 준사(俊士)라 한다. ……대악정(大樂正)은 졸업 예정 학생들을 시험하여 그 중 특별히 우수한 학생을 사마(司馬)에게 추천한다. 이를 진사(進士)라고 한다. 사마는 다시 진사들의 능력을 시험하여 그들의 특기를 임금에게 보고하고 최종결정을 내린다. 결정된 뒤 일을 맡겨 그 일을 잘 수행하면 벼슬을 내리고, 임관되면 그것에 알맞는 봉록(俸祿)을 지급한다." 이로써 보면 주나라의 학교는 교육을 실시하는 이외에 관리를 뽑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주대의 교육내용 편집

周代-敎育內容

서주 향학의 과정은 6덕(六德;知·仁·聖·義·忠·和)과 6행(六行;孝·友·睦·任·恤) 및 6예(六藝;禮·樂·射·御 ·書·數)를 주요내용으로 했다. <주례(周禮)> <지관편(地官篇)>에 의하면 덕·행·예를 향삼물(向三物)이라 하며, 이는 주대 학교과정의 3부(三部)이다. 6예 중 예악(禮樂)이 가장 중시되었다. 서주의 국학과정은 향학의 향삼물과 대체로 비슷하다. 그래서 덕·행·예의 과정이 있고 그 위에 통치계급으로서 갖추어야 할 6의(六儀;祭祀·賓客·朝廷·喪紀·軍旅·車馬 등의 동작을 말함)가 첨가되었다.

주대의 관례 편집

周代-冠禮

관례는 성년식(成年式)을 말한 것으로 성인사회에 새로 가입하는 젊은이들에게 베풀어지는 의식이다. 관례가 중국에서 언제부터 실시되었는지는 미상이나, 서주시대에는 이미 6례(六禮) 가운데서 가장 중요 의식으로 행해졌다. <예기> <관의편(冠義篇)>은 성년식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관례는 성인례(成人禮)의 개시이다. 그래서 고대 성왕(聖王)들은 관례를 매우 중시했다. 옛날 관례를 행할 때는 날짜와 주례자(主禮者)를 선정할 경우에도 점복(占卜)에 의해 적절한지를 살폈다. 이것은 관례와 예법을 존중케 하기 위함이었다. 예법을 중시하는 것은 입국(立國)의 대본(大本)이다. 주계(主階)에서 가관(加冠)하는 것은 피가관자(被加冠者)가 장차 부친을 대신하여 가장이 될 것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또는 그를 객석(客席)에 서게 하고 술로써 그를 경축함은 그가 이미 성인이 되었음을 인정하여 주기 위함이다. 가관을 세 차례 베풀고, 처음보다 두 번째, 두 번째보다 세 번째의 가관식이 더욱 존중되는 것은 그가 성인이 된 뒤 힘써 상진(上進)을 구하여 현친양명(顯親揚名)하도록 격려하기 위함이다. 가관한 뒤 그의 아명을 부르지 않고 별호를 부르는 것은 성인으로 대접하는 도리이다. 가관한 뒤 모친을 보고 모친에 배례하면 모친도 답례해야 한다. 형제들과 상견(相見)하면 형제들은 그에게 재배(再拜)해야 한다. 그가 이미 성인이 되었기 때문에 모두 그에게 예(禮)를 행해야 한다."

이상의 진술은 주나라 때 성년식이 얼마나 중시되었나를 말해 준다. 성년식은 또다시 성인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참여 자격을 인정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가부장적(家父長的) 사회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교육적 의의를 지니고 있었다.

주대의 아동교육 편집

周代-兒童敎育

주의 아동교육은 소학에서 실시되었다. <상서(尙書)> <대전(大傳)> <주전(周傳)>에 의하면 아동의 나이가 13세가 되면 소학에 들어가 소절(小節)을 배우고 소의(小義)를 실천하였다. 소절·소의란 청소하고 손님을 접대하며 나가고 물러나는 쇄소응대진퇴(灑掃應對進退)의 예법을 말한다. 이러한 아동 교육은 공동사회의 일원으로서의 품덕(稟德)을 기르는 데 주목적을 두고 있었다. 주나라의 아동교육은 어린애가 태어나 밥을 먹기 시작할 때부터 시작되는 가정교육에 기초를 두고 있다. <예기> <내칙편(內則篇)>은 다음과 같이 아동교육에 대해 말한다. "어린애가 밥을 먹을 수 있을 때가 되면 오른손으로 밥을 먹도록 가르친다. 말을 배우기 시작하면 그에게 답변하는 말을 가르친다. ……남자애는 가죽을 가지고 놀도록 하고 여자애는 실(絲)을 가지고 놀게 하여 각각 무예(武藝)와 직예(織藝)에 눈뜨게 한다. 6세가 되면 그가 수자(數字)와 사방의 명칭을 알게 하고, 7세가 되면 남녀를 가리기 시작하여, 그들이 자리를 함께 하고 같이 밥을 먹지 못하게 한다. 8세가 되면 그들에게 양보할 줄 아는 예를 배우게 하고, 문을 출입하고 밥먹는 자리에 나갈 때 웃사람의 뒤에 서는 예를 알게 한다. 9세가 되면 천간(天干)·지지(地支) 및 삭망(朔望)을 알도록 하고, 10세가 되면 남녀의 교육내용을 각각 달리하여 가르친다. 즉 남자애가 10세가 되면 밖에 나가 구학(求學)하고, 밖에서 잠자며, 스승을 좇아 6서(六書)·9수(九數)를 배우게 하고, 비단옷을 입지 않고 어릴 때의 옷을 계속 입게 하는 것은 사치를 피하게 하기 위함이다. 아침저녁으로 청소하고, 진퇴하는 예절을 익히며, 서책(書策)을 부지런히 배우고, 성실하여 속일 줄 모르도록 교육한다. 13세가 되면 음악·송시(誦詩)·문무(文舞)를 배우기 시작한다. 15세 이후부터는 무무(武舞) 또는 활쏘기와 말타는 법을 배운다. 이때 6예(六藝)의 기초가 대략 갖추어지는 것이다." 이상은 주대의 아동교육이 일상생활에 있어서의 예절 훈련과 무예를 통한 체력 단련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말해 준다.

주대의 대학교육 편집

周代-大學敎育

주나라의 대학교육은 20세부터 비롯되는데, 6예(六藝;禮·樂·射·御·書·數)와 수기(修己)·치인(治人)의 방법을 가르쳤다. <예기> <학기편(學記篇)>은 주나라의 대학교육과정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매년 신생(新生)이 입학하면 2년에 한 번식 시험을 친다. 입학 첫해에는 경문(經文)을 읽는 법을 고사하며, 지향(志向)하는 바를 판별한다. 3년째에는 학생이 일에 전심하고 군중과 즐겨 어울리는지의 여부를 고찰한다. 5년째에는 학생이 널리 배우고 스승과 웃사람을 존경하는가를 고찰한다. 7년째에는 학생의 학문면에서의 견해와 친구를 선택하는 것을 고찰한다. 이때를 소성(小成)이라고 한다. 9년째엔 지식이 창달(暢達)하고, 아는 것으로부터 모르는 것을 유추(類推)하며, 일을 당해 미혹되지 않으며, 사훈(師訓)을 위배하지 않으면 대성(大成)이라고 한다. 이때 비로소 인민을 교도하고 풍속을 순화할 수 있으며, 가까운 사람들은 모두 진심으로 감복하며, 먼 곳의 사람들이 그에게 찾아오게 된다. 이것이 대학교육의 도리이다." 이상의 기록으로 보면 주나라의 교육은 단순히 지식만을 보급하는 곳이 아니라 자기의 몸을 닦아 백성들을 교화(敎化)시킬 수 있는 인격을 닦는 데 주목적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대의 소녀교육 편집

周代-少女敎育

주나라의 소녀교육은 9세까지는 소년교육의 과정과 같지만 10세부터 달라진다. <예기> <내칙(內則)편>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여자애가 10세가 되면 심규(深閨)에서 교육하여 부도(婦道)를 배우게 한다. 그들에게 말을 부드럽게 하고, 용모를 단정히 하며, 웃사람의 언행에 따를 줄 알게 하며, 아울러 삼과 누에실로 길쌈하는 여자의 일을 익혀 장차 한 가정의 주부가 될 자격을 갖추게 한다. 제사 때 헌주(獻酒)하고, 제기(祭器)를 진설하며, 술을 빚고 음식을 만드는 일과 같은 것도 학습하여 장차 제사 예식에 참여할 수 있는 자질을 기른다. 15세에 비녀를 꽂으며 20세에 시집간다. 이때 만약 부모의 상을 만나면 23세에 출가한다." 이와 같이 당시의 여성교육은 가정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부덕의 함양과 여성이 해야 할 일을 수행할 능력을 기르는 데 주목적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대교육의 특징 편집

周代敎育-特徵

① 주나라 교육은 인륜을 밝히고 존친경로(尊親敬老)에 치중했다. 이러한 도덕 교육은 가정에서 출발하여 사회·국가로의 확충을 지향하였다. ② 지식의 학습보다 실천을 중시했다. ③ 보수존고(保守尊古)의 관념을 주입하였다. ④ 복종할 줄 아는 의식을 기르는 교육을 하였다. ⑤ 의식(儀式)을 중시하고 예절교육을 많이 실시했다. ⑥ 활쏘기, 말타기 같은 체육은 군사훈련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었다. 6예에 사(射)·어(御)와 같은 교과목이 있는 것은 당시 군사교육이 중시되었음을 말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