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사보상법 (대한민국, 법률 제494호)

이 법령은 폐지되었거나 사용 국가가 소멸하는 등의 원인으로 법적 효력이 없습니다.

형사보상법
법률 제494호
제정기관: 국회

형사보상법 (대한민국, 법률 제1121호)

시행: 1959. 01. 01.
제정: 1958. 08. 13.
약칭: 형사보상법
위키백과
위키백과
위키백과에 이 글과 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


조문

편집
  • 제1조(보상요건)
① 형사소송법에 의한 일반절차 또는 재심이나 비상상고절차에서 무죄재판을 받은 자가 미결구금을 당하였을 때에는 본법에 의하여 국가에 대하여 그 구금에 관한 보상을 청구할 수 있다.
② 상소권회복에 의한 상소. 재심 또는 비상상고의 절차에서 무죄재판을 받은 자가 원판결에 의하여 구금 또는 형의 집행을 받았을 때에는 구금 또는 형의 집행에 대한 보상을 청구할 수 있다.
③ 형사소송법 제470조제3항에 의한 구치와 동법 제473조 내지 제475조에 의한 구속은 전항의 적용에 있어서는 구금 또는 형의 집행으로 간주한다.


  • 제2조(상속인에 의한 보상청구)
① 전조의 규정에 의하여 보상을 청구할 수 있는 자가 그 청구를 하지 아니하고 사망하였을 때에는 그 상속인이 이를 청구할 수 있다.
② 사망한 자에 대하여 재심 또는 비상상고의 절차에서 무죄재판이 있었을 때에는 보상의 청구에 있어서는 사망한 때에 무죄재판이 있었던 것으로 간주한다.


  • 제3조(보상하지 아니할 수 있는 경우)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법원은 재량에 의하여 보상청구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각할 수 있다.
1. 형법 제9조 및 제10조제1항의 사유에 의하여 무죄재판을 받은 경우
2. 본인이 수사 또는 심판을 그릇칠 목적으로 허위의 자백을 하거나 또는 다른 유죄의 증거를 만듬으로써 기소, 미결구금 또는 유죄재판을 받게 된 것으로 인정된 경우
3. 1개의 재판으로써 경합범의 일부에 대하여 무죄재판을 받고 다른 부분에 대하여 유죄재판을 받았을 경우


  • 제4조(보상의 내용)
① 구금에 대한 보상에 있어서는 그 일수에 따라 1일 5백환 이상 천환 이하의 비율에 의한 보상금을 교부한다.
② 법원이 전항의 보상금액을 산정할 때에는 구금의 종류 및 기간의 장단, 기간중에 받은 재산상의 손실과 얻을 수 있었던 이익의 상실 또는 정신상의 고통과 신체상의 손상, 경찰, 검찰, 법원의 각 기관의 고의 또는 과실의 유무 기타 모든 사정을 고려하여야 한다.
③ 사형집행에 대한 보상금은 집행전 구금에 대한 보상금외에 5백만환 이내에서 모든 사정을 고려하여 법원이 상당하다고 인정하는 액을 가산 보상한다. 단, 본인의 사망에 의하여 생긴 재산상의 손실액이 증명된 때에는 그 손실액도 보상한다.
④ 벌금 또는 과료의 집행에 대한 보상에 있어서는 이미 징수한 벌금 또는 과료의 액에 징수일의 익일부터 보상 결정일까지의 일수에 따라 년 5부의 비율에 의한 금액을 가산한 액을 보상한다.
⑤ 노역장유치의 집행을 하였을 때에는 제1항의 규정을 준용한다.
⑥ 몰수집행에 대한 보상에 있어서는 그 몰수물을 반환하고 그것이 이미 처분되었을 때에는 보상결정시의 시가를 보상하며, 추징금에 대한 보상에 있어서는 그 액수에 징수한 익일부터 보상 결정일까지의 일수에 따라 년 5부의 비율에 의한 금액을 가산한 액을 보상한다.


  • 제5조(손해배상과의 관계)
① 본법은 보상을 받을 자가 다른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손해배상을 청구함을 금하지 아니한다.
② 보상을 받을 자가 동일한 원인에 대하여 다른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손해배상을 받았을 경우에 그 손해배상의 액수가 본법에 의하여 받을 보상금의 액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를 초과할 때에는 보상하지 아니한다. 그 손해배상의 액수가 본법에 의하여 받을 보상금의 액수보다 적을 때에는 그 금액을 공제하고 보상금의 액수를 정하여야 한다.
③ 다른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손해배상을 받을 자가 동일한 원인에 대하여 본법에 의한 보상을 받았을 때에는 그 보상금의 액수를 공제하고 손해배상의 액수를 정하여야 한다.


  • 제6조(관할법원)
보상의 청구는 무죄재판을 한 법원에 대하여 하여야 한다.


  • 제7조(보상청구의 기간)
보상의 청구는 무죄재판이 확정된 때로부터 1년 이내에 하여야 한다.


  • 제8조(보상청구의 방식)
① 보상청구에는 보상청구서에 재판서의 등본과 그 재판의 확정증명서를 법원에 제출하여야 한다.
② 보상청구서에는 다음 사항을 기재하여야 한다.
1. 청구자의 본적, 주소, 성명, 생년월일
2. 호적초본 또는 기류초본 단 상속인이 청구할 경우에는 본인과의 관계를 증명하는 서류
3. 청구의 원인된 사실과 청구액


  • 제9조 (상속인의 소명)
상속인이 보상을 청구할 때에는 본인과의 관계와 동순위의 상속인의 유무를 소명할 수 있는 자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 제10조(대리인에 의한 보상청구)
보상의 청구는 대리인에 의하여도 이를 할 수 있다.


  • 제11조(상속인의 보상청구의 효과)
① 보상의 청구를 할 수 있는 동순위의 상속인이 수인인 경우에 그중 1인이 보상청구를 하였을 때에는 보상을 청구할 수 있는 전원을 위하여 그 전부에 대하여 한 것으로 간주한다.
② 전항의 경우에 청구한 자 이외의 상속인은 공동청구인으로서 절차에 참가할 수 있다.
③ 법원은 제1항의 경우에 보상을 청구할 수 있는 다른 동순위의 상속인이 있음을 안 때에는 지체없이 그 상속인에 대하여 보상청구가 있었음을 통지하여야 한다.


  • 제12조(보상청구의 취소)
① 동순위의 상속인이 수인인 경우에는 보상을 청구한 자는 다른 전원의 동의없이 청구를 취소할 수 없다.
② 보상청구를 취소한 경우에는 보상청구권자는 다시 보상을 청구할 수 없다.


  • 제13조(보상청구에 대한 재판)
① 보상청구는 법원합의부에서 재판한다.
② 보상의 청구에 대하여는 법원은 검사와 청구인의 의견을 들은 후 결정하여야 한다.
③ 전항 결정의 정본은 검사와 청구인에게 송달하여야 한다.


  • 제14조(직권조사사항)
보상청구의 원인된 사실인 구금일수 또는 형집행의 내용에 관하여는 법원은 직권으로 이를 조사하여야 한다.


  • 제15조(보상청구 각하의 결정)
보상청구의 절차가 법령상의 방식에 위반하여 보정할 수 없을 때, 청구인이 법원의 보정명령에 응하지 아니할 때 또는 제7조의 기간 경과후에 보상을 청구하였을 때에는 이를 각하하는 결정을 하여야 한다.


  • 제16조(보상 또는 청구기각의 결정)
① 보상의 청구가 이유있을 때에는 보상의 결정을 하여야 한다.
② 보상의 청구가 이유 없을 때에는 청구기각의 결정을 하여야 한다.


  • 제17조(결정의 효과)
보상의 청구를 할 수 있는 동순위의 상속인이 수인인 경우에 그 1인에 대한 전조의 결정은 동순위자 전원에 대하여 한 것으로 간주한다.


  • 제18조(보상청구의 중단과 승계)
① 보상을 청구한 자가 청구절차중 사망하거나 또는 상속인인 신분을 상실한 경우에 다른 청구인이 없을 때에는 청구의 절차는 중단된다.
② 전항의 경우에 청구한 자의 상속인 또는 보상을 청구한 자와 동순위의 상속인은 2월 이내에 청구의 절차를 승계할 수 있다.
③ 법원은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절차를 승계할 수 있는 자로서 법원에 알려진 자에 대하여는 지체없이 전항의 기간내에 청구의 절차를 승계할 것을 통지하여야 한다.
④ 제2항의 기간내에 절차를 승계하는 신청이 없을 때에는 법원은 각하의 결정을 하여야 한다.


  • 제19조(불복신청)
① 보상의 결정에 대하여는 불복을 신청할 수 없다.
② 보상의 청구를 기각한 결정에 대하여는 즉시항고를 할 수 있다.
[단순위헌, 2008헌마514, 2010. 10. 28. 형사보상법(1958. 8. 13. 법률 제494호로 제정된 것) 제19조 제1항은 헌법에 위반된다.]


  • 제20조(보상지불의 청구)
① 보상의 지불을 청구하고자 하는 자는 보상을 결정한 법원에 대응한 검찰청에 보상지불청구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② 청구서에는 법원의 보상결정서를 첨부하여야 한다.
③ 보상결정이 송달된 후 1년 이내에 보상지불의 청구를 하지 아니할 때에는 권리를 상실한다.
④ 보상의 지불을 받을 수 있는 자가 수인인 경우에는 그중 1인이 한 보상지불의 청구는 보상의 결정을 받은 전원을 위하여 그 전부에 대하여 한 것으로 간주한다.


  • 제21조(보상지불의 효과)
보상의 지불을 받을 수 있는 자가 수인인 경우에는 그 중 1인에 대한 보상의 지불은 그 전원에 대하여 효력을 발생한다.


  • 제22조(청구권의 양도 및 압류의 금지)
보상의 청구권은 이를 양도 또는 압류할 수 없다. 보상지불청구권도 또한 같다.


  • 제23조(준용규정)
본법에 의한 결정과 즉시항고에 관하여는 본법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형사소송법의 규정을 준용한다. 기간에 관하여도 또한 같다.


  • 제24조(보상결정의 공시)
① 법원은 보상의 결정이 확정되었을 때에는 2주일내에 보상 결정의 요지를 관보에 게재하여 공시하여야 한다.
② 전항의 규정은 제5조제2항 전단에 규정된 이유로써 보상의 청구를 기각하는 결정이 확정되었을 때에 이를 준용한다.


  • 제25조(면소등의 경우)
① 형사소송법의 규정에 의하여 면소 또는 공소기각의 재판을 받은 자는 면소 또는 공소기각의 재판을 할 만한 사유가 없었더라면 무죄의 재판을 받을 만한 현저한 사유가 있었을 때에는 국가에 대하여 구금에 대한 보상을 청구할 수 있다.
② 전항의 규정에 의한 보상에 대하여는 무죄의 재판을 받은 자에 대한 보상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보상결정의 공고에 대하여도 또한 같다.


  • 제26조(보상청구절차의 정지등)
① 보상청구에 관한 사건계속중 재심청구가 있을 때에는 그 재판이 확정될 때까지 보상에 관한 결정절차를 정지한다.
② 전항의 경우에 피고인에 대하여 유죄의 재판이 있었을 때에는 보상의 청구는 그 효력을 상실한다.


  • 제27조(보상지불의 정지등)
① 보상을 결정한 후 재심의 청구가 있었을 때에는 법원은 그 재판이 확정될 때까지 보상지불의 절차를 정지하여야 한다.
② 전항의 경우에 피고인에 대하여 유죄의 재판이 있었을 때에는 보상의 결정은 그 효력을 상실한다.


  • 제28조(보상반환결정)
① 전조 제1항의 경우에 이미 보상을 지불하였을 때에는 유죄의 재판을 한 법원은 검사의 청구에 의하여 보상반환의 결정을 하여야 한다.
② 전항 결정의 집행에 관하여는 형사소송법 제477조 내지 제479조의 규정을 적용한다.


부칙

편집
  • 부칙 <법률 제494호, 1958. 08. 13.>
제1조
본법은 단기4292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
조선형사령에 의하여 의용된 형사보상법은 이를 폐지한다.
제3조
본법 시행전에 보상청구의 원인이 발생한 사건에 관하여는 구법을 적용한다.


연혁

편집


법령체계도

편집

상하위법

편집


관계법령

편집


라이선스

편집
 

이 저작물은 대한민국 저작권법 제7조에 따라 비보호저작물로 배포됩니다. 누구든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저작물이 있습니다.

  1. 헌법·법률·조약·명령·조례 및 규칙
  2.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시·공고·훈령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
  3. 법원의 판결·결정·명령 및 심판이나 행정심판절차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절차에 의한 의결·결정 등
  4.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한 것으로서 제1호 내지 제3호에 규정된 것의 편집물 또는 번역물
  5. 사실의 전달에 불과한 시사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