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 (제8852호)
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 법률 제8852호 제정기관: 국회 |
시행: 2008.2.29. |
타법개정: 2008.2.29. |
조문
편집제1장 총칙
편집- 제1조 (목적) 이 법은 해양사고에 대한 조사 및 심판을 통하여 해양사고의 원인을 규명함으로써 해양안전의 확보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전문개정 1999.2.5]
- 제2조 (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개정 2008.2.29>
- 1. "해양사고"라 함은 해양 및 내수면에서 발생한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사고를 말한다.
- 가. 선박의 구조·설비 또는 운용과 관련하여 사람이 사망 또는 실종되거나 부상을 입은 사고
- 나. 선박의 운용과 관련하여 선박 또는 육상·해상시설에 손상이 생긴 사고
- 다. 선박이 멸실·유기되거나 행방불명된 사고
- 라. 선박의 충돌·좌초·전복·침몰이 있거나 조종이 불가능하게 된 사고
- 마. 선박의 운용과 관련하여 해양오염피해가 발생한 사고
- 2. "선박"이라 함은 수상 또는 수중을 항행하거나 항행할 수 있는 구조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
- 3. "해양사고관련자"라 함은 당해 해양사고의 원인과 관련된 자로서 제39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된 자를 말한다.
- 4. "원격영상심판"이라 함은 해양사고관련자가 국토해양부령이 정하는 동영상 및 음성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장치가 갖추어진 관할해양안전심판원 외의 원격지 심판정 또는 동 장치가 갖추어진 시설로서 관할해양안전심판원이 지정하는 시설에 출석하여 진행하는 심판을 말한다.
- 1. "해양사고"라 함은 해양 및 내수면에서 발생한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사고를 말한다.
- [전문개정 1999.2.5]
- 제3조 (심판원의 설치) 해양사고사건을 심판하기 위하여 국토해양부장관소속하에 해양안전심판원(이하 "심판원"이라 한다)을 둔다.<개정 1996.8.8, 1999.2.5, 2008.2.29>
- 제4조 (해양사고의 원인규명 등<개정 1999.2.5>) (1) 심판원의 심판에 있어서는 다음 사항에 관하여 해양사고의 원인을 규명하여야 한다.<개정 1999.2.5>
- 1. 사람의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하여 발생한 것인가의 여부
- 2. 선박승무원의 인원수·자격·기능·근로조건 또는 복무에 관한 사유로 인하여 발생한 것인가의 여부
- 3. 선체 또는 기관의 구조·재질·공작이나 또는 선박의 의장이나 성능에 관한 사유로 인하여 발생한 것인가의 여부
- 4. 수로도지·항로표지·선박통신·기상통보 또는 구난시설등의 항해보조시설에 관한 사유로 인하여 발생한 것인가의 여부
- 5. 항만 또는 수로의 상황에 관한 사유로 인하여 발생한 것인가의 여부
- 6. 화물의 특성 또는 적재에 관한 사유로 인하여 발생한 것인가의 여부
- (2) 심판원은 제1항의 규정에 의한 해양사고의 원인을 규명함에 있어서 해양사고의 발생에 2인이상이 관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관련자에 대하여 원인의 제공 정도를 밝힐 수 있다.<신설 1999.2.5>
- (3) 심판원은 제1항 각호의 규정에 해당하는 해양사고의 원인규명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국토해양부령이 정하는 전문연구기관에 자문을 요청할 수 있다.<신설 1999.2.5, 2008.2.29>
- 제5조 (재결) (1) 심판원은 해양사고의 원인에 관하여 규명을 하고 재결로서 그 결과를 명백하게 하여야 한다.<개정 1999.2.5>
- (2) 심판원은 해양사고가 해기사 또는 도선사의 직무상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하여 발생한 것으로 인정할 때에는 재결로써 이를 징계하여야 한다.<개정 1975.12.31, 1999.2.5>
- (3) 심판원은 필요할 때에는 제2항에 규정된 자외의 자로서 해양사고의 원인에 관계있는 자에 대하여 시정 또는 개선을 권고하거나 명하는 재결을 할 수 있다. 다만, 행정기관에 대하여는 시정 또는 개선을 명하는 재결을 할 수 없다.<개정 1975.12.31, 1999.2.5>
- 제5조의2 (시정등의 요청<개정 1999.2.5>) 심판원은 심판의 결과 해양사고의 방지를 위하여 시정 또는 개선할 사항이 있다고 인정할 때에는 해양사고관련자가 아닌 행정기관이나 단체에 대하여 해양사고의 방지를 위한 시정 또는 개선조치를 요청할 수 있다.<개정 1999.2.5>
- [본조신설 1987.11.28]
- 제6조 (징계의 종류와 정상참작) (1) 제5조제2항의 징계는 다음의 3종으로 하고, 그 적용은 행위의 경중에 따라서 심판원이 이를 정한다.<개정 1975.12.31>
- 1. 면허의 취소
- 2. 업무의 정지
- 3. 견 책
- (2) 제1항제2호의 업무의 정지기간은 1월이상 1년이하로 한다.<개정 1975.12.31, 1999.2.5>
- (3) 심판원은 제5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징계에 있어서 해양사고의 성질이나 상황 또는 그 자의 경력 기타 정상을 참작하여 이를 감면할 수 있다.<개정 1975.12.31, 1999.2.5>
- 제7조 (일사부재리) 심판원은 본안에 대한 확정재결이 있는 사건에 대하여는 거듭 심판할 수 없다.
- 제7조의2 (공소제기전 심판원의 의견청취) 검사는 해양사고가 발생한 경우 해양사고관련자에 대하여 공소를 제기하는 때에는 관할지방해양안전심판원의 의견을 들을 수 있다.
- [본조신설 1999.2.5]
- 제7조의3 (심판정의 용어) (1) 심판정에서는 국어를 사용한다.
- (2) 국어에 통하지 아니하는 자의 진술은 통역인으로 하여금 통역하게 하여야 한다.
- [본조신설 1999.2.5]
제2장 심판원의 조직
편집- 제8조 (심판원의 조직) (1) 심판원은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이하 "중앙심판원"이라 한다)과 지방해양안전심판원(이하 "지방심판원"이라 한다)의 2종으로 한다.<개정 1999.2.5>
- (2) 각급 심판원에 원장 1인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수의 심판관을 둔다.<개정 1987.11.28>
- (3) 중앙심판원의 조직과 지방심판원의 명칭·조직 및 관할구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개정 1987.11.28>
- 제9조 (중앙심판원장 및 지방심판원장) (1) 중앙심판원에 중앙해양안전심판원장(이하 "중앙심판원장"이라 한다)을, 지방심판원에 지방해양안전심판원장(이하 "지방심판원장"이라 한다)을 둔다.<개정 1999.2.5>
- (2) 중앙심판원장은 제9조의2제2항 각호의 자격이 있는 자중에서 국토해양부장관의 제청에 의하여 대통령이 임명한다.<개정 1996.8.8, 1999.2.5, 2008.2.29>
- (3) 지방심판원장은 제9조의2제3항 각호의 자격이 있는 심판관중에서 국토해양부장관의 제청에 의하여 대통령이 임명한다.<개정 1996.8.8, 1999.2.5, 2008.2.29>
- [전문개정 1987.11.28]
- 제9조의2 (심판관의 임명 및 자격) (1) 중앙심판원의 심판관은 국토해양부장관의 제청에 따라 대통령이 임명하고, 지방심판원의 심판관은 중앙심판원장의 추천에 따라 국토해양부장관이 임명한다. <개정 2007.12.21, 2008.2.29>
- (2) 중앙심판원의 심판관이 될 수 있는 자는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자이어야 한다. <개정 2005.12.29, 2007.12.21>
- 1. 지방심판원의 심판관으로 4년이상 근무한 자
- 2. 2급이상의 항해사·기관사 또는 운항사의 해기사면허(이하 "2급이상의 해기사면허"라 한다)를 받은 자로서 4급 이상 일반직 국가공무원으로 4년이상 근무한 자
- 3. 해양수산행정에 3급 이상 일반직 국가공무원으로 3년이상 근무한 자
- 4. 제1호 내지 제3호의 경력년수를 합산하여 4년이상인 자
- (3) 지방심판원의 심판관이 될 수 있는 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어야 한다. <개정 2005.12.29, 2007.12.21>
- 1. 1급 항해사, 1급 기관사 또는 1급 운항사의 해기사면허를 받은 자로서 원양구역을 항행구역으로 하는 선박의 선장 또는 기관장으로 3년이상 승선한 자
- 2. 2급이상의 해기사면허를 받은 자로서 5급 이상 일반직 국가공무원으로 2년이상 근무한 자
- 3. 2급이상의 해기사면허를 받은 자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교육기관에서 선박의 운항 또는 선박용기관의 운전에 관한 과목을 3년이상 교수한 자
- 4. 제1호 내지 제3호의 경력년수를 합산하여 3년이상인 자
- 5. 변호사의 자격이 있는 자로서 3년 이상의 실무경력이 있는 자
- [전문개정 1999.2.5]
- 제10조 (결격사유) 「국가공무원법」 제33조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심판원장 또는 심판관이 될 수 없다.
- [전문개정 2007.12.21]
- 제11조 (심판원장 및 심판관의 직무) (1) 중앙심판원장의 직무는 다음과 같다.<개정 1975.12.31>
- 1. 중앙심판원의 일반사무를 관장하며, 소속직원을 지휘감독한다.
- 2. 중앙심판원의 심판부를 구성하고 심판관중에서 심판장을 지명한다. 다만, 특히 중요한 사건에 대하여는 스스로 심판장이 될 수 있다.
- 3. 지방심판원의 일반사무를 지휘감독한다.
- 4. 각급 심판원의 심판관에 결원이 있거나 기타 부득이한 사유가 있을 때에는 중앙심판원의 심판관은 지방심판원장으로, 지방심판원의 심판관은 다른 지방심판원의 심판관으로 하여금 심판관의 직무를 행하게 할 수 있다.
- (2) 지방심판원장의 직무는 다음과 같다.
- 1. 당해 지방심판원의 일반사무를 관장하며, 소속직원을 지휘감독한다.
- 2. 당해 지방심판원의 심판부를 구성하고 심판장이 된다.
- (3) 심판관은 심판직무에 종사한다.
- (4) 심판원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때에는 당해 심판원의 심판관중 선임자가 그 직무를 대행한다. 다만, 심판업무 외의 업무는 제16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수석조사관이 그 직무를 대행한다.<개정 1999.2.5>
- 제12조 (심판직무의 독립) 심판장과 심판관은 독립하여 심판직무를 행한다.
- 제13조 (심판관의 신분 및 임기) (1) 심판원장과 심판관은 별정직공무원으로 한다.
- (2) 심판원장과 심판관의 임기는 3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개정 1973.3.5>
- (3) 심판원장과 심판관은 형의 선고, 징계처분 또는 법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그 의사에 반하여 면직·감봉 기타 불이익한 처분을 받지 아니한다.
- (4) 심판원장 및 심판관의 근무상한연령은 「국가공무원법」 제74조제1항제1호의 규정을 준용한다. 이 경우 "일반직공무원"은 "일반직공무원에 상당하는 별정직공무원"으로, "5급"은 "5급상당"으로, "6급"은 "6급상당"으로 본다. <개정 1999.2.5, 2007.12.21>
- 제13조의2 (심판관의 전보) 국토해양부장관은 심판업무수행상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제13조제2항의 임기중인 지방심판원장 또는 각급 심판원의 심판관을 다른 심판원의 그 해당하는 직급에 전보를 할 수 있다.<개정 1996.8.8, 2008.2.29>
- [본조신설 1975.12.31]
- 제14조 (비상임심판관<개정 1999.2.5>) (1) 각급 심판원에 비상임심판관을 두고 그 직무에 필요한 학식경험이 있는 자중에서 각급 심판원장이 이를 위촉한다.<개정 1999.2.5>
- (2) 비상임심판관은 해양사고의 원인규명이 특히 곤란한 사건의 심판에 참여한다.<개정 1999.2.5>
- (3) 심판에 참여하는 비상임심판관의 직무 및 권한은 심판관과 같다.<개정 1999.2.5>
- (4) 각급 심판원에 두는 비상임심판관의 수·자격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신설 1999.2.5>
- 제15조 (심판관, 비상임심판관의 제척·기피·회피<개정 1999.2.5>) (1) 심판관(심판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비상임심판관은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직무집행에서 제척된다. <개정 1987.11.28, 1999.2.5, 2005.3.31>
- 1. 심판관·비상임심판관이 해양사고관련자의 친족관계에 있거나 있었던 경우
- 2. 심판관·비상임심판관이 당해 사건에 대하여 증언 또는 감정을 한 경우
- 3. 심판관·비상임심판관이 당해 사건에 대하여 해양사고관련자의 심판변론인 또는 대리인으로서 심판에 관여한 경우
- 4. 심판관·비상임심판관이 당해 사건에 대하여 조사관의 직무를 행한 경우
- 5. 심판관·비상임심판관이 전심의 심판에 관여한 경우
- 6. 심판관·비상임심판관이 심판 대상이 된 선박의 소유자·관리인이나 임차인인 경우
- (2) 조사관·해양사고관련자 및 심판변론인은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 심판관과 비상임심판관의 기피를 신청할 수 있다.<개정 1987.11.28, 1999.2.5>
- 1. 심판관·비상임심판관이 제1항 각호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 2. 심판관·비상임심판관이 불공평한 심판을 할 우려가 있는 경우
- (3) 심판정에서 당해 사건에 대하여 이미 진술을 한 자는 제2항제2호의 사유만을 이유로 하여 기피의 신청을 하지 못한다. 다만, 기피사유가 있음을 알지 못하였을 때 또는 기피의 사유가 그후 발생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개정 1975.12.31>
- (4) 심판관·비상임심판관은 제2항의 규정에 해당하는 사유가 있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회피할 수 있다.<개정 1999.2.5>
- (5) 심판관·비상임심판관의 제척·기피·회피에 대한 결정은 당해 심판관·비상임심판관의 소속심판원 합의체심판부에서 한다. 다만, 특별심판부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당해 특별심판부가 구성된 지방심판원 합의체심판부에서 결정한다.<개정 1987.11.28, 1999.2.5>
- 제16조 (조사관등) (1) 각급 심판원에 수석조사관·조사관 및 조사사무를 보조하는 직원을 둔다.
- (2) 제1항의 수석조사관·조사관 및 조사사무를 보조하는 직원은 일반직 국가공무원으로 보하되, 그 정원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전문개정 1987.11.28]
- 제16조의2 (조사관의 자격) (1) 중앙심판원의 수석조사관(이하 "중앙수석조사관"이라 한다)이 될 수 있는 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로 한다.
- 1. 제9조의2제2항제1호 및 제2호에 해당하는 자
- 2. 해양수산행정에 3급 이상 일반직 국가공무원으로 3년(해양안전 관련 업무에 1년 이상 근무한 경력을 포함한다) 이상 근무한 자
- 3. 제1호 및 제2호의 경력연수를 합산하여 4년 이상인 자
- (2) 중앙심판원의 조사관 및 지방심판원의 수석조사관(이하 "지방수석조사관"이라 한다)이 될 수 있는 자는 제9조의2제3항제1호부터 제4호까지에 해당하는 자로 한다. 다만, 지방심판원의 조사관의 자격에 관하여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전문개정 2007.12.21]
- 제17조 (조사관의 직무) 수석조사관 및 조사관은 해양사고의 조사, 심판의 청구, 재결의 집행 기타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무를 담당한다.
- [전문개정 1999.2.5]
- 제18조 (조사관 동일체의 원칙) (1) 조사관은 그 사무에 관한 상사의 명령에 복종하여야 한다.
- (2) 수석조사관은 소속조사관으로 하여금 그 권한에 속하는 직무의 일부를 처리하게 할 수 있다.<개정 1975.12.31, 1987.11.28>
- (3) 수석조사관은 소속조사관의 직무를 자신이 처리하거나 다른 조사관으로 하여금 처리하게 할 수 있다.<개정 1975.12.31, 1987.11.28>
- (4) 삭제 <1975.12.31>
- 제18조의2 (중앙수석조사관의 지휘·감독) (1) 중앙수석조사관은 일반적 조사사무의 최고감독자로서 모든 조사관을 지휘·감독하고, 구체적인 사건에 대하여는 중앙심판원의 조사관과 지방수석조사관을 지휘·감독한다. <개정 2007.12.21>
- (2) 삭제 <1999.2.5>
- [본조신설 1987.11.28]
- 제18조의3 (특별조사부의 구성) (1) 국토해양부장관은 제22조의2제1항 각호의 1에 해당하는 해양사고로서 특별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당해사고를 조사하기 위하여 다음 각호의 자로 특별조사부를 구성할 수 있다. <개정 2008.2.29>
- 1. 조사관(수석조사관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
- 2. 해양사고와 관련된 관계기관의 공무원
- 3. 해양사고의 관련전문가
- (2) 제1항의 규정에 의한 특별조사부의 인원은 10인 이내로 하되, 특별조사부의 장은 조사관중에서 국토해양부장관이 지명하는 자로 한다. <개정 2008.2.29>
- (3) 특별조사부는 조사가 종료된 후 10일 이내에 조사보고서를 작성하여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개정 2008.2.29>
- [본조신설 1999.2.5]
- 제19조 (조사관의 일반사무의 지휘감독) 심판원장은 조사관의 일반사무를 지휘감독한다. 이 경우 조사관의 고유사무에 관여하거나 영향을 주어서는 아니된다.
- 제20조 삭제 <1999.2.5>
- 제20조의2 (심판관 및 조사관등의 연수교육) 중앙심판원장은 심판관·조사관 및 기타 직원의 자질향상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국토해양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연수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개정 1996.8.8, 2008.2.29>
- [본조신설 1987.11.28]
- 제21조 (심급) 지방심판원은 제1심 심판을 행하고, 중앙심판원은 제2심 심판을 행한다.
- 제22조 (심판부의 구성 및 의결) (1) 지방심판원은 심판관 3인으로 구성하는 합의체에서 심판을 행한다. 다만,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미한 사건에 관하여는 1인의 심판관이 심판을 할 수 있다.<개정 1987.11.28, 1999.2.5>
- (2) 중앙심판원은 심판관 5인이상으로 구성하는 합의체에서 심판을 행한다.<개정 1999.2.5>
- (3) 각급 심판원은 제14조제2항에 규정하는 사건에 있어서는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원장이 지명하는 비상임심판관 2인을 참여시켜야 한다.<개정 1975.12.31, 1999.2.5>
- (4) 합의체심판부는 합의체를 구성하는 심판관(심판장 및 비상임심판관을 포함한다)의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개정 1999.2.5>
- 제22조의2 (특별심판부의 구성) (1) 중앙심판원장은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해양사고중 그 원인규명에 있어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당해 사건을 관할하는 지방심판원에 특별심판부를 구성할 수 있다.<개정 1999.2.5>
- 1. 10인이상이 사상한 해양사고
- 2. 선박 기타 시설의 피해가 현저히 큰 해양사고
- 3. 기름등의 유출로 심각한 해양오염을 일으킨 해양사고
- (2) 제1항의 규정에 의한 특별심판부는 당해 해양사고의 원인규명에 전문지식을 가진 심판관 2인과 당해 사건을 관할하는 지방심판원장으로 구성하되, 지방심판원장이 심판장이 된다.<개정 1999.2.5>
- [본조신설 1987.11.28]
- 제23조 (심판부의 직원) (1) 심판부에 서기·심판정경위 및 심판보조직원을 둔다.
- (2) 서기는 심판에 열석하며 심판장 및 심판관의 명을 받아 서류의 작성·보관 또는 송달에 관한 사무를 담당한다.
- (3) 심판정경위는 심판장의 명을 받아 심판정의 질서유지를 담당한다.
- (4) 심판보조직원은 심판장 및 심판관의 명을 받아 증거조사 및 서기업무를 제외한 심판보조업무를 담당한다.
- (5) 서기·심판정경위 및 심판보조직원은 심판원장이 그 소속직원중에서 지명 또는 임명한다.
- [전문개정 1999.2.5]
제2장의2 심판원의 관할<신설 1987.11.28>
편집- 제24조 (관할) (1) 심판에 부칠 사건의 관할권은 해양사고가 발생한 지점을 관할하는 지방심판원에 속한다. 다만, 해양사고 발생지점이 분명하지 아니할 때에는 그 해양사고와 관련된 선박의 선적항을 관할하는 심판원에 속한다.<개정 1999.2.5>
- (2) 동일사건이 2이상의 지방심판원에 계속되었을 때에는 최초의 심판청구를 받은 지방심판원에서 심판한다.
- (3) 동일선박에 관한 2이상의 사건이 2이상의 지방심판원에 계속되었을 때에는 최초의 심판청구를 받은 지방심판원이 병합하여 심판한다.
- (4) 동일선박에 관한 2이상의 사건은 이를 병합하여 심판한다.
- (5) 국외에서 발생한 사건의 관할에 대하여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개정 1987.11.28>
- 제25조 (사건이송) (1) 지방심판원은 사건이 그 관할에 속하지 아니한다고 인정할 때에는 결정으로써 이를 관할지방심판원에 이송하여야 한다.
- (2)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송을 받은 지방심판원은 다시 사건을 다른 지방심판원에 이송할 수 없다.<개정 1975.12.31>
- (3) 제1항의 경우에 있어서 사건은 처음부터 이송을 받은 지방심판원에 계속된 것으로 본다.
- 제26조 (관할이전의 신청) (1) 조사관 또는 해양사고관련자는 당해해양사고의 해양사고관련자가 관할지방심판원에 출석하는 것이 불편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중앙심판원에 관할의 이전을 신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신청인은 관할지방심판원에 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으며, 이를 제출받은 관할지방심판원은 지체없이 중앙심판원에 송부하여야 한다.<개정 1999.2.5>
- (2) 중앙심판원은 제1항의 신청이 있을 경우에 심판상 편의가 있다고 인정할 때에는 결정으로서 관할을 이전할 수 있다.<개정 1975.12.31>
제3장 심판변론인<개정 1999.2.5>
편집- 제27조 (심판변론인의 선임<개정 1987.11.28, 1999.2.5>) (1) 해양사고관련자 또는 이해관계인은 심판변론인을 선임할 수 있다.<개정 1999.2.5>
- (2) 해양사고관련자의 법정대리인·배우자·직계친족과 형제자매는 독립하여 심판변론인을 선임할 수 있다.<개정 1987.11.28, 1999.2.5, 2005.3.31>
- (3) 심판변론인은 중앙심판원에 심판변론인으로 등록한 자중에서 선임하여야 한다. 다만, 각급 심판원장의 허가를 받은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개정 1987.11.28, 1999.2.5>
- (4) 심판의 결과에 대하여 동일한 이해관계를 가지는 해양사고관련자 또는 이해관계인이 선임한 심판변론인이 2인이상인 경우에는 대표심판변론인 1인을 선임하여야 한다.<신설 1999.2.5>
- 제28조 (심판변론인의 자격과 등록) (1) 심판변론인이 될 수 있는 자는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자로 한다. <개정 2007.12.21, 2008.2.29>
- 1. 제9조의2제3항제1호부터 제4호까지에 해당하는 자
- 2. 심판관 및 조사관으로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자
- 3. 1급 항해사, 1급 기관사 또는 1급 운항사 면허를 받은 자로서 5년이상 해사관련 법률자문업무에 종사하였거나 국토해양부령이 정하는 해사관련 분야의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자
- 4. 변호사의 자격이 있는 자
- (2) 심판변론인의 업무에 종사하고자 하는 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중앙심판원에 등록하여야 한다.
- [전문개정 1999.2.5]
- 제28조의2 (심판변론인의 결격사유)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자는 심판변론인이 될 수 없다.
- 1. 제10조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자
- 2. 등록이 취소된 날로부터 3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 [본조신설 1999.2.5]
- 제29조 (심판변론인의 업무등<개정 1999.2.5>) (1) 심판변론인은 다음 각호의 업무를 행한다.<개정 1999.2.5>
- 1. 해양사고관련자 또는 이해관계인이 이 법에 의하여 심판원에 대하여 행하는 신청·청구·진술 등의 대리 또는 대행
- 2. 해양사고관련자등에 대하여 행하는 해양사고와 관련된 기술적 자문
- (2) 심판변론인은 성실하게 그 수임한 직무를 수행하여야 한다.<개정 1987.11.28, 1999.2.5>
- (3) 심판변론인 또는 심판변론인이었던 자는 직무상 지득한 비밀을 누설하여서는 아니된다.<개정 1987.11.28, 1999.2.5>
- 제30조 삭제<1999.2.5>
- 제30조의2 (심판변론인협회<개정 1999.2.5>) (1) 심판변론인은 국토해양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심판변론인협회(이하 "협회"라 한다)를 설립할 수 있다.<개정 1999.2.5, 2008.2.29>
- (2) 협회는 법인으로 한다.
- [본조신설 1987.11.28]
- 제30조의3 (사업) 협회는 다음의 사업을 행한다.<개정 1999.2.5>
- 1. 해양사고관련자의 심판구조사업
- 2. 해양사고의 방지에 관한 사업
- 3. 심판변론인과 위임인간의 분쟁조정
- 4. 기타 심판과 관련된 것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업
- [본조신설 1987.11.28]
- 제30조의4 (설립절차등) 협회의 설립절차, 정관의 기재 사항, 임원과 감독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본조신설 1987.11.28]
- 제30조의5 (「민법」의 준용 <개정 2007.12.21>) 협회에 관하여 이 법에 규정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민법중 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개정 2007.12.21>
- [본조신설 1987.11.28]
제4장 심판전의 절차
편집- 제31조 (해양수산관서등의 의무<개정 1996.8.8>) (1) 해양수산관서, 국가경찰공무원,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 및 시장·군수·구청장은 제2조 각호의 1에 해당하는 해양사고가 발생한 사실을 인지하였을 때에는 지체없이 그 사실을 상기하여 관할지방심판원의 조사관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개정 1987.11.28, 1996.8.8, 1999.2.5, 2006.2.21>
- (2) 조사관이 해양사고에 관한 증거수집 또는 조사를 하기 위하여 관계관서에 협조를 요청할 때에는 그 관서는 이에 응하여야 한다.<개정 1999.2.5>
- 제32조 (영사의 임무) (1) 영사는 국외에서 제2조제1항 각호의 1에 해당하는 해양사고가 발생한 사실을 인지하였을 때에는 지체없이 그 사실과 증거를 수집하여 중앙수석조사관에게 통보하여야 한다.<개정 1987.11.28, 1999.2.5>
- (2) 중앙수석조사관이 제1항의 통보를 받았을 때에는 지체없이 관할지방수석조사관에게 송부하여야 한다.<개정 1975.12.31, 1987.11.28>
- 제33조 (사실조사의 요구) (1) 해양사고에 대하여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그 사실을 상기하여 관할조사관에게 사실조사를 요구할 수 있다.<개정 1999.2.5>
- (2) 제1항의 요구를 받은 조사관은 사실조사를 하여 심판청구의 여부를 결정하고 그 뜻을 요구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개정 1975.12.31>
- (3) 조사관이 제2항의 심판청구를 거부할 때에는 미리 중앙수석조사관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개정 1975.12.31, 1987.11.28>
- 제34조 (해양사고의 조사 및 처리) (1) 조사관은 해양사고가 발생한 사실을 알게 된 때에는 즉시 그 사실을 조사하고 증거를 수집하여야 한다.
- (2) 조사관은 조사의 결과 사건을 심판에 붙일 필요가 없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그 사건에 대하여 심판불요처분을 하여야 한다.
- [전문개정 1999.2.5]
- 제35조 (증거보전) (1) 조사관·해양사고관련자 또는 심판변론인이 미리 증거를 보전하지 아니하면 그 증거를 채택하기 곤란하다고 인정하여 신청할 때에는 심판원은 심판청구전이라도 검증·증인신문 또는 감정을 할 수 있다.<개정 1987.11.28, 1999.2.5>
- (2) 제1항의 신청에는 서면으로 증거를 표시하고 그 증거보전의 사유를 소명하여야 한다.<개정 1975.12.31>
- (3) 누구든지 해양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조사관의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는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신설 1999.2.5>
- 1. 항해일지 등의 기재사항이나 선박내 기록의 파기 또는 변경
- 2. 선박의 손상된 선체·기관 및 각종 계기 기타 손상된 부분에 대한 수리
- 제36조 (비밀준수의무) 조사관 또는 그의 보조자는 사실조사 및 증거수집에 있어서 비밀을 준수하고 관계인의 명예를 훼손하지 아니하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 제37조 (조사관의 권한) (1) 조사관은 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할 때에는 다음 각호의 처분을 할 수 있다.<개정 1987.11.28, 1999.2.5>
- 1. 해양사고와 관계있는 자를 출석시키거나 질문하는 일
- 2. 선박 기타의 장소를 검사하는 일
- 3. 해양사고와 관계있는 자에게 보고를 시키거나 장부·서류 기타의 물건의 제출을 명하는 일
- 4. 관공서에 대하여 보고 또는 자료의 제출 및 협조를 요구하는 일
- 5. 증인·감정인·통역인 또는 번역인을 출두시키거나 또는 증언·감정·통역·번역을 시키는 일
- (2) 제1항제1호의 처분을 받은 자로서 조사관이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해양수산관서에 대하여 72시간이내의 기간 당해자의 하선조치를 요구할 수 있다.<개정 1975.12.31, 1996.8.8>
- (3) 조사관이 제1항제2호의 처분을 할 때에는 그 권한을 표시하는 증표를 휴대하고 관계인에게 이를 제시하여야 한다.
- 제38조 (심판의 청구) (1) 조사관은 사건을 심판에 붙여야 할 것으로 인정할 때에는 지방심판원에 대하여 심판을 청구하여야 한다. 그러나 사건발생후 3년을 경과한 해양사고에 대하여는 심판의 청구를 하지 못한다.<개정 1999.2.5>
- (2) 제1항의 청구는 해양사고사실을 표시한 서면으로 하여야 한다.<개정 1975.12.31, 1999.2.5>
- 제39조 (해양사고관련자의 지정과 통고) (1) 조사관은 제38조의 규정에 의하여 심판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당해 해양사고 발생의 원인과 관계가 있다고 인정되는 자를 해양사고관련자로 지정하여야 한다.
- (2) 조사관은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해양사고관련자를 지정한 경우에는 그 내용을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당해 해양사고관련자에게 통고하여야 한다.
- [전문개정 1999.2.5]
- 제39조의2 (이해관계인의 심판신청) (1) 해양사고에 대하여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제34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심판불요처분을 받은 해양사고에 대하여 원인규명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관할지방심판원에 그 처분의 당부에 대한 심판을 신청할 수 있다.
- (2) 관할지방심판원은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심판이 신청된 경우 당해 신청이 이유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때에는 결정으로써 조사관으로 하여금 조사를 개시하여 심판을 청구하도록 하고, 당해 신청이 이유없는 것으로 인정되는 때에는 결정으로써 이를 기각하여야 한다.
- [본조신설 1999.2.5]
제5장 지방심판원의 심판
편집- 제40조 (심판의 개시) 지방심판원은 조사관의 심판청구에 의하여 심판을 개시한다.<개정 1975.12.31>
- 제41조 (심판의 공개) 심판의 대심과 재결은 공개된 심판정에서 이를 행한다.
- 제41조의2 (원격영상심판) (1) 심판원장은 해양사고관련자가 교통의 불편등으로 직접 심판정에 출석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원격영상심판을 할 수 있다.
- (2)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원격영상심판의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2008.2.29>
- [본조신설 1999.2.5]
- 제42조 (심판장의 권한) (1) 심판장은 개정중 심판을 지휘하고 심판정의 질서를 유지한다.
- (2) 심판장은 심판을 방해하는 자에 대하여 퇴정을 명하거나 기타 심판정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
- 제43조 (심판기일의 지정 및 변경) (1) 심판장은 심판기일을 정하여야 한다.
- (2) 심판기일에는 해양사고관련자를 소환하여야 한다.다만, 심판장은 1회이상 출석한 해양사고관련자에 대하여는 소환하지 아니할 수 있다.<개정 1987.11.28, 1999.2.5>
- (3) 심판기일은 조사관·심판변론인 및 소환하지 아니하는 해양사고관련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개정 1987.11.28, 1999.2.5>
- (4) 심판장은 직권 또는 해양사고관련자·조사관 및 심판변론인의 신청에 의하여 제1회의 심판기일을 변경할 수 있다.<개정 1987.11.28, 1999.2.5>
- 제43조의2 (집중심리) (1) 심판원은 심리에 2일이상이 소요되는 때에는 가능한 한 매일 계속 개정하여 집중심리를 하여야 한다.
- (2) 심판장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직전의 심판기일부터 10일이내에 다음의 심판기일을 지정하여야 한다.
- [본조신설 1999.2.5]
- 제44조 (소환과 신문) 지방심판원은 심판기일에 해양사고관련자·증인 기타 이해관계인을 소환하고 신문할 수 있다.<개정 1999.2.5>
- 제45조 (필요적 변론) 심판의 재결은 반드시 구술변론을 거쳐야 한다. 다만, 해양사고관련자가 정당한 사유없이 심판기일에 출석하지 아니할 때에는 그 진술을 듣지 아니하고 재결을 할 수 있다.<개정 1999.2.5>
- [전문개정 1975.12.31]
- 제46조 (인정신문) 심판장은 해양사고관련자의 성명·주민등록번호 및 주소를 신문하고 해양사고관련자가 해기사 및 도선사인 경우에는 면허의 종류등을 신문하여 해양사고관련자임이 틀림없음을 확인하여야 한다.
- [전문개정 1999.2.5]
- 제47조 (조사관의 모두진술) 조사관은 심판청구서에 의하여 심판청구의 요지를 진술하여야 한다.
- 제48조 (증거조사) (1) 지방심판원은 조사관·해양사고관련자 또는 심판변론인의 신청에 의하거나 직권으로 필요한 증거조사를 할 수 있다.<개정 1975.12.31, 1999.2.5>
- (2) 지방심판원은 제1회 심판기일전에 있어서 다음의 방법에 의한 조사만을 할 수 있다.
- 1. 선박 기타의 장소를 검사하는 일
- 2. 장부·서류 기타의 물건의 제출을 명하는 일
- 3. 관공서에 대하여 보고 또는 자료제출을 요구하는 일
- (3) 지방심판원은 구속·압수·수색 기타 신체·물건 또는 장소에 대한 강제처분을 하지 못한다.
- 제48조의2 (증거자료의 한글사용) 심판원에 증거로 제출하는 항해일지 등의 문서는 한글(국·한문혼용을 포함한다)로 작성된 것을 제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외국어로 작성된 문서를 제출하는 경우에는 그 번역문을 첨부하여야 한다.
- [본조신설 1999.2.5]
- 제49조 (선서) 지방심판원은 제48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증거조사를 함에 있어서 증인·감정인·통역인 또는 번역인에게 증언·감정·통역 또는 번역을 시키는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에 의하여 선서시켜야 한다.<개정 1975.12.31>
- 제49조의2 (심판청구서의 변경등) (1) 조사관은 심판청구서에 기재된 사건명을 변경하거나 해양사고사실 또는 해양사고관련자를 추가·철회 또는 변경할 수 있다.
- (2) 심판장은 심리의 경과에 비추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조사관에게 해양사고관련자의 추가·철회 또는 변경을 서면으로 요구할 수 있다.
- (3) 심판장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해양사고사실 또는 해양사고관련자의 추가·철회 또는 변경이 있은 때에는 지체없이 해양사고관련자 또는 심판변론인에게 그 사실을 통지하여야 한다.
- (4)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한 심판청구서의 추가·철회 또는 변경의 요건·절차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본조신설 1999.2.5]
- 제49조의3 (심판청구의 취하) 조사관은 심판청구된 사건에 대한 심판이 불필요하게 된 경우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우에는 제1심의 재결이 있을 때까지 심판청구를 취하할 수 있다. 다만, 제39조의2의 규정에 의하여 심판원의 결정으로 조사관이 청구한 사건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본조신설 1999.2.5]
- 제50조 (증거심판주의) 사실의 인정은 심판기일에 조사한 증거에 의하여 한다.
- 제51조 (자유심증주의) 증거의 증명력은 심판관의 자유로운 판단에 의한다.
- 제52조 (심판청구기각의 재결) 지방심판원은 다음 각호의 경우에는 재결로써 심판청구를 기각하여야 한다.
- 1. 사건에 대하여 심판권이 없을 때
- 2. 심판의 청구가 법령에 위반하여 제기되었을 때
- 3. 제7조의 규정에 의하여 심판할 수 없을 때
- 제53조 (재결이유의 표시) 재결에는 주문을 표시하고 이유를 붙여야 한다.
- 제54조 (본안의 재결) 본안의 재결에는 해양사고의 구체적 사실과 원인을 명백히 하고 또한 증거에 의하여 그 사실을 인정한 이유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그 사실이 없다고 인정한 때에는 그 뜻을 명백히 하여야 한다.<개정 1999.2.5>
- 제55조 (재결의 고지) 재결은 재결원본에 의하여 심판정에서 심판장이 이를 고지한다.
- 제56조 (재결서의 송달) 심판원장은 재결서의 정본을 10일이내에 조사관과 해양사고관련자 또는 심판변론인에게 송달하여야 한다.<개정 1975.12.31, 1999.2.5>
- 제56조의2 (송달의 방식) 해양사고관련자·심판변론인 또는 대리인에 대한 통고·통지 또는 서류의 송달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개정 1999.2.5>
- [본조신설 1987.11.28]
- 제57조 (법령에의 위임) 이 법에 규정한 외에 심판절차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6장 중앙심판원의 심판
편집- 제58조 (제2심의 청구) (1) 조사관·해양사고관련자는 지방심판원의 재결(특별심판부의 재결을 포함한다)에 대하여 불복이 있을 때에는 중앙심판원에 제2심의 청구를 할 수 있다.<개정 1987.11.28, 1999.2.5>
- (2) 심판변론인은 해양사고관련자를 위하여 제1항의 청구를 할 수 있다. 다만, 해양사고관련자의 명시한 의사에 반하여서는 아니된다.<개정 1999.2.5>
- (3) 제2심청구는 이유를 붙인 서면으로 원심심판원에 제출하여야 한다.
- 제59조 (제2심의 청구기간) (1) 제58조의 청구는 재결서정본의 송달을 받은 날로부터 14일이내에 이를 하여야 한다. <개정 1975.12.31, 2007.12.21>
- (2) 제2심의 청구를 할 수 있는 자가 그 책임질 수 없는 사유로 인하여 제1항의 기간내에 심판청구를 하지 못한 때에는 그 사유가 끝난 날로부터 14일이내에 서면으로 원심심판원에 제출할 수 있다. <개정 1975.12.31, 2007.12.21>
- (3) 제2항의 경우에는 그 사유를 소명하여야 한다.<개정 1975.12.31>
- 제60조 (제2심청구의 효력) 제2심청구의 효력은 당해 사건과 당사자전원에 미친다.<개정 1975.12.31>
- 제61조 (제2심청구의 취하) 제2심청구를 한 자는 재결이 있을 때까지 그 청구를 취하할 수 있다.<개정 1987.11.28>
- [전문개정 1975.12.31]
- 제62조 (법령위반으로 인한 청구의 기각) 중앙심판원은 제2심의 심판청구의 절차가 법령에 위반한 때에는 재결로써 그 청구를 기각한다.
- 제63조 (사건의 환송) 중앙심판원은 지방심판원이 법령에 위반하여 심판청구를 기각한 때에는 재결로써 사건을 지방심판원에 환송하여야 한다.<개정 1975.12.31, 1987.11.28>
- 제64조 (지방심판원의 청구기각사유로 인한 청구의 기각) 중앙심판원은 지방심판원이 제52조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사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심판의 청구를 기각하지 아니한 때에는 재결로써 이를 기각하여야 한다.
- 제65조의2 (불이익변경의 금지) 해양사고관련자인 해기사 또는 도선사가 제2심을 청구한 사건과 해양사고관련자인 해기사 또는 도선사를 위하여 제2심을 청구한 사건에 대하여는 제1심에서 재결한 징계보다 중한 징계를 할 수 없다.
- [본조신설 1999.2.5]
- 제66조 (준용규정) 중앙심판원은 심판에 관하여는 이 장에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5장의 규정을 준용한다.
제7장 이의신청
편집- 제67조 (결정에 대한 이의신청) (1) 지방심판원에서 결정을 받은 자는 중앙심판원에 대하여 이의를 신청할 수 있다.
- (2) 이의신청은 제2심 재결이 있을 때까지 이를 할 수 있다.
- 제68조 (이의신청의 절차) (1) 이의신청은 신청서를 지방심판원에 제출하여야 한다.
- (2) 지방심판원은 이의신청이 이유있다고 인정할 때에는 원심결정을 경정할 수 있다.
- (3) 지방심판원은 이의신청이 전부 또는 일부가 이유없다고 인정할 때에는 그 신청서를 수리한 날로부터 3일이내에 이를 중앙심판원에 송부하여야 한다.
- (4) 이의신청은 원심결정의 집행을 정지하지 아니한다. 다만, 지방심판원은 상당한 사유가 있다고 인정할 때에는 조사관의 의견을 들어 집행을 정지할 수 있다.
- 제69조 (이의신청과 관계서류 및 증거물) (1) 이의신청이 있을 때에 지방심판원은 필요할 때에는 원심조서 기타의 관계서류 및 증거물을 중앙심판원에 송부하여야 한다.
- (2) 중앙심판원은 지방심판원에 대하여 원심조서 기타의 관계서류 및 증거물의 송부를 요구할 수 있다.
- 제70조 (원심결정의 집행정지) (1) 이의신청이 있을 경우 상당한 이유가 있다고 인정할 때에는 중앙심판원은 조사관의 의견을 들어 결정으로써 원심결정의 집행을 정지할 수 있다.
- (2) 제1항의 경우에 중앙심판원은 그 결정서의 정본을 지방심판원에 송부하여야 한다.<개정 1975.12.31>
- 제71조 (이의신청에 대한 결정) (1) 중앙심판원은 조사관의 의견을 들어 이의신청에 대한 결정을 하여야 한다.
- (2) 이의신청이 그 절차에 위반하였을 때 또는 그 이유가 없을 때에는 이의신청의 기각 결정을 하여야 한다.
- (3)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한 결정에는 이유를 붙일 것을 요하지 아니한다.<개정 1975.12.31>
- 제72조 (지방심판원에 대한 결정의 통지) 이의신청에 대한 중앙심판원의 결정은 이를 이의신청인 및 지방심판원에 통지하여야 한다.<개정 1999.2.5>
- 제73조 (위임규정) 이의신청에 대한 결정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제8장 중앙심판원의 재결에 대한 소
편집- 제74조 (관할과 제소기간 및 그 제한) (1) 중앙심판원의 재결에 대한 소는 대법원의 관할에 전속한다.
- (2) 제1항의 소는 재결서 정본의 송달을 받은 날로부터 30일이내에 이를 제기하여야 한다.<개정 1975.12.31>
- (3) 제2항의 기간은 이를 불변기간으로 한다.<개정 1975.12.31>
- (4) 지방심판원의 재결에 대하여는 소를 제기할 수 없다.
- 제75조 (피고) 제74조제1항의 소에 있어서는 중앙심판원장을 피고로 한다.<개정 1975.12.31>
- 제76조 삭제<1999.2.5>
- 제77조 (재판) (1) 대법원은 제74조에 따라 소가 제기된 경우 그 청구이유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판결로써 재결을 취소하여야 한다.
- (2) 중앙심판원은 제1항에 따라 재결의 취소판결이 확정된 때에는 다시 심리를 하여 재결하여야 한다.
- (3) 제1항에 따른 법원의 판결에 있어서 재결취소의 이유가 되는 판단은 그 사건에 대하여 중앙심판원을 기속한다.
- (4) 이 법에 따른 중앙심판원의 재결에 관한 소송에는 이 법에서 규정하는 사항 외에 행정소송법을 준용한다.
- [전문개정 2007.12.21]
제9장 재결등의 집행
편집- 제78조 (재결의 집행시기) 재결은 그 확정후에 이를 집행한다.
- 제79조 (재결의 집행자) 중앙심판원의 재결은 중앙수석조사관이, 지방심판원의 재결은 당해 지방수석조사관이 이를 집행한다.<개정 1987.11.28>
- 제80조 (면허취소의 재결의 경우) 면허취소의 재결이 확정된 때에는 조사관은 해기사면허증 또는 도선사면허장을 회수하여 이를 관계해양수산관서에 송부하여야 한다.<개정 1975.12.31, 1983.12.31, 1996.8.8, 1999.2.5>
- 제81조 (업무정지재결의 경우) 업무정지재결이 확정된 때에는 조사관이 면허증 또는 면허장을 회수하여 보관하였다가 업무정지기간만료후 이를 본인에게 반환하여야 한다.<개정 1983.12.31, 1999.2.5>
- 제81조의2 (징계의 실효) 제5조의 규정에 의하여 업무정지 또는 견책의 징계를 받은 해기사 또는 도선사가 그 징계재결의 집행이 종료된 날로부터 5년이상 무사고운항을 한 때에는 그 징계는 실효된다. 이 경우 그 징계기록의 말소절차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한다.<개정 1996.8.8, 2008.2.29>
- [본조신설 1987.11.28]
- 제82조 (면허증의 무효선언과 고시) 면허취소 또는 업무정지의 재결을 받은 자가 조사관에게 그 해기사면허증 또는 도선사면허증을 제출하지 아니할 때에는 중앙수석조사관은 그 면허증의 무효를 선언하고 이를 관보에 고시한 후 국토해양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개정 1975.12.31, 1983.12.31, 1987.11.28, 1996.8.8, 2008.2.29>
- 제83조 (재결의 공고 <개정 1999.2.5, 2007.12.21>) 중앙수석조사관은 제5조제3항의 규정에 의한 시정·개선을 권고하거나 명하는 재결을 한 때에는 그 내용을 관보에 공고하고, 이를 국토해양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다만, 필요하다고 인정할 경우에는 신문에 공고할 수 있다. <개정 1996.8.8, 1999.2.5, 2007.12.21, 2008.2.29>
- [전문개정 1987.11.28]
- 제84조 (재결 등의 이행 <개정 1999.2.5, 2007.12.21>) (1)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그 취지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수석조사관이 조치내용의 통보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그 조치내용을 지체없이 그에게 통보하여야 한다.<개정 1999.2.5, 2007.12.21>
- (2) 수석조사관은 제1항의 규정에 의한 통보내용을 검토하여 그 조치가 미흡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그 이행을 요구할 수 있다. <개정 1999.2.5, 2007.12.21>
- [전문개정 1987.11.28]
제10장 보칙
편집- 제85조 (증인등의 수당지급) 이 법의 규정에 의하여 출석하는 증인·감정인·통역인 또는 번역인에 대하여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의하여 여비·일당 및 숙박료와 감정료·통역료 또는 번역료를 지급할 수 있다.
- 제86조 (비상임심판관의 수당지급<개정 1999.2.5>) 심판에 배석하는 비상임심판관에 대하여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의하여 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개정 1999.2.5>
- 제87조 (행정심판등의 제한) 이 법에 의한 재결에 대하여는 행정심판법 기타 법령에 의한 행정심판의 청구 또는 이의신청을 할 수 없다. <개정 1987.11.28, 2007.12.21>
- 제88조 (수수료) 각급 심판원으로부터 이 법의 규정에 의한 재결서·결정서등의 등본을 교부받고자 하는 자는 국토해양부령이 정하는 수수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개정 2008.2.29>
- [전문개정 1999.2.5]
제11장 벌칙
편집- 제89조 (벌칙) 제29조제3항의 규정에 위반하여 직무상 지득한 비밀을 누설한 자는 1년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 제90조 (과태료) (1)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자는 200만원이하의 과태료에 처한다.<개정 1999.2.5>
- 1. 제5조제3항의 규정에 의한 시정 또는 개선을 명하는 재결을 이행하지 아니한 자
- 2. 제35조제3항의 규정에 위반한 자
- 3. 제37조제1항제1호 내지 제3호의 규정에 의한 조사관의 처분에 불응하거나 처분에 응하는 것을 방해한 자. 다만, 제37조제1항제1호 및 제3호의 경우 해양사고의 원인과 직접 관련이 없는 자를 제외한다.
- 4. 제48조제2항제1호의 규정에 의한 심판원의 검사를 거부·방해 또는 기피한 자
- 5. 제48조제2항제2호의 규정에 의한 심판원의 제출명령을 받은 장부·서류 기타의 물건을 제출하지 아니하거나 허위의 기재를 한 장부·서류 기타의 물건을 제출한 자
- 6. 제49조의 규정에 의한 선서에 위배하여 허위사실을 진술한 자
- (2)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자는 50만원이하의 과태료에 처한다.<개정 1999.2.5>
- 1. 심판원으로부터 계속 2회의 소환을 받고 정당한 이유없이 출석하지 아니한 해양사고관련자
- 2. 심판원으로부터 계속 2회의 소환을 받고 정당한 이유없이 출석하지 아니하거나 그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증인·감정인·통역인 또는 번역인
- 3. 제42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심판장의 명령에 복종하지 아니한 자
- [전문개정 1987.11.28][[[대한민국 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89|제89조]]에서 이동, 종전 제90조는 제91조로 이동<1999.2.5>]
- 제91조 (과태료의 부과·징수 등) (1) 제90조의 규정에 의한 과태료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심판원장이 부과·징수한다.
- (2) 제1항의 규정에 의한 과태료 처분에 불복이 있는 자는 그 처분의 고지를 받은 날부터 30일이내에 심판원장에게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 (3) 제1항의 규정에 의한 과태료 처분을 받은 자가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의를 제기한 때에는 심판원장은 지체없이 관할법원에 그 사실을 통보하여야 하며, 그 통보를 받은 관할법원은 비송사건절차법에 의한 과태료의 재판을 한다. <개정 2007.12.21>
- (4) 제2항의 규정에 의한 기간내에 이의를 제기하지 아니하고 과태료를 납부하지 아니한 때에는 국세체납처분의 예에 의하여 이를 징수한다.
- [전문개정 1999.2.5][[[대한민국 해양사고의 조사 및 심판에 관한 법률#90|제90조]]에서 이동<1999.2.5>]
부칙
편집- 부칙 <제2306호,1971.1.22>
- (1) (시행일) 이 법은 공포후 6월이 경과하지 아니하는 기간내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날로부터 시행한다.
- (2) (경과조치) 이 법 시행 당시 해난심판위원회에 종사하는 해난심판위원장·위원은 이 법에 의한 해난심판원장과 심판관으로 임명된 것으로 본다.
- 부칙 <제2582호,1973.3.5>
- (1) (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 (2) (경과조치) 이 법에 의하여 정년을 초과하였거나 임기가 만료된 심판원장과 심판관은 그 후임자가 임명될 때까지 그 직무를 행하며, 이 경우에 그 임기는 후임자가 임명되는 전일까지로 한다.
- 부칙 <제2876호,1975.12.31>
- 이 법은 공포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 부칙 <제3715호,1983.12.31> 선박직원법
- 부칙 <제3951호,1987.11.28>
- (1) (시행일) 이 법은 공포후 3월이 경과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 (2) (중앙심판원장·심판관·주임조사관 및 조사관에 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당시 재직중인 중앙심판원장·심판관·주임조사관 및 조사관은 이 법에 의한 중앙심판원장·심판관·수석조사관 및 조사관으로 각각 임명된 것으로 본다.
- (3) (과태료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전의 행위에 대한 과태료의 적용에 있어서는 종전의 규정에 의한다.
- 부칙 <제4423호,1991.12.14> 비송사건절차법
- 부칙 <제5153호,1996.8.8> 정부조직법
-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후 30일이내에 제41조의 개정규정에 의한 해양수산부와 해양경찰청의 조직에 관한 대통령령의 시행일부터 시행한다.
- 제2조 생략
- 제3조 (다른 법률의 개정) (1) 내지 <66>생략
- 제4조 생략
- 부칙 <제5809호,1999.2.5>
-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후 6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2조제4호 및 제41조의2의 개정규정은 이 법 공포후 1년6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 제2조 (중앙심판원장·지방심판원장·심판관 및 조사관에 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당시 재직중인 중앙심판원장·지방심판원장·심판관 및 조사관중 이 법에 의한 자격기준을 갖추지 아니한 자는 다음 각호의 구분에 따른 기간동안 제9조·제9조의2 및 제16조의2의 개정규정에 의한 자격기준을 갖춘 것으로 본다.
- 1. 중앙심판원장·지방심판원장 및 심판관 : 잔여임기에 해당하는 기간
- 2. 조사관 : 이 법 시행후 6월이내의 기간
- 제3조 (참심원에 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당시 위촉되어 있는 참심원은 제14조의 개정규정에 의한 비상임심판관으로 본다.
- 제4조 (해사보좌인등에 대한 경과조치) (1) 이 법 시행당시 중앙심판원에 등록한 해사보좌인은 제28조제2항의 개정규정에 의하여 중앙심판원에 등록한 심판변론인으로 본다.
- (2) 이 법 시행당시 중앙심판원장의 허가를 받은 해사보좌인협회는 제30조의2제1항의 개정규정에 의하여 해양수산부장관의 허가를 받은 심판변론인협회로 본다.
- 제5조 (벌칙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전의 행위에 대한 벌칙의 적용에 있어서는 종전의 규정에 의한다.
- 제6조 (다른 법률의 개정) (1) 개항질서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6조제1항 단서, 제11조제1항 단서, 제12조제1항제1호중 "해난을"을 각각 "해양사고를"로 한다.
- 제25조의 제목 및 동조제1항중 "해난"을 각각 "해양사고"로 한다.
- (2) 교통안전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24조제2항중 "해난구조"를 "해양사고 구조"로, "해난구조체제"를 "해양사고 구조체제"로 한다.
- (3) 국가공무원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2조제3항제2호 다목중 "해난심판원"을 "해양안전심판원"으로 한다.
- (4) 도선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9조제1항제5호중 "해난사고"를 "해양사고"로 하고, 동조제4항중 "해난사고가 해난심판법에 의한 해난심판에"를 "해양사고가 해양사고의조사및심판에관한법률에 의한 해양안전심판에"로 한다.
- (5) 민사소송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17조의 제목중 "해난구조지"를 "해양사고 구조지"로 하고, 동조 본문중 "해난구조"를 "해양사고 구조"로 한다.
- (6) 배타적경제수역에서의외국인어업등에대한주권적권리의행사에관한법률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11조 단서 및 제12조 단서중 "해난사고"를 각각 "해양사고"로 한다.
- (7) 상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748조제2호중 "해난구조"를 "해양사고 구조"로 하고, 동조제4호중 "해난을"을 "해양사고를"로 한다.
- 제752조의2의 제목 및 동조제1항중 "해난구조자"를 각각 "해양사고구조자"로 한다.
- 제774조제1항 본문중 "해난구조료"를 "해양사고 구조료"로 한다.
- 제794조제2항·제797조 및 제800조제1항중 "해난구조"를 각각 "해양사고 구조"로 한다.
- 제7장의 제목 "해난구조"를 "해양사고 구조"로 한다.
- 제849조의 제목중 "해난구조"를 "해양사고 구조"로 한다.
- 제851조중 "해난당시"를 "해양사고당시"로 한다.
- 제857조제2호중 "해난을"을 "해양사고를"로 한다.
- 제862조제3호중 "해난구조"를 "해양사고 구조"로 한다.
- (8) 선박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6조 단서중 "해난"을 "해양사고"로 한다.
- (9) 선원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21조제1호중 "해난이"를 "해양사고가"로 한다.
- 제93조중 "해난사고"를 "해양사고"로 한다.
- (10) 선박직원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9조제1항 단서중 "해난사고에 대하여 해난심판원이"를 "해양사고에 대하여 해양안전심판원이"로 한다.
- 제27조제3호 및 제28조제2호중 "해난심판법"을 각각 "해양사고의조사및심판에관한법률"로 한다.
- (11) 섭외사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47조의 제목 "(해난구조)"를 "(해양사고 구조)"로 하고, 동조 본문중 "해난구조"를 "해양사고 구조"로 한다.
- (12) 정부조직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43조제1항중 "해난심판"을 "해양안전심판"으로 한다.
- (13) 한국해운조합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6조제1항제12호를 다음과 같이 한다.
- 12. 해양사고 구제사업
- (14) 해상교통안전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9조의 제목 및 동조제1항중 "해난이"를 각각 "해양사고가"로 하고, 동조제1항·제3항중 "해난"을 각각 "해양사고"로 한다.
- 제11조제1항 본문중 "해난"을 "해양사고"로 한다.
- 제17조제7항 단서 및 제18조제8항 단서중 "해난을"을 각각 "해양사고를"로 한다.
- 제45조제1항 본문중 "대형해난이"를 "대형 해양사고가"로 한다.
- 제49조의2제1항 본문중 "해난으로"를 "해양사고로"로 한다.
- 제50조중 "해난이"를 "해양사고가"로 한다.
- (15) 해양과학조사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15조중 "해난사고"를 "해양사고"로 한다.
- <16>해운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21조제1항제3호중 "해난사고"를 "해양사고"로 하고, 동항제4호중 "해난을"을 "해양사고를"로 한다.
- <17>행정절차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3조제2항제8호중 "해난심판"을 "해양안전심판"으로 한다.
- 부칙 <제7427호,2005.3.31> 민법
-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생략… 부칙 제7조(제2항 및 제29항을 제외한다)의 규정은 2008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 제2조 내지 제6조 생략
- 제7조 (다른 법률의 개정) (1) 내지 <24>생략
- <25>해양사고의조사및심판에관한법률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15조제1항제1호중 "친족·호주·가족관계"를 "친족관계"로 한다.
- 제27조제2항중 "직계친족·형제자매와 호주"를 "직계친족과 형제자매"로 한다.
- <26>내지 <29>생략
- 부칙 <제7428호,2005.3.31>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1년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 제2조 내지 제4조 생략
- 제5조 (다른 법률의 개정) (1) 내지 <138>생략
- <139>해양사고의조사및심판에관한법률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10조제2호중 "파산자"를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 한다.
- <140>내지 <145>생략
- 제6조 생략
- 부칙 <제7796호,2005.12.29> 국가공무원법
-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2006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 제2조 내지 제5조 생략
- 제6조 (다른 법률의 개정) (1) 내지 <65>생략
- <66>해양사고의조사및심판에관한법률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9조의2제2항제2호중 "4급이상의 일반직 국가공무원"을 "4급 이상 일반직 국가공무원 또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하고, 동항제3호중 "3급이상의 일반직 국가공무원"을 "3급 이상 일반직 국가공무원 또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하며, 동조제3항제2호중 "5급이상의 일반직 국가공무원"을 "5급 이상 일반직 국가공무원 또는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한다.
- <67>내지 <68>생략
- 부칙 <제7849호, 2006.2.21>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2006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단서 생략>
- 제2조 내지 제39조 생략
- 제40조 (다른 법령의 개정) (1) 내지 <36>생략
- <37>해양사고의조사및심판에관한법률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31조제1항 중 "경찰공무원"을 "국가경찰공무원"으로 한다.
- <38>내지 <47>생략
- 제41조 생략
- 부칙 <제8792호, 2007.12.21>
- (1) (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 (2) (심판관 및 조사관의 임명 및 자격에 관한 적용례) 제9조의2제1항·제3항 및 제16조의2의 개정규정은 이 법 시행 후 최초로 임명되는 심판관 및 조사관부터 적용한다.
- (3) (결격사유에 관한 적용례) 제10조의 개정규정은 이 법 시행 후 최초로 임명되거나 등록하는 심판원장, 심판관 또는 심판변론인부터 적용한다.
- 부칙 <제8852호, 2008.2.29.> (정부조직법)
-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생략>···, 부칙 제6조에 따라 개정되는 법률 중 이 법의 시행 전에 공포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아니한 법률을 개정한 부분은 각각 해당 법률의 시행일부터 시행한다.
- 제2조부터 제5조까지 생략
- 제6조(다른 법률의 개정) (1) 부터 <687> 까지 생략
- <688> 해양사고의조사및심판에관한법률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2조제4호, 제4조제3항, 제20조의2, 제28조제1항제3호, 제41조의2제2항, 제81조의2 후단 및 제88조 중 "해양수산부령"을 각각 "국토해양부령"으로 한다.
- 제3조, 제9조제2항 및 제3항, 제9조의2제1항, 제13조의2, 제18조의3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및 제2항·제3항, 제30조의2제1항, 제82조 및 제83조 본문 중 "해양수산부장관"을 각각 "국토해양부장관"으로 한다.
- <689> 해양사고의조사및심판에관한법률 일부개정법률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제9조의2제1항 중 "해양수산부장관"을 각각 "국토해양부장관"으로 한다.
- <690> 부터 <760> 까지 생략
- 제7조 생략
라이선스
편집이 저작물은 대한민국 저작권법 제7조에 따라 비보호저작물로 배포됩니다. 누구든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저작물이 있습니다.
- 헌법·법률·조약·명령·조례 및 규칙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시·공고·훈령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
- 법원의 판결·결정·명령 및 심판이나 행정심판절차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절차에 의한 의결·결정 등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한 것으로서 제1호 내지 제3호에 규정된 것의 편집물 또는 번역물
- 사실의 전달에 불과한 시사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