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간소화안


위키백과
위키백과
위키백과에 이 글과 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

原則・利益編

편집

序論 簡素化三個條

편집

세계 만방에 으뜸가는 글자를 가지고 잇는 우리 겨레로서는 그간 시대에 맛고 국민이 요구하는 통일된 표기를 애써왓스며, 특히 이를 위하야 전력을 기우린 학자와 유지의 공헌은 큰바가 잇섯다. 그러나 새로 정리된 그 어문 체계는 유감스럽게도 지나친 규범 문법의 폐를 입엇고 또한 우리 겨레의 고유한 음운 구조를 고려치 안흔 것이어서 누구나 배우고 쓰기에 불편을 느껴왓던 것이다. 이제 이점을 고려하여 현행 한글 철자법을 실용의 편의와 학리상의 이유와 그리고 문자에 대한 역사적 미감을 살리어 다음 三개 조항에 의하여 간이화하기로 한다.

一. 바침은 끗소리에서 발음되는 것에 한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종래 사용하던 바침 가운데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ㄺ, ㄻ, ㄼ 등 10개만을 허용한다. 다만 바침으로 사용될때의 「ㅅ」의음가는 「ㄷ」의음가를 가지는 것으로 하고 「ㄷ」은 바침으로는 아니쓴다.

二. 명사나 어간이 다른 말과 어울려서 딴 독립된 말이 되거나 뜻이 변할때에 그 원사(原詞) 또는 어원(語原)을 발키어 적지 아니한다.

三. 종래 인정되어 쓰이던 표준말(標準語)가운데 이미 쓰이지 안커나 또는 말이 바뀌어진 것은 그 변천된 대로 적는다.

용례

편집

一. 바침의 제한

간이화 안 현행
1. (드 바침을 ㅅ으로)
것다 것고 거더 거드니 걷다
밋다 밋고 미더 미드니 믿다
굿다 굿고 구더 구드니 굳다
것다 것고 걸어 걸으니 걷다
뭇다 뭇고 물어 물으니 묻다
2. (ㅈ 바침을 ㅅ으로) 현행
낫다 낫고 나자 나즈니 낮다
맷다 맷고 매저 매즈니 맺다
잇다 잇고 이저 이즈니 잊다
낫도(과) 나지 나제
3. (ㅊ 바침을 ㅅ으로) 현행
좃다 좃고 조차 조츠니 좇다
쫏다 쫏고 쪼차 쪼츠니 쫓다
꼿 꼿도 꼬치 꼬츨
4. (트 바침을 ㅅ으로) 현행
갓다 갓고 가타 가트니 같다
붓다 붓고 부터 부트니 붙다
밧도(과) 바치 바틀
밋도 미치 미틀
※의 경우 구개음화 된대로 적는다.
※의 경우는 구개음화 된 대로 적는다.
5. (ㅆ바침을 ㅅ으로)
未來 겟다 겟고 겟서 겟스니 겠다
過去 앗다 앗고 앗서 앗스니 았다
잇다 잇고 잇서 잇스니 있다
6. (ㅋ바침을 ㄱ으로)
부억 부엌
7. (ㄲ바침을 ㄱ으로)
깍다 깍고 깍가 깍그니 깎다
묵다 묵고 묵거 묵그니 묶다
박기 박게서
8. (ㄳ바침을 ㄱ으로)
넉시 넉슬
配分 목시 목슬
삭시 삭슬
9. (ㅍ바침을 ㅂ으로)
갑다 갑고 가파 가프니 갚다
놉다 놉고 노파 노프니 높다
십다 십고 시퍼 시프니 싶다
무릅 무르피 무르플 무릎
아피 아플
간이화안 현행
10. (ㅄ바침을 ㅂ으로)
갑시 갑슬
가엽다 가엽고 가엽서 가엽스니 가엾다
不實 실업다 실업고 실업서 실업스니 실없다
11. (ㄵ바침을 ㄴ으로)
안다 안고 안자 안즈니 앉다
언다 언고 언저 언즈니 얹다
※의 경우에는 어미의 첫 소리가 된 소리로 변하되 소리대로 적지 아니한다.
12. (ㄶ바침을 ㄴ으로)
꼰타 꼰코 꼰하 꼰흐 꼲다
끈타 끈크 끈허 끈흐 끊다
만타 만코 만하 만흐 많다
※의 경우 「하」「흐」 발음이 미약하므로 「아, 으」로 변하는 것을 인정한다.
13. (ㄽ바침을 ㄹ로)
向方 골시 골스로
돌시 돌세
14. (ㅀ바침을 ㄹ로)
꿀타 꿀코 꿀허(어) 꿀흐니(으니) 꿇다
穿 뚤타 뚤코 뚤허(어) 뚤흐니(으니) 뚫다
올타 올코 올하(아) 올흐니(으니) 옳다
15. (ㄾ바침을 ㄹ로)
할다 할고 할타 할트니 핥다
挾拔 훌다 훌고 훌터 훌트니 훑다
16. (ㅎ바침의 폐용)
나타 나코 나하(아) 나흐니(으니) 낳다
너타 너코 너허(어) 너흐니(으니) 넣다

二. 원사(原詞) 및 어원(語原) 표시의 폐지

간이화 안 현행
1. 명사
기리 길이
노피 높이
汗衣 땀바지 땀받이
鐵屬 쇠부치 쇠붙이
2. 수식어
가치 같이
기리 길이
不實 실업시 실없이
故惱 짓구지 짓굳이
個々 낫나치 낱낱이
正平 반드시 반듯이
3. 용언
너머지다 넘어지다
흐터지다 흩어지다
어퍼지다 엎어지다
굼주리다 굶주리다
도라가다 돌아가다
버러지다 벌어지다
가추다 갖추다
이르키다 일으키다
읍조리다 읊조리다

三. 표준말의 개정(標準語의 改定)

개정안 현행
구멍 구ᇚ
나무 나ᇚ
代償 갑, 가픔
부억 부엌
挾扱 훌다 훑다
을프다 읊다
向方
꼿
精米 쓸다 쓿다
나달
※현재통용되지 안음으로 폐용하고 현대어를 사용한다.

간이화의 이익 (簡易化의 利益)

편집

현행 철자법이 가지는 모든 불편과 불합리를 업시할수 잇다.

一. 바침 제한의 이익

별표 바침의 빈도 조사(頻度調査)에 나타 난 것을 참고하건대 글자 총 수 八三,二一九자 가운데서 종성(終聲)에서 발음되는 ㄴ, ㄹ, ㅁ, ㅇ, ㄱ, ㅅ(ㅆ), ㅂ, ㄺ, ㄻ, ㄼ 등 열한 바침의 빈도 합계가 九三.八%를 차지하고 잇고 나머지 바침 열 일곱개는 그 빈도가 극히 희소하여 겨우 도합 六.八%에 불과한 것을 볼수 잇다.

이로서 보건대 종성에서 발음되지안는 바침은 흔히 실용되지안는 것을 알 수 잇스며 따라서 이와가튼 실용빈도가 희박한 바침들을 제한 하게 됨에는 다음과 가튼 실익이 잇다.

(1) 바침을 가려 쓰기에 일이리 망서리지 안케 되므로 기사(記寫)에 잇서서 능률과 정확을 기할수 잇다.

(2) 현재 사용되고 잇는 활자(活字)중 三九七[※ 1]개를 주러 쓸 수 잇게되어 인쇠 능률을 증진시킬 것이다.

(3) 최근[※ 2] 논의 되고 잇는 문자의 기계화(機械化) 곳 한글 타자기(打字機)를 사용하는데 ㄳ·ㅍ, ㄾ·ㅌ, ㅋ·ㅆ 등 三개 건반이 업서지고 「윗바침 쇠」를 사용 하게 되어잇는 ㅈ, ㅊ, ㄷ, ㅎ, ㄵ, ㄶ, ㅀ, ㅄ, ㄲ 등 九개 건반(鍵盤)의 조작(操作)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타자기를 간편하게 만들고 또 신속한 타자를 가능케 한다.

(4) 치음(齒音)의 대표로 바침에 「ㅅ」을 쓰게 되므로 그 자형(字型)이 민족의 전통적 미감(民族의 傳統的 美感)에 알맛는 것이 된다.

(5) 무엇보다도 아동이나 성인문맹(成人文盲)이 쉽게 배우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잇게 된다.

  1. 辛石然編 한글新綴字法活字一覽表에依함.
  2. 공병우 한글 타자기에 의함.

二. 원사 및 어원 불 표시의 이익

(1) 학습과 교육 그리고 실용에 편리함은 물론,

(2) 알기 어려운 어원이나 원사를 낫나치 분간해야할 노력이 필요치 안타.

三. 표준어 개정의 이익

(1) 변천되는 언어 현상(言語現象)을 정확히 파악하여 적게 되며,

(2) 괴벽한 바침(ㅋ, ᅟᅠᇚ, ㄾ, ㄽ 등)을 쓰지 안아도 조케된다.

현행 바침 빈도표(頻度表)

편집

바침 잇는 글자 83,219를 조사한 것

순위 바침 빈도 %
1. 25,444 30.600
2. 18,138 21.900
3. 9,905 11.900
4. 7,556 9.100
5. 6,243 7.500
6. 3,795 4.600
7. 3,504 4.200
8. 2,820 3.400
9. 1,039 1.200
10. 1,035 1.200
11. 748 0.900
12. 534 0.600
13. 470 0.600
14. 412 0.500
15. 372 0.400
16. 341 0.400
17. 283 0.300
18. 240 0.300
19. 117 0.100
20. 94 0.100
21. 63 0.100
22. 59 0.100
23. 4 0.005
24. 2 0.002
25. 1 0.001
26. 0 0.000
27. 0 0.000
28. ᅟᅠᇚ 0 0.000

간이화의 이유

편집

1. 열(十)개 받침을 허용케 되는 이유

편집

(1) 오늘날 우리말에 잇어서 바침(종성)으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ㅜ), ㅇ, ㄺ, ㄻ, ㄼ’ 등 열 개 밖에는 소리나지 않는다.

그리고, ‘ㅋ, ㅌ, ㅍ, ㅅ(S), ㅈ, ㅊ, ㅎ’ 등 자모는 첫소리에서만 소리 난다. 이것은 우리말의 음운 규약(音韻規約)이라고 할 수 있으니, 구라파의 유명한 알타이 어학자도 ‘ㅋ, ㅌ, ㅍ, ㅎ, ㅊ, ㅈ, ㅅ’ 등을 모음 앞에서만 소리나는(Ante-Vocalic) 자음(子音)이라고 규정하고, 이것은 음운의 매우 중요한 규칙이라고 강조한 까닭이다.

그러므로, ‘부엌(廚), 밭(田), 앞(前), 꽃(花)’ 따위의 기사법(記寫法)은 음운 사실에 맞지 않는다.

(2) 옛글을 상고하건대 정음(正音)에는 “終聲復用初聲”이라고 하였으되, 세종 대왕의 뜻을 받든 해례(解例) 종성해(終聲解)에는 “然 ㄱ, ㅇ, ㄷ, ㄴ, ㅁ, ㅅ, ㄹ, ㅂ 八字可足用也” “ 곶爲梨花, 의갗爲狐皮 而八字可以通用 故只用八字”라고 하고 또 “初作終聲 理固然 只將八字用不窮”이라 하였으니, 이것은 한문 표음 아닌 우리글의 표기를 두고 생각할 때 가장 음운 사정(音韻事情)에 통한 말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중종(中宗) 때, 최세진이 지은 ‘훈몽자회’에는 훈민정음 해례를 뒤이어 ‘初聲終聲通用八字’라 하여, ‘ㄱ, ㄴ, ㄹ, ㅁ, ㅂ, ㅅ, ㅇ’을 들고, 또 ‘初聲通用八字’라 하여 ‘ㅋ, ㅌ, ㅍ, ㅈ, ㅊ, ㅿ, ㅇ, ㅎ’을 적어 놓은 것은 우리가 다 아는 바인데, 대체로 이 표기법이 얼마 전까지 널리 통용된 것은 또한 우리말 어음의 자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 후 ‘ㅿ’는 폐용되고, 그리고, 또 얼마 후에는 ‘ㅅ’이 ‘ㄷ’ 대신으로 쓰이어 ㄷ도 안 쓰이게 되었었다.

(3) 한편, 그 실지 사용에서 보면, 정음 제작 당시부터 종성은 만히 초성화(初聲化)하여 기사되었고, 특히 ‘ㅌ, ㅊ, ㅈ’ 등은 흔히 초성화함에 비하여 종성 자리에서 표기되는 예는 극히 드물었다.

예: 낱(顆)-大箭 片箭 나태나(龍歌) 나태, 꽃(花)-고지(楞嚴經, 圓覺經, 月印), (人)- 미(月印), 좃(逐)-조 샤(龍歌)・조 미, 조차(月印, 楞嚴經), 앉(坐)-안져서(月印), 곧(處)-이곧 뎌고대(龍歌)・고대(楞嚴經)

(4) 정음 제정 초기부터 ‘ㅈ, ㅊ, ㅌ, ㅍ’ 받침과 ‘ㄷ, ㅅ, ㅂ’ 받침이 서로 혼용 되는 일이 있더니, 나종에는 심지어 한 책 속에서 뒤섞여 쓰는 것을 많이 보게 되었다.

예: 곶(花)-곳(正音, 月印), 좇(逐)-좇고져(龍歌)・조 와(楞嚴經, 月印)・좃고(月印), 갗(皮)-갓(正音)・가치・갓(杜諺)・가족(類合), (長)-디(月印), 잗(柏)-잣(杜諺), 낱(顆)-낫티・낫치(月印, 楞嚴經), 긑(未○)-그티라(釋語)・긋(月印)・귿단(石峰)・긋(類合), 니피(葉)-닙(月印), 려(如)-고・타시고・거늘(月印)

이것을 보면, 대개 다음에 중성으로 된 ㅡ나 어미 등이 오면 초성화 하고, 후음 ‘ㅇ’의 초성이 오면 그대로 종성 자리에서 표기되는데, 그나마, ‘ㅌ’은 ‘ㄷ’으로 치음 ‘ㅊ’ ‘ㅈ’과 ‘ㄷ’은 ‘ㅅ’으로, ‘ㅍ’은 ㅂ으로 바꿔 쓰는 경향이 보이었다.

우리말의 접합음인 ‘・’나 ‘ㅡ’는 이러한 초성화를 하지 아니하였다 여겨진다. 그리고 보면, 우리글 제정 당시에 어간 의식이 없던 것이 아니라, 이미 음운 의식이 일층 더 강하여 초성화하고 또 끝 소리에서 소리 나는 자모로 바꾸어 갔던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

(5) 무릇 문자의 음운 표기로서의 분절 기능과 언어 영상(言語映像)으로서의 표의 기능과는 일치됨으로써 비로소 쓰기 쉽고 외우기 쉬운 표기법을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가령, 우리 나라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에서 영어인 Trump(遊戱札)라는 단음절 말을 ‘트람프’라는 3음절로 표기하고, Hitler(사람)라는 2음절 말을 ‘히틀러르’라고 4음절로 표기하는 까닭은 그 외국어의 분절 기능 형식과 맞지 아니하여, 그대로 표기한다면 불편을 느끼게 되는 까닭이다.

(6) 그러므로, 지금 ‘밭(田), 낮(晝), 꽃(花), 부엌(廚), 낳다(産)’ 등의 표기를 보건대,

㈀ 우선 이런 유의 받침은 초성화하여서만 소리 나는 원칙에 어그러지고, 이로 인하여
㈁ 초성화하여 2음절로 분절됨으로써만 안정되는 분절 기능과 맞지 아니하여, 마치 그 받침 자리에서 소리가 나고, 단음절로서 완결되는 것과 같은 문자영상(文字映像)을 줌으로써 언어 의식에 혼란을 일으킨다.

2. 어간 표시(語幹表示)에 대하여

편집

(1) 현행 맞춤법의 크게 애 쓴 바가 어간과 토, 어미 등을 구별하여 적자는 것인데, 그 뜻과 처리 방법은

㈀ 체언, 용언이 모두 어간, 토, 어미로 구별할 수 있다.
㈁ 토, 어미, 부사 등의 표기를 마치와 가치 시각적(視覺的)으로 고정화하자는 것이다.

(2) 본래 우리말의 용언에 있어서 어간이라는 것은 흔히 추상물(抽象物)에 지나지 않는 것이니, 예컨대 먹다(食)는 Mekso, Megini, Meguni와 같이 받침 ‘ㄱ’이 ‘K, G’ 등으로 소리나고, 또 ‘다, 고, 으니’ 등과 합하여 비로소 뜻을 이룬다. 그런 고로, J.G. 람스테르 같은 ‘알타이’ 어학자는 만일에 우리가 일본 또는 한국의 문법 학자가 하듯이 조선말에 있어서 ‘먹는다(食)’는 말을 ‘Mels’이라고 한다면 이러한 말이 실제 있는 것이 아니라, 다못 기본형(glossa)의 모든 변형(pralign)으로부터 추상(抽象)하여 낸 데 지나지 않는다. 곳 변화하는 어미를 떼어 놓고 생각하였다는 것을 붙여 말할 필요가 있다(한어 문법)고 따진 일이 있었다.

(3) ‘아, 어, 오, 으’ 등의 ‘ㅇ’은 옛날에는 후음 초성이 있으나, 현재는 소위 언어학의 ‘ㅇ’(제로) 기호로서 그 중성 음가는 ‘ㅏ, ㅓ, ㅗ, ㅡ’에 있다. 그런 고로, ‘아, 어, 오, 으’ 형과 다른 바 없는 것은 우리 정음 조자법(正音造字法)의 묘미이다. 또, ‘다, 고’가 유기음화(有機音化)하며, ‘타, 코’라고 하여 원음과 원문자 형을 감지(感知)하게 되는 것도 우리 글자의 용한 점이다.

그렇다면, ‘타, 코, 서, 저, 스, 즈’ 등으로 쓰인다고 하여 ‘다, 고, 어, 으’의 표시에 어긋남이 없을 뿐더러, 차라리 정을 문자의 묘미가 발휘되었다고 보아야 하겠다.

(4) 그 뿐만 아니라, 본래 언어에 있어서 이미 토가 어문 의식을 이루는 것이 아니고, 의미 요소(意味要素)인 어간과 합하여 기능하는 개개의 경우가 어문의 각 단위로서 의식되며, 또 그렇게 발음 된다. 문법 및 사전은 이러한 살고 있는 언어 사실을 택출하고 추출한 것에 불과하다.

三. 원사(原詞) 및 어원을 표시하지 않는 이유

편집

(1) 말과 말이 서로 어울려서 딴 말이 되거나, 혹은 다른 의미를 나타내게 될 때 본래 가지고 있던 발음이 음절 사이에서 영구히 숨어 버리는 수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 원사가 가지고 있던 본래의 문자 영상을 살리려고 나는 소리와는 다른 표기가 되고 만다.

(2) 더구나, 어원을 밝히려 하매 있서서는 첫째 어원이 분명하여 표시하는 것과 분명치 않다고 표시하지 않는 것이 한계가 모호하고, 둘째로는 어원을 지나치게 밝히면 오기하기 쉽게 된다.

(3) 따라서, 어원을 어떻게 올바르게 밝혀 적느냐 하는 것 보다도 오히려 어원을 밝히어 적은 원칙이 본래 옳은 것이냐 하는 문제가 중요하다.

이 점에 관하여 ‘쥬네브’ 언어학파의 ‘F・드・쏘쒸르’의 견해를 빌건대 그는 “어원 표시 원칙이 옳게 적용 되었느냐 하는 것은 극히 적은 문제이며, 오히려 오기(誤記)하게 되는 원인은 어원적 기사법이라는 원칙 자체에 있다”고 갈파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어느 시대의 기사법이든 항상 그 시대의 말을 토대로 하고, 그 시대의 통용되는 의미로써 말을 적는 것이다.

(4) 다음에 어원을 밝혀 받침을 고정시킴으로써 의미소를 결정지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하여는 미국의 ‘J. 뿔・름필드’씨의 견해를 빌어 고찰 하건대 음운소를 재생시키는 기사는 개인 말(Speach)과 다름없이 판별할 수 있는 것이므로 동음이의의 단어들(예: 영어의 Pear, pair)이 같은 철자로 되어진다 하더라도 그 뜻은 판별하지 못하게 되지는 않는다고 하였다.

이로써 보건대 ‘땀받이(汗衣)’를 ‘땀바지’로 적으면 ‘汗衣’인지 ‘汗下衣’인지 구별할 수 없지 않느냐 하는 이론이 옳치 못함을 알겠다. 이를 실제에 비추어 보더라도 현행 맞춤법의 기사에 있서서 오기가 많이 생기는 가장 큰 원인이 다름 아닌 어원 표시의 원칙 때문인 것이다.

四. ‘ㅅ’ 받침을 ‘ㄷ’ 음가로 쓰는 이유

편집

(1) 오늘날 ‘ㅅ’은 받침 자리에서 제 음가를 잃고 ‘ㅈ, ㅊ, ㅌ, ㅎ’과 같이 ‘ㄷ’ 소리로 난다. 그리고, 아래에 모음이 올 때에 조정화하여 비로소 제 소리가 난다. 그런 고로, 소리대로 쓰자면 ‘ㄷ’ 받침을 씀이 옳다.

(2) 이미 든 최세진의 훈몽자회에도 보드시 “初終聲通用八字” 가운데 ‘ㅅ’, ‘ㄷ’이 다 있어 구개 종성이 따로 구별되었음을 알 수 있고 또 실지로 구별된 예를 많이 본다.

그러면, 왜 ‘ㄷ’ 받침을 버리고 ‘ㅅ’ 받침으로 ‘ㄷ’ 소리를 적는 것인가?

(3) 훈민정음에서 본 바와 같이 정음 제정 당시에 벌써 ‘ㅈ’, ‘ㅊ’ 받침은 같은 치음(齒音)인 ‘ㅅ’으로 통용할 수 있다고 하였고, 그 뒤에 와서는 ‘ㄷ’, ‘ㅌ’ 받침 특히 ‘ㄷ’ 받침은 ‘ㅅ’ 받침으로 바꿔 쓴 예가 많았다.

예: 歛 갇고 걷고(杜諺), 것디 아니 고(三綱行實), 잗(栢), 잣(杜諺), 귿단端(石峯千字文), 끗(類合), 긋(月印)

(4) 더구나 영정간(英正間)에는-유서파(柳西坡)가 말하듯이-속간(俗間)에서는 ‘ㄷ’ 받침은 ‘ㅅ’으로 대신하게 되어 ‘ㅅ’ 받침이 성행하게 되었고, 한글 학회의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도 제6항에 이 종래의 버릇을 허용하여 아무 뜻이 없이 나는 ‘ㄷ’ 소리를 ‘ㅅ’으로 통일하여 적은 조항을 넣었다.

(5) 역사적인 ‘ㅅ’의 용법을 보면

㈀ 초성, 종성으로 쓰이고
㈁ 중간 ‘ㅅ’이라 하여 중간 강세음을 ‘ㅅ’으로 통일하여 쓰고
㈂ 경음도 마침내 ‘된 ㅅ’으로 쓰게 되었다. 한 자모가 이렇듯이 두루 쓰이며, 또 이렇듯이 사랑 받게 된 일은 우리 정음 표기 사상 아주 드문 일이라 할 수 있으며, 오랜 역사적 전통이 되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6) 이러한 역사적이며, 민족적 애용감(愛用感)을 살리는 뜻에서 ‘ㄷ’ 받침의 음가로 ‘ㅅ’ 받침을 채택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