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야담 사화 전집 (차상찬)/압록강상의 삼미인

압록강상(鴨綠江上)의 삼미인(三美人)

지금으로부터 약 二[이]천여년 전이다.

부여(扶餘)나라에는 해부루(解夫婁)란 임금이 있어 정치를 잘하여 국내가 태평하게 되니 아무 걱정할 일이 없었으나 다만 나이 많이 먹도록 왕자(王子)가 없는 까닭에 그것으로 항상 걱정을 하여 천하의 명산 대천을 찾아 다니며 아들 낳기를 빌었었다.

하루는 전날과 같이 말을 타고 어떤 명산을 찾아 가다가 곤연(鯤淵)이란 연못가에 이르니 탔던 말이 돌연 발을 멈추고 그곳에 있는 큰 돌(石)에다 머리를 대고 눈물을 흘리었다.

왕은 그것을 보고 크게 괴상히 여겨 신하로 하여금 그 돌을 굴리게 하고 보니 난데 없는 어린 애 하나가 있는데 금색이 찬란 하고 형용이 마치 개고리(蛙) 같이 생겼었다.

왕은 그것을 보고 크게 기뻐하여 말하되

『하나님이 나에게 아들 하나를 점지하여 주신 것이다.』

하며 거두어 기르고 이름을 금와(金蛙)라 하여 태자를 삼으니 그가 뒷날에 동부여(東扶餘)의 금와왕(金蛙王)이다.

그때 그나라의 정승(政丞)으로 있는 아란불(阿蘭弗)이 임금에게 여쭈되 일전에 신이 꿈을 꾸온즉 하나님이 강림하여 말씀하기를

「오래지 않아 나의 아들로 너의 나라에 나라를 건설케 할 터이니 너희들은 동해가(東海濱)에 있는 가엽원(迦葉原)이란 땅으로 피하여 가거라. 그 땅은 토지가 비옥 하여 오곡이 잘 되는 곳이니 그곳으로 천도(遷都)하면 제일 좋으리라.」

고 하였다.

이렇게 왕을 권하여 그곳으로 천도하고 나라 이름을 동부여라고 고치고 그 국도에는 자칭 천제의 아들이란 해모수(自稱天帝子解慕漱)가 와서 도읍하였다.

이 이야기는 이제부터 본문으로 들어 간다.

지금으로부터 일천 구백 구십 오년 전 임술(西紀前五九─漢宣帝神雀三年[한선제신작삼년]) 사월 갑인(甲寅)이다.

북부여국(北扶餘國) 천제(天帝)는 태자를 부여국 고도에 보내어 나라를 건설케 하니 그 태자는 곧 해모수 이다.

해모수는 그곳에 올때 오룡차(五龍車)를 타고 공중으로 내려오고 종자 백여인은 모두 백곡채운(百鵠彩雲)을 타고 공중에서 배회하니 서기가 하늘에 가득하고 선악(仙樂) 소리가 공중을 진동하였다.

그들 일행은 웅심산(熊心山)에 머물러 있다가 십여일만에 비로소 하강하였는데 머리에는 오우관(烏羽冠)을 쓰고 허리에는 용광검(龍光劍)을 빗겨 차고 아침이면 일을 하다가 저녁때에는 하늘로 올라가곤 하니 그들을 천왕랑(天王郞)이라고 불렀다.

그때에 청하백(淸河伯 ─ 淸河[청하]는 지금 압록강)은 아름다운 세 딸이 있었으니 맏딸은 유화(柳花)요 둘째 딸은 훤화(萱花)요 셋째 딸은 위화(葦花)였다.

이 세딸이 바람 한점 없는 따뜻한 어느 날 웅심산(熊心山)밑 연못 가를 산보하러 나가 다니는 그 어여쁜 태도는 마치 삼타의 연화와 같고 환패 소리 쟁쟁하여 여러 사람이 경동 하였었다.

왕은 그들을 한번 바라보고 정신이 황홀하여 좌우 신하들에게 말하기를

『내가 만일 저런 여자를 얻어서 왕비를 삼는다면 평생의 소원을 이루겠고 또한 왕자를 낳겠다.』

고 하며 좌우 신하들에게 그 여자를 데려 오라고 하였다.

그러나 여자들은 왕의 일행을 보고 먼저 피하여 물속으로 들어가니 여러 좌우 신하들은 왕께 다시 아뢰되

『대왕께서는 마땅히 궁전을 지어서 그여자들을 꾀여 들이고 문을 막으시라.』

하니 왕은 그럴듯하게 생각하고 말 채찍을 둘러 땅을 그으니 별안간 화려장대한 구리집(銅室)이 이루어졌다.

왕은 그집속에다 세개의 자리와 술을 베풀어 놓고 세여자를 불러 각각 자리에 앉히고 서로 술을 권하여 술이 크게 취한 다음에 급히 문을 잠그려고 하니까 세 여자는 모두 놀래 다라나려고 하다가 그중 큰 여자인 유화가 왕에게 붙잡히었다. 하백(河伯)은 그소식을 듣고 크게 노하여 사신을 보내어 책망하되

『너는 어떠한 사람이건데 감히 나의 딸을 잡아두고 보내지 않느냐…….』

하니 왕이 사실대로 대답하기를

『나는 천제의 아들로서 당신의 딸과 혼인을 하고저 하느니라.』

하고 대답하였다.

하백은 그런 말을 듣고 더욱 노하여 사신을 보내어 다시 말하되

『네가 만일 정말 천제의 아들이요 나의 딸과 혼인을 하고저 하거든 마땅히 중매를 놓고 예절을 가추어 할 일이지 그렇게 무례하게 남의 처녀를 강제로 잡아주는 법이 어디 있느냐.』

하니 왕이 대답할 말이 없어 크게 부끄러워 하여 장차 하백을 찾아 보고 사죄를 할려고 하나 하백의 집문이 굳게 닫혀져서 들어갈 수 없고 또 그 여자를 보낼려고 하니 그 여자는 벌써 왕에게 정을 두어 자기 집으로 돌아가기 싫어 하니 왕은 진퇴양난 하여 어찌 할줄을 모르고 곤난한 처지에 놓여있게 되었다.

유화는 왕의 그러한 기색을 보고 왕께 말하되

『만일 용차(龍車)만 있다면 능히 하백의 집을 갈 수 있다.』

하니 왕이 기뻐 하여 이에 하늘을 향하여 축원하니 별안간 오룡차가 하늘로부터 내려왔다.

왕은 유화와 함께 차를 타고 풍운을 쫓아 잠간 동안에 하백의 궁에 이르니 하백은 예절을 갖추워 맞아 들였다. 그러나 하백은 그때 까지도 왕이 사사로이 잡아 두었던 것을 분하게 생각하고 좌정하며 즉시 책망을 하였다.

『혼인은 인간의 대사요 찬하통규가 있는 것이라 어찌 예법을 쫓지 않고 강제로 하여 나의 집안을 욕뵈느냐.』

하고 또 계속하여

『네가 필경 천제의 아들이라고 자랑하니 천제의 아들이면 무슨 신통한 일이 있느냐. 내가 한번 큰 시험을 해 보겠다.』

하고 크게 소리를 한번 치더니 하백이 그집 앞뜰 연못속으로 들어가서 잉어(鯉魚)가 되어 물결을 쫓아 다니며 활발하게 뛰어 노니 왕은 수달피(獺)가 되어 그 고기를 잡고 하백이 또 산으로 뛰어 가서 사슴(鹿)으로 변하니 왕은 또 승냥이(狼)가 되어 사슴을 쫓아 가고 하백이 공중으로 날아서 꿩(雉)이 되니 왕은 다시 매(鷹)가 되어 꿩을 들이쳤다.

이렇게 여러 가지로 시험을 하여도 하백이 항상 이기지를 못하니 그제야 하백은 왕을 천제의 아들로 믿고 다시 예절을 갖추어 그 뒤에는 하백이 도리어 왕이 자기의 딸을 박해 할까 두려워 음식과 풍류를 크게 베풀어 잔치를 하고 왕을 권하여 술에 만취케 한다음 자기의 딸과 같이 적은 가죽 수레속에 넣어 용차에 실어서 하늘로 올려 보내려고 하였다.

그러나 용차가 미처 물속에서 나오기 전에 왕은 벌써 술이 다 깨어 여자의 황금 비녀로 그 가죽 수레를 짤러서 밀어뜨리고 그 구멍으로 뛰어 나아가 홀로 하늘로 올라가니 하백이 크게 노하여 그 딸을 꾸짖되

『네가 나의 말을 듣지 않고 마침내 우리 가문에 욕을 뵈었다.』

하고 좌우를 명하여 그 딸의 입을 잡아다니니 그의 입술이 석 자 길이나 되게 빠져 나갔다.

하백은 그 딸을 생전엔 보지 않기로 결심하고 다만 노비(奴婢) 두 사람만 주어서 멀리 우발수중(優勃水中)으로 귀양 보내니 우발은 태백산 남쪽에 있는 연못이었다.

그때 그 연못 가에는 강력수추(强力洙鄒)란 사람이 있어서 항상 고기 잡이로 일을 삼고 있었는데 그여자가 그 연못으로 온 뒤부터는 이상하게 고기가 그전처럼 잘 잡히지 않을 뿐더러 고기 구경조차 할 수가 없었다.

(물론 그 어부는 그 여자가 온 줄을 알지 못했다)

어부는 하도 이상하여 동부여의 금와왕(東扶餘金蛙王)을 찾아 보고

『우발 못속에 고기가 절종(絶種)이 되다시피 되었으니 의심컨대 무슨 짐승이 그 못 속에 있는가 싶읍니다.』

고 말하였다.

왕도 그 말을 듣고 이상히 여겨 어부로 하여금 그못에 그물질을 하게 하니

그물(網)이 다 ─ 찢어지고 아무것도 걸리지 않았다.

왕은 다시 쇠그물을 만들어서 훌치질을 하니 한여자가 끌려 나오는데 돌 위에 앉인 그대로 나오고 혀가 길어서 아무 말도 못하는 지라 왕은 어부에게 명하여 그 혀를 세차례나 잘르니 그때야 말을 하고 그여자가 하백의 딸인 것과 천제 아들의 비(妃)이던 것을 알게 되었다.

왕은 그를 후(厚)하게 대접 하여 으슥한 별궁(別宮)에 거처하게 하니 아까까지도 어둑하던 방안에 별안간 해가 낭낭하게 비치었다.

그 여자는 해를 피하여 다른 곳으로 간즉 가는 곳마다 해가 쫓아와 비치었다.

달이 차서 태기가 있더니 얼마후에 왼편 겨드랑이(左腋)에서 알(卵)이 한 개 나왔는데 크기가 약 닷되 가량 되었다.

금와왕(金蛙王)은 그것을 보고 이상하게 생각하여 사람이 새알을 낳는 것은 상스럽지 못한 일이라고 마굿간에 버렸으나 우마(牛馬)가 짓밟지 않고 개(犬)와 도야지(豚)를 주니 그것들도 또한 먹지 않으니 깊은 산속에다 갖다 두었으나 여러 짐승들이 또한 보호하여 주었다.

금와왕은 더욱 신기하게 생각하여 자기가 그것을 깨뜨려 보려고 하니 칼이나 도끼가 다 듣지 아니하며 찬란한 월광이 항상 비치었다.

왕은 그것을 어찌 하지도 못하고 최후에 다시 그 어머니에게로 보냈더니 얼마 아니 하여 그 알이 탁 터지고 그 알속으로부터 일개 남아가 뛰어 나오는데 골표가 비범하고 음성이 웅대하였다.

때는 한선제 신작사년 계해사월(漢宣帝神雀四年癸亥四月)이었다.

그는 일곱 살 때부터 자기 손으로 능히 활을 만들어서 백발백중의 활을 쏘니 그때 그곳이 속말에 활 잘 쏘는 사람을 주몽(朱蒙)이라 함으로 이름을 주몽이라 지었다.

그는 금와왕(金蛙王) 밑에서 자라나 재주가 비범하므로 금와왕의 여러 아들이 그를 시기하여 죽일려고 하기에 몰래 도망을 하여 엄사수(淹淲水)에까지 이르니 물에 다리도 없고 배도 없으며 뒤쫓아오는 병정은 급히 오고 참으로 위기 일발에 임하였다.

주몽은 하늘을 우러러 보며 암축하여 말하되

『나는 천제의 아들이요, 하백의 손으로 난을 피하여 여기가지 왔건만 뒤에 추병은 급하오며 건너갈 길은 없사오니 천우신조 하시와 이 생명을 구하여 주옵소서.』

하니 과연 난데 없이 어별(魚鱉)들이 뫃여 와서 다리를 삽시간에 놓아 주므로 무사히 그 물을 잘 건넜다.

그는 그 길로 졸본부여(卒本扶餘)에 이르니 부여왕(扶餘王)은 특히 그를 사랑하여 딸을 주어 사위를 삼고 그왕은 또 아들이 없으므로 죽을 때에 그 나라까지 맡기니 주몽은 드디어 그 나라의 왕이 되어 비류국(非琉國)과 그 부근의 여러 나라를 정복(征服)하여 대고구려(大高句麗)를 건설하였다. 그가 즉 유명한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이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