生死ㅅ罪, 受苦ㅅ소리, 菩薩ㅅ不思議, 本來ㅅᄆᆞᅀᆞᆷ,菩薩ㅅ알ᄑᆡ, 여러가지ㅅᄠᅳᆮ, 父母ㅅ恩愛, 大士ㅅ모매, 摩訶薩ㅅ뎌ᇰ바기, 菩薩ㅅ本, 世尊ㅅ三昧力, 아바니ᇝ病, 太子ㅅᄠᅳᆮ, 아바니ᇝ목수미, 넷사ᄅᆞᆷ, 太子ㅅ모미, 太子ㅅ우희(다 月印千江之曲), 하ᄂᆞᆳ氣運, 十月ㅅ즈오메, ᄒᆡㅅ비츤, 묏ᄇᆞᄅᆞᆷ, 石壁ㅅ비츤, 뷘뀴아래, 우믌믈묏고ᄅᆡ, 하ᄂᆞᆳ塞氣, 仲冬ㅅᄉᆞ이, 믌결, 내믌ᄀᆞᅀᆞᆯ, 넷뎌ᄅᆡ, 薛蘿ㅅ서리(間) 雲水ㅅ氣運, 뫼ᄲᅳ리, 石壁ㅅ面, 시내西, 녜ㅅ일, 漢ㅅ高祖, 몬뎻님금, 하ᄂᆞᆳᄒᆞᆫᄀᆞ애, 戒馬ㅅ後, 四海ㅅ안, 湘水ㅅ돐서리, 놀애ㅅ소ᄅᆡ, 둜범(群虎), ᄠᆡㅅ서리, 긼ᄀᆞ애, 자ᇝ간, 蜀ㅅ溪, 浣花흐르ᄂᆞᆫ믌믌西ㅅ녁머리에, 城郭ㅅ밧긔, ᄒᆞᆫ雙ㅅ믌ᄃᆞᆯᄀᆞᆫ, 晋ㅅ王, 萬里橋ㅅ西ㅅ녀긔, 百花潭ㅅ믈, 蓮ㅅ고ᄌᆞᆫ, 욼알ᄑᆡ(籬前), ᄀᆞᄅᆞᇝ두들기(江堤), ᄆᆞᆯᄀᆞᆫᄀᆞᄅᆞᇝ한고ᄇᆡ(淸江一曲), 녀르ᇝ江村, 믌가온ᄃᆡᆺ가며기 (水中鷗), 나죗ᄒᆡᆺ비치, ᄂᆡ와드틄밧기니(畑廛外), 긼거리, 迎風寒露舘ㅅ玉壺, 님그ᇝ몸, 여듦ᄀᆞ옰刺史(公州刺史), 御史ㅅ所著, 뭀盜賊(群盜), 픐뎌(茄), 아ᇇ사ᄅᆞᆷ(內人). 別卿ㅅ벼슬, 漏刻ㅅ소리, 츬옷(葛衣), ᄀᆞᅀᆞᆳᄇᆞᄅᆞᆷ(秋風), 楚ㅅ대, 바ᇝ누비(衣雪), 梅花ㅅ봄, 시르ᇝ귿(愁緖), 보ᇝ비츤(春光), 하ᄂᆞᆳᄀᆞ믌氣運ㅅ가온ᄃᆡ(天涯水氣中), 머리ㅅ알ᄑᆡ(首前), ᄇᆡᆺ줄, 님그ᇝ白玉堂,님그ᇝ金華省, 무더ᇝ길(다 杜詩諺解), 닐굽가짓거슬, ᄒᆡᆺ光, 보ᇝᄇᆞᄅᆞᆷ, 녀르ᇝᄇᆞᄅᆞᆷ, ᄀᆞᅀᆞᆳᄇᆞᄅᆞᆷ, 겨읈ᄇᆞᄅᆞᆷ, 眞實ㅅᄇᆞᄅᆞᆷ, 울엣소리, 나죗飲食, 한가짓것(다 眞如世界), 묏빗, 잠ᄭᅡᆫ (다 蘆溪集), 하ᄅᆞᆺ바ᄆᆡ(一夜), 三寶ㅅ일훔, 如來ㅅ神力, 諸佛ㅅ智慧ㅅ根本, 字句ㅅᄉᆞᅀᅵ, 뒷간(厠), 금으ᇇ고(金銀庫), 저욼대 (衡), 낛구(鉤), 낛밤(餌), ᄇᆡᆺ돗(帆), 삯대(苛), 공겨ᇱ경(敬) (다 訓蒙字會)
- 四. 사이ㅅ 소리의 우아레의 소리
(一). ㄱ은 ᅌ소리 밑과 ㅉㅅㄱᄠㅈ 소리들 우에서만 쓰임을 보겟읍니다。 곧
ᅌ } ㄱ { ㅊ ᄠ ㄱ ㅅ ㅉ
甘露ㅅ맛, 아ᄅᆡᆺ災殃, 바ᇝ듕(夜中), 惡道ㅅ몸, 呪ㅅ일훔(다 靈驗略抄), 댓무우(蘿), 네가짓소ᄅᆡ, ᄌᆞᆺ귀(字句), 본ᄃᆡᆺ소ᄅᆡ, 字ㅅ겨틔, 묏부리, 묏언덕, 묏기슭, 믌가ᄅᆞ(派), 믓ᄀᆞᆺ(濆), 빗물, 장밋미(薇), 구홧국(菊), 드ᇱ등(藤), 닝그ᇝ금(擒), 효근귨등(橙), 사ᄉᆡ려ᇇ감(芡), 녀ᇇ밤(菂), 댓가치(鷽), 누ᇇ부텨(瞳), 누ᇇ두에(瞼), 소ᇇ돕(瓜), 소ᇇ가락(指), 목ᄭᅮ두(喉), 귓ᄭᅮ무(睡), 누ᇇ곱(𥆖), 또 다시 말하면 ㄱ은 「엄ㅅ소리」(牙音)와 「니ㅅ소리」(齒音), 「엄人소리」, 「혀ㅅ소리」와의 사이에 쓰임을 알겟읍니다。 곧
엄ㅅ소리(牙音) } ㄱ { 니ㅅ소리(齒音) 엄ㅅ소리(牙音) 혀ㅅ소리(舌音)
한 말로 맺으면, ㄱ은 「엄ㅅ소리」 밑에 두어 「소리 고룸의 법」(音의 調和法)을 삼는 것입니다。
(二), ㄷ은 ㄴ밑과 ㅉ우에서만 쓰이엇읍니다」 곧
ㄴ } ㄷ { ㅉ
또 다시 말하면, 「혓소리」(舌音)와 「니ㅅ소리」(齒音)의 사이에 쓰이엇읍니다。 곧
「혓소리」(舌音) } ㄷ {「ㄱ니ㅅ소리」(齒音)
ㄷ은 ㄴ밑에 두어 소리 고룸의 본을 삼앗읍니다。
(三). ㅂ은 ㅁ 밑과 ㅉㄷ우에서만 쓰이엇읍니다。 곧
ㅁ } ㅂ { ㅉ ㄷ
또 「입시울소리」(脣音)와 「니ㅅ소리」, 「혀ㅅ소리」와의 사이에 쓰이엇읍니다。 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