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페이지는 아직 교정을 보지 않았습니다
- 二.찾아본 책들
예 적에는 이 소리를 어떻게 적엇든가 알아 보려고 손댄 책은 다음과 같읍니다。 그 수가 매우 적기도 한데, 더군다나, 그것도 알뜰히 읽으면서 찾아 보지 못하고, 대강 대강 훑어봄에 지나지 못하는 것입니다。
龍飛御天歌 | 眞如世界 | 杜詩諺解 |
月印干江之曲 | 圓覺經 | 訓蒙字會 |
靈驗略抄 | 訓民正音 | 蘆溪集 |
- (原稿에는 各書에 解題를 붙이었으나, 紙數의 闕係로 그를 다 省略함)
- 三. 사이ㅅ 소리를 쓴 예적 말들의 보기들
- (一). ㄱ을 사이ㅅ 소리로 쓴 보기
- 洪ᅘᅩᆼㄱ字ᄍᆞᆼ, 穰ᅀᅣᇰㄱ字ᄍᆞᆼ, 乃냉終쥬ᇰㄱ소리(다 訓民正音), 東海ㄱᄀᆞᅀᅵ, 兄ㄱᄠᅳ디, 平生ㄱᄠᅳᆮ, 遮陽ㄱ세쥐(다 龍飛御天歌), 瓶ㄱ소배, 王ㄱ出令(다 月印千江之曲), 귥귤(橘訓蒙字會)
- (二). ㄷ을 사이ㅅ 소리로 쓴 보기
- 君군ㄷ字ᄍᆞᆼ, 呑ᄐᆞᆫㄷ字ᄍᆞᆼ(다 訓民正音), 몃間ㄷ집(龍飛御天歌), 두누ᇆᄌᆞᅀᆞᄅᆞᆯ(月印干江之曲)
- (三). ㅂ을 사이ㅅ 소리로 쓴 보기
- 侵침ㅂ字ᄍᆞᆼ, 覃땀ㅂ字ᄍᆞᆼ,(다 訓民正音), 品ㅂ字(圓覺經), 사ᄅᆞᄆᆡ집ᄠᅳᆯ(月印千江之曲), 뵈ᄧᅡᇰ이(芣苣), 듧ᄭᅢ(荏), ᄎᆞᄡᆞᆯ(糯), 뫼ᄡᆞᆯ(粳), (다 訓蒙字會)
- (四). ㅸ을 사이ㅅ 소리로 쓴 보기
- 蚪뀨ᇢㅸ字ᄍᆞᆼ, 斗두ᇢㅸ字ᄍᆞᆼ, 漂표ᇢㅸ字ᄍᆞᆼ, (다 訓民正音)
- (五)ㆆ을 사이ㅅ 소리로 쓴 보기
- 快쾡ㆆ字ᄍᆞᆼ, 那낭ㆆ字ᄍᆞᆼ, 步뽕ㆆ字ᄍᆞᆼ, 彌ᄆᆡᆼㆆ字ᄍᆞᆼ, 慈ᄍᆞᆼㆆ字ᄍᆞᆼ, 邪썅ㆆ字ᄍᆞᆼ, 虛ㆆ字ᄍᆞᆼ, 閭ㆆ字ᄍᆞᆼ, 펴디몯ᄒᆞᇙ노미, ᄒᆞᇙᄄᆞᄅᆞ미(다 訓民正音). 先考ㆆᄠᅳᆮ, 가ᇙ길, 한ᄂᆞᇙᄠᅳᆮ, 孝道ᄒᆞᇙᄯᆞᆯ,孝道ᄒᆞᇙ아ᄃᆞᆯ(다 龍飛御天歌), 供養흐ᇙ것, 孝順ᄒᆞᇙ子息, 셤기ᇙ사람, 受若ᄒᆞᇙ報, ᄒᆞᇙ사ᄅᆞᆷ, 命終ᄒᆞᇙ나래, ᄆᆡᇰᄀᆞᇙ저긔, ᄂᆞᇙ쥬ᇰᄉᆡᇰ, 길녀ᇙ사ᄅᆞᆷ, 버서나ᇙ時節, 나ᄒᆞᇙ제, 주기디 마르ᇙ디어늘, 처ᅀᅥᆷ나ᇙ제, ᄠᅥ러디ᇙ사ᄅᆞᆷ, 오시ᇙ부터, 나ᇙ그지업수미(다 月印千江之曲)
- (六), ᅀ을 사이ㅅ 소리로 쓴 보기
- 오ᄂᆞᇗ날, 英主ᅀ알ᄑᆡ(前에).數萬里ᅀ니미어시니, 님그ᇟᄆᆞᅀᆞᆷ, 님그ᇟ말ᄊᆞ미, 하ᄂᆞᇗᄆᆞᅀᆞᆷ, 天子ᅀᄆᆞᅀᆞᆷ, 나라ᅀ일훔, 누ᇈ모를, 太子ᅀ位,後ᅀ날(다 龍飛御天歌)
- (七). ㅈ을 사이ㅅ 소리에 쓴 보기
- 性ㅈ字, 相ㅈ字, 錦ㅈ字(圓覺經), 여횔쩌긔(月印千江之曲)
- (八). ㅅ을 사이ㅅ 소리로 쓴 보기
- 입시울쏘리, 正졍齒칭ㅅ소리,齒칭頭뚜ᇢㅅ소리, 나라ㅅ말ᄊᆞ미, 혀ㅅ그티, 나라ㅅ소리, 엄쏘리(牙音), 혀쏘리(舌音), 니쏘리(齒音), 가온ᄃᆡᆺ소리, 소리예ㅅ字(다 訓民正音), 아바님ㅅ 뒤, 서ᄫᅳᆳ使者, ᄀᆞᄅᆞᆳᄀᆞ애, 긼ᄀᆞ애, 나라ㅅ小民, 하ᄂᆞᆳ벼리, 스ᄀᆞᄫᆞᆳ軍馬, 서ᄫᅳᆳ긔별, 님그ᇝ德, 서ᄫᅳᆳ빈길, 어마니ᇝ山陵, 아바니ᇝ梓宮, 솘바을(다 龍飛御天歌), 부텨ㅅ말ᄊᆞᆷ, 如來ㅅ誠實, 菩薩ㅅ일훔, 부텨ㅅ塔, 如來ㅅ像, 智ㅅᄎᆞ시니, 神靈ㅅ德, 鐵圍ㅅ안해(內), 바ᄅᆞᆳ東녁, 菩薩ㅅ어마니, 菩薩ㅅ敎化, 菩薩ㅅ頂, 자ᇝ간, 그낤罪人, 누ᇇ믈, 아랫브터, 一念ᄊᆞᅀᅵ, 나라ㅅ內, 이後ㅅ百千, 긼가온ᄃᆡ, ᄆᆞᅀᆞᇝᄀᆞ장, 大士ㅅ히믈, 오ᄂᆞᆳ날, 하ᄂᆞᆳ福, 여러가지ㅅ病, 여러가지ㅅ풍류, 菩薩ㅅ形象, 經ㅅ소리, 아ᄅᆡㅅ業, 이ᄃᆞᆳ初, 聖人ㅅ像, 여러가지짓善, 千萬가지ㅅ시름,萊蔬ㅅ니플, 浮提ㅅ善行, 浮提ㅅ男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