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조선어학회 한글 (1권 3호).pdf/27

이 페이지는 아직 교정을 보지 않았습니다

하게 하려고 그 위원을 두엇읍니다。 그 위원은 국분상차랑(國分象次郞), 신장순정(新庄順負), 염천일태랑(鹽川一太郞), 고교형(高橋亨), 현운(玄檃), 유길준(兪吉濬), 강화석(姜華錫), 어윤적(魚允迪), 제씨엇읍니다。 그 위원들은 명치(明治) 四십四년(서역 一九一一) 七월 二십八일에 첫번 모인 이래, 그해 십일월까지 다섯번 모인 결과, 그 다음 해(서역 一九一二) 四월에 그 결과를 발포함이 다음과 같앗읍니다。

『普通學校 諺文綴字法
一. 正格인 現代 京城語를 標準으로 하고 可及的 從來 慣用의 用法을 取하여 發音대로 쓰는 법을 삼음
가령, 가르친다, 아침, 하야서, 매우, 되여서, 아름다운, 일음, 다서, 여섯, 빗췬다。
二. 純粹 朝鮮語에는 「ᆞ」를 使用하지 아니하고 「ㅏ」로 一定함
三. 純粹 朝鮮語에는 ㄷ行 及 ㅌ行은 ㅏ列, ㅓ列, ㅗ列, ㅜ列만 使用하고 其他 列에는 ㅈ行 及 ㅊ行을 使用함
四. 純粹 朝鮮語로서 從來에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의 두 가지의 쓰는 법이 잇는 것은 ㅏ, ㅓ, ㅗ, ㅜ로 一定함
가령, 쉰(五十), 적다(小), 하야서, 조흔。
五. 二, 三, 四의 三項은 漢字音으로 된 말을 諺文으로 적을 境遇에는 適用하지 아니함。이는 그 韻을 어지럽게 할까 念慮함임
六. 活用語의 活用語尾는 可及的 語의 本形과 區別하여 씀
가령, 먹엇소, 들어간다, 삶어먹엇소, 붉은빗。但, 左와 如한 말은 例外로함
(1) 어를 더로 쓸 境運
바덧소, 어덧소, ᄯᅳ덧소,
(2) 어를 저로 쓸 境遇
바지가 저젓소, 개가 지젓소, 해가 느젓소。
七. 左와 如한 境遇에는 助詞 은, 을을 흔, 흘로 적어, 實際의 發音을 表記함
가령, 갓흔, 갓흘, 놉흔, 놉흘, 붓흔, 붓흘, 갑흔, 갑흘。
八. 形容詞를 副詞로 할 때 쓰는 接尾語 히는 그대로 히로 表記함
가령, 깁히, 급히, 가벼히, 브즈런히。
九. 從來 二種의 書法이 잇는 助詞는 ᄂᆞᆫ, 를, ᄅᆞᆯ, 은, 는, 를, 로 一定함
一○. 助詞 이, 을, 에, 으로, 는, 우에 오는 말에 따라 다음의 적는 법을 取하여, 實際의 發音을 表記함
(1) 이를 히, 시, 치, 기라 적을 境遇
가령, 압히, 나히, 갑시, 삭시, ᄭᅩᆺ치, 숫치, 밧기。
(2) 을 을 흘, 슬, 츨, 글이라 적을 境遇
가령, 나흘(年齡), 압흘, 갑슬, 삭슬, ᄭᅩᆺ츨, 빗글。
(3) 은을 흔, 슨, 츤, 근이라 적을 境遇
가령, 나흔, 압흔, 갑슨, 삭슨, ᄭᅩᆺ츤, 숫츤, 밧근。
(4) 에를 헤, 세, 체, 게라 적을 境遇
가령, 압헤, ᄭᅳᆺ헤, 갑세, 삭세, ᄭᅩᆺ체,빗체, 밧게。
(5) 으로를 흐로, 스로, 츠로, 그로로 적을 境遇
가령, 압흐로, 밧흐로, 갑스로, 삭스로, ᄭᅩᆺ츠로, 빗츠로, 밧그로。
但, 낫(晝), 곳(處)은 낫이, 곳에 들로 씀。
一一. 된시옷의 記號에는 ㅅ만 使用하고, ᄡᅥ, 까 같은 書法은 取하지 아니함。
一二. 五十音은 別表대로 表記함。
一三. 國語 濁音을 諺文으로 적을 境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