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를 만드는 자리는, 곧 울대(氣管) 우쪽끝에 붙은 울 대머리 (喉頭)다。 이 喉頭는 방패처럼 된 방패여린뼈(甲狀軟骨)와, 가락찌처럼 된 가락찌여린뼈(環狀軟骨)와, 목청을 고루는 대에 쓰이는 고룸여린뼈(調整軟骨) 두 낱으로 이루엇다。 甲狀軟骨과 調整軟骨의 사이에, 두 질긴띠(靭帶)를 목청(聲帶)이라 하고, 두 聲帶 틈을 소리문(聲門)이라 한다。 聲帶는 調整軟骨의 伸縮함을 따라, 되어졌다가 늦어졌다가 하고, 또 聲門은 聲帶의 늦고 됨을 따라, 열리고 닫힌다。 喉頭의 꼭대기에는 울대마개(會厭)가 잇어, 무엇을 먹을 때에 울대머리를 나려 닫아서, 食物이 喉頭를 넘어 밥길(食道)로 들어가게 되고, 또 숨쉴 때에는 곧 일어 열리어서, 氣流가 제절로 숨구멍과 코구멍으로 나들게 되고, 말할 때에는 그것이 열리어서 날숨이 입으로나 혹은 코구멍으로 나온다。
![]() |
1, 방패여린뼈(甲狀軟骨) 2, 고룸여린뼈(調整軟骨) 3, 목청(聲帶) 4, 가락⟨찌⟩여린뼈(環狀軟骨) 5, 울대마개(會厭) |
말의 소리에는 聲帶作用이 잇는 것도 잇고, 또 없는 것도 잇다。 聲帶作用 세가지가 있느니, 母音과 有聲子音의 關係로 가장 많은 作用은 振動이오, 그 다음에는, 聲帶 좁히는 대에서 생기는 摩擦과 또 닫는 대에서 생기는 破裂이다。 그러나, 또 입이나 코의 作用으로 나는 許多한 소리에는, 예사 숨쉴 때와 같고, 아무 딴 짓은 없다。
聲門은 힘줄소리문(筋肉聲門)과 여린뼈소리문(軟骨聲門)의 두 가지가 잇다。 앞에 것은 筋肉으로 된 목청 사이 틈이오, 뒤에 것은 두 調整軟骨의 사이에 생긴 틈이다。
소근거리는 소리(耳語)는 高低의 變動이 없는 噪音이다。 이것은 매우 좁힌 筋肉聲門으로나, 혹은 筋肉聲門은 꼭 닫고, 軟骨聲門으로 내미는 氣流에서 생기는 것이다。
숨쉴 때의 목청 | 소리낼 때의 목청 |
![]() | |
ㄱ 목청 ㄴ 소리문 ㄷㄷ 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