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페이지는 아직 교정을 보지 않았습니다
- 만일 이지로 영을 모혼즉 각 좌우 두 부식 대되 네 부로ᄡᅥ 밧위를 삼고 각 즁부로ᄡᅥ 안위를 삼으되 앏문으로부터 평히 난호고 ᄯᅩ 만일 삼지로 영을 모혼즉 두 영으로ᄡᅥ 다 밧영을 삼고 ᄒᆞᆫ 영으로 안영을 삼고 ᄉᆞ지로 영을 모혼즉 각 좌우 부로ᄡᅥ 밧영을 삼고 각 즁부로 안영을 삼고 즁군은 각각 가온대 네 모ᄒᆡ 잇고 대 즁군은 가온대 이시되 ᄆᆡ 영이 다 졍면으로부터 가온대ᄅᆞᆯ 난화 각각 ᄒᆞᆫ 모 두 편 반 면식 어드라 오지로 영을 모홀진댄 밧 ᄉᆞ지 각 좌우뷔 각각 ᄒᆞᆫ 면을 난화 밧영 ᄒᆞᆫ 층이 되고 각 즁뷔 두 층이 되고 즁영 일지 안영이 될디니 혜아리건댄 대되 세 층이라 각 즁군은 각 영 모 안ᄒᆡ 잇고 즁영과 다몯 대즁군은 다 가온대 이시라
若因行營便下方營左右二部卽爲外圍中部左右二司前後 各收進中間分開卽爲子營旗鼓雜流兩行列于中軍營定發 旗立表
- 만일 ᄒᆡᆼ영을 인ᄒᆞ야 곧 방영을 틸딘대 좌우 두 뷔 곧 밧위 되고 즁부 좌우 두 ᄉᆡ 젼후로 각각 거두어 즁간의 나아가 난화 펴 곧 안영이 되고 긔와 붑 잡류ᄂᆞᆫ 두 길로 즁군의 버리고 영이 뎡호매 긔ᄅᆞᆯ 발ᄒᆞ야 표ᄅᆞᆯ 셰오라
夜營第十九
下方營安拒馬下蒺藜張營幕擧火炊飯喫發伏路塘報每隊 撥兵二名守拒馬每一拒馬內備石子一堆落旗懸燈去營外 三十步燃柴一堆
- 방영을 티고 거마창을 평안이 ᄒᆞ고 마ᄅᆞᆷ을 펴고 영댱 막을 베프고 블을 드러 밥을 지어 먹고 복로와 당보ᄅᆞᆯ 발ᄒᆞ고 ᄆᆡ ᄃᆡ의 군ᄉᆞ 두 명식 ᄲᅡ여 거마창을 딕희 오고 ᄆᆡ ᄒᆞᆫ 거마창 안ᄒᆡ 돌 ᄒᆞᆫ 무덕이ᄅᆞᆯ ᄀᆞ초고 긔ᄅᆞᆯ 디워 등을 ᄃᆞᆯ고 영 밧 삼십 보의 가 나모 ᄒᆞᆫ 무덕이ᄅᆞᆯ 블디ᄅᆞ라
凡遇敵晝則空腹圍戰夜又饑奔二三十里入人家或城郭宿 歇而賊於一夜內預設奇伏我兵至曉復合行疲氣怠未戰而 已過賊伏或不入其伏定失其地利是以我勞而不及謀賊逸 而伏多中惟是夜營旣熟復有炊竈宿飽于野與敵晝夜相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