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상고사/제2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차이 없음)

2006년 11월 6일 (월) 17:10 판

조선상고사

제 2 편 < 수두 > 시대

제 1 장 고대 총

1. 조선 민족의 구별

고대 아시아 동부의 종족이 1,우랄 어족 2, 지나 어족의 두 갈래로 나누어졌는데 , 한족 ( 漢族 ) ·묘족 ( 苗族 ) ·요족 ( 요族 ) 등은 후자에 속 한 것이고 , 조선족 ·흉노족 등은 전자에 속한 것이다 . 조선족이 분화 ( 分化 ) 하여 조선 ·선비 ·여진 ·몽고 ·퉁구스 등 종족이 되고 , 흉노족 이 이동하고 분산하여 돌궐 ( 突厥 : 지금의 新疆族 ) ·흉아리 ( 匈牙利 : 헝가리 ) ·토이기 ( 土耳其 : 터키 ) ·분란 ( 芬蘭 : 핀란드 ) 족이 되었다 .

지금 몽고 ·만주 ·토이기 ·조선의 네 종족 사이에 왕왕 같은 말과 물건 이름이 있음은 몽고 ( 大元 ) 제국 시대에 피차의 관계가 많아서 받은 영향도 있으려니와 , 고사를 참고하면 조선이나 흉노 사이에도 관명 ( 官名 ) ·지명 ( 地名 ) ·인명 ( 人名 ) 의 같은 것이 많으니 , 상고 ( 上古 ) 에 있어서 한 어족이었던 분명한 증명이다 .

2. 조선족의 東來

인류의 발원지에 대해 1, 파미르 고원 2, 몽고 사막이라는 두 설이 있는데 , 아직 그 시비가 확정되지 못하였으나 , 우리의 옛 말로서 참고 하면 왕성 ( 王姓 ) 을 ‘해 ( 解 ) ’라 함은 태양에서 뜻을 취한 것이고 , 왕호 ( 王號 ) 를 ‘불구래 ( 弗矩內 ) ’라 함은 태양의 빛에서 뜻을 취한 것이며 ,

천국 ( 天國 ) 을 환국 ( 桓國 ) 이라 함은 광명 ( 光明 ) 에서 뜻을 취한 것이니 , 대개 조선족이 최초에 서방 파미르 고원 혹은 몽고 등지에서 광명의 본원지를 찾아 동방으로 나와 불함산 ( 不咸山 )-- 지금의 백두산을 해와 달이 드나드는 곳 , 곧 광명신 ( 光明神 ) 이 머물러 있는 곳으로 알아 그 부근의 토지를 ‘조선 ( 朝蘇 ) ’이라 일컬으니 , 조선도 옛날의 광명 이라는 뜻이다 . 조선은 후세에 이두자 ( 更讀字 ) 로 조선이라 썼다 .

3. 조선족이 분포한 ‘아리라’

우리의 옛 말에 오리를 ‘아리’라 하고 , 강을 ‘라’라고 하였다 . 압록 강·대동강 ·두만강 ·한강 ·낙동강과 만주 길림성 ( 吉林省 ) 의 송화강 ( 松花江 ), 봉천성 ( 奉天省 ) 의 요하 ( 遼河 ), 영평부 ( 永平府 ) 의 난하 ( 난河 ) 등을 이두자로 쓴 옛 이름을 찾아보면 , 아례강 ( 阿禮江 ) ·아리수 ( 阿利水 ) ·욱리하 ( 郁利河 ) ·오열하 ( 烏列河 ) ·열수 ( 列水 ) ·무열하 ( 武列河 ) ·압자하 ( 鴨子河 ) 라 하였으니 , 아례 ·아리 ·욱리 ·오열 ·열 ·무열은 다 ‘아리’의 음역 ( 音譯 ) 이고 , 압자 ( 옛날에 오리를 아리라 함 ) 은 ‘아리’의 의역 ( 意譯 ) 이요 , 강 ·하·수는 다 ‘라’의 의역이다 . 위의 여러 큰 강들은 다 조선족의 조상이 지은 이름이다 .

조선 고대의 문화는 거의 이 큰 강들의 강변에서 발생하였으므로 삼 국지에도 , ‘고구려는 큰 물을 의지하여 나를 만들어 산다 ( 句麗作國依 大水而居 ). ’라고 하였다 .’나라’는 옛 말의 ’라라’이니 , 라라는 본래 진도 ( 津渡 ), 곧 ‘나루’를 가리키는 명사로서 국가를 가리키는 명사가 된 것이다 .

고대 지명의 끝에 붙은 나 ( 那 ) ·라 ( 羅 ) ·노 ( 如 ) ·루 ( 婁 ) ·누 ( 누 ) · 양 ( 良 ) ·양 ( 浪 ) ·양 ( 穰) ·양 ( 壞 ) ·강 ( 岡 ) ·양 ( 陽 ) ·아 ( 牙 ) ·야 (야) 동은 다 ‘라’의 음역이고 , 천 ( 川 ) ·원 ( 原 ) ·경 ( 京 ) ·국 ( 國 ) 등은 거의 ‘라’의 의역이며 , 두 가지가 다 ‘라라’의 축역 ( 縮譯 ) 이니 , 강이 어렵 ( 漁獵 ) 자원이 되고 , 배를 교통하는 편의가 있으므로 상고 문명이 거의 강변에서 발원한 것이다.

4. 조선족이 최초로 개척한 夫餘

원시 인민이 강의 물고기와 산과들의 짐승과 풀 ·나무의 열매 같은 여러 가지 천산물 ( 天産物 ) 로 양식을 삼다가 인구가 불어남에 따라 그 천산물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하여 목축업과 농업이 발생하였다 . 농업은 대개 불의 힘을 이용하여 초목을 태워서 들을 개척한 뒤에 발생하였으므로 옛 말에 야지 ( 野地 ) 를 ‘불’이라 하였다 .

불의 이용의 발견은 한갓 농업을 유발하였을 뿐 아니라 불로 굴을 태워서 맹수도 죽이고 , 그 가죽을 녹여 옷과 신을 만들고 , 진흙을 구 워 성벽을 쌓고 , 쇠를 달구어 기구를 만들고 그 밖에 생활의 일용에 모든 편의를 주어 사람의 지혜를 개발하였으므로 , 근세의 일반 사학가들이 고대 불의 이용의 발견을 곧 근세의 증기 ·전기의 발견과 같은 사회 생활의 대혁명을 일으킨 대 발견이라고 한다 . 동서를 물론하고 고대의 인민들이 다 불의 발견을 기념하여 그리스의 화신 ( 火神 ) ·프 러시아의 화교 ( 火敎 ) ·지나의 수인씨 ( 燧人氏 ) 등 전설이 있고 , 우리 조선에는 더욱 불을 사랑하여 사람의 이름을 ‘불’이라 지은 것이 많으니 , 부루 ·품리 ( 稟離 ) 등이 다 불의 음역이요 , 불이라 지은 지명도 적지 아니하여 , 부여 ( 夫餘 ) ·부리 ( 夫里 ) ·불내 ( 不耐 ) ·불이 ( 不而 ) ·국내 ( 國內 ) ·불 ( 弗 ) ·벌 ( 伐 ) ·발 ( 發 ) 등이 다 불의 음역이다 .

고기 ( 古記 ), 고사기 ( 古事記 ) 등을 참고하면 조선 문화의 원시 ‘수 두’의 발원이 거의 송화강가의 합이번 ( 哈爾賓 : 만주 하얼빈 ) 부근인데 , 합이빈은 그 고대의 부여이다 . 그러니 송화강은 조선족이 처음으로 근거한 ‘아리라’요 , 합이빈은 조선족이 최초로 개척한 야지 ( 野地 )곧 ‘불’이요 , 그 이외의 모든 부여 ·부리동은 연대를 따라 차례로 개척된 야지 --불이다 .

제 2 장 단군 왕검(檀君王儉)의 건국

1. 조선 최초의 일반 신앙의 단군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조선족이 각 ‘아리라’에 분포하여 각 ‘불’을 개척하는 동시에 한 커다란 공동의 선앙이 유행하였으니 이른바 단군 이다 .

원시 인민은 우주의 형상을 과학적으로 해석할 지식이 없었으므로 가상적으로 우주에 신이 있다 정하고 모든 것을 신의 조작으로 돌려 신을 숭배하는 동시에 각기 천연 환경을 따라 혹은 모든 물건을 다 신 으로 인정하여 이를 예배하고 , 혹은 모든 물건 위에 한 신이 있다 하여 이를 예배하였으니 , 이것이 이른바 종교요 원시 시대 각 민족 사회에 각기 고유한 종교를 가진 실재 ( 實在 ) 이다 .

조선족은 우주의 광명 ( 제 1 장 참고 ) 이 숭배의 대상이 되어 태백산 ( 太白山 ) 의 숲을 광명신 ( 光明神 ) 이 살고 있는 곳으로 믿었는데 , 그 뒤 인구가 번식하여 각지에 분포하매 각기 그 살고 있는 곳에 숲을 길러서 태백산의 숲을 모상 ( 模像 ) 하고 , 그 숲을 이름하여 ‘수두’라 하였으 니 , 수두란 신단 ( 神檀 ) 이라는 뜻이다 . 해마다 5 월과 10 월에 백성들이 수두에 나아가 제사를 지내는데 , 한사람을 뽑아제주 ( 祭主 ) 를 삼아서 수두의 중앙에 앉허고 하느님 천신 ( 天神 ) 이라 이름하여 여러 사람이 제사를 드리고 수두의 주위에 금줄을 매어 한인 ( 閔人 ) 의 출업을 금하였다 .

전쟁이나 그 밖의 큰 일이 있으면 비록 5 월과 10 월의 제사 지낼 시기가 아니라도 소를 잡아 수두에 제사 지내고 , 소의 굽으로 그 앞에서 길흉을 점쳤는데 , 굽이 떨어지면 흉하다 하고 붙어 있으면 길하다고 하였으니 , 이것은 지나의 팔패 (八卦 ) 음획 양획 ( 陰劃陽劃 ) 의 기원이 되는 것이다 .

강적이 침입하면 수두 소속의 부락들이 연합하여서 이를 방어하고 가장 공이 많은 부락의 수두를 첫째로 받들어 신수두’라 이름하니 , ‘신’은 최고 최상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 그리고 그 밖의 각 수두는 그 아래 딸려 있었으니 , 삼한사 ( 三韓史 ) 에 보이는 ‘소도 ( 蘇塗 ) ’는 ‘수두’ 의 음역이고 , ‘신소도 ( 臣蘇途 ) ’는 ‘신수두’의 음역이요 , 진단구변국 도 ( 震檀九變局道 ) 에 보이는 ‘진단 ( 震檀 ) ’의 진은 ‘신’의 음역이고 , 단 ( 檀 ) 은 수두의 의역이요 , 단군은 곧 ‘수두 하느님’의 의역이다 . 수두 는 작은 단〔小檀 〕이요 , 신수두는 큰 단〔大檀〕이니 , 수두에 단군이 있었으니까 수두의 단군은 작은 단군〔小檀 君〕이요 , 신수두의 단군은 큰 단군〔大檀 君〕이다 .

2. 큰 단군 , 왕검이 창작한 신설(神說)

고기 ( 古記 ) 에 이르기를 , “환군제석 ( 桓君帝釋 ) 이 삼위 ·태백 ( 三危 ·太白 : 둘 다 산 이름 ) 을 내려다보고 널리 인간 세상에 이익을 끼칠 만 한 곳이라 하여 , 아들 웅 ( 雄 ) 을 보내 천부 ( 天符 ) 와 인 ( 印 ) 세 개를 가 지고 가 다스리게 하였다 . 웅은 무리 3 천을 거느리고 태백산 신단수 ( 神 檀 樹 ) 아래에 내려와서 신시 ( 神市 ) 라 일컬으니 , 이른바 환웅천왕 ( 桓雄天王 ) 이다 . 웅은 풍백 ( 風伯 ) ·우사 ( 雨師 ) ·운사 ( 雲師 ) 를 지휘하여 곡식〔穀〕 ·명 ( 命 ) ·병 ( 病 ) ·형벌 ( 刑罰 ) ·선 ( 善 ) ·악 ( 惡 ) 둥 세상 의 360 여 가지 일을 다스렸다 . 이때 곰 한 마리 범 한 마리가 있어 한 굴 속에 살면서 사람이 되기를 빌었다 . 웅이 쑥 한 줌과 마늘 스무 쪽 을 주면서 이것을 먹고 백날 동안 햇빛을 보지 않으면 사람의 모양을 얻을 것이라고 하였는데 범은 그대로 하지 못하고 , 곰은 삼칠일 동안 그대로 하여 여자가 되었다 . 그러나 결혼할 남자가 없으므로 매양 신 단을 향해 아이 가지기를 원하므로 웅이 남자의 몸으로 가화 ( 假化 ) 하여 이와 결혼해서 단군 왕겸 ( 檀君王檢 ) 을 낳았다 .”고 하였다 .

그러나 ‘제석 ( 帝釋 ) ’이니 ‘웅 ( 雄 ) ’이니 ‘천부 ( 天符 ) ’니 하는 따위가 거의 불전 ( 佛典 ) 에서 나온 명사이고 또 삼국사에 초기의 사회에도 여성을 매우 존중하였다고 했는데 , 이제 남자는 신의 화신이고 , 여자는 짐승의 화신이라 하여 너무 여성을 낮게 쳤으니 , 나는 이것이 순수한 조선 고유의 신화가아니요 , 불교 수입 이후에 불교도의 점철 ( 點綴 ) 이 적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

그러나 평양 ( 平壞 ) 의 옛 이름이 왕검성 ( 王檢城 ) 이요 , 신라의 선사 ( 仙史 ) 에도 , “평양은 선인 왕검의 집 ( 平壞者仙人 王檢之宅) ”이라고 했 고 , 위서 ( 魏書 ) 에도 , “지난 2 천 년 전 단군 왕검이라는 이가 있어 아사달 ( 阿斯達 ) 에 나라를 세우고 , 국호를 조선이라 하였다 ( 乃往二千載 前 有檀君王檢 立國阿斯達 國號朝鮮 ). ”고 하였으니 , 그러면 조선 고대에 단군 왕검을 종교의 교조로 받들어왔음은 사실이고 , 왕검을 이두자의 읽는 법으로 해독하면 ‘임금’이 될 것이니 , 대개 ‘임금’이라 이름한 사람이 당시에 유행한 ‘수두’의 미신을 이용하여 태백산의 ‘수 두’에 출현하여 스스로 상제 ( 上帝 ) 의 화신이라 일컫고 조선을 건국하였으므로 , 이를 기념하여 역대 제왕의 칭호를 ‘임금’이라 하고 , 역대 서울의 명칭도 ‘임금’이라고 한 것이다 .

‘선인왕검 ( 仙人王檢 ) ’이라 함은 삼국 시대에 수두 교도의 단체를 ‘선배’라 일걷고 , 선배를 이두로 선인 ( 仙人 ) 혹은 ‘선인 ( 先人 ) ’이라 기록한 것이고 선사 ( 仙史 ) 는 곧 왕검의 설교 이래 역대 선배의 사적을 기록한 것이다 . 후세에 유 ·불 양교가 서로 왕성해지면서 ‘수두’의 교가 쇠퇴하고 , 선사도 없어져서 그 자세한 것은 알 수 없으나 , 지나의 고서 굴원 ( 屆原 ) 의 초사 ( 楚辭 ), 사마천 ( 司馬遷 ) 의 사기 ( 史記 ), 반고 ( 班固 ) 의 한서 ( 漢書 ) 에 여기저기 보이는 것으로써 오히려 그 대강을 알 수 있다 .

사기의 봉선서 ( 封禪書 ) 의 삼일신 ( 三一神 ) 이란 천일 ( 天一 ) ·지일 ( 地 一) ·태일 ( 太一 ) 인데 , 그 중에 태일이 가장 존귀하고 , 오제 ( 五帝 : 동 서남북중 다섯 방향의 신 ) 는 태일의 보좌 ( 補佐 ) 라 하였으며 , 진시황 본기 ( 奏始皇本紀 ) 의 천황·지황 ( 地皇 ) ·태황 ( 泰皇 ) 가운데 태황이 가 창 존귀하다고 하였으며 , 초사에는 동황태일 ( 東皇太一 ) 이란 노래 이름이 있고 , 한서예문지 ( 漢書藝文志 ) 에는 태일잡자 ( 太一雜子 ) 라는 책 이름이 있으니 , 삼일신 ( 三一神 ) 과 삼황 ( 三皇 ) 은 곧 고기에 있는 삼신 ( 三神 ) ·삼성 ( 三聖 ) 등의 유이다 .

삼일신을 다시 우리의 옛 말로 번역하면 천일 ( 天一 ) 은 ‘말한’이니 상제 ( 上帝 ) 를 의미하는 것이요 , 태일은 ‘신한’이니 신은 최고 최상이 라는 말 , 신한은 곧 , ‘하늘 위 하늘 아래에 하나이고 둘이 없다 ( 天上 天下獨一無二 ). ’는 뜻이다 . 말한·불한·신한을 이두로 마한 ( 馬韓 ) · 변한 ( 弁韓 ) ·진한 ( 辰韓 ) 이라 적은 것이고 , 오제 ( 五帝 ) 는 돗가·개 가·소가·말가·신가 등 다섯 ‘가’ 곧 오방신 ( 五方神 ) 을 가리킨 것 이다 .

차례로 말하면 말한이 불한을 낳고 불한이 신한을 낳았으나 권위( 權位 ) 로 말하면 .신한이 신계 ( 神界 ) 와 인계 ( 人界 ) 의 대권 ( 大權 ) 을 모 두 차지하여 말한과 불한보다 고귀하므로 삼일 중에서 태일이 가장 고 귀하다 하는 것이고 , ‘오제 ( 곧 5 가 ) 는 곧 태일의 보좌이다 . ’라 하였으 니 , 신가가 다섯 가의 수위 ( 首位 ) 임은 ‘신’의 어의 ( 語義 ) 로 말미암아 명백하니 , 거북〔龜〕의 삼신 ·오제는 곧 왕검이 만든 전설이다 .

3. ‘신수두’의 삼경·오부(三京 ·五部)제도

대단군 ( 大樓君 ) 왕검이 이에 삼신 ( 크神 ) ·오제 ( 五帝 ) 의 신설 ( 神說 ) 로 우주의 조직을 설명하고 , 그 신설에 의하여 인간 세상 일반의 제도 를 정하매 , 신한·말한·불한·의 세한을 세워 대단군이 신한이 되니 신한은 곧 대왕 ( 王 ) 이요 , 말한과 불한은 곧 좌우의 두 부왕 ( 副王 ) 으 로 신한을 보좌한다〉

삼경을 두어 세 한이 나뉘어 머무르고 세 한의 아래에 돗가·개 가·소가·말가·신가의 다섯 가를 두고 전국을 동 ·서 ·남 ·북 ·중 다섯 부 ( 部 ) 에 나누어 다섯 가가 중앙의 다섯 국무대신이 되는 동시 에 , 다섯 부를 나누어 다스리는 다섯 지방장관이 되고 , 신가는 다섯 가의 우두머리가 된다 .

전시 ( 戰時 ) 에는 다섯 부의 인민으로써 중 ( 中 ) ·전 ( 前 ) ·후 ( 後 ) ·좌( 左 ) ·우 ( 右 ) 의 오군 ( 五軍 ) 을 조직하여 신가가 중군대원수 ( 中軍大元 師 ) 가 되고 , 그 밖의 네 가가 전 ·후 ·좌 ·우의 네 원수가 되어 출전 한다 .

지금까지 유행하고 있는 윷판이 곧 다섯 가의 출진도 ( 出陣圖 ) 이니 , 그 그림은 다음과 같다 . 그렴 가운데 도 ( 刀 ) ·개 ( 介 ) ·걸 ( 乞 ) ·유 ( 兪 ) ·모 ( 毛 ) 는 곧 이두 글자로 쓴 다섯 가의 칭호이니 , 도는 돗가요 , 개는 개가요 , 유는 옛 음에 소’니 소가요 , 모는 말가요 , 걸은 신가 니 , 걸로 신가를 기록함은 그 의의를 알 수 없으나 부여 시대에 견사 ( 犬使 ) 라는 관명 ( 官名 ) 이 있으니 , 대개 견사는 신가의 별칭이므로 결 은 곧 견사의 견 ( 犬 ) 을 의역한 것이 아닌가 한다 .

돗〔猪〕 ·개〔犬〕 ·소〔牛〕 ·말 〔馬〕 등 가축들로 오방 ( 五方 ) 의 신의 이름을 삼는 동시에 , 이로써 벼슬 이름을 삼은 수렵 시대가 지나고 농목 ( 農收 ) 시대가 된 증적 ( 證跡 ) 이다 .

제 3 장 수두의 홍포(弘布)와문화의 발달

1.부루의 서행(夫婁의西行)

고기 ( 古記 ) 에 이르기를 , “단군 왕검이 아들 부루를 보내어 하우 ( 夏禹 ) 를 도산 ( 塗山 ) 에서 만났다 .”고 하였고 , 또 오월춘추 ( 吳越春秋 ) 에 도 이와 비슷한 기록이 있어 , “당요 ( 庸寶 ) 때에 9 년 동안 홍수가 져서 당요가 하우에게 명하여 이를 다스리라 하였다 . 우 ( 禹 ) 가 8 년 동안이나 공을 이루지 못하고 매우 걱정하여 , 남악 ( 南嶽) ·형산 ( 衝山 ) 에 이르러 흰 말을 잡아 하늘에 제사 드려 성공을 빌었는데 , 꿈에 어떤 남자가 스스로 현이 ( 玄夷 ) 의 창수사자 ( 蒼水使者 ) 라 일걷고 , 우에게 말 하기를 , 구산 ( 九山 ) 동남쪽의 도산 ( 逢山 ) 에 신서 ( 神書 ) 가 있으니 , 석달동안재계 ( 齋戒 ) 하고 그것을 꺼내보라 하므로 우가 그 말에 의하여 금간옥첩 ( 金簡玉牒 ) 의 신서를 얻어 오행통수 ( 五行通水 ) 의 이치를 알아 홍수를 다스려 성공하고 , 이에 주신 ( 州愼 ) 의 덕을 잊지 못하여 정전 ( 井田 ) 을 제정하고 , 율도량형 ( 律度量衡) 의 제도를 세웠다 .”고 하 였다 .

현이 ( 玄夷 ) 는 당시 조선의 동 ·남 ·서 ·북 ·중 오부를 남 ( 藍 ) ·적( 未 ) ·백 ( 白 ) ·현 ( 玄 : 黑 ) ·황 ( 黃 ) 으로 별칭했는데 , 북부가 곧 현부 ( 玄部 ) 이니 지나인이 현부를 가리켜 현이 ( 玄夷 ) 라고 한 것이요 , 창수 ( 蒼水 ) 는 곧 창수 ( 擔水 ) 이고 , 주신 ( 州愼 ) ·숙신 ( 肅愼 ) ·직신 ( 稷愼 ) 혹은 식신 ( 息愼 ) 으로 번역되었으니 , 주신은 곧 조선을 가리킨 것이다 .

옛 기록의 부루는 오월춘추 ( 吳越春秋 ) 의 창수사자이니 , 이때 지나에 큰 홍수가 있었음은 여러 가지 옛 역사가 다 같이 증명하는 바인 데 , 단군 왕검이 그 수재를 구제해주려고 아들 부루를 창해사자 ( 滄海 使者 ) 에 임명하여 도산에 가서 하우를 보고 , 삼선오제교 ( 三神五帝敎 ) 의 일부분인 오행설 ( 五行說 : 水火金土木 ) 을 전하고 치수 ( 治水 ) 의 방 법을 가르쳐주었으므로 우 ( 禹 ) 는 왕이 되자 부루의 덕을 생각하여 삼신오제의 교의를 믿고 이를 지나에 전포 ( 傳布 ) 하였으며 , 정전과 율도 량형도 또한 지나의 창작이 아니라 조선의 것을 모방한 것이었다 . 그 런데 어찌하여 ‘꿈에 창수사자를 만났다 . ’고 하였는가 ? 신성 ( 神聖 ) 을 장식하여 사실을 신화화함이니 , 이는 상고에 흔히 있는 일이다 .

2. 기자(箕子)의 전래

하우가 홍수를 다스린 공으로 왕이 되어 국호를 하 ( 夏 ) 라 하고 , ‘수 두’의 교를 흉내내어 도산에서 받은 신서 ( 神書 ) 를 홍범구주 ( 洪範九疇 )라 이름하여 신봉하였는데 하가 수백 년 만에 망하고 상 ( 商 ) 이 뒤를 이어 또한 수백 년만에 망하고 주 ( 周 ) 가 일어나서는 주무왕 ( 周武王 ) 이 홍범구주를 배척하므로 은 ( 股 ) 의 왕족 기자 ( 箕子 ) 가 새로 홍범구주를 지어 무왕과 변론하고 조선으로 도망하니 , 지금 상서 ( 尙書 ) 의 홍범 ( 洪範 ) 이 곧 그것이다 .

홍범편 ( 洪範篇 ) 가운데 , “초일 ( 初一 ) 은 오행 ( 五行 ) 이요 , 차이 ( 次 二 ) 는 경용오사 ( 敬用五事 ) 요 , 차삼 ( 次三 ) 은 농용팔정 ( 農用八政 ) 이요 , 차사 ( 次四 ) 는 협용오기 ( 協用五紀 ) 요 , 차오 ( 次五 ) 는 건용황극 ( 建用皇極 ) 이요 , 차육 ( 次六 ) 은 예용삼덕 (乂 用三德 ) 이요 , 차칠 ( 次七 ) 은 명용계의 ( 明用稽疑 ) 요 , 차팔 ( 次八 ) 은 염용서정 ( 念用庶徵 ) 이요 , 차구 ( 次 九 ) 는 향용오복 ( 嚮用五福 ) ·위용육극 ( 威用六極 ) 이다 . 첫째 오행은 일은 수 ( 水 ), 이는 화 ( 火 ), 삼은 목 ( 木 ), 사는 금 ( 金 ), 오는 토 ( 土 ) 요 , 둘째 오사 ( 五事 ) 는 일은 모 ( 貌 ), 이는 언 ( 言 ), 삼은 시 ( 視 ), 사는 청( 聽 ), 오는 사 ( 思 ) 요 , 셋째 팔정 ( 八政 ) 은 일은 식 ( 食 ), 이는 화 ( 貨 ), 삼은사 ( 祝 ), 사는사공 ( 司空 ), 오는사도 ( 司徒 ), 육은사구 ( 司寇 ), 칠은 빈 ( 賓 ), 팔은 사 ( 師 ) 요 , 넷째 오기 ( 五紀 ) 는 일은 세 ( 歲 ), 이는 월 ( 月 ), 삼은 일 ( 日 ), 사는 성진 ( 星辰 ), 오는 역수 ( 歷數 ) 요 , 다섯째 황극 ( 皇極 ) 은 황건기유극 ( 皇建其有極 ), 여섯째 삼덕 ( 三德、 ) 은 일은 정직 ( 正直 ), 이는 강극 ( 剛克 ), 삼은 유극 ( 柔克 ) 이요 , 일곱째 계의 ( 稽疑 ) 는 택건립복서인 ( 擇建立卜筮人 ) 이요 , 여덟째 서징 ( 庶徵 ) 은 우 ( 雨 ) ·양 ( 暘 ) ·오 ( 오 ) ·한 ( 寒 ) ·풍 ( 風 ) 이요 , 아홉째 오복 ( 五福 ) 은 일은 수 ( 壽 ), 이는부 ( 富 ), 삼은강녕 ( 康寧 ), 사는 유호덕 ( 攸好德 ), 오는 고종명 ( 考終命 ) 이요 , 육극 ( 六極 ) 은 일은 흉단절 (凶短折 ), 이는 질 ( 疾 ), 삼 은 우 ( 憂 ), 사는 빈 ( 貧 ), 오는 악 ( 惡 ), 육은 약 ( 弱 ) 이다 .”라고 하였는 테 , 이러한 문구는 곧도산 ( 塗山 ) ·신서 ( 神書 ) 의 본문이고 , 그 나머지 는 기자 ( 箕子 ) 가 연술 ( 演述 ) 한 것이다 . 천내석우 홍범구주 ( 天乃錫禹 洪範 九疇) 는 곧 기자가 단군을 가리켜 천 ( 天 ) 이라 하고 단군으로 부터 전수받은 것을 천이 주었다고 함이다 .

이는 ‘수두’의 교의에 단군을 하늘의 대표로 보기 때문이고 , 기자가 조선으로 도망한 것은 상 ( 商 ) 이 주 ( 周 ) 에게 망하는 동시에 상의 국교 인 ‘수두’교가 압박을 받으므로 고국을 버리고 수두교의 조국으로 돌 아온 것이다 .

한서 ( 漢書 ) 에 거북이 문자를 등에 지고 낙수 ( 洛水 ) 에서 나왔으므로 우 ( 禹 ) 가 홍범 ( 洪範 ) 을 연술하였다 했지마는 , 역 ( 易 ) 의 계사 ( 擊辭 ) 에 ,“황하 ( 黃河 ) 에서 그림이 나오고 낙수 ( 洛水 ) 에서 글씨가 나와 , 성인이 이것을 본받았다 ( 河出畵 洛出書 聖人則之 ). ”라 하여 분명히 하도 ( 河圖 ) 낙서 ( 洛書 ) 가 다 역괘 ( 易卦) 지은 원인임을 기록하였는데 , 이제 낙수 거북의 글씨로 인하여 홍범을 지었다고 함은 어찌 망령된 증명이 아니랴 ( 위 일절은 淸儒 毛奇齡의 설을 채택함 ).

오월춘추에 의거하여 홍범 오행이 조선에서 전해간 것으로 믿음이 옳고 , 또 초사 ( 楚辭 ) 에 의거하여 동황태일 ( 東皇太一 ) 곧 단군 왕검을 제사하는 풍속이 호북 ( 湖北 ) ·절강 ( 浙江 ) 등지에 많이 유행하였음을 보면 , 대개 하우가 형산에서는 하늘에 제사하고 , 도산에서는 부루에 게서 신서를 받은 곳이므로 가장 ‘수두교’가 유행한 지방이 된 것 이다 .

3. 흉노의 휴도(休屠)

‘수두교’가 지나 각지에 퍼졌음은 앞에서 말한 바와 같거니와 , 사기 , 흉노전에 의거하면 , 흉노도 조선과 같이 5 월에 하늘에 제사 지내 는데 , 천제를 형상한동인 ( 銅人 ) 을‘휴도 ( 休屠 ) 라 불렀으니 , 곧 ‘수두’ 의 번역이요 , 휴도의 제사를 맡은 사람을 휴도왕 ( 休掉王 ) 이라하여 또 한 단군이라는 뜻과 비슷하며 , 휴도에 삼룡 ( 三龍 ) 을 모시니 , 용은 또 한 신을 가리킨 것이다 . 삼룡은 곧 삼신이니 , 흉노족도 또한 ‘수두교’ 를 수입하였음이 의심없다 .

고대의 종교와 정치가 구별이 없어 종교상의 제사장이 곧 정치상의 원수이며 , 종교가 전파되는 곳이 정치상의 속지 ( 屬地 ) 이니 , 대단군 이래 조선의 교화가 지나 ·흉노 등의 각 민족에 널리 퍼졌음으로 언하 여 정치상 강역 ( 疆域 ) 이 확대되었음을 볼 것이다 .

4. 漢字의 수입과 이두문(吏讀文)의 창작

조선 상고에 조선글이 있었다는 사람이 있으나 , 이는 아무 증거가 없는 말이니 최초에 쓴 것이 한자일 것은 틀림없다 .

한자가 어느 때 수입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 대개 땅이 지나와 이어 져 있어서 두 민족은 기록 이전부터 교통이 있었을 것이니 , 한자의 수입도 기록 이전의 일이었음이 명백하다 . 왕검이 아들 부루를 보내어 도산에서 우에게 금간옥첩 ( 金簡玉牒 ) 의 글을 가르쳐주었는데 , 이 글 자는 곧 한자였을 것이니 , 조선이 한자를 익혔음이 이미 오래 되었음 을 볼 것이다 .

그 뒤에 한자의 음 혹은 뜻을 빌려 이두문을 만들었는데 , 이두문은 곧 조선 고대의 국문이라고 할 수 있다 . 고대에는 ‘국서 ( 國書 ) ’ , ‘향 서 ( 獅書 ) ’ 혹은 ‘가명 ( 假名 ) ’이라 일걷고 고려조 이후에 비로소 이두문이라 일컬었으나 , 이제 통속 ( 通俗 ) 의 편의를 위하여 고대의 것까지 이두문이라 하거니와 , 흔히 이두문을 신라 설총 ( 韓聽 ) 이 지은 것이라 고하지마는 설총 이전의 옛 비석 ( 진흥왕 巡狩碑 따위 ) 에도 가끔 이두 문으로 적은 시가 ( 詩歌 ) 가 있으니 , 설총 이전에 만든 것임이 의심 없다 .

그러면 어느 시대에 만들어진 것일까 ? 임금을 왕검이라 번역하여 왕 ( 王 ) 은 그 글자의 뜻에서 소리의 처음 절반을 취하여 ‘임’으로 읽고 검 ( 檢 ) 은 그 글자의 음에서 소리의 전부를 취하여 ‘금’으로 읽으며 , ‘펴라’를 낙랑 ( 樂浪 ) 이라 번역하여 낙 ( 樂 ) 은 글자의 뜻에서 소리의 처음 절반을 취하여 ‘펴’로 읽고 , 랑 ( 浪 ) 은 글자의 음에서 소리의 처음 절반을 취하여 ‘라’로 읽은 것이 곧 이두문의 시초니 , 적어도 이제부 터 3천 년 전 --기원 전 10 세기경에 이두문이 제작된 것 같다 .

그림〔圖繪〕이 진보하여 글자 文字가 되고 형자 ( 形字 ) 가 진보하여 음자 ( 音字 ) 가 됨은 인류 문화사의 통칙이니 , 형자인 한자를 가져다가 음자인 이두문을 만듬은 페니키아 인이 이집트 형자의 편방 ( 偏 傍 : 글 자의 한 부분 ) 을 따라서 알파벳을 만듬과 같은 예로 볼 만한 문자사상 의 한 진보라 할 것이요 , 후세의 거란문〔契丹文〕 ·여진문 ( 女直文 ) 이 모두 이두문을 모방한 것이므로 인류 문화에 도움을 준 공덕도 적지 아니하다 하겠으나 , 다만 그 모자라고 유감스러운 점은 a.자음 모음을 구별하지 못함이니 , 예컨대 ‘가’는 자금 ‘ㄱ’과 모음‘ ㅏ ’의 음철 ( 音綴 ) 이요 , ‘라’는 자음 ‘ ㄹ’과 모음‘ ㅏ ’의 음철인데 , 이를 구별치 아니하여 한 음철이 한 글자가 되어 ‘가’를 ‘加’ 혹‘家’로 쓰고 , ‘라’ 는 ‘良’ 혹은 ‘羅’로 써서 음자 ( 音字 ) 의 수효가 너무 많으며 , b. 음표 ( 音標 ) 를 확정하지 못함이니 , 예컨대 백 ( 白 ) 자 한 자를 ‘백활 ( 白活 ) ’ 이라 쓰고는 ‘발’로 읽고 , ‘위백제 ( 爲白齊 ) ’라고 쓰고는 ‘살’로 읽으 며 , ‘이 ( 矣 ) ’자 한 자를 ‘의신 ( 矣身 ) ’이라 쓰고는 ‘의’로 읽고 , ‘교의 ( 敎矣) ’라 쓰고는 ‘대’로 읽어 아무런 준직 ( 準則 ) 이 없으며 , c. 상음 하몽 ( 上音下蒙 ) 의 이치를 획청 ( 劃淸 ) 하지 않음이니 , 예컨대 ‘달이’를 ‘월이 ( 月伊 ) ’라 쓰지 않고 ‘윌리 ( 月利 ) ’라 써서 ‘달이’로 읽으며 , ‘바람이’를 ‘풍이 ( 風伊 ) ’라 쓰지 않고 ‘풍미 ( 風味 ) ’라 써서 ‘바람이’로 읽어서 , 언어의 근간 ( 根幹 ) 과 지엽 ( 技葉 ) 이 서로 뒤죽박죽이 되었다 .

그러므로 이두문으로 적은 시나 글은 물론이요 , 인명이나 지명이나 관명 같은 것도 오직 같은 시대 , 같은 지방 사람들이 그 관습에 의하여 서로 해득할 뿐이고 , 다른 시대 , 다른 지방사람은 입을 벌릴 수가 없으니 , 문자가 사회 진화에 도움된다 함은 저 사실과 사상을 이에 전 달해주기 때문인데 , 이제 이 같은 곤란이 있어 갑 시대 , 갑지방의 기록을 을 시대 , 을 지방에서 해득하지 못한다면 어찌 문화 발전의 이기 (利器 ) 가 될 수 있으랴 ? 그런데 옛날 사람이 이두문을 쓴 지 1 천여 년 동안에 그 미비한 점을 개정하지 못한 원인이 어디에 있는가 ?

당시에는 늘 적국의 외환 ( 外愚 ) 으로 인해서 정치상 비밀을 지키기 위하여 일체 글을 적국 ( 敵國 ) 사람이 이해하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이 같이 불통일하고 불확실한 글을 쓴 것이고 삼조선 (三朝鮮) 이 무너지자 여러 나라가 병립하매 한조선 안에도 서로의 적국이 많아서 한 명사나 한 동사나 한 토거리를 더욱 가지각색으로 써서 동부여 사람이 북부여의 이두문을 알지 못하며 , 신라 사람이 고구려의 이두문을 알지 못하였으니 , 그러므로 이두문의 그같이 불통일하고 불확정한 방식 으로 되었음이 학적 재지 ( 才智 ) 가 부족하여서 그렇게 된 것이 아니라 거의 정치상의 장애로 말미암은 것이다 .

5.신지(神誌)의 역사

전사 ( 前史 ) 에 단군 때에 신지 ( 神誌 ) 라는 사람이 있어 사관 ( 史官 ) 이 됐다 하였으나 , 사실은 신지는 곧 ‘신치’의 번역이요 , ‘신치’는 ‘신크 치’의 약자요 , ‘신크치’는 ‘신가’의 별칭이요 , ‘신가’는 앞에서 말한 다섯 가의 수석 ( 首席 ) 대신이니 , ‘신치’ 곧 ‘신가’가 늘 ‘신수두’의 제일 ( 祭日 ) 에 우주 창조의 신화와 영웅 ·용사 등이 행한 일과 예언 , 유 의 , 경계하는 이야기를 노래하여 역대로 예가 되었는데 , 후세에 문사 ( 文士 ) 들이 그 노래를 거두어 한 책을 만들고 , 그 벼슬 이름 ‘신치’로 책 이름을 한 것이니 , 이른바 신지가 곧 그것이다 . 이제 신지의 원서가 없어져서 그 가치의 어떠함을 알 수 없으나 , 그 책 이름이 이두문 으로 지은 것이니 , 그 내용의 기사도 이두문으로 기재한 것일 것이다 .

고려사 김위제전 ( 金謂 傳 ) 에 신지비사 ( 神誌秘詞 ) 의 ‘여칭추극기 ( 如秤錘極器 ) ·칭간부소량 ( 秤幹扶蘇樑 ) ·추자오덕지 ( 錘者五德地 ) . 극기백아강 ( 極器百牙岡 ) ·조항칠십국 ( 朝降七十國 ) ·뇌덕호선정 ( 賴德 護神精 ) ·수미균평위 ( 首尾均平位 ) ·흥방정태평 ( 興邦定太平 ) ·약폐삼 유지 ( 若廢三 諭地 ) ·왕업유쇠경 ( 王業有衰傾) ’의 1O 구를 싣고 , 부소량 ( 扶蘇樑 ) 은 지금의 송도 ( 松都 ), 오덕지 ( 五德地 ) 는 지금의 한양 , 백아 강 ( 百牙岡) 은 지금의 평양이라고 하였다 . 그러나 송도 ·한양 ·평양은 고려의 삼경 ( 三京 ) 이고 , 단군의 삼경은 하나는 지금의 합이빈이니 , 고사에 부소갑 ( 扶蘇岬) ·비서갑 ( 非西岬 ) 혹은 아사달 ( 阿斯達 ) 로 기록 한 것이고 , 하나는 지금의 해성 ( 海城 ) ·개평 ( 蓋平 ) 등지이니 , 고사에 오덕지 ( 五德地 ) ·오비지 ( 五備地 ) ·안지홀 ( 安地忽 ) 혹은 안시성 ( 安市 城 ) 으로 기록한 것이고 , 또 하나는 지금의 평양이니 , 고사에 백아강 ( 百牙岡 ) ·낙랑 ( 樂浪 ) ·평원 ( 平原 ) 혹은 평양 ( 平穰 ) 으로 기록한 것 이다 .

이두문 읽는 법에 부소 ( 扶蘇 ) ·비서 ( 非西 ) ·아사 ( 阿斯 ) 는 ‘ 아 스’로 읽고 , 오덕 ( 五德 ) ·오비 ( 五備 ) ·안지 ( 安地 ) 안시 ( 安市 ) 는 ‘아리’로 읽고 , 백아강 ( 百牙岡 ) ·낙랑 ( 樂浪 ) ·평원 ( 平原 ) ·평양 ( 平穰) 은 ‘펴 라’로 읽는 것이니 , 위의 비사 1O 구는 이두문의 신지를 한시로 번역한 것이다 .

대개 삼국 말엽에 한학 ( 漢學 ) 이 흥성하여 한학자들이 전에 이두문 으로 기록된 시와 글을 한시와 한문으로 번역함을 시도하였으니 ( 최치 원의 鄕藥雜詠 향약잡영 따위 ), 신지의 한시 번역도 그 한 예이다 . 어찌하여 비 사 ( 秘詞 ) 라 일컬었는가 ? 고대의 역사 종류를 성서 ( 聖書 ) 라 하여 대 궐 안에 비장해두어 민간에 유행함을 허락하지 아니한 때문이다 . 신 지와 신지비사 따위가 어찌하여 하나도 후세에 전해지지 못하였는가 ? 이는 고구려와 백제가 멸망할 때 왕궁의 비장이 불에 타고 신라의 것이 겨우 전하여 고려조까지도 왕궁에 한 벌이 있어 이조에 와서 는 이를 서운관 ( 書雲觀 ) 에 두었었는데 , 역시 이조 임진왜란의 불에 타 버린 것이다 .

6. 조선의 전성시대

기원전 10 세기 경으로 부터 그 뒤 약 5,6 백 년 동안은 대 단군 조선의 전성시대이다 . 수문비고 ( 修文備考 ) 에 고죽국 ( 孤竹國 : 지금의 永平府 ) 은 조선종 ( 朝鮮種 ) 이라 하였는데 백이 ( 伯夷 ) ·숙제 ( 寂齊 ) 형제는 고 죽국의 왕자로서 왕위 상속권을 헌신짝처럼 버리고 지나의 주 ( 周 : 지 금의 陝西省 ) 를 우람하다가 주무왕 ( 周武王 ) 에게 격렬히 비전론 ( 非戰論 ) 을 주장하였으며 , 고대 지나의 강회 ( 江淮 ) 지역에 조선인이 많이 옮겨가 살아서 숱한 소왕국을 건설하였는데 , 그 중 서어왕 ( 徐偃王 ) 이 가장 두드러지게 일어나서 인의 ( 仁義 ) 를 행하여 지나국으로부터 조공 을 받았다 .

이상은 조선의 본국과 정치적 관계가 없는 식민 ( 殖民 ) 중의 한두 호 걸의 행동이거니와 , 기원전 5,6 세기경에 불리지 ( 弗離支 ) 라는 사람이 조선의 군사를 거느리고 지금의 직예 ( 直匠) ·산서 ( 山西 ) ·산동 ( 山東 ) 등지를 정복하고 , 대현 ( 代縣 ) 부근에 한나라를 세워 자기의 이름으로 나라 이름을 삼아 불리지국 ( 弗離支國 ) 이라 하니 , 주서 ( 周書 ) 의 ‘불령 지 ( 弗令支 ) ’와 사기의 ‘이지 ( 離支 ) ’가 다 불리지국을 가리킨 것이다 . 불리지는 또한 그가 정복한 지방을 그 성 ‘불 ( 弗 ) ’의 음으로써 지명을 지었으니 , 요서 ( 遺西 ) 의 ‘비여 (肥如)나 산동 ( 山東 ) 의 ‘부역 ( 鳧繹 ) ’이 나 , 산서 ( 山西 ) 의 ‘비이 ( 卑耳 : 管子라는 책에 보임 ) ’가 ‘불’의 번역 이다 .

상고에 요동반도와 산동반도가 다 땅이 연이어져 있었고 , 발해는 하나의 큰 호수였는데 , 발해의 발 ( 渤 ) 도 음이 ‘불’이고 , 또한 불리지가 준 이름이니 , 불리지가 산동을 정복한 뒤에 조선의 검은 원숭이 〔 〕 ·담비〔짧〕 ·여우〔孤〕 ·삵〔狸〕 등의 털가죽옷과 비단 등 직물을 수출하여 발해를 중심으로 하여 상업이 크게 떨쳤었다 .

7. 조선의 쇠약

기원전 7 세기 말에 조선이 고죽 ( 孤竹 ) 을 의거해서 불리지국 ( 弗離支國 ) 과 합하여 연 ( 戀 ) 과 진 ( 晉) 을 치니 , 연과 진이 제 ( 齊 ) 에 구원을 청 하였다 . 이때 제의 환공 ( 桓公 ) 이 어진 재상 관중 ( 管仲 ) 과 이름난 장수 성부 ( 城父 ) 를 얻어 지나를 지배하고 있었는데 , 조 ( 曺 ) ·위 ( 衛 ) ·허 ( 許 ) ·노 ( 魯 ) 등 10 여 나라의 군사를 거느리고 연을 구원하고자 태행산 ( 太行山 ) 을 넘어 불리지국을 격파하고 , 연을 지나서 고죽과 싸워 이겼으므로 조선은 후퇴하여 불리지의 옛 땅을 다 잃었다 .

지나인이 이 전쟁으로 말미암아 보전 ( 保全 ) 함을 얻었으므로 공구씨 (孔丘氏 : 孔子 ) 가 관중의 공을 칭찬하여 , “관중이 피발 ( 披髮 ) 좌임 ( 左 ) 을 징계하였다 .”고 하였는데 , 피발은 조선의 머리 땋은 것을 가리킨 것이고 , 좌임은 조선의 왼쪽으로 여미는 옷깃을 가리킨 것이다 .

《관자 ( 管子 ) 》에 대략 이 전쟁의 결과를 적었는데 , a) 지나의 문자가 부과 ( 浮誇: 부화하고 과장함 ) 가 많으며 , 이러한 대외 전쟁에 더욱 심하고 , b)《관자 》 는 관중의 저작이 아니라 전국시대 ( 戰國時代 ) 말엽에 어떤 사람이 지은 것이므로 , 직접 눈으로 본 이야기가 아니기 때문에 다만 그 대체만 말하였다 . 그러나 이 전쟁에서 조선이 서북 지방을 잃어 오랫동안 쇠약에 빠져 었었던 것은 가릴 수 없는 사실이다 .

8. 단군 연대의 고증

전사 ( 前史 ) 에는 단군 왕검 1220 년 후에 기자 ( 箕子 ) 의 왕조선을 기재 하였으나 , 기자는 기자 자신이 왕이 된 것이 아니고 , 기원전 323 년경 에 이르러 그 자손이 비로소 불조선왕이 되었으니 , 이는 제 2 편 제 2 장 에 기술하겠거니와 , 이제 사실 ( 史實 ) 을 따라 기자조선을 삭제한다 . 또 전사에 단군이 처음 평양에 도읍하였다가 뒤에 구월산 ( 九月山 ) 으로 옮기고 , 그 자손에 이르러서는 기자를 피하여 북부여로 갔다고 하지마는 이도 또한 근거없는 망령된 말이다 .

무릇 구월산에 도읍을 옮겼다 함은 고구려사에 초록 ( 抄綠 ) 한 위서( 魏書 ) 의 , “단군 왕검이 아사달에 나라를 세우고 국호를 조선이라 하였다 ( 檀君王檢 立國阿斯達 國號朝鮮 ). ”고 한 구절로 인하여 , 아사 ( 阿斯 ) 를 음이 아흡〔九〕에 가깝고 , 달 ( 達 ) 은 음이 달〔月〕과 같다 하여 마침내 구월산을 아사달이라고 하는 것이지마는 , 구월산은 황해도 문화현 ( 文化縣 : 지금의 信川那 ) 에 있는 산인데 , 문화현의 옛 이름이 궁홀 ( 弓忽 ) 이요 , 궁홀은 이두문의 ‘궁골’로 읽을 것이니 , 궁골에 있는 산이므로 궁골산이라 한 것으로서 , 마치 개홀 ( 皆忽 : 音 개골 ) 에 있는 산 이므로 , 개골산〔金剛山〕이라고 한 것과 같은 것언데 , 어찌 궁골산을 구월산이라 와전하였으며 , 구월산을 아홉달산으로 억지 해석을 하여 아사달산 ( 阿斯達山 ) 으로 망령되게 증거하니 , 어찌 가소로운 일이 아 니랴.

아사달은 이두문에 l ‘ 아스대’로 읽는 옛 말 소나무를 ‘ 아 스’라 하고 , 산을 대라 한 것이니 , 지금 합이빈 ( 哈爾濱 ) 의 완달산 ( 完達山 ) 이 곧 아 사달산이다 . 이곳은 북부여의 옛 땅이니 , 왕검의 상경 ( 上京 ) 이요 , 지 금의 개평현 ( 蓋平縣 ) 동북쪽 안시 ( 安市 ) 의 고허 ( 古噓) 인 ‘아리티’가 중경 ( 中京 ) 이요 , 지금의 평양 ‘펴라’가 단군의 남경 ( 南京 ) 이니 , 왕검 이래로 형편을 따라 삼경 중 하나를 골라 서울로 한 것이다 . 그러나 그 본 도읍은 북부여의 땅 ‘ 아스대’인데 , 이제 그 자손이 기자를 피하여 북부여로 갔다 함이 어디에 닿은 소리인가 ? 그러므로 이 설을 채용하지 아니하는 것이다 .

또 전사에는 단군의 원년 ( 元年 ) 무진 ( 戊辰 ) 을 당요 ( 唐堯 ) 25 년이라 하였지마는 , 지나도 주소 ( 周召) 공화 ( 共和 : 기원전 841 년 ) 이후에야 연대를 기록하게 되었으니 어찌 당요 25 년인지를 알수 있으랴 ? 그러므로 단군 기원을 확실하게 지적하지 아니한다 . 고기 ( 古記 ) 에 단군의 나이에 대해 1,048 세 혹은 1,908세l 등의 설이 있으나 , 이는 신라 말엽에 ‘신수두’를 진단 ( 震檀) 으로 , 환국 ( 桓國 ) 을 환인 ( 桓因 ) 으로 고쳐서 불전 ( 佛典 ) 의 말로 조선 고사를 농락한 불교도들이 , 인도 고전의 3 만 년 , 3 천 년 , 5 백 년 등 장수를 했다는 불조 ( 佛祖 ) 의 기록을 본받아서 만든 말이라 , 한 마디의 반박도 할 가치가 없는 것이다 .

이조 초에 권근 ( 權互 ) 이 , “대를 물려 얼마나 되었던가 , 해를 거듭하 여 천 년이 지났네 ( 傳世不知幾 歷年會過千 ). ”라는 시를 지어 이를 번안하였는데 , 이는 다만 불가 ( 佛家 ) 의 허황한 말을 바로잡았다 할 수 있으나 , 또한 단군의 시말 ( 始末 ) 을 모르는 말이다 .

옛날 2 천년 전에 단군 왕검이 아사달에 나라를 세웠다고 하였으니 , 고구려 건국 전 2천 년이 단군 왕겸의 원년이요 , 삼국 중엽까지도 ‘신 수두’를 받들어 , 단군이 거의 정치상 반주권 ( 半主權 ) 을 가져 그 처음 에서 끝까지 2 천 몇백 년이 될 것인데 , 어찌 1 천 년만으로 헤아리랴 . 그러나 삼조선이 분립한 뒤에 대왕과 대단군이 함께 서서 교정 ( 敎政 ) 분립의 싹이 시작되었으므로 본편은 이것으로 끝맺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