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 상 : 第1卦~第30卦
주역 하 : 第31卦~第64卦

第三十一卦 咸

편집
  澤山咸
艮下兌上

咸,亨,利貞,取女吉。

彖曰:咸,感也。柔上而剛下,二氣感應以相與,止而說,男下女,是以亨利貞,取女吉也。天地感而萬物化生,聖人感人心而天下和平;觀其所感,而天地萬物之情可見矣!
象曰:山上有澤,咸;君子以虛受人。

初六:咸其拇。

象曰:咸其拇,志在外也。

六二:咸其腓,凶,居吉。

象曰:雖凶,居吉,順不害也。

九三:咸其股,執其隨,往吝。

象曰:咸其股,亦不處也。志在隨人,所執下也。

九四:貞吉悔亡,憧憧往來,朋從爾思。

象曰:貞吉悔亡,未感害也。憧憧往來,未光大也。

九五:咸其脢,无悔。

象曰:咸其脢,志末也。

上六:咸其輔,頰,舌。

象曰:咸其輔,頰,舌,滕口說也。

함(咸) 형 이정 취녀길(亨,利貞,取女吉)

함은 형하고 바르면 길하고[1] 여자를 의지하면 길하다.
단왈, 함은 감응이다. 유함이 위에 그리고 강함이 아래에 처한다. 두개의 기운이 서로 함께 감응한다. 멈추어 기쁨을 느낀다. 남자가 여자아래에 처한다. 이것이 형통함으로 곧아 이롭다는것이다. 여자를 취하니 길하다는것이다. 천지가 감응하고 만물이 화생한다. 성인이 인심에 감응하니 천하가 화평하다. 그 감응하는바를 살핀다. 이로써 천지만물의 정을 볼수있는것이다.
상왈, 산위에 연못이 있다. 감이다. 군자는 비움으로써 사람을 받아들인다.

初六:함기무(咸其拇)

그 엄지손가락이 두루 미친다.
상왈, 그 엄지손가락이 두루 미친다는것은 뜻이 밖에 있다는것이다.

六二:함기비 흉 거길(咸其腓,凶,居吉)

그 장딴지가 두루미친다. 흉하다. 거하니 길하다.
상왈, 비록 흉하나 거하여 길한다. 순리는 (해를 막으니)해롭지않다.

九三:함기고 집기수 왕린(咸其股,執其隨,往吝)

그 넓적다리에 두루미치니 그 발꿈치를 잡는다. 감에 인색하다.
상왈, 그 넓적다리에 두루미치니 역시 처하지 않는다는것이다. 뜻은 사람들이 따는바에 있는것이다. 아래와 사귀는 바이다.[2]

九四:정길회망 동동왕래 붕종이사(貞吉悔亡,憧憧往來,朋從爾思)

바르니 길하고 잊음을 후회한다. 동경하여 가고온다. 친구가 너의 생각을 쫓는다.
상왈, 곧고 길하니 후회를 잊는다. 아직 감응이 해롭지 않다. 동경하여 서로 따른다. 아직 빛이 크게 빛나지않는다.[3]

九五:함기매 무회(咸其脢,无悔)

그 등골뼈에 두루미치니 후회가 없다.
상왈, 그 등골뼈에 두루미치니 뜻의 말미인것이다.

上六:함기보 협설(咸其輔,頰舌)

그 광대뼈에 두루미치니 뺨과 혀이다.
상왈, 그 광대뼈,뺨 그리고 혀에 두루미치니 입에서 말이 들끓는다.

第三十二卦 恒

편집
  雷風 恒

[4] 亨,无咎,利貞,利有攸往。

彖曰:恆,久也。剛上而柔下,雷風相與,巽而動,剛柔皆應,恆。恆亨无咎,利貞;久於其道也,天地之道,恆久而不已也。利有攸往,終則有始也。日月得天,而能久照,四時變化,而能久成,聖人久於其道,而天下化成;觀其所恆,而天地萬物之情可見矣!
象曰:雷風,恆;君子以立不易方。

初六:浚恆,貞凶,无攸利。

象曰:浚恆之凶,始求深也。

九二:悔亡。

象曰:九二悔亡,能久中也。

九三:不恆其德,或承之羞,貞吝。

象曰:不恆其德,无所容也。

九四:田无禽。

象曰:久非其位,安得禽也。

六五:恆其德,貞,婦人吉,夫子凶。

象曰:婦人貞吉,從一而終也。夫子制義,從婦凶也。

上六:振恆,凶。

象曰:振恆在上,大无功也。

항(恒) 형 무구 이정 이유유왕 (亨,无咎,利貞,利有攸往)

항은 형하고 허물없다. 바르니 길하다. 갈바가있어 이롭다.
단왈,
상왈,

初六:준항 정흉 무유리(浚恒,貞凶,无攸利)

늘 깊으니 바르나 흉하다. 이로운바가없다.
상왈,

九二:회망(悔亡)

잃음을 후회한다.
상왈,

九三:불항기덕 혹승지수 정린(不恆其德,或承之羞,貞吝)

그덕이 늘 두루 미치지못하다. 혹 높음의 부끄러움으로 바르나 근심이다.
상왈,

九四:전무금(田无禽)

전이 날짐승이 없다.
상왈,

六五:항기덕 정 부인길 부자흉(恆其德,貞,婦人吉,夫子凶)

그덕이 두리미치다. 바르다. 부인이 길하다. 남편이 흉하다.
상왈,

上六:진항 흉(振恒,凶)

항상 무리를 지어 날다. 흉하다.
상왈,

第三十三卦 遯

편집
  天山 遯

[5] 亨,小利貞。


初六:遯尾,厲,勿用有攸往。

六二:執之用黃牛之革,莫之勝說。

九三:系遯,有疾厲,畜臣妾吉。

九四:好遯君子吉,小人否。

九五:嘉遯,貞吉。

上九:肥遯,无不利。


돈(遯) 형 소이정 (亨,小利貞)

돈은 형하고 바르나 이로움은 작다.

初六:둔미 려 물용유유왕(遯尾,厲,勿用有攸往)

꼬리가 달아난다. 괴로우나 갈바가있음을 쓰지말라

六二:집지용황우지혁 막지승설(執之用黃牛之革,莫之勝說)

황소의 가죽을 씀을 잡는다. 승리를 기뻐하지 말아라

九三:계둔 유질려 축신첩길(系遯,有疾厲,畜臣妾吉)

달아남이 매이다. 신하와 시녀를 모으니 길하다.

九四:호둔군자길 소인비(好遯君子吉,小人否)

군자를 회피함을 좋아하니 길하다. 소인은 막힌다.

九五:가돈 정길(嘉遯,貞吉)

피하니 아름답다. 바르니 길하다.

上九:비돈 무불리(肥遯,无不利)

기름짐을 피한다. 이롭지않음이 없다.

第三十四卦 大壯

편집
  雷天 大壯

大壯[6] 利貞。

初九:壯于趾,征凶,有孚。

九二:貞吉。

九三:小人用壯,君子用罔,貞厲。羝羊觸藩,羸其角。

九四:貞吉悔亡,藩決不羸,壯于大輿之輹。

六五:喪羊于易,无悔。

上六:羝羊觸藩,不能退,不能遂,无攸利,艱則吉。


대장(大壯) 이정(利貞)

대장은 바르니 이롭다.

初九:장우지 정흉 유부(壯于趾,征凶,有孚)

발이 씩씩하다. 먼길을 가나 흉하다. 믿음이 있다.

九二:정길(貞吉)

바르니 길하다.

九三:소인용장 군자용망 정려 저양촉번 리기각(小人用壯,君子用罔,貞厲。羝羊觸藩,羸其角)

소인은 씩씩함을 쓴다. 군자는 속임을 쓴다. 바름에 힘쓴다. 숫향이 울타리에 닿았다. 그 뿔이 파리하다.

九四:정길회망 번결불리 장우대여지복(貞吉悔亡,藩決不羸,壯于大輿之輹)

바르니 길하나 잃음을 근심하다. 울타리가 터지니 괴로워하지않는다. 큰수레의 복토(伏兔)가 견고하다.

六五:상양우역 무회(喪羊于易,无悔)

바뀜에서 양을 잃다. 후회는없다.

上六:저양촉번 불능퇴 불능수 무유리 간즉길(羝羊觸藩,不能退,不能遂,无攸利,艱則吉)

숫양이 울타리에 닿았다. 물러날수없고 따를수도 없다. 이로운바가 없다. 어려운즉 길하다.

第三十五卦 晉

편집
  火地晉

[7] 康侯用錫馬蕃庶,晝日三接。


初六:晉如,摧如,貞吉。罔孚,裕无咎。

六二:晉如,愁如,貞吉。受茲介福,于其王母。

六三:眾允,悔亡。

九四:晉如鼫鼠,貞厲。

六五:悔亡,失得勿恤,往吉无不利。

上九:晉其角,維用伐邑,厲吉无咎,貞吝。


진(晉) 강[8]후용사마번서 획일삼접(康侯用錫馬蕃庶,晝日三接)

진은 훌륭한 신하가 여러번 많은 말을 하사받고 낮으로 여러번 접견한다.

初六:진여 최여 정길 망부 유무구(晉如,摧如,貞吉。罔孚,裕无咎)

나아가는것같고 물러나는것같다. 바르니 길하다. 믿음을 엮는다. 넉넉하니 허물이없다.

六二:진여 추여 정길 수자개복 우기왕모(晉如,愁如,貞吉。受茲介福,于其王母)

억누르는것같고 괴롭히는것같다. 바르니 길하다. 그 왕모(王母)로부터 복(福) 사이에 끼여 더욱 받는다.

六三:중윤 회무(衆允,悔亡)

군신들이 미쁘다. 후회는 없다.

九四:진여석서[9] 정려(晉如鼫鼠,貞厲)

사이에 끼임이 바위다람쥐같다. 바름이 괴롭다.

六五:회망 실득물휼 왕길무불리(悔亡,失得勿恤,往吉无不利)

잊음을 후회한다. 잃기도 하고 얻기도 하니 불쌍히 여기지말라 가는것이 이롭지않음이 없으니 길하다.

上九:진기각 유용용벌읍 려길무구 정린(晉其角,維用伐邑,厲吉无咎,貞吝)

그뿔를 억누른다. 오직 읍을침략함을 행한다. 힘쓰니 길하다. 허물이없다. 바르나 인색하다.

第三十六卦 明夷

편집
  地火 明夷


明夷[10] 利艱貞。


初九:明夷于飛,垂其翼。君子于行,三日不食,有攸往,主人有言。

六二:明夷,夷于左股,用拯馬壯,吉。

九三:明夷于南狩,得其大首,不可疾貞。

六四:入于左腹,獲明夷之心,出于門庭。

六五:箕子之明夷,利貞。

上六:不明晦,初登于天,后入于地。


명이 이간정(明夷 利艱貞)

명이는 이로우나 고생하여 바르다.

初九:명이우비 수기익 군자우행 삼일불식 유유왕 주인유언(明夷于飛,垂其翼。君子于行,三日不食,有攸往,主人有言)

날아오름에서 명이이다. 그날개를 드리운다. 행함에서 군자이다. 삼일동안 먹지않는다. 갈바가있다. 주인이 약속한다.

六二:명이(明夷) 이우좌고 용증마장 길(明夷,夷于左股,用拯馬壯,吉)

명이, 왼족 넓적다리에서 온화하다. 말이 씩식함을 도움을 행하다. 길하다.

九三:명이우남수 득기대수 불가질정(明夷于南狩,得其大首,不可疾貞)

명이(明夷)가 남쪽 임지(任地)에 있다. 그 큰머리를 얻다. 바름이 병일수없다.

六四:입우조복 획명이지심 출우문정(入于左腹,獲明夷之心,出于門庭)

왼쪽 배에 들어간다. 명이의 마음을 얻다. 문뜰에 나간다.

六五:기자지명이 이정(箕子之明夷,利貞)

기자(箕子)의 명이(明夷)이다. 바르니이롭다.

上六:불명회 초등우천 후입우지(不明晦,初登于天,后入于地)

그믐이 밝지않다. 처음 하늘에 오른다. 뒤에 땅에 들어간다.

第三十七卦 家人

편집
  風火 家人


家人[11] 利女貞。


初九:閑有家,悔亡。

六二:无攸遂,在中饋,貞吉。

九三:家人嗃嗃,悔厲吉,婦子嘻嘻,終吝。

六四:富家,大吉。

九五:王假有家,勿恤。吉。

上九:有孚威如,終吉。


가인 이여정(家人 利女貞)

가인은 너가 곧으니 이롭다.

初九:한유가 회망(閑有家,悔亡)

집에 있으니 한가롭다. 잊음을 후회한다.

六二:무유수 재중궤 정길(无攸遂,在中饋,貞吉)

따르는바가없다. 식사중에있다. 곧으니 길하다.

九三:가인엄효 회려길 부자희희 종린(家人嗃嗃,悔厲吉,婦子嘻嘻,終吝)

가인이 엄하고 큰소리로 외친다. 미워함을 후회하나 길하다. 부자가 화락하고 웃다. 끝은 인색하다.

六四:부가 대길(富家,大吉)

집이 부유하니 크게 길하다.

九五:왕격유가 물휼 길(王假有家,勿恤。吉)

왕이 집에 이르다. 근심하지말라 길하다.

上九:유부위여 종길(有孚威如,終吉)

믿음이 있으니 권세같다. 끝이 길하다.

第三十八卦 睽

편집
  火澤睽

[12] 小事吉。

初九:悔亡,喪馬勿逐,自復,見惡人无咎。

九二:遇主于巷,无咎。

六三:見輿曳,其牛掣,其人天且劓,无初有終。

九四:睽孤,遇元夫,交孚,厲无咎。

六五:悔亡,厥宗噬膚,往何咎。

上九:睽孤, 見豕負涂,載鬼一車, 先張之弧,后說之弧,匪寇婚媾,往遇雨則吉。


규(睽) 소사길(小事吉)

작은길은 길하다.

初九:회망 상마물축 자복 견오인무구(悔亡,喪馬勿逐,自復,見惡人无咎)

잃음을 후회한다. 말을 잃으나 쫓지말라 스스로 돌아온다. 사람이 병들음을 보나 허물은 없다.

九二:우주우항 무구(遇主于巷,无咎)

문밖에서 주인을 만난다. 허물없다.

六三:견예예 기우체 기인천차의[13] 무초유종(見輿曳,其牛掣,其人天且劓,无初有終)

수레를 끌어당김을 본다. 기소가 끈다. 그 사람이 묵형(墨刑)하고 또 의형(劓刑)한다. 시작은 없고 끝은 있다.

九四:계호 우원부 교부 려무구(睽孤,遇元夫,交孚,厲无咎)

부릅뜬 모양은 외롭다. 본디 저를 만난다. 믿음을 교제한다. 근심하나 허물은 없다.

六五:회망 궐종서부 왕하구(悔亡,厥宗噬膚,往何咎)

잃음을 뉘우친다. 그 제사에서 저민고기를 깨문다. 가니 어찌 잘못이겠는가?

上九:규호 견시부도 재귀일사 선장지호 후탈지호 비구혼구 왕우우즉길(睽孤, 見豕負涂,載鬼一車, 先張之弧,后說之弧,匪寇婚媾,往遇雨則吉)

반목하니 의지할데가없다. 진흙을 업은 돼지를 보다. 귀신을 한수레에 싣다. 먼저 활을 펼치고 뒤에 활을 벗는다. 도적이 혼사를 구한다. 가니 비를만난다. 즉 길하다.

第三十九卦 蹇

편집
  水山 蹇


[14] 利西南,不利東北,利見大人,貞吉。

初六:往蹇,來譽。

六二:王臣蹇蹇,匪躬之故。

九三:往蹇來反。

六四:往蹇來連。

九五:大蹇朋來。

上六:往蹇來碩,吉,利見大人。


건(蹇) 이서남 불리동북 이견대인 정길(利西南,不利東北,利見大人,貞吉)

건은 서남이 이롭다. 동북이 불리하다. 대인을 만나 이롭다. 곧고 길하다.

初六:왕건 래예(往蹇,來譽)

가는바가 굼뜨다. 명예가 온다.

六二:왕신건건 비궁지고(王臣蹇蹇,匪躬之故)

왕의 신하가 머무르고 교만하다. 몸의 연고가 아니다.

九三:완건 래반(往蹇,來反)

가서 고생한다. 되돌아온다.

六四:왕건래련(往蹇來連)

가서 머무르니 잇달아 온다.

九五:대건붕래(大蹇朋來)

크게 교만하니 무리가온다.

上六:왕건래석 길 이견대인(往蹇來碩,吉,利見大人)

가서 고생하니 차서온다. 길하다. 대인을 만나니 이롭다.

第四十卦 解

편집
  雷水 解

[15] 利西南,无所往,其來復吉。有攸往,夙吉。


初六:无咎。

九二:田獲三狐,得黃矢,貞吉。

六三:負且乘,致寇至,貞吝。

九四:解而拇,朋至斯孚。

六五:君子維有解,吉,有孚于小人。

上六:公用射隼,于高墉之上,獲之,无不利。


해(解) 이서남 무소왕 기래부길 유유왕 숙길(利西南,无所往,其來復吉。有攸往,夙吉)

해는 서남이 이롭다. 갈 바가 없다. 그 오는 바에서 다시 길하다. 갈 바가 있다. 앞서 이르면 길하다.

初六:무구(无咎)

허물없다.

九二:전획삼호 득황시 정길(田獲三狐,得黃矢,貞吉)

전에서 세 마리 여우를 잡는다. 황(黃)화살을 얻는다. 바르니 길하다.

六三:부차승 치구질 정인(負且乘,致寇至,貞吝)

짐을 지고 또한 타니 도적이 이르러 덜렁대는 모양이다. 바르나 인색하다.

九四:해이무 붕지사부(解而拇,朋至斯孚)

엄지손가락을 핑계하나 친구가 이르러 믿음이 다한다.

六五:군자유유해 길 유부우소인(君子維有解,吉,有孚于小人)

군자는 풀어서 매니 길하다. 소인에게 믿음이 있다.

上六:공용석준 우고용지상 획지 무불리(公用射隼,于高墉之上,獲之,无不利)

공이 높은 담장 위에서 매를 맞힘을 행하고 그것을 잡으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

第四十一卦 損

편집
  山澤 損

[16] 有孚,元吉,无咎,可貞,利有攸往, 曷之用, 二簋可用享。

初九:已事遄往,无咎,酌損之。

九二:利貞,征凶,弗損益之。

六三:三人行,則損一人,一人行,則得其友。

六四:損其疾,使遄有喜,无咎。

六五:或益之,十朋之龜弗克違,元吉。

上九:弗損益之,无咎,貞吉,利有攸往,得臣无家。


손(損) 유부 원길 무구 가정 이유유왕 갈지용 이궤가용형(有孚,元吉,无咎,可貞,利有攸往。曷之用?二簋可用享)

손은 믿는바가 있고 본디 길하며 허물없고 바를수있다. 갈바가있어 이롭다. 언제 그것을 사용하는가? 두개의 제기그릇을 형통케 사용할수있다.

初九:이사천왕 무구 작손지(已事遄往,无咎,酌損之)

이미 일이 빠르게 왔다. 허물이없다. 그것을 덜어 따른다.

九二:이정정흉 불손익지(利貞征凶,弗損益之)

나아가 흉한것을 바름으로 이롭게한다. 그것을 덜거나 더하지 않는다.

六三:삼인행 즉손일인 일인행 즉득기우(三人行,則損一人,一人行,則得其友)

세사람이 가면 한사람을 잃고 한사람이 가면 그 벗을 얻음이 있다.

六四:손기질 사천유희 무구(損其疾,使遄有喜,无咎)

그 병이 덜해지니 빠르게 기뻐진다. 허물이없다.

六五:혹익지 십붕지구불극위 원길(或益之,十朋之龜弗克違,元吉)

혹 그것을 더하면 열 무리의 거북이 균열함을 이기지못하니 본디 길하다.

上九:불손익지 무구 정길 이유유왕 득신무가(弗損益之,无咎,貞吉,利有攸往,得臣无家)

그것을 덜지도 더하지도 않는다. 허물이없다. 바르니 길하다. 갈바가있어 이롭다. 집이 없는 신하를 얻다.

第四十二卦 益

편집
  風雷 益

[17] 利有攸往,利涉大川。


初九:利用為大作,元吉,无咎。

六二:或益之,十朋之龜弗克違,永貞吉。王用享于帝,吉。

六三:益之用凶事,无咎。有孚中行,告公用圭。

六四:中行,告公從。利用為依遷國。

九五:有孚惠心,勿問元吉。有孚惠我德。

上九:莫益之,或擊之,立心勿恆,凶。


익(益) 이유유왕 이섭대천(利有攸往,利涉大川)

익은 갈바가있어 이롭다. 큰강을 건너니 이롭다.

初九:이용위대작 원길 무구(利用為大作,元吉,无咎)

큰일을 하게함이 이롭다. 본디 길하고 허물이 없다.

六二:혹익지 십붕지구불극위 영정길 왕용형우제 길(或益之,十朋之龜弗克違,永貞吉。王用享于帝,吉)

혹 그것을 더하면 열마리의 거북이(등껍데기)가 균열을 이기지못한다. 길고바르니 길하다. 왕이 천제(天帝)에 형통하여 쓰니 길하다.

六三:익지용흉사 무구 유부중행 고공용규(益之用凶事,无咎。有孚中行,告公用圭)

그것을 더하여 쓰니 일이 흉하다. 허물은없다. 가운데로 가니 믿는바가있다. 공이 저울눈을 사용함을 고하다.

六四:중행 고공종 이용위의천국(中行,告公從。利用爲依遷國)

가운데로 가다. 공이 쫓음을 고하다. 그나라를 의지해 옮기니 이롭다.

九五:유부혜심 물문원길 유부혜아덕(有孚惠心,勿問元吉。有孚惠我德)

은혜를 믿는바가있다. 본디 길함을 묻지말라 내가베푼은혜를 믿는바가있다.

上九:막익지 혹격지 입심물항흉(莫益之,或擊之,立心勿恒凶)

그 더함이 없다. 혹 그것을 친다. 마음을 세우고 항상 근심하지 말라.

第四十三卦 夬

편집
  澤天 夬


[18] 揚于王庭,孚號,有厲,告自邑,不利即戎,利有攸往。

初九:壯于前趾,往不勝為咎。

九二:惕號,莫夜有戎,勿恤。

九三:揚于王庭,孚號,有厲,告自邑,不利即戎,利有攸往。

初九:壯于前趾,往不勝為吝。

九二:惕號,莫夜有戎,勿恤。。

上六:无號,終有凶。


쾌(夬) 양우왕정 부호 유려 고자압 불리즉융 이유유왕(揚于王庭,孚號,有厲,告自邑,不利即戎,利有攸往)

쾌는 왕뜰에 드러난다. 부름을 믿고 힘쓴다. 자진해서 영합을 고한다. 이롭지 않으나 곧 돕는다. 갈바가있어 이롭다.

初九:장우전지 왕불승위구(壯于前趾,往不勝爲咎)

앞터에서 씩씩하다. 이따금 허물이되 훌륭하지못하다.

九二:척호 막야유융 물휼(惕號,莫夜有戎,勿恤)

부름을 두려워하다. 조용한 밤에 오랑캐가 있다. 불쌍히 여기지말라.

九三:장우규 유흉 군자쾌쾌 독행우우 약유유온 무구(壯于頄,有凶。君子夬夬,獨行遇雨,若濡有慍,无咎)

광대뼈가 씩씩하다. 홀로 가다 비를 만난다. 젖었으나 따뜻함이 있다. 허물이 없다.

九四:둔무부 기행차차 견양회망 문언불신(臀无膚,其行次且。牽羊悔亡,聞言不信)

九五:현륙[19]쾌쾌 중행무구(莧陸夬夬,中行无咎)

상륙(商陸)[20]은 그 성질이 쾌히 하는바이다. 가운데를 가니 허물이없다.

上六:무호 종유흉(无號,終有凶)

부름이없다. 끝에 근심이 있다.

第四十四卦 姤

편집
  天風 姤

[21] 女壯,勿用取女。


初六:系于金柅,貞吉,有攸往,見凶,羸豕踟躅。

九二:包有魚,无咎,不利賓。

九三:臀无膚,其行次且,厲,无大咎。

九四:包无魚,起凶。

九五:以杞包瓜,含章,有隕自天。

上九:姤其角,吝,无咎。


구(姤) 여장(女壯) 물용취녀(勿用取女)

구는 여자가 장성한 바이다. 여자를 취하는것이 아니다.

初六:계우금니 정길 유유왕 견흉 리시지촉(系于金柅,貞吉,有攸往,見凶,羸豕踟躅)

수레바퀴 고동쇠에 매어놓다. 바르니길하다. 갈바가있으면 흉함을 본다. 파리한 돼지가 머뭇머뭇거린다.

九二:포유어 무구 불리빈(包有魚,无咎,不利賓)

물고기가 있어 포장한다. 허물이 없으나 물가는 이롭지 않다.

九三:둔무부 기행차저 려 무대구(臀无膚,其行次且,厲,无大咎)

볼기에 살이 없다. 그 행함에 또 머뭇거린다. 힘쓴다면 크게허물은 없다.

九四:포무어 기흉(包无魚,起凶)

포장한 물고기가 없다. 흉이 일어난다.

九五:이기포과 함장 유운자천(以杞包瓜,含章,有隕自天)

쟁기로 오이를 얻음는 본보기를 머금은바이다. 하늘에서 떨어진것이다.

上九:후기각 린무구(姤其角,吝无咎)

부딪쳐 만나니 인색하나 허물은 없다.

第四十五卦 萃

편집
  澤地 萃


[22] 亨。王假有廟,利見大人,亨,利貞。用大牲吉,利有攸往。


初六:有孚不終,乃亂乃萃,若號一握為笑,勿恤,往无咎。

六二:引吉,无咎,孚乃利用禴。

六三:萃如,嗟如,无攸利,往无咎,小吝。

九四:大吉,无咎。

九五:萃有位,无咎。匪孚,元永貞,悔亡。

上六:齎咨涕洟,无咎。


췌(萃)는 형(亨) 왕하유묘 이견대인 형 이정 용대생길 이유유왕(王假有廟,利見大人,亨,利貞。用大牲吉,利有攸往)

췌는 형하다. 왕이 종묘있는곳에 이르니 대인을 만나 이롭다. 형통하니 바름이 이롭다. 큰 희생을 사용하니 갈바가 있어 이롭다.

初六:유부부종 내란내췌 약호일악위소 물휼왕무구(有孚不終,乃亂乃萃,若號一握為笑,勿恤,往无咎)

끝이아님을 믿는바가있다. 난리여도 모인다. 하나가 작다고 일컬어지고 웃겠으나 근심하지말라 갈바가 있음은 허물이 없겠다.

六二:인길무구 부내이용약(引吉,无咎,孚乃利用禴)

이끄니 길하고 허물이 없다. 약소를 알고 이로움을 믿는다.

六三:췌여차여 무유리 왕무구 소린(萃如,嗟如,无攸利,往无咎,小吝)

갑작스럽게 이르러 이로운바가없다. 갈바가있으니 허물은 없다. 약간은 인색하다.

九四:대길무구(大吉,无咎)

대길하고 무구하다.

九五:췌유위무구 비부원영정회망(萃有位,无咎。匪孚,元永貞,悔亡)

모이니 차례가있다. 허물없다. 믿지않는다. 본디 길고 바르다. 잊음을 후회한다.

上六:재자체이 무구(齎咨涕洟,无咎)

탄식하고탄식한다. 눈물 콧물이 흘른다. 허물이없다.

第四十六卦 升

편집
  地風 升

[23] 元亨,用見大人,勿恤,南征吉。

初六:允升,大吉。

九二:孚乃利用禴,无咎。

九三:升虛邑。

六四:王用亨于岐山,吉无咎。

六五:貞吉,升階。

上六:冥升,利于不息之貞。


승(升) 원형(元亨),용견대인(用見大人),물휼(勿恤),남정길(南征吉)

오름은 원형이다. 대인을 만나 쓴다. 불쌍히여기지말라 남쪽으로 나아가면 길하다.

初六:윤승 대길(允升,大吉)

진실로 올라가는바는 크게 길하다.

九二:부내이용약 무구(孚乃利用禴,无咎)

믿는바 약소함을 씀이 이롭다. 허물없다.

九三:승허읍(升虛邑)

허한 읍에 나아가다.

六四:왕용형우기산 길 무구(王用亨于岐山,吉 无咎)

왕이 갈림길에 형통하여 쓴다. 길하고 허물없다.

六五:정길 승계(貞吉,升階)

바르고 길하다. 돌계단을 오른다.

上六:명승 이우불식지정(冥升,利于不息之貞)

날이 저물어도 오른다. 쉬지않는 곧음에서 이롭다.

第四十七卦 困

편집
  澤水 困


[24] 亨,貞大人吉,无咎,有言不信。


初六:臀困于株木,入于幽谷,三歲不見。

九二:困于酒食,朱紱方來,利用亨祀,征凶,无咎。

六三:困于石,據于蒺藜,入于其宮,不見其妻,凶。

九四:來徐徐,困于金車,吝,有終。

九五:劓刖,困于赤紱,乃徐有說,利用祭祀。

上六:困于葛藟,于臲甈,曰動悔。有悔,征吉。


곤(困) 형(亨),정대인길 무구 유언불신(貞大人吉,无咎,有言不信)

곤 즉 형이다. 곧은 대인이 길하다. 허물이없다. 말은 있고 믿음은 없다.

初六:둔곤우주목 입우유곡 삼세불견(臀困于株木,入于幽谷,三歲不見)

엉덩이가 나무그루터기에 곤하다. 깊은 골짜기에 들어가 수년을 보지않는다.

九二:곤우주식 주불방래 이용형사 정흉 무구(困于酒食,朱紱方來,利用亨祀,征凶,无咎)

주식에 곤란하다. 주불(붉은색 제복)은 사방에서 찾아온다. 제사를 형통케 씀이 이롭다. 나아가면 흉하고 허물은없다.

六三:곤우석 거우질려 입우기궁 불견기처 흉(困于石,據于蒺藜,入于其宮,不見其妻,凶)

돌에 곤하다. 질려에 거한다. 그 집에 들어가 그 처를 만나지않는다. 흉이다.

九四:래서서 곤우금거 린 유종(來徐徐,困于金車,吝,有終)

서서히 오니 쇠수레에 곤하다. 인색하나 끝이 있다.

九五:의월 곤우적불 내서유설 이용제사(劓刖,困于赤紱,乃徐有說,利用祭祀)

코를 베고 발꿈치를 베는 형벌은 적불(붉은색 제복)에서 곤하다. 서서히 제사하니 제사를 쓰는 이로움있다.

上六:곤우갈류 우얼계 왈동회 유회 정길(困于葛藟,于臲甈,曰動悔。有悔,征吉)

칡덩쿨에서 곤하다. 위태하다. 왈, 움직임을 후회한다. 뉘우침이 있어 나아가면 길하다.

第四十八卦 井

편집
  水風 井

[25] 改邑不改井,无喪无得,往來井。井汔,至亦未繘。井羸其瓶,凶。


初六:井泥不食,舊井无禽。

九二:井谷射鮒,瓮敝漏。

九三:井渫不食,為我民惻,可用汲,王明,并受其福。

六四:井甃,无咎。

九五:井冽,寒泉食。

上六:井收勿幕,有孚无吉。


정(井) 개읍불개정 무상무득 왕래정 정흘 지역미상 유영기병 흉(改邑不改井,无喪无得,往來井。井汔,至亦未繘。井羸其瓶,凶)

정은 마을을 수리하나 우물은 (아직) 수리하지 않음이다. 잃음도 없고 얻음도없다. 오고가는 우물이다. 우물물이 마르고 또한 이르나 두레박줄이 아직이다. 우물이 그 두레박이 고달프다. 근심한다.


初六:정니불식 구정무금(井泥不食,舊井无禽)

우물에 진흙이 있어 먹지않는다. 오래된 우물이 날짐승이 없다.

九二:정곡사부 옹폐루( 井谷射鮒,瓮敝漏)

우물계곡에서 붕어를 쏜다. 항아리가 깨져 물이 샌다.

九三:정설불식 위아별측 가용급 왕명 병수기복(井渫不食,為我民惻,可用汲,王明,并受其福)

먹지않는 우물을 준설한다. 내가 백성을 측은히여김이니 (이제) 물을 길을수있다. 왕이 밝으면 우물이 그 복을 받는다.

六四:정추 무구(井甃,无咎)

우물을 수리하니 허물이없다.

九五:정렬 한천식(井冽,寒泉食)

우물물이 맑으니 서늘한샘물을 먹는다.

上六:정수물막 유부무길(井收勿幕,有孚无吉)

물을 길으니 막지말라 믿음은 있으나 길함은 없다.

第四十九卦 革

편집
  澤火 革

[26] 已日乃孚,元亨,利貞,悔亡。

初九:鞏用黃牛之革。

六二:已日乃革之,征吉,无咎。

九三:征凶,貞厲,革言三就,有孚。

九四:悔亡,有孚改命,吉。

九五:大人虎變,未占有孚。

上六:君子豹變,小人革面,征凶,居貞吉。


혁(革) 이일내부 원형 이정 회망(己日乃孚,元亨,利貞,悔亡)

혁은 그후얼마되지아니한 날에 믿는다. 본디 형하고 바르니 이롭다. 실망을 후회한다.

初九:공용황우지혁(鞏用黃牛之革)

단단한 황소의 가죽을 사용한다.

六二:이일내혁지 정길 무구(已日乃革之,征吉,无咎)

그후얼마되지아니한 날에 그것을 고친다. 먼길로 나아가나 길하다. 허물없다.

九三:정흉 정려 혁언삼취 유부(征凶,貞厲,革言三就,有孚)

먼길로 나아가니 흉하다. 바름에 힘쓴다. 말을 고쳐 세번 취하니 믿는바가있다.

九四:회망 유부개명 길(悔亡,有孚改命,吉)

실망을 후회한다. 고친명령을 믿는바가있다. 길하다.

九五:대인호변 미점유부(大人虎變,未占有孚)

대인은 호랑이로 변한다. 아직 점하지않다 믿는바가 있다.

上六:군자표변 소인혁면 정흉 거정길(君子豹變,小人革面,征凶,居貞吉)

군자는 표범으로 변한다. 소인은 낯을 고친다. 먼길로 나아가니 흉하다. 거하고 바르니 길하다.

第五十卦 鼎

편집
  火風 鼎

[27] 元吉,亨。

初六:鼎顛趾,利出否,得妾以其子,无咎。

九二:鼎有實,我仇有疾,不我能即,吉。

九三:鼎耳革,其行塞,雉膏不食,方雨虧悔,終吉。

九四:鼎折足,覆公餗,其形渥,凶。

六五:鼎黃耳金鉉,利貞。

上九:鼎玉鉉,大吉,无不利。


정(鼎) 원길 형(元吉,亨)

정은 본디 길하고 형통하다.

初六:정전지 이출부 득첩 이기자무구(鼎顛趾,利出否,得妾, 以其子无咎)

뒤집힌 솥발이다. 나가지않음이 이롭다. 첩을 얻으니 그아이로써 허물이없다.

九二:정유실 아구유질 불아능즉 길(鼎有實,我仇有疾,不我能即,吉)

솥이 실하다. 내짝은 지병이다. 내가할수있는바가 없는 즉 길하다.

九三:정이혁 기행색 치고불식 방우휴회 종길(鼎耳革,其行塞,雉膏不食,方雨虧悔,終吉)

솥귀를 고치다. 그 행함이 막히다. 꿩이 기름지니 먹지않는다. 사방에서 비가오고 후회가 일그러진다. 끝이길하다.

九四:정절족 부공속 기형악 흉(鼎折足,覆公餗,其形渥,凶)

솥의발을 부러뜨리다. 다시 공이 죽을 쑤니 그형태가 두텁다 흉하다.

六五:정화이금현 이정(鼎黃耳金鉉,利貞)

솥의 귀와현이 황금이다. 바르니 이롭다.

上九:정옥현 대길 무불리(鼎玉鉉,大吉,无不利)

솥의 현이 옥이다. 크게길하다. 불리함이 없다.

第五十一卦 雷

편집
  重雷 震

[28] 亨。震來虩虩,笑言啞啞。震驚百里,不喪匕鬯。

初九:震來虩虩,后笑言啞啞,吉。

六二:震來厲,億喪貝,躋于九陵,勿逐,七日得。

六三:震蘇蘇,震行无眚。

九四:震遂泥。

六五:震往來厲,億无喪,有事。

上六:震索索,視矍矍,征凶。震不于其躬,于其鄰,无咎。婚媾有言。


진(震) 형 진래색색 소은액액 진경백리 불상비창(亨。震來虩虩,笑言啞啞。震驚百里,不喪匕鬯)

진은 형하다. 천둥이 치니 놀라고 두려워한다. 웃음이 화기애애 웃는다. 우레가 백리를 놀라게한다. 화살촉이 부린활집에 있어 잃지않는다.

初九:진래색색 후소은액액 길(震來虩虩,后笑言啞啞,吉)

천둥이 치니 놀라고 두려워한다. 왕후의웃음은 화기애애 웃는다. 길하다.

六二:진래려 억상패 제우구릉 물축 칠일득(震來厲,億喪貝,躋于九陵,勿逐,七日得)

벼락이 빠르게온다. 아주 많이 재화를 잃는다. 구릉에 오르다. 쫓지말라 칠일후에야 얻는다.

六三:진소소 진행무생(震蘇蘇,震行无眚)

위세가 되살아난다. 우레가 행하니 흐림이없다.

九四:진수니(震遂泥)

우레는 진흙이 생장한다.

六五:진왕래려 억무상 유사(震往來厲,億无喪,有事)

우레가 빠르게 오고간다. 많은것을 잃음이 없다. 일이 있다.

上六:진색삭 시확확 정흉 진불우기궁 우기린 무구 혼구유언(震索索,視矍矍,征凶。震不于其躬,于其鄰,无咎。婚媾有言)

진은 찾음이다. 쓸쓸함이다. 시는 두리번거림이다. 다급해하는모양이다. 먼길을 가는것은 흉하다. 진은 그몸이 크지않다. 그이웃이 광대하다. 허물없다. 혼구는 맹세의 말이 있다.

第五十二卦 艮

편집
  重艮 山


[29] 艮其背,不獲其身,行其庭,不見其人,无咎。


初六:艮其趾,无咎,利永貞。

六二:艮其腓,不拯其隨,其心不快。

九三:艮其限,列其夤,厲薰心。

六四:艮其身,无咎。

六五:艮其輔,言有序,悔亡。

上九:敦艮,吉。


간(艮)은 간기배 불획기신 행기정 불견기인 무구(艮其背,不獲其身,行其庭,不見其人,无咎)

그등이 견고하다. 그몸을 붙잡지않는다. 그 사냥하는곳을 간다. 타인을 보지않는다. 허물이없다.

初六:간기지 무구 이영정(艮其趾,无咎,利永貞)

그 발이 견고하다. 허물없다. 길고 바르니 이롭다.

六二:간기비 불증기수 기심불쾌(艮其腓,不拯其隨,其心不快)

그 장딴지가 어긋난다. 그 발꿈치를 돕지못한다. 그 마음이 불쾌하다.

九三:간기한 렬기인 려훈심(艮其限,列其夤,厲薰心)

그 끝을 한정한다. 그 잇닿은바를 즐짓다. 향기로운 마음을 힘쓰다.

六四:간기신 무구(艮其身,无咎)

그 자신을 견고히하니 허물없다.

六五:간기보 언유서 회망(艮其輔,言有序,悔亡)

간은 그 돕는바이다. 말이 차례가 있다. 잃음이 없다.

上九:조은 길(敦艮,吉)

아로새긴 은이다. 길하다.

第五十三卦 漸

편집
  風山 漸

[30] 女歸吉,利貞。

初六:鴻漸于干,小子厲,有言,无咎。

六二:鴻漸于磐,飲食衎衎,吉。

九三:鴻漸于陸,夫征不復,婦孕不育,凶,利御寇。

六四:鴻漸于木,或得其桷,无咎。

九五:鴻漸于陵,婦三歲不孕,終莫之勝,吉。

上九:鴻漸于逵,其羽可用為儀,吉。


점(漸) 여귀길 이정 (女歸吉,利貞)

점은 작고연약한것이 의지하니 길하다. 바르니 이롭다.

初六:홍점우간 소자려 유은 무구(鴻漸于干,小子厲,有言,无咎)

근본에서 점점 성하다. 어린이가 힘쓰니 화기애애하다.

六二:홍점우반 음식간간 길(鴻漸于磐,飲食衎衎,吉)

너럭바위에서 점점 성한다. 음식이 즐겁다. 길하다.

九三:홍점우륙 부정불복 귀잉불육 흉 이어구(鴻漸于陸,夫征不復,婦孕不育,凶,利御寇)

뭍에서 점점 넓어진다. 대저 먼길을 가니 돌아오지않는다. 여자가 분만하나 기르지못한다. 흉하다. 난리를 제어함이 이롭다.

六四:홍점우목 혹득기각 무구(鴻漸于木,或得其桷,无咎)

나무가 점점 크다. 혹 그 서까래를 얻는다. 허물없다.

九五:홍점우륙 부삼세불잉 종막지승 길(鴻漸于陵,婦三歲不孕,終莫之勝,吉)

뭍에서 점점 성한다. 여자가 삼년동안 잉태하지 않는다. 끝이없으니 이김에 도달한다. 길하다.

上九:홍점우규 기우가용위의 길(鴻漸于逵,其羽可用爲儀,吉)

길거리가 점점 넓어진다. 그 깃털이 의전에 쓰일수있다. 길하다.

第五十四卦 歸妹

편집
  雷澤 歸妹

歸妹[31] 征凶,无攸利。


初九:歸妹以娣,跛能履,征吉。

九二:眇能視,利幽人之貞。

六三:歸妹以須,反歸以娣。

九四:歸妹愆期,遲歸有時。

六五:帝乙歸妹,其君之袂,不如其娣之袂良,月几望,吉。

上六:女承筐无實,士刲羊无血,无攸利。


귀매 정흉 무유리(歸妹 征凶,无攸利)

귀매는 (먼길을) 가니 흉하다. 이로운바가 없다.

初九:귀매이제 파능리 정길(歸妹以娣,跛能履,征吉)

손아래누이가 여자로 시집한다. 절룩거림을 겪을수있다. 가니 길하다.

九二:묘능시 이유인지정(眇能視,利幽人之貞)

보는 눈이 희미할수있다. 사람의 바름이 깊으니 이롭다.

六三:귀매이수 반귀이제(歸妹以須,反歸以娣)

시집간 여자가 결국 손아래누이로서 되돌아온다.

九四:귀매건기 지귀유시(歸妹愆期,遲歸有時)

귀매기약이 어그러지다. (귀매를) 지체하나 시간은 있다.

六五:제을귀매 기군지몌 불여기제지몌량 월궤망 길(帝乙歸妹,其君之袂,不如其娣之袂良,月几,望,吉)

제을이 누이를 돌려보낸다. 그 임금의 소매가 손아래누이의 소매가 좋은만 같지않다. 달의 왕성하니 바란다. 길하다.

上六:여승광무실 사규양무혈 무유리(女承筐无實,士刲羊无血,无攸利)

광주리에 열매가 없음을 여자가 잇는다. 남자가 흰양을 찌르나 붉은피가 없다. 이로운바가 없다.

第五十五卦 豊

편집
  雷火豊


[32] 亨。王假之,勿憂,宜日中。


初九:遇其配主,雖旬无咎,往有尚。

六二:豐其蔀,日中見斗,往得疑疾,有孚發若,吉。

九三:豐其沛,日中見昧,折其右肱,无咎。

九四:豐其蔀,日中見斗,遇其夷主,吉。

六五:來章,有慶譽,吉。

上六:豐其屋,蔀其家,窺其戶,闃其无人,三歲不見,凶。


풍(豐) 형 왕격지 물우 의일중 (亨。王假之,勿憂,宜日中)

풍은 형하다. 왕이 가서 이르다. 근심하지마라 밝은대낮의 떳떳함이다.

初九:우기배주 수순무구 왕유상(遇其配主,雖旬无咎,往有尚)

그 걸맞은 주인을 만나니 비록 균일함이 허물이 없으나 가는것이 높임이있다.

六二:풍기부 일중견두 왕득의질 유부발약 길(豐其蔀,日中見斗,往得疑疾,有孚發若,吉)

그 덮개가 성하니 대낮에 북두칠성을 본다. 가는것이 괴로울까 의심을 얻는다. 믿는바가 이와같이 발한다. 길하다.

九三:풍기패 일중견매 절기우굉 무구(豐其沛,日中見昧,折其右肱,无咎)

만약 비가솓아짐이 성하면 대낮의 어두움을 본다. 그 오른팔뚝을 꺽는다. 허물없다.

九四:풍기부 일중견두 우기이주 길(豐其蔀,日中見斗,遇其夷主,吉)

그 덮게가 성하니 대낮에 북두칠성을 본다. 그 온화한 주인을 만난다. 길하다.

六五:래장 유경예 길(來章,有慶譽,吉)

드러나 온다. 경사로운 명예가 있다. 길하다.

上六:풍기악 부기가 규기호 격기무인 삼세불견 흉(豐其屋,蔀其家,窺其戶,闃其无人,三歲不見,凶)

그 휘장이 성하다. 그 집을 덮는다. 그 출입구를 엿본다. 그 사람이 없어 고요하다. 삼년을 보지않는다. 흉하다.

第五十六卦 旅

편집
  火山 旅

[33] 小亨,旅貞吉。


初六:旅瑣瑣,斯其所取災。

六二:旅即次,懷其資,得童僕貞。

九三:旅焚其次,喪其童僕,貞厲。

九四:旅于處,得其資斧,我心不快。

六五:射雉一矢亡,終以譽命。

上九:鳥焚其巢,旅人先笑后號啕。喪牛于易,凶。


여 소형 여정길(旅 小亨,旅貞吉)

여는 작은 형이다. 나그네는 바르니 길하다.

初六:여쇄쇄 사기소취재(旅瑣瑣,斯其所取災)

무리가 자질구레하고 세분하다. 잠시 이미 재앙을 취하는 바이다.

六二:여즉차 회기자 득동복정(旅即次,懷其資,得童僕貞)

나그네는 머뭇거림이다. 그 도움을 따른다. 어린벗이 바름을 얻는다.

九三:려분기차 상기동복 정려(旅焚其次,喪其童僕,貞厲)

그 머무름을 불사르고 여행한다. 그 어린벗을 잃는다. 바르나 근심한다.

九四:려우처 득기자부 아심불쾌(旅于處,得其資斧,我心不快)

나그네가 처하니 그 돕는 도끼를 얻는다. 내마음이 불쾌하다.

六五:사치일시망 종이예명(射雉一矢亡,終以譽命)

꿩을 쏘니 화살한개를 잃는다. 명예로써 명이 끝난다.

上九:오분기소 려인선소후호도 상우우역 흉(鳥焚其巢,旅人先笑后號啕。喪牛于易,凶)

까마귀가 그 새집을 넘어뜨린다. 여인(旅人)이 먼저 웃고 뒤에 수다스럽게 떠든다. 바뀜에서 소를 잃는다. 흉하다.

第五十七卦 巽

편집
  重巽 風


[34] 小亨,利攸往,利見大人。


初六:進退,利武人之貞。

九二:巽在牀下,用史巫紛若,吉无咎。

九三:頻巽,吝。

六四:悔亡,田獲三品。

九五:貞吉悔亡,无不利。无初有終,先庚三日,后庚三日,吉。

上九:巽在牀下,喪其資斧,貞凶。


손 소형 이유왕 이견대인(巽 小亨,利攸往,利見大人)

손은 작은형통이다. 갈바가있어 이롭다. 대인을 만나니 이롭다.

初六:진퇴 이무인지정(進退,利,武人之貞)

진퇴는 이롭다. 무인의 바름이다.

九二:손재상하 용사무분약 길무구(巽在牀下,用史巫紛若,吉无咎)

손은 평상의아래에 있다. 무인이 역사를 행함은 번거로움같다. 길하고 허물이없다.

九三:빈손 린(頻巽,吝)

급히 공순하다. 인색하다.

六四:회무 전획삼품[35](悔亡,田獲三品)

후회가 없다. 전에서 삼품을 얻는다.

九五:정길회무 무불리 무초유종 선경삼일 후경삼일[36] 길(貞吉悔亡,无不利。无初有終,先庚三日,后庚三日,吉)

바르고 길하다. 후회가 없다. 이롭지않은바가 없다. 처음은없고 끝은 있다. 삼일 먼저 바뀌고 삼일 뒤에 바뀐다. 길하다.

上九:손재상하 상기자부 정흉(巽在牀下,喪其資斧,貞凶)

평상아래에서 공순하다. 그 취한 도끼를 잃는다. 바르나 흉하다.

第五十八卦 兌

편집
  重澤 兌

[37] 亨,利貞。

初九:和兌,吉。

九二:孚兌,吉,悔亡。

六三:來兌,凶。

九四:商兌,未寧,介疾有喜。

九五:孚于剝,有厲。

上六:引兌。


태 형 이정(兌 亨,利貞)

태는 형하다. 바르니 이롭다.

初九:화태 길(和兌,吉)

어울려 기쁘니 길하다.

九二:부태 길 회무(孚兌,吉,悔亡)

통함을 믿는다. 길하다. 후회가 없다.

六三:래태 흉(來兌,凶)

오니 기쁘다. 흉하다.

九四:상태 미녕 개질유희(商兌,未寧,介疾有喜)

헤아리니 기쁘다. 아직 편안하지못하다. 빨리 사이에 드니 즐거움이 있다.

九五:부우박 유려(孚于剝,有厲)

벗김에서 믿는다. 힘씀이 있다.

上六:인태(引兌)

기쁨을 이끈다.

第五十九卦 渙

편집
  風水 渙


[38] 亨。王假有廟,利涉大川,利貞。


初六:用拯馬壯,吉。

九二:渙奔其机,悔亡。

六三:渙其躬,无悔。

六四:渙其群,元吉。渙有丘,匪夷所思。

九五:渙汗其大號,渙王居,无咎。

上九:渙其血,去逖出,无咎。


환(渙) 형 왕가유묘 이섭대천 이정(亨。王假有廟,利涉大川,利貞)

환은 형하다. 왕이 멀리 묘에 있다. 큰강을 건너니 이롭다. 바르니 이롭다.

初六:용증마장 길(用拯馬壯,吉)

건장한 말을 취함을 쓴다. 길하다.

九二:환분기궤 회망(渙奔其机,悔亡)

그 책상을 급히 흐트린다. 잃음을 후회한다.

六三:환기궁 무회(渙其躬,无悔)

그 몸을 흐트리니 후회가 없다.

六四:환기군 원길 환유구 비이소아(渙其群,元吉。渙有丘,匪夷所思)

그 무리를 흐트리니 원래 길하다. 언던이있어 흩어진다. 비적이 생각하는바가있다.

九五:환한기대호 환왕거 무구(渙汗其大號,渙王居,无咎)

그 큰 부르짖음에 땀을 흘린다. 왕이 거함을 흐트린다. 허물없다.

上九:환기혈 거적출 무구(渙其血,去逖出,无咎)

그 피를 흘린다. 멀리 떠나가니 허물이 없다.

第六十卦 節

편집
  水澤 節


[39] 亨。苦節不可貞。


初九:不出戶庭,无咎。

九二:不出門庭,凶。

六三:不節若,則嗟若,无咎

六四:安節,亨。

九五:甘節,吉,往有尚。

上六:苦節,貞凶,悔亡。


절(節) 형 고절부가정(亨。苦節不可貞)

절은 형하다. 고통을 절제함은 바를수없다.

初九:불출호정 무구(不出戶庭,无咎)

집뜰로 나아가지않는다. 허물없다.

九二:불출문정 흉(不出門庭,凶)

문뜰로 나아가지않는다. 흉하다.

六三:불절약 즉수약 무구(不節若,則嗟若,无咎)

절제하지않음같다. 즉 부끄러움같다. 허물없다.

六四:안절 형(安節,亨)

평안함을 절제한다. 형통하다.

九五:감절 길 왕유상(甘節,吉,往有尚)

만족함을 절제한다. 길하다. 가는바가 높다.

上六:고절 정흉 회망(苦節,貞凶,悔亡)

괴로움을 절제한다. 바르나 흉하다. 잃음을 후회한다.

第六十一卦 中孚

편집
  風澤 中孚

中孚 [40] 豚魚吉,利涉大川,利貞。


初九:虞吉,有他不燕。

九二:鳴鶴在陰,其子和之,我有好爵,吾與爾靡之。

六三:得敵,或鼓或罷,或泣或歌。

六四:月几望,馬匹亡,无咎。

九五:有孚攣如,无咎。

上九:翰音登于天,貞凶。


중부(中孚) 돈어길 이섭대천 이정(豚魚吉,利涉大川,利貞)

중부는 내자식과 나 길하다. 큰강을 건너니 이롭다. 바르니 이롭다.

初九:우길 유타 불연(虞吉,有他, 不燕)

길함을 염려하다. 타인이있다. 편안하지않다.

九二:명학재음 기자화지 아유호작 오여이미지(鳴鶴在陰,其子和之,我有好爵,吾與爾靡之)

우는학이 그늘에 있다. 그 아이가 서로 응하여 간다. 내가 지위를 좋아함이 있다. 우리가 너와 더불어 가는것을 금지한다.

六三:득적 혹고혹파 혹읍혹가(得敵,或鼓或罷,或泣或歌)

적을 얻는다. 혹 휘두르고 혹 내치고 혹 울고 혹 노래부른다.

六四:월궤망 마필망 무구(月几望,馬匹亡,无咎)

달이 왕성하니 바란다. 말의 짝이 없다. 허물이없다.

九五:유부련여 무구(有孚攣如,无咎)

걸림같이 믿는바가있다. 허물없다.

上九:한음등우천 정흉(翰音登于天,貞凶)

깨끗하고 높은 소리가 하늘에 오른다. 바르나 흉하다.

第六十二卦 小過

편집
  雷山 小過

小過 [41] 亨,利貞,可小事,不可大事。飛鳥遺之音,不宜上宜下,大吉。


初六:飛鳥以凶。

六二:過其祖,遇其妣,不及其君,遇其臣,无咎。

九三:弗過防之,從或戕之,凶。

九四:无咎,弗過遇之。往厲必戒,勿用永貞。

六五:密雲不雨,自我西郊,公弋取彼在穴。

上六:弗遇過之,飛鳥離之,凶,是謂災眚。


소과(小過) 형 이정 가소사 불가대사 비조유지음 부의 상의하 대길 (亨,利貞,可小事,不可大事。飛鳥遺之音,不宜上宜下,大吉)

소과는 형하다. 바르니 이롭다. 작은일은 가(可)하다. 큰일은 불가하다. 남겨진 새를 날리니 소리를 따라 간다. 위가 마땅히 아래여야하는것은 마땅하지않다. 크게길하다.

初六:비조이흉(飛鳥以凶)

새가 날아가니 흉하다.

六二:과기조 우기비 불급기군 우기신 무구(過其祖,遇其妣,不及其君,遇其臣,无咎)

지나는길에 할아버지를 들르니 우연히 그 할머니를 만난다. 그 임금과 함께하지않으니 그신하와 조우한다. 허물이없다.

九三:불과방지 종혹장지 흉(弗過防之,從或戕之,凶)

가서 필적하니 지나치지않다. 좇으니 촉 가서 죽인다. 흉하다.

九四:무구 불과우지 왕려필계 물용영정(无咎,弗過遇之。往厲必戒,勿用永貞)

허물이없다. 가서만나니 지나치지않다. 가서 힘쓰니 반드시 경계한다. 길게바르니 쓰지말라

六五:밀운불우 자아서교 공익취피재혈(密雲不雨,自我西郊,公弋取彼在穴)

구름이 밀집하나 비가 내리지않는다. 스스로내가 서쪽 들로간다. 공이 구멍에있는 상대를 빼앗아 취한다.

上六:불우과지 비조이지 흉 시위재생(弗遇過之,飛鳥離之,凶,是謂災眚)

지나쳐가니 만나지 못한다. 새가날아서 가니 헤어진다. 흉하다. 이것이 소위 재앙이다.

第六十三卦 既濟

편집
  水火 既濟

既濟[42] 亨,小利貞,初吉終亂。

初九:曳其輪,濡其尾,无咎。

六二:婦喪其茀,勿逐,七日得。

九三:高宗伐鬼方,三年克之,小人勿用。

六四:繻有衣袽,終日戒。

九五:東鄰殺牛,不如西鄰之禴祭,實受其福。

上六:濡其首,厲。


기제(既濟) 형 소이정 초길종난(亨,小利貞,初吉終亂)

기제는 형하다. 바르니 작은 이로움이다. 처음은 길하고 끝은 어지럽다.

初九:예기륜 유기미 무구(曳其輪,濡其尾,无咎)

그 바퀴를 끌어당기니 그꼬리가 젖는다. 허물없다

六二:부상기불 물축 칠일득(婦喪其茀,勿逐,七日得)

부인이 그 머리꾸미개를 잃다. 쫓지마라. 칠일에 얻는다.

九三:고종벌귀방 삼년극지 소인물용(高宗伐鬼方,三年克之,小人勿用)

제사를 높이니 귀신을 사방에서 물리친다. 이김이 삼년간다. 소인은 쓰지마라

六四:수유의녀 종일계(繻有衣袽,終日戒)

명주옷이 해진다. 종일 경계한다.

九五:동린살우 불여서린지약제 실수기복(東鄰殺牛,不如西鄰之禴祭,實受其福)

동쪽이웃이 소를 죽이낟. 서쪽이웃의 봄제사같지않다. 실하니 그복을 받는다.

上六:유기수 려(濡其首,厲)

그머리를 감으니 염려한다.

第六十四卦 未濟

편집
  火水 未濟

未濟[43] 亨。小狐汔濟,濡其尾,无攸利。

初六:濡其尾,吝。

九二:曳其輪,貞吉。

六三:未濟,征凶,利涉大川。

九四:貞吉,悔亡,震用伐鬼方,三年有賞于大國。

六五:貞吉,无悔,君子之光,有孚,吉。

上九:有孚于飲酒,无咎,濡其首,有孚失是。


미제(未濟) 형 소호흘제 유기미 무유리( 亨。小狐汔濟,濡其尾,无攸利)

미제는 형하다. 작은 여우가 거의 건너나 그꼬리가 젖는다. 이로운바가없다.

初六:유기미 린(濡其尾,吝)

그 꼬리가 젖는다. 곤란하다.

九二:예기륜 정길(曳其輪,貞吉)

그 바퀴를 끄니 바르고 길하다.

六三:미제 정흉 이섭대천(未濟,征凶,利涉大川)

아직 건너니 멀리 나가니 흉하다. 큰강을 건넘이 이롭다.

九四:정길 회망 진용벌귀방 삼년유상우대국(貞吉,悔亡,震用伐鬼方,三年有賞于大國)

바르니 길하다. 잊음을 후회한다. 위엄을 써서 사방의 귀신을 벌한다. 삼년있어야 대국에서 상준다.

六五:정길 무회 군자지광 유부 길(貞吉,无悔,君子之光,有孚,吉)

바르니길하다. 후회없다. 군자의 빛은 믿음에있다. 길하다.

上九:유부우음주 무구 유기수 유부실시(有孚于飲酒,无咎,濡其首,有孚失是)

음주에 믿음이있다. 허물없다. 그머리를 감으니 이것을 잃으나 믿음은 있다.

繫辭 (上)

편집

第一章   天尊地卑,乾坤定矣。卑高以陳,貴賤位矣。動靜有常,剛柔斷矣。方以類聚,物以羣分,吉凶生矣。在天成象,在地成形,變化見矣。是故剛柔相摩,八卦相盪,鼓之以雷霆,潤之以風雨,日月運行,一寒一暑。乾道成男,坤道成女;乾知大始,坤作成物;乾以易知,坤以簡能;易則易知,簡則易從;易知則有親,易從則有功;有親則可久,有功則可大;可久則賢人之德,可大則賢人之業。易簡而天下之理得矣。天下之理得,而成位乎其中矣。

제1장
하늘은 존귀하고 땅은 천하다. 건곤의 정의인것이다.낮고높음은 (일을 차리어 벌임에) 베풀음으로써 귀하고 천함으로 위치하는것이다.[44][45] 동정은 항상 있는것이다. 강함과 부드러움은 끊는것이다. 방위는 같은 무리로써 취하는것이다. 사물은 동류로써 나뉘고 길흉이 생겨나는것이다. 하늘에있는것이 상을 이루고 땅에 있는것이 형을 이룬다. 변화는 보여지는것이다. 이런까닭에 강유는서로 부딪치는바이다. 팔괘는 서로 갈마들며 뇌정으로써 그것을 치고 풍우로써 그것을 윤택하게하며 일월이 운행하고 한번춥고 한번덥다. 건의 도는 남자를 이루고 곤의 도는 여자를 이룬다. 건은 큰시작을 알고 곤은 만물을 이루어 생겨나게한다. 건은 바뀌어 알고 곤은 쉬움으로써 능히한다. 바뀌는것은 역이 아는바요, 간단함은 역이 쫓는바이다. 역이 안다라고하는것은 친함이 있는것이다. 역이 쫓는다는것은 공이 있음이다. 친함이 있으면 장구히 지속되고 공이 있으면 (장엄하게)위대할수있는바이다. 영구하니 현인의 덕이고 위대하니 현의 업이다. (바뀌어)변하고 (쉬워)간단함은 천하의 이치가 얻어지는바이다. 천하의 이치를 얻으면 그와 더불어 함께 나아가 이루게 된다.

第二章   聖人設卦觀象,繫辭焉而明吉凶;剛柔相推而生變化。是故吉凶者,失得之象也。悔吝者,憂虞之象也。變化者,進退之象也。剛柔者,晝夜之象也。六爻之動,三極之道也。是故君子所居而安者,易之序也。所樂而玩者,爻之辭也。是故君子居則觀其象而玩其辭,動則觀其變而玩其占;是以自天祐之,吉无不利。

제2장
성인이 상을 보고 궤를 설명하니 계사인것이다. 길흉을 밝힌다. 강과유가 서로 밀고 당기니 변화가 생긴다. 이런까닭에 길흉이라는것은 상을 잃고 얻음이다. 괘의 효라고 하는것의 중요한바는 상의 근심과 염려하는바이기 때문이다. 변화라고하는것은 상의 진퇴이다. 강유라고하는것은 상의 밝히 빛나는바이고 은밀히 숨어 어두운바이다. 육효의 움직임은 삼극의 도이다. 이런까닭에 군자가 살면서 안정하는것은 역의 이치이며 즐거운바로 사랑하는것은 효의 의미인것이다. 이런까닭에 군자는 그 상을 살피는데서 생활하며 그 말씀을 사랑하는것이다.

第三章   彖者,言乎象者也。爻者,言乎變者也。吉凶者,言乎其失得也。悔吝者,言乎其小疵也。无咎者,善補過也。是故列貴賤者存乎位,齊小大者存乎卦,辯吉凶者存乎辭,憂悔吝者存乎介,震无咎者存乎悔。是故卦有小大,辭有險易,辭也者,各指其所之。 易與天地準,故能彌綸天地之道。仰以觀於天文,俯以察於地理,是故知幽明之故。原始反終,故知死生之說。

제3장
단(彖)은 상(象)에서 말하며, 효(爻)는 변(變)에서 말하는것이다. 길흉은 그 얻고 잃음에서 말하며,뉘우침이 부족한것은 그 (아직 뉘우칠수있는)작은 결점에서 말하는것이다. 허물이 없다는것은 선함으로 그 잘못을 바로잡으려는것이다. 이런까닭에 귀천이라는것이 자리잡아 나열되어 존재하는것이다. 작고 큼이 가지런히 괘에서 존재하게되는것이다. 이런까닭에 괘사와 효사에서 (덧없이) 길흉이 다투어지는것이 존재하게되는것이다. 회린을 염려하고 조심하는것은 (효에서) 낱낱이 수효를 세는바이다. 성내나 허물이 없을수있음은 후회에 있는바이다. 이런까닭에 괘에는 대소가 있고 사에는 어렵고 쉬운바가 있으며 사(辭)라고하는것은 각각 그 가리키는바가 있는것이다. (따라서)역은 천지와 더불어 준거하며 이런까닭에 천지의 도를 벼리할수있는것이다. 천문을 지켜보아 우러르고 지리를 살펴 굽어본다. 이런까닭에 어둡고 밝음의 연고를 아는것이며 원시반종[46]의 이유로 말미암아 사생(死生)의 (굴레를 넘어서) 기쁜 이치를 이해하게 되는것이다.

第四章 精氣為物,遊魂為變,是故知鬼神之情狀。與天地相似,故不違;知周乎萬物,而道濟天下,故不過;旁行而不流,樂天知命,故不憂;安土敦乎仁,故能愛;範圍天地之化而不過,曲成萬物而不遺,通乎晝夜之道而知,故神無方而易無體。 一陰一陽之謂道;繼之者善也,成之者性也。仁者見之謂之仁,知者見之謂之知,百姓日用而不知,故君子之道鮮矣。

제4장
정기는 물질을 이루고 혼백이 떠돌아 변화를 일으킨다. 이런까닭에 귀신의 정상을 알게된다. 천지가 더불어 서로 같다. 서로 다르지 않다는것은 (천지의 이치가 모든) 만물에 두루 미치는 까닭이다. (함께)천하를 가지런히 하는 도라는것이다. 지나침이 없다는것은 두루 행해지나 떠돌지않으니 천명을 알아 즐겁다는것이다. 걱정하지않는다는것은 사랑함이 지극하여 땅처럼 돈독히 안정하다는것이다. 천지의 변화하는 범위는 지나지지않고 만물이 변하여 생성됨에는 쇠퇴하지않는다. 낮과밤의 도에 통하니 고로 신이 있으니 없는곳이 없고 역또한 형체가 없으나 없는곳이 없다(는것을 알수있다.) 한번 음하고 한번 양하니 이를 가리켜 도(道)라고 한다. 잇는것의 선함이다. 이루는것의 성질이다. 사랑하는자는 소위 그 사랑함으로 사랑받는 (더 큰) 그 사랑을 본것이며 아는자는 소위 그 아는바를 알려준바로 (더 큰) 그 앎을 본것이다. 백성은 일용의 깊은 뜻을 헤아리기 어려움으로 군자가 이를 밝혀 보이는것이 마땅하다.[47][48]

第五章   顯諸仁,藏諸用,鼓萬物而不與聖人同憂,盛德大業至矣哉!富有之謂大業,日新之謂盛德,生生之謂易,成象之謂乾,效法之謂坤,極數知來之謂占,通變之謂事,陰陽不測之謂神。 夫易,廣矣!大矣!以言乎遠則不禦,以言乎邇則靜而正,以言乎天地之間則備矣!夫乾,其靜也專,其動也直,是以大生焉。夫坤,其靜也翕,其動也闢,是以廣生焉。廣大配天地,變通配四時,陰陽之義配日月,易簡之善配至德。 子曰:易其至矣乎!夫易,聖人所以崇德而廣業也,知崇禮卑,崇效天,卑法地。天地設位,而易行乎其中矣。成性存存,道義之門。

제5장
모든 사랑을 드러내고 모든 쓰임을 안배한다. 만물이 북돋아지는바는 성인이 걱정과 더불어 함께하지 않는바이며 덕이 성하여져 대업에 이르는바인것이다. 일일신하고 또 일일신하면 이것이 소위 성덕인것이다.(이로써) 소위 생생히 그것이 바뀌는 바이며 상을 이루니 그것을 소위 건이라 한다. 소위 그것이 법에 미치니 이를 곤이라한다. [49] 수로써 지극하여 미래를 알게되는것을 소위 점이라한다. 변화에 통하여 미리 살필수있으니 소위 일이라한다. 음양이 서로 재지않아도 서로 어긋나지않으니 이를 가리켜 소위 신이라한다. 무릇 역은 장엄하다. 그리고 광대하다. [50] 멀리까지 이르며 제어받지 않으니 그렇게 말하는것이다. 두루 미치며 고요하고 바르니 그렇게 말하는것이다. 천지간에 있지않는곳이 없으니 그렇게 말하는것이다. 무릇 건은 고요하기를 오직하며 움직이기를 바르게 하며 이것이 '크게 생기다'라고 하는것이며, 무릇 곤은 그 고요한바가 왕성하다. 그 움직이는바가 열린것이다. 이것이 '넓게 생기다'라고 하는것이다. 광(廣)하고 대(大)한것은 천지의 짝이다. 변통은 사시의 짝이다. 음양의 의의는 일월의 짝이다. 역간의 선함은 지극한 덕의 짝인것이다. 공자왈, 역은 그것이 지극히 궁극적인것이다. 무릇 역은 성인이 덕을 숭상하는바이며 그 업을 넓히는바이다. 숭상의 의의를 알고 비천의 의의를 예로 삼는다. 숭상은 하늘을 본받고 비천은 땅을 본받는다. 천지가 위를 정하고 역이 그 가운데 행하는것이다. 있는것을 있게하는것으로 본질을 이룬다. 의로 그 문을 통해 들어가는것이다.


第六章 聖人有以見天下之賾,而擬諸其形容,象其物宜,是故謂之象。聖人有以見天下之動,而觀其會通,以行其典禮,繫辭焉以斷其吉凶,是故謂之爻。言天下之至賾而不可惡也,言天下之至動而不可亂也。擬之而後言,議之而後動,擬議以成其變化。「鳴鶴在陰,其子和之。我有好爵,吾與爾靡之。」子曰:「君子居其室,出其言善,則千里之外應之,況其邇者乎!居其室,出其言不善,則千里之外違之,況其邇者乎!言出乎身加乎民;行發乎邇見乎遠。言行,君子之樞機;樞機之發,榮辱之主也。言行,君子之所以動天地也,可不慎乎!」「同人,先號咷而後笑。」子曰:「君子之道,或出或處,或默或語。二人同心,其利斷金。同心之言,其臭如蘭。」

제6장
성인이 세상의 이치를 궁구한바가 있으니 모든 그 형용하는바를 헤아린다. 그 물건의 마땅한바가 형상이요, 이런까닭에 그것을 소위 상이라한다. 성인이 세상의 돌아가는바를 궁구한바가 있으니 그 회통하는바를 살핀다. 그 전례를 행함으로 말을 이어매니 그 길흉을 판단한다. 이런까닭에 그것을 소위 효라한다. 말이 천하의 지극히 깊은바에 이르니 미워할수없고 말이 천하의 지극히 움직이는바에 이르니 어지러울수없다. 그것을 헤아리고나서 말하며 그것을 분간하고나서 움직인다. 의의는 그변화를 이루는바이다. '우는 학이 그늘에 있어 (보이지 않으나) 그 새끼가 그에 화답한다. 내가 벼슬을 좋아하는바가 있으니 내가 너와 함께 호사한다.' 공자왈, '군자가 그 집에 거하여 그 말을 좋게 내니 천리밖에서도 그것에 응하는바 그 가까이에있는자는 어떠하겠는가? 그 방에 거하여 그 말을 좋지않게 내니 천리밖에서도 그것을 피한다. 하물며 그 가까이에있는자는 어떠하겠는가? 말이 몸에서나와 모든 사람들에게 미치고 행동이 발하여서는 가까이에서뿐만아니라 먼곳에서도 보인다. 언행이야말로 군자의 추기[51]일것이다. 추기가 발현하여 영욕의 주된바를 이룬다. 언행은 군자가 천지를 움직이는 바인것이니 소홀히하여 삼가하지않을수있겠는가?' '동인은 우선 노래를 부르고 (서로를 알아본) 연후에 웃는다' 공자왈, '군자의 도는 혹 나아가건 혹 어디에 처하건 혹 침묵하건 혹 말하건 두사람이 같은마음이다. 그 이로운바가 황금에 견줄바가못된다. 한마음의 말은 그 향기가 난초의 그것과 같다.'

第七章   「初六,藉用白茅,无咎。」子曰:「苟錯諸地而可矣。藉之用茅,何咎之有!慎之至也。夫茅之為物薄而用可重也,慎斯術也以往,其无所失矣。」「勞謙,君子有終,吉。」子曰:「勞而不伐,有功而不德,厚之至也;語以其功下人者也。德言盛,禮言恭;謙也者,致恭以存其位者也。」「亢龍有悔。」子曰:「貴而无位,高而无民,賢人在下位而无輔,是以動而有悔也。」「不出戶庭,无咎。」子曰:「亂之所生也,則言語以為階。君不密則失臣,臣不密則失身,幾事不密則害成;是以君子慎密而不出也。」子曰:「作易者,其知盜乎!易曰:『負且乘,致寇至。』負也者,小人之事也。乘也者,君子之器也。小人而乘君子之器,盜思奪之矣。上慢下暴,盜思伐之矣。慢藏誨盜,冶容誨淫。易曰:『負且乘,致寇至。』盜之招也。」

제7장
 초육 자용백모 무구(初六, 藉用白茅,无咎)하니 '하얀띠풀로 깔개에 쓴다. 허물이 없다'[52] 공자왈, 구차히 땅에 둘수있지않은가? 하얀띠풀를 사용해 깔개로한다. 어찌 그것이 허물이겠는가? 그것이 삼가함에이른것이다. 무릇 띠풀이 물건으로는 야박하나 쓰임은 중할수있다. 삼가함은 가벼운 방법으로 (이왕에) 여길수있으나 그것이 잃는바가 없도록하지않는가! 노겸군자 유종길(勞謙君子,有終吉)하니 '힘써 겸손한 군자는 끝이있고 길하다.'[53] 공자왈, 노력하지만 자랑하지않고 공이있으나 덕으로 여기지않는다. 후함이 지극한바이다. 그 공을 아랫사람 돌린다. 덕은 성대함을 말하고 예는 공손함을 말한다. 겸손하다라는것은 그 위치에 있는바로써 그만큼 공손함에 이른것이다. 항룡유회(亢龍有悔)하니 '항룡은 하늘과 더불어야하는 자신의 처지를 살피니 자신의 부족함을 뉘우친다.'[54] 공자왈, 너무 귀하니 있을 자리가 없고 너무 높으니 백성이 더불어 있을수없다. 현인이 아래에 처하니 도울바가없고 이것이 움직이니 후회가 있다는것이다. 불출호정 무구(不出戶庭,无咎)하니 '집뜰로 나아가지않는다. 허물은 없다.' [55] 공자왈, 어지러움의 생겨나는바이다. 즉 언어가 그 실마리이다. 군주가 주밀하지않으면 신하를 잃고 신가가 주밀하지않으면 몸을 잃으며 일의 기미가 주밀하지않으면 이루는바가 손해를 본다. 이것이 군자가 주밀함을 삼가하여 나아가지 않는바이다. 공자왈, 역을 지은이는 아마도 도둑질을 알고 있었을것이다. 역왈, 짐을 지고 올라타니 도적을 불러 이른다. 짐을 지다라고하는것은 소인의 일이다. 올라서 탄다는것은 군자의 기물이다. 소인이 군자의 기물에 올라탄것이다. 도적이 그것을 훔칠것을 생각한다. 위는 거만하고 아래는 싸납다. 도둑이 그것을 빼앗으려한다. 감추는것을 게을리하면 도둑을 가르치는것이다. 얼굴을 치장하는것은 미혹하는것이다. 역왈, 짐을 지고 올라타니 도적을 불러 이른다는것은 도둑을 손짓하는것이다.

第八章  大衍之數五十,其用四十有九,分而為二以象兩,掛一以象三,揲之以四以象四時,歸奇於扐以象閏,五歲再閏,故再扐而後掛。天數五、地數五,五位相得而各有合。天數二十有五,地數三十;凡天地之數五十有五,此所以成變化而行鬼神也。乾之策,二百一十有六,坤之策,百四十有四,凡三百有六十,當期之日。二篇之策,萬有一千五百二十,當萬物之數也。是故四營而成易,十有八變而成卦,八卦而小成;引而伸之,觸類而長之,天下之能事畢矣。顯道神德行,是故可與酬酢,可與祐神矣。

제8장
대연은 50[56]의 수이다. 그중에 49를 사용한다. (50개를 위아래로해서) 이것을 둘로 나누어 놓아 양의를 표현한다. (윗쪽에서) 1개를 (가운데에 세워) 걸어 삼재[57][58]로 표현한다. 이것을 4회 세어 사계를 표현한다. 5년마다 윤달이 돌아온다. 고로 효를 건후에 다시 손가락사이(4번)에서 셈한다. 천수는 5, 지수도 5이다. 천지의 5위가 각각 더해 서로 합한다. 하늘은 합하여 25이다. 땅은 합하여30이다. 무릇 천지의 수가 합하여 55인데[59] 이것이 소위 변화를 이루는바이며 귀신이 행하는바이다. 건이 그것을 보이니 216이며[60] 곤이 그것을 보이니 144이다.[61] 무릇 합하여 360인데 음력해의 날수이다. 2편으로 산가지를 보인다.[62] 11520은[63] 마땅한 만물의 수이다. 이런까닭에 4개가 경영하여 역을 이룬다. 18개가 변하여 괘를 이룬다.[64] 8괘는 소성이다. 그것을 끌어 펼쳐서 종류에 닿고 그것을 기른다. 천하가 능히 그일을 마치는바이다. 도를 드러내 신기하게 덕을 행하며 이런까닭에 (모든것과) 더불어 수작[65][66]할수있으며 신이 돕는바를 함께할수있는것이다.

第九章   子曰:「知變化之道者,其知神之所為乎!」易有聖人之道四焉:以言者尚其辭,以動者尚其變,以制器者尚其象,以卜筮者尚其占。是以君子將有為也,將有行也,問焉而以言,其受命也如響,无有遠近幽深,遂知來物。非天下之至精,其孰能與於此!參伍以變,錯綜其數,通其變,遂成天下之文,極其數,遂定天下之象;非天下之至變,其孰能與於此!易,无思也,无為也,寂然不動,感而遂通天下之故。非天下之至神,其孰能與於此!夫易,聖人之所以極深而研幾也!唯深也,故能通天下之志;唯幾也,故能成天下之務;唯神也,故不疾而速,不行而至。子曰:「易有聖人之道四焉。」者,此之謂也。

제9장

공자왈, 변화의 도(道)를 안다고 하는것은 바야흐로 (일이)되어지는바의 신묘함을 아는것이다. 역(易)은 성인의 도 4가지가 있다는것이다. 말하는것으로써 그 사(辭)를 주관한다. 움직이는것으로써 그 변(變)을 주관한다. 기(器)를 제어하는것으로써 그 상(象)을 주관한다. 산가지로 헤아림으로써 그 점(占)을 주관한다. 이로써 군자가 장차 이루는바가 있는것이다. 장차 행하는바가있는것이다. 말로써 묻는바가 있는것이다. 그 명을 받음이 응답함같다. 없건있건멀건가깝건어둡건깊건 사물에응해 알따름이다. 천하의 지극한 정밀함이 아니고서야 그 누가 이것과 더불어 함께할수있겠는가? 셋이 변함으로써 다섯이 되는것은 그 수를 뒤섞고 합하기때문이다. 그 변화에 통하면 천하의 현상을 쫓아 이루고 그 수(數)를 극히 다하면 천하의 이치를 따라 이룬다. 천하의 지극한 변화무쌍함이 아니고서야 그 누가 이것과 더불어 함께할수있겠는가? 역은 생각함이 없는것이다. 하는바가 없는것이다. 적연히 부동한다. 천하의 이치에 통해서 감응하고 쫓는것이다. 천하의 지극한 신묘함이 아니고서야 그 누가 이것과 더불어 함께할수있겠는가? 대저 역은 성인의 (앎이) 깊음에 극에 달하고 조짐에 자세히 밝은 바인것이다. 오직 깊어야하는것이다. 고로 능히 천하의 뜻에 통한다. 오직 미묘하여야하는것이다. 고로 능히 천하의 소임을 다할수있는것이다. 오직 신묘해야하는것이다. 고로 빠르지 않음으로 빠르게 되는것이다. 가지않음으로서 이르게되는것이다. 공자왈,'역은 성인의 도 4가지가 있는것이다'라는것은 소위 이것이다.

第十章 天一、地二、天三、地四、天五、地六、天七、地八、天九、地十。子曰:「夫易,何為者也?夫易,開物成務,冒天下之道,如斯而已者也。」是故聖人以通天下之志,以定天下之業,以斷天下之疑。是故蓍之德圓而神,卦之德方以知,六爻之義易以貢;聖人以此洗心,退藏於密,吉凶與民同患,神以知來,知以藏往,其孰能與此哉?古之聦明叡知神武而不殺者夫!是以明於天之道,而察於民之故,是興神物以前民用;聖人以此齊戒以神明其德夫!是故闔戶謂之坤,闢戶謂之乾,一闔一闢謂之變;往來不窮謂之通,見乃謂之象,形乃謂之器,制而用之謂之法,利用出入,民咸用之謂之神。 [67]

제10장
하늘에 1, 땅에 2, 하늘에 3, 땅에 4, 하늘에 5, 땅에 6, 하늘이 7, 땅이 8, 하늘이 9, 땅이 10이다.[68] 공자왈, '무릇 역은 어떻게 하게하는것인가? 사물을 열어 힘써 이룬다. 천하의 도를 무릅쓰고 다함만 같이 할뿐이다.' 이런까닭에 성인이 천하의 뜻에 통하고 천하의 업에 정하고 천하의 의문을 결단하는것이다. 이런까닭에 시초의 덕은 둥글고 신령하다. 괘의 덕은 모나고 지혜롭다. 육효의 의는 바뀌고 고하는바이다. 성인은 이로써 마음을 닦고 물러나 은밀한것에 숨긴다. 길흉은 백성과 더불어 우환을 같이한다. 미래를 살피니 신묘하다. 과거를 숨기니 지혜롭다. 그 누가 능히 이것과 더불어 같을수있겠는가? 옛날에 총명하고 예지있는 신묘한 무예는 살상을 하지 않는 자도다! 이것이 하늘의 도를 잘아는것이며 백성의 연유를 잘 살피는것이다. 이것이 신물과 더불어 먼저 백성이 사용한다. 성인이 이것으로 경계할바를 가지런히하고 신으로 그 덕을 밝히도다! 이런까닭에 문을 닫으니 그것이 소위 곤이다. 문을 여니 그것이 소위 건이다. 한번닫고 한번 여니 그것이 소위 변이다. 과거와 미래가 막히지 않으니 그것이 소위 통이다. 이내 보이니 그것이 소위 상이다. 이내 형태를 띠니 그것이 소위 기이다. 그것을 제어하고 또한 쓰니 그것이 소위 법이다. 들고나며 이롭게 사용하니 백성이 감응하고 사용한다. 그것이 소위 신이다.

第十一章   是故易有太極,是生兩儀,兩儀生四象,四象生八卦,八卦定吉凶,吉凶生大業。是故法象莫大乎天地;變通莫大乎四時;縣象著明莫大乎日月;崇高莫大乎富貴;備物致用,立成器以為天下利,莫大乎聖人;探賾索隱,鉤深致遠,以定天下之吉凶,成天下之亹亹者,莫大乎蓍龜。是故天生神物,聖人則之。天地變化,聖人效之。天垂象,見吉凶,聖人象之。河出圖,洛出書,聖人則之。易有四象,所以示也。繫辭焉,所以告也。定之以吉凶,所以斷也。易曰:「自天祐之,吉无不利」。子曰:「祐者,助也。天之所助者,順也。人之所助者,信也。履信思乎順,又以尚賢也,是以『自天祐之,吉无不利。』也。」

제11장
이런까닭에 역은 태극이 있다. 이것이 양의를 생기게한다. 양의는 사상을 생기게한다. 사상은 팔괘를 낳는다. 팔괘는 길흉을 정한다. 길흉은 대업을 낳는다. 이런까닭에 현상의 이치를 궁구하는것은 천지보다 더 큰것은없다. 변화에 통하는것은 사계보다더 큰것은 없다. 현상을 분명히 나타내보이는것은 일월보다 큰것이 없다. 높은것을 존중하는것은 부귀보다 큰것이 없다. 사물을 갖추어 사용함이 지극한것으로 기물을 만들어 세우니 천하를 이롭게하는것이 성인보다 큰것은 없다. 깊은바를 찾고 숨은바를 탐색하는것, 심오한것을 따져보아 광대함에 이르는것, 천하의 길흉을 정함으로 천하의 징조를 살피는것은 시귀보다 큰것은없다. 이런까닭에 하늘이 신물을 낳는바이며 성인이 그것을 본다아 따져보는바인것이다. 천지변화는 성인이 그것을 밝힌다. 하늘이 길흉을 보여주는 징후을 전하니 성인이 그 형상을 본받는다. 황하에서 하도가 나오고 낙하에서 낙서가 나오니 성인이 그것을 궁구한다. 역은 사상이 있어 이것이 드러나 나타나는것이다. 계사는 이를 알리는것이다. 그것을 길흉으로 정하여 분별하는 이유이다. 역왈, 스스로 돕는바를 하늘은 도우니 이롭지않은바가 없다. 공자왈, 우(祐)자는 돕는다는것이다. 하늘의 돕는바라는것은 순응인것이다. 사람의 돕는바라는것은 믿는다는것이다. 믿는바를 행하고 순응에서 생각한다. 이것이 또한 현명함을 존중하는것이다. 이것이 자천우지길무불리(自天祐之,吉无不利)인것이다.

第十二章   子曰:「書不盡言,言不盡意。然則聖人之意,其不可見乎?」子曰:「聖人立象以盡意,設卦以盡情偽,繫辭以盡其言,變而通之以盡利,鼓之舞之以盡神。」乾坤,其易之縕邪!乾坤成列,而易立乎其中矣。乾坤毀,則无以見易,易不可見,則乾坤或幾乎息矣。是故形而上者謂之道,形而下者謂之器,化而裁之謂之變,推而行之謂之通,舉而錯之天下之民謂之事業。是故夫象,聖人有以見天下之賾,而擬諸其形容,象其物宜,是故謂之象。聖人有以見天下之動,而觀其會通,以行其典禮,繫辭焉以斷其吉凶,是故謂之爻。極天下之賾者存乎卦;鼓天下之動者存乎辭;化而裁之存乎變;推而行之存乎通;神而明之存乎其人;默而成之不言而信存乎德行。

제12장
공자왈, 글자는 말을 완수하지못한다. 말은 생각을 완수하지못한다. 그렇다면 성인의 생각은 볼수없다는것인가? 공자왈, 성인은 형상으로 표현하여 생각을 온전히 완수한다. 괘를 베풀어 성정이 어떠한지 나타내보이려고한것이다. 계사로 그 말을 완수하려하는것이다. 그것들이 변하고 통하는바로 이로운바를 완수하려는것이다. 춤과 악기로 정신을 다하려한것이다. 건곤은 그 역의 어긋남을 갈무리하는구나! 건곤이 열을 이루니 역이 그 가운데에서 세워진다. 건곤이 손상을 입으면 역이 보이지 않고 역이 보이지않으면 건곤이 그 활동이 잦아든것일것이다. 이런까닭에 위에서 형태를 이루는것 그것이 소위 도이다. 아래에서 형태를 이루는것 그것이 소위 기이다. 화하여 결정되는것 그것이 소위 변이다. 밀고 나아가니 그것이 소위 통이다. 천하의 백성에 들어붙으니 그것이 소위 사업이다. 이런까닭에 무릇 상은 성인이 천하의 은밀한바를 보이는바가 있는것이다. 모든것을 헤아리어 그 형태를 띠는바요 상은 그 물건이 알맞는바이다. 이런까닭에 그것이 소위 상이다. 그 전례를 행함으로 그 회통하는바를 살피니 성인이 천하의 움직이는바를 보이는바가 있는것이다. 계사는 그 길흉을 결단한다. 이런까닭에 그것이 소위 효이다. 천하의 극히 깊은바는 괘에 있는것이다. 천하의움직임을 두드리는바는 사에 있는것이다. 화하여 결정되는것 그것은 변에있다. 밀고 나아가니 그것은 통에있다. 그것이 신명한것은 그 사람에게있다. 묵묵히 이루며 말이 없으나 믿을수있음은 덕행에 있다.

繫辭 (下)

편집

第一章   八卦成列,象在其中矣。因而重之,爻在其中矣。剛柔相推,變在其中矣。繫辭焉而命之,動在其中矣。吉凶悔吝者,生乎動者也。剛柔者,立本者也。變通者,趣時者也。吉凶者,貞勝者也。天地之道,貞觀者也。日月之道,貞明者也。天下之動,貞夫一者也。夫乾,確然示人易矣。夫坤,隤然示人簡矣。爻也者,效此者也。象也者,像此者也。爻象動乎內,吉凶見乎外,功業見乎變,聖人之情見乎辭。天地之大德曰生,聖人之大寶曰位,何以守位曰仁,何以聚人曰財,理財正辭禁民為非曰義。

제1장
팔괘는 순서를 이룬다. 상은 그 가운데이 있다. 그것으로 인하고 그것으로 거듭되는바는 효가 그 중심에 있는바이다. 강함과 부드러움이 서로 밀고 당기니 변화가 그 가운데에 있는것이다.계사라는것이 그 명을 받들어 움직이니 그 가운데 거한다. 길흉회린이라는것은 움직임에서 생기고 강유는 근본에서 일어난다. 통하여 변하는바에는 때에 맞는 취지가 있는것이다. 길흉은 바름으로 (끝내)승리할수있다. 천지가 작동하는 이치는 바름으로(만이 온전히) 살필수있다. 일월의 이치는 밝음으로 바름이며 세상의 돌아가는 이치는 무릇 하나로 바르게 하는것이다.[69] 무릇 건은 확연히 사람이 바뀜을 보이고 무릇 곤은 순순히 사람이 단순함을 보인다. 효라고 하는것은 이것들의 효과인것이다. 상이라고 하는것은 이것들의 현상인것이다. 효상이 안에서 움직이고 길흉이 밖에서 들어난다. 노력이 결과를 만드니 변화인것이다. 성인의 감정이 사에 배어 스며들어있는것이다. 천지의 큰덕을 왈, '생'이라하고 성인의 큰보물을 왈, '위'라고 하는것은 어찌 위(位)[70]를 지키기에 사랑이라부르고 사람이 취하기에 재물이라 칭하며 그 재물을 (균형에서)다스리고 언사(言辭)를 바르게 하여 백성과 더불어 함께하니 이를 의[71]라고 하지 않겠는가?

第二章   古者包犧氏之王天下也,仰則觀象於天,俯則觀法於地,觀鳥獸之文,與地之宜,近取諸身,遠取諸物;於是始作八卦,以通神明之德,以類萬物之情。作結繩而為罔罟,以佃以漁,蓋取諸離。包犧氏沒,神農氏作,斲木為耜,揉木為耒,耒耨之利,以教天下,蓋取諸益。日中為市,致天下之民,聚天下之貨,交易而退,各得其所,蓋取諸噬嗑。神農氏沒,黃帝、堯、舜氏作,通其變,使民不倦;神而化之,使民宜之;易窮則變,變則通,通則久;是以自天祐之,吉无不利。黃帝、堯、舜垂衣裳而天下治,蓋取諸乾坤。刳木為舟,剡木為楫,舟楫之利以濟不通,致遠以利天下,蓋取諸渙。服牛乘馬,引重致遠以利天下,蓋取諸隨。重門擊柝以待暴客,蓋取諸豫。斷木為杵,掘地為臼,臼杵之利,萬民以濟,蓋取諸小過。弦木為弧,剡木為矢,弧矢之利,以威天下,蓋取諸睽。上古穴居而野處,後世聖人易之以宮室,上棟下宇,以待風雨,蓋取諸大壯。古之葬者,厚衣之以薪,葬之中野,不封不樹,喪期无數,後世聖人易之以棺槨,蓋取諸大過。上古結繩而治,後世聖人易之以書契,百官以治,萬民以察,蓋取諸夬。

제2장
옛날에 복희씨가 천하를 다스렸다. 우러러보아 하늘에 상을 살피고 굽어보아서는 땅에 꼴을 살폈다. 금수의 글을 살펴보았다. 땅의 마땅함과 더불어 가까이는 일신에서 취하고 멀리서는 사물에서 취한바이다. 이처럼 처음으로 팔괘를 만들어 신명한 덕에 통하였고 만물의 정리에 달하였다. 밧줄을 사용하여 그물을 짜고 이로써 사냥하고 고기잡이하였다. 이는 모두 서로가 서로를 돕는바에서 취한것이다. 복희씨가 죽고 신농씨가 이어받았다. 나무를 깍아 보습으로 하고 나무를 휘어잡아 가래로 하였다. 뢰누는 경작의 이로운바이다. 이로써 천하가 따랐다. 이는 대개 생산성을 취한것이다. 낮에는 시장이 형성되었다. 천하의 백성들이 이르렀다. 천하가 재화를 취하고 교역이 물러난바이다. 각자 그 원하는 바를 얻으니 윗턱이빨이 아래턱이빨과 서로 맞물려 씹게되는 이치인것이다. 신농씨가 죽고 황제와 요,순씨가 이어받았다. 그 변화에 통하여 백성이 게으르지 않게 하였다. 백성이 이를 마땅한바로 여김에 자연스럽게 그것이 잘 어우러지게 하였다. 역이라고하는것은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한다. 통하면 더불어 함께할수있다. 이것이 곧 그것을 하늘이 스스로 돕는바인것이다.이롭지않은바가 없으니 길하다. 황제, 요, 순씨가 의복의 이로운바로 천하를 다스린바이다. 이는 대개 건곤의 덕이다. 나무를 가르고 파내어 배를 짜고 나무를 깎고 다듬어 노를 만든다. 배와 노의 이로운바는 끊어져 통하지 않은바도 건널수있고 이어줄수있으니 천하를 이롭게함이 멀리에 까지 미친다. 이는 대개 흩어질 환(渙)에서 취함이다. 소를 멍에를 메우고 말을 길들여 타는것은 중한바를 인도하여 천하를 이롭게함이 멀리에 까지 끼치는것이다. 이는 대개 따를 수(隨)를 취함이다. 대문을 겹겹히 잠그고 딱따기를 쳐서 소리로 난폭한 이를 경계하는것은 대개 예(豫)에서 취함이다. 나무를 조각하여 공이를 만들고 땅을 움푹 파내어 절구로 삼음은 구저의 이로운바로 만민을 유익하게하는바이니 대개 소과(小過)에서 취함이다. 나무로 활시위를 매달아 활을 삼고 나무를 뾰족하게 하여 화살을 만든다. 호시의 이로운바는 천하를 위엄하는바이니 대개 규(睽)에서 취한것이다. 아주 오랜 옛날 동굴로 집을 삼아 처하였으며 후세에 성인이 집을 지어 이것을 대신하여 바꾸니 위에는 천장이 받치고 있고 아래는 집의 본체가 비바람을 막게 했다. 이는 대개 대장(大壯)에서 취함이다. 고대에 장사지냄은 섶으로 두터운옷으로 삼았고 들녘중에 그것을 장사했으며 봉분하지 않았고 묘비하지않았고 상을 치르나 기일을 세지않았다. 후세의 성인이 (상을 치름에 예를 정하고) 관곽으로 대신하여 바꾸니 이는 대개 대과(大過)에서 취함이다. 아주 옛날에는 줄을 묶어 의사를 확인하여 일을 치렀으나 후세의 성인이 부호를 정하여 의사를 분명히 하여 이를 대신하여 바꾸니 백관이 이로써 일을 처리하게되었고 만백성이 이를 살펴 알수있게되었다. 이는 대개 쾌(夬)를 취한것이다.

第三章   是故易者,象也。象也者,像也。彖者,材也。爻也者,效天下之動者也。是故吉凶生而悔吝著也。陽卦多陰,陰卦多陽,其故何也?陽卦奇,陰卦耦。其德行何也?陽一君而二民,君子之道也。陰二君而一民,小人之道也。易曰:「憧憧往來,朋從爾思。」子曰:「天下何思何慮!天下同歸而殊塗,一致而百慮,天下何思何慮!」日往則月來,月往則日來,日月相推而明生焉。寒往則暑來,暑往則寒來,寒暑相推而歲成焉。往者,屈也;來者,信也。屈信相感而利生焉。尺蠖之屈,以求信也。龍蛇之蟄,以存身也。精義入神,以致用也。利用安身,以崇德也。過此以往,未之或知也。窮神知化,德之盛也。

제3장
이런까닭에 역은 상이다. 상이라고하는것은 형상인것이다. 단은 재질이다. 효라는것은 작용인것이다. 천하의 움직이는바이다. 이런까닭에 길흉은 생기고 회린은 드러나 나타나는것이다. 양괘는 음이 많고 음괘는 양이 많은바이다. 그런까닭은 무엇인가? 양괘는 홀수이며 음괘는 짝수인것이다. 그덕이 행함은 어떠한가? 양은 임금이 하나요 백성이 둘인것이며 군자의 도이다. 음은 임금이 둘이며 백성이 하나인것이다. 소인의 도인것이다. 역왈, '동동왕래 붕종이사(貞吉悔亡,憧憧往來,朋從爾思)'[72] 공자왈, '천하가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염려하는가? 천하가 각기 그 길은 다르나 마침내 돌아가는곳은 같은곳이니 백가지 염려가 하나에 이른다. 천하가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염려하겠는가!' 낮이 가면 밤이 오고 밤이 가면 낮이 온다. 일월이 서로 밀고 당김은 밝음을 내보이는것이다. 추위가 가면 더위가 오고 더위가 가면 추위가 온다. 한서가 서로 밀고 당김은 세월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가는것은 물러나는것이고 오는것은 믿는것이다. 굴신이 서로 감응하는것은 이로운바가 생기는것이다. 자벌레의 물러남은 믿음을 구하는것이다. 용사의 칩거는 몸을 보존하는것이다. 정의가 입신하는것은 씀에 이른것이다. 이로움을 사용하여 몸을 평안히 하는것은 덕을 숭상하는것이다. 이것이 허물인것은 가는바이며 아직 알지못하는바이다. 아는바가 궁하면 덕이 성하는바인것이다.

第四章   易曰:「困于石,據于蒺蔾,入于其宮,不見其妻,凶。」子曰:「非所困而困焉,名必辱;非所據而據焉,身必危;既辱且危,死期將至,妻其可得見耶!」易曰:「公用射隼于高墉之上,獲之,无不利。」子曰:「隼者,禽也;弓矢者,器也。射之者,人也。君子藏器於身,待時而動,何不利之有。動而不括,是以出而有獲,語成器而動者也。」子曰:「小人不恥不仁,不畏不義,不見利不勸,不威不懲,小懲而大誡,此小人之福也。易曰:『履校滅趾,无咎。』此之謂也。」善不積不足以成名,惡不積不足以滅身,小人以小善為无益而弗為也,以小惡為无傷而弗去也;故惡積而不可揜,罪大而不可解。易曰:「何校滅耳,凶。」子曰:「危者,安其位者也。亡者,保其存者也。亂者,有其治者也。是故君子安而不忘危,存而不忘亡,治而不忘亂,是以身安而國家可保也。易曰:『其亡其亡,繫于苞桑。』」子曰:「德薄而位尊,知小而謀大,力小而仟重,鮮不及矣。易曰:『鼎折足,覆公餗,其形渥,凶。』言不勝其任也。」子曰:「知幾其神乎!君子上交不諂,下交不瀆,其知幾乎!幾者,動之微,吉之先見者也。君子見幾而作,不俟終日。易曰:『介于石,不終日,貞吉。』介如石焉,寧用終日,斷可識矣。君子知微知彰,知柔知剛,萬夫之望。」子曰:「顏氏之子,其殆庶幾乎!有不善,未嘗不知;知之,未嘗復行也。易曰:『不遠復,无祇悔,元吉。』」天地絪縕,萬物化醇。男女構精,萬物化生。易曰:「三人行,則損一人;一人行,則得其友。」言致一也。子曰:「君子安其身而後動,易其心而後語,定其交而後求。君子脩此三者,故全也。危以動,則民不與也。懼以語,則民不應也。无交而求,則民不與也。莫之與,則傷之者至矣。易曰:『莫益之,或擊之。立心勿恒,凶。』」

제4장
역왈, '곤우석 거우질려 입우기궁 불견기처 흉(困于石,據于蒺藜,入于其宮,不見其妻,凶)'[73] 공자왈, '곤란한바가 아니나 곤란하다는것은 이름이 욕봄이 있다는것이다. 의지하는바가 아니나 의지한다는것은 몸이 위태함이 있다는것이다. 이미 욕보고 또한 위태하다. 죽음의 시기가 장차 이른다. 아내가 그것을 볼수밖에 없구나!' 역왈, '공용석준 우고용지상 획지 무불리(公用射隼,于高墉之上,獲之,无不利)'[74] 공자왈, '준이라는것은 맹금이다. 활과화살은 기계이다. 그것을 사용하는것은 사람이다. 군자는 몸에 그 기능을 갖추어 마땅한 때를 기대리고 움직인다. 어찌 이롭지않는바가 있겠는가? 움직임에 매임이 없다. 이것이 나아간 즉 (반드시) 획득하는바가 있다는것이다. 그 형태를 갖춘 기물의 (보이지않는 기능이)작동하는바를 이해한 것이다' 공자왈, '소인은 (행동이) 인이 아닌바에서 살피지않고 의가 아닌바에서 두려워하지 않는다. 이로움이 보이지 않으면 움직이지 않는다.징후는 미세하나 (그결과를 이미 알아 그 의미와 순간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안다면) 그 뉘우침은 크다(고한다). 이것은 소인이 복있는바이다.' 역왈,

第五章   子曰:「乾坤,其易之門邪!乾,陽物也;坤,陰物也。陰陽合德,而剛柔有體,以體天地之撰,以通神明之德。」其稱名也,雜而不越,於稽其類,其衰世之意邪!夫易,彰往而察來,而微顯闡幽,開而當名辨物,正言斷辭,則備矣。其稱名也小,其取類也大,其旨遠,其辭文,其言曲而中,其事肆而隱,因貳以濟民行,以明失得之報。

제5장
공자왈, 건곤은 역의 문이다. 건은 양물이다. 곤은 음물이다. 음양이 덕으로 합하고 강유가 몸을 얻는다. 몸으로 천지의 품는바이다. 통함으로 신명의 덕인바이다.

이에 이름을 칭한바이다. 그 종류를 상고함에 섞이어 넘지 않는다. 그 세상이 쇠퇴하는 의이다. 무릇 역은 과거를 밝혀 드러내어 미래를 통찰하는것이니 미미한것이 나타나 심오한것을 밝히는바이며 열어서 마땅한 이름으로 사물을 분별하는바이다. 언어를 온전히하고 글을 판단하니 준비다. 그 이름을 칭하니 작게 드러난다. 그 종류를 취하니 크게 보인다. 이제 그 취지는 원대하다. 그 글은 선미하다[75]. 그 말은 구부러지는바 균형을 이루며 그 일은 펼쳐서 늘어놓기도하고 숨겨져 감춰지기도한다. 2개로 말미암아 백성을 돕도록 행한다. 2개로 말미암아 밝히는바는 득실을 알게한다.

第六章   易之興也,其於中古乎!作易者,其有憂患乎!是故履,德之基也。謙,德之柄也。復,德之本也。恒,德之固也。損,德之脩也。益,德之裕也。困,德之辨也。井,德之地也。巽,德之制也。履,和而至。謙,尊而光。復,小而辨於物。恒,雜而不厭。損,先難而後易。益,長裕而不設。困,窮而通。井,居其所而遷。巽,稱而隱。履,以和行。謙,以制禮。復,以自知。恒,以一德。損,以遠害。益,以興利。困,以寡怨。井,以辯義。巽,以行權。

제6장
역의 흥함은 그것이 중정[76]에서 오랜바이다. 역을 지은이는 아마도 우환이 있었을 것이다. 이런까닭에 제10괘 리는 덕의 기초이다. 제15괘 겸은 덕의 자루이다. 제24괘 복은 덕의 근본이다. 제32괘 항은 덕의 굳건한바이다. 제41괘 손은 덕을 닦는바이다. 제42괘 익은 덕의 유연한바이다. 제47괘 곤은 덕의 변별하는바이다. 제48괘 정은 덕의 땅이다. 제57괘 손은 덕을 제어하는바인것이다. 따라서 제10괘 리는 화합하고 이르는것이다. 제15괘 겸은 존귀하고 빛나는것이다. 제24괘 복은 작으나 사물을 변별하는것이다. 제32괘 항은 섞이나 싫어하지않는것이다. 제41괘 손은 먼저는 어려우나 뒤에는 쉬운것이다. 제42괘 익은 늘 여유로우나 베풀지는 않는다. 제47괘 곤은 궁하니 통하는것이다. 제48괘 정은 그 곳에 거하니 옮겨가는것이다. 제57괘 손은 칭하나 숨는것이다. 그러므로 제10괘 리는 화평하게 행한다. 제15괘 겸은 절제하여 예에 맞는다. 제24괘 복은 스스로 안다. 제32괘 항은 덕이 한결같다. 제41괘 손은 멀어지는바로 해롭다. 제42괘 익은 흥하므로 이롭다. 제47괘 곤은 적음으로써 원망한다. 제48괘 정은 변별하니 의롭다. 제57괘 손은 움직이므로 권세다.

第七章   易之為書也不可遠,為道也屢遷;變動不居,周流六虛,上下无常,剛柔相易,不可為典要,唯變所適。其出入以度,外內使知懼。又明於憂患與故,无有師保,如臨父母。初率其辭而揆其方,既有典常,苟非其人,道不虛行。易之為書也,原始要終以為質也。六爻相雜,唯其時物也。其初難知,其上易知,本末也。初辭擬之,卒成之終。若夫雜物撰德,辨是與非,則非其中爻不備。噫,亦要,存亡吉凶,則居可知矣。知者觀其彖辭,則思過半矣。

제7장
역,이것은 문장에 담기는바 멀수없다. 이것은 도인바이니 자주 옮겨간다. 변화하고 움직이니 머무르지않는다.사방팔방[77]시공간을 두루 흐른다. 위아래가 변한다. 강유가 서로 바뀌니 요체를 전형화할수없다. 오직 적소에 변하고 그 출입이 이치에 맞으며 안팎으로 두려워해야함을 알게 한다. 또한 우환에서 연고를 더불어 밝히는것이다. 스승의 보호가 있고없고라기 보다 부모가 임하는것같다. 처음에는 그말이 대략이나 후에는 그 모두를 헤아린다. 이로써 이윽고 전상[78]이 갖추어진다. 구차히 비범하면 도가 행함이 허하지 않다. 역지위서야(易之為書也)하니 '역이 문장에 담긴다'라고 하는것은 시작이 있는곳에 끝이 있다[79][80]는것을 본질로하는까닭이다. 육효는 오직 그 시간과 공간과 물질에서 서로 뒤섞이는것이다. 그 처음은 알아보기 어렵고 그 상은 쉽게 알수있다.[81] 사건의 본말인것이다. 초효로 처음에는 그 말하는바를 의심하나 상효로 끝내는 그 결말을 이루는것이다. 이와같이 대저 잡물하여 덕을 품으니 시와 더부는 비를 보게된다. 따라서 그 중의 효가 준비하지 않은바가 없음을 아는것이다. 아아! 역시 주요하다. 존망길흉이 놓여있음을 알수있다. 안다는것은 괘와사를 본다는것이니 생각이 이미 절반을 넘어선것이다.

第八章   二與四,同功而異位,其善不同。二多譽,四多懼,近也。柔之為道,不利遠者,其要无咎,其用柔中也。三與五同功而異位,三多凶,五多功,貴賤之等也。其柔危,其剛勝邪。易之為書也,廣大悉備:有天道焉,有人道焉,有地道焉,兼三材而兩之,故六。六者,非它也,三材之道也。道有變動,故曰爻。爻有等,故曰物。物相雜,故曰文。文不當,故吉凶生焉。易之興也,其當殷之末世,周之盛德邪!當文王與紂之事邪!是故其辭危,危者使平,易者使傾,其道甚大,百物不廢,懼以終始,其要无咎;此之謂易之道也。

제8장
2효과 4효는 공은 같으나 위치가 다르다. 그 좋음이 서로 다르다. 2효는 명예가 많고 4효는 두려움이 많다. 가깝기때문이다. 부드러움이 그 도인것이다. 멀어서 이롭지 않다는것은 그 요가 허물이 없다는것이다. 3효와 5효가 공은 같으나 그 위치는 다르다. 3효는 흉함이 많고 5효는 공이 많다. 귀천이 같은것이다. 그 부드러움이 위태하고 그 강함이 이긴다는것이아닌가? 역이 문장에 담긴다는것은 (역이 비록)방대하나 모두 구비했다는것이다. 하늘의 길이 있으며, 사람의 길이 있으며, 땅의 길이 있도다. 겸해서 삼재니 그것을 둘로 짝한다. 고로 6이다. 6이라고 하는것은 다르지않다는것이다. 여전히 3재[82]의 길인것이다. 도는 변동이 있다. 고로 왈, 효다.효는 동등한바가 있다. 고로 왈, 물이다.물은 서로 섞인다. 고로왈, 글이다. 글은 마땅하지않는다. 고로 길흉이 생기는도다. 역이 일어나는바이다. 그 은나라시대의 말세에 주나라의 덕이 성하지않았던가? 문왕이 흥하고 주왕의 사건이 일어나지않았던가? 이런까닭에 그 말은 위태하고 위험한것은 평안하려고하는것이다. 역이 이러한 기울어지는바를 보여준다. 그 길이 심히 방대하다. 만물이 (폐하나 한편)폐하여지지않는다. 끝나는곳에서 다시 시작되는바를 두려워해야한다. 그것이 허물을 면하는바가있겠다. 이러한것이 소위 역의 길이다.

第九章   夫乾,天下之至健也;德行恒易以知險。夫坤,天下之至順也;德行恒簡以知阻。能說諸心,能研諸侯之慮,定天下之吉凶,成天下之亹亹者。是故變化云為,吉事有祥,象事知器,占事知來。天地設位,聖人成能;人謀鬼謀,百姓與能。八卦以象告,爻彖以情言,剛柔雜居,而吉凶可見矣。變動以利言,吉凶以情遷。是故愛惡相攻而吉凶生,遠近相取而悔吝生,情偽相感而利害生。凡易之情,近而不相得,則凶或害之,悔且吝。將叛者其辭慚,中心疑者其辭枝,吉人之辭寡,躁人之辭多,誣善之人其辭游,失其守者其辭屈。

제9장
무릇 건은 천하의 지극한 강건함이다. 항상 쉽게 위태로울바를 알기에 덕이 행해진다.[83] 무릇 곤은 천하의 지극히 순응하는바이다. 언제든지 간단히 막히는바를 알기에 덕이 행한다. 마음을 달랠수있다. 제후의 염려하는바를 궁구할수있다. 천하의 길흉을 정하고 천하의 부지런한바를 결과로 만든다. 이런까닭에 변화를 운운하고 길한것은 조짐이 있고 현상은 그릇임을 안다. 점사는 미래를 알고 천지는 위치를 베푼다. 성인이 능히 이루고 사람과 귀신은 꾀한다. 백성이 더불어 할수있다. 팔괘는 상으로 고하고 효사와 단사는 정으로 말한다. 강유는서로 섞이여 거하고 길흉을 보여준다. 움직임의 변화는 이로움으로써 말하고 길흉은 정으로 옮겨간다. 이런까닭에 애증은 서로 다투어 길흉이 생긴다. 원근은 서로 취하여 연민을 생기게한다. 감성과이성은 서로 감응하여 이해를 낳는다. 무릇 역의 정은 가까우면 서로 얻지않은즉 흉하고 해한다. 후회하고 또한 아낀다. 장차 배반하는것은 그 말이 부끄러우며 심중이 의심하는자는 그 말이 나뉘고 길인의 말은 적으며 조급한이의 말은 많다. 착한이를 속이는자의 그 말은 부유하며 그 지키는바를 잃은자는 그 말이 비굴할것이다.

說卦傳

편집
第一章

昔者,聖人之作易也, 幽贊於神明而生蓍。 參天兩地而倚數, 觀變於陰陽而立卦; 發揮於剛柔而生爻; 和順於道德而理於義; 窮理盡性以至於命。

제1장
옛적에 성인이 역(易)을 지엇다. 신명에서 깊이 도우니 막대기를 만들었다. 하늘을 땅과 짝하여 헤아리니 수(數)를 의지하는바가 있다. 음양에서 변화를 살피니 괘가 일어난다. 강하고 유함에서 뽑아 뿌리니 효를 낳는다. 도덕에서 화순하니 의에서 이치이다. 생명에서 지극함으로써 이치에 궁하고 성질에서 다한다.
第二章

昔者聖人之作易也,將以順性命之理。 是以立天之道,曰陰與陽; 立地之道,曰柔與剛; 立人之道,曰仁與義。 兼三才而兩之,故易六畫而成卦。 分陰分陽,迭用柔剛,故易六位而成章。

제2장
옛적에 성인이 역(易)을 지은것이다.장차 성명의 이치에 순응한다. 이에 천도를 세움으로써 왈, 음이 양과 함께한다. 땅의 도를 세움으로써 왈, 유가 강과 함께한다. 사람의 도를 세움으로써 왈, 인이 의와 함께한다. 삼재가 그 짝이 나란히 하니 이런까닭에 역이 6획으로 괘를 이룬다. 음을 나누고 양을 나누며 유함과 강함을 번갈아 쓰니 이런까닭에 역(괘)의 6위(位)가 글을 이룬다.


第三章

天地定位,山澤通氣,雷風相薄,水火不相射。 八卦相錯,數往者順,知來者逆。是故易逆數也。

제3장
천지가 위치를 정하고 산과 연못이 기를 통하며, 우레와 바람이 서로 가까워지고 물과 불이 서로 싫어하지 않는다. 팔괘가 서로 섞이어 수(數)가 가서 순응하니 앎으로 되돌아온다. 이런까닭에 역(易)의 역(逆)은 수(數)이다.
第四章

雷以動之,風以散之, 雨以潤之,日以烜之, 艮以止之,兌以說之, 乾以君之,坤以藏之。

제4장
우레는 그 움직이는바이다. 바람은 그 흩어지는바이다. 비는 물에 젖는바이다. 날은 불이 빛나는바이다.간은 멈추는바이다. 태는 기뻐하는 바이다. 하늘은 어진바이다. 땅은 숨기는바이다.
第五章

帝出乎震,齊乎巽,相見乎離,致役乎坤,說言乎兌,戰乎乾,勞乎坎,成言乎艮。

萬物出乎震,震,東方也。 齊乎巽,巽,東南也,齊也者,言萬物之潔齊也。 離也者,明也,萬物皆相見,南方之卦也。聖人南面而聽天下,嚮明而治,蓋取諸此也。 坤也者,地也,萬物皆致養焉,故曰致役乎坤。 兌,正秋也。萬物之所說也。故曰說;言乎兌。 戰乎乾,乾,西北之卦也。言陰陽相薄也。 坎者,水也,正北方之卦也,勞卦也,萬物之所歸也,故曰勞乎坎。 艮,東北之卦也,萬物之所成,終而所成始也,故曰成言乎艮。

제5장

으뜸은 (우레)진동함에서 나온다. 손에서 가지런하다. 이에서 서로 보인다. 곤에서 행하여 이른다. 태에서 기뻐하며 말한다. 건에서 싸운다. 감에서 일한다. 간에서 말이 이루어진다. 만물이 우레에서 나온다. 진이다. 동쪽이다. 가지런함은 손에서 나온다. 동남인것이다. 가지런하다고하는것은 만물의 간결하고 질서있음을 말한다. 이(離)라는것은 밝음이다. 만물이 모두 서로 (보고) 보인다.남쪽의 괘이다. 성인이 불이 (사물을)밝힘을 보고 천하를 들으니 (이를)밝음으로 다스린다. 무릇 이것을 취해 본받은것이다. 곤이라는것은 땅이다. 만물이 모두 자라나는것이다. 고로왈, 곤이 행하여 (다)이룬것이다고한다. 태는 정월가을이다. 만물이 기뻐하는바이다. 고로왈, 태에서 기뻐하여 말한다고하는것이다. 건에서 다툼은 하늘이다. 서북의 괘이다. 음양이 서로 사귐을 말한다. 감이라는것은 물이다. 정북쪽의 괘이다. 힘써 노력하는 괘이다. 만물이 (그 되)돌아가는바이다. 고로왈, 감에서 힘쓴다고 하는것이다. 간은 동북의 괘이다. 만물이 이루어지는바이다. 끝남에서 시작하는바이다. 고로왈, 간에서 말이 이룬다라고하는것이다.


第六章

神也者。妙萬物而為言者也。

動萬物者,莫疾乎雷。 橈萬物者,莫疾乎風。 燥萬物者,莫熯乎火。 說萬物者,莫說乎澤。 潤萬物者,莫潤乎水。 終萬物、始萬物者,莫盛乎艮。 故水火相逮,雷風不相悖,山澤通氣,然後能變化,既成萬物也。

제6장

신이라함은 만물의 미묘함을 말하는것이다. 만물이 움직이는바가 우레보다 (더) 빠를수는없다. 만물이 부드러운바가 바람처럼 민첩할수는없다. 만물이 건조한바가 불보다 더할수는없다. 만물이 기뻐하는바가 연못보다 더할수는없다. 만물이 윤택하기가 물보다 더할수는없다. 만물이 마치고 만물이 시작됨이 간(艮)보다 성할수는없다. (이런)까닭에 물과불이 서로 붙잡고 우레와 바람이 서로 거스르지않으며 산과연못이 기를 통한 연후에 능히 변화한다. (이로써)이미 만물이 이루어진것이다.

第七章

乾,健也。坤,順也。 震,動也。巽,入也。 坎,陷也。離,麗也。 艮,止也。兌,說也。

제7장

건(乾)은 건장이다. 곤(坤)은 순응함이다. 진(震)은 움직임이다. 손(巽)은 들어감이다. 감(坎)은 빠짐이다. 이(離)는 아름다움이다. 간(艮)은 멈춤이다. 태(兌)는 기쁨이다.

第八章

乾為馬。坤為牛。 震為龍。巽為雞。 坎為豕。離為雉。 艮為狗。兌為羊。

제8장

건(乾)은 말이다. 곤(坤)은 소이다. 진(震)은 용이다. 손(巽)은 닭이다. 감(坎)은 돼지이다. 이(離)는 꿩이다. 간(艮)은 개이다. 태(兌)는 양이다.

第九章

乾為首。坤為腹。 震為足。巽為股。 坎為耳。離為目。 艮為手。兌為口。

제9장

건(乾)은 머리이다. 곤(坤)은 배이다. 진(震)은 다리이다. 손(巽)은 넓적다리이다. 감(坎)은 귀이다. 이(離)는 눈이다. 간(艮)은 손이다. 태(兌)는 입이다.

第十章

乾天也,故稱乎父;坤地也,故稱乎母; 震一索而得男,故謂之長男;巽一索而得女,故謂之長女; 坎再索而得男,故謂之中男;離再索而得女,故謂之中女; 艮三索而得男,故謂之少男;兌三索而得女,故謂之少女。

제10장

건은 하늘이다. 고로 아버지로 칭한다. 곤은 땅이다. 고로 어머니로 칭한다. 진은 초효를 꼬아 추이(推移)하면 남을 얻으니 장남이다. 손은 초효를 꼬아 추이(推移)하면 여를 얻으니 장녀이다. 감은 두번째효를 꼬아 남을 얻으니 중남이다. 이는 두번째효를 꼬아 여를 얻으니 중녀이다. 간은 세번째효를 꼬아 남을 얻으니 소남이다. 태는 두번째효를 꼬아 여를 얻으니 소녀이다.

第十一章

乾爲天、爲圜、爲君、爲父、爲玉、爲金、爲寒、爲冰、爲大赤、爲良馬、爲老馬、爲瘠馬、爲駁馬、爲木果。 坤爲地、爲母、爲布、爲釜、爲吝嗇、爲均、爲子母牛、爲大輿、爲文、爲衆、爲柄。 其於地也爲黑。 震爲雷、爲龍、爲玄黃、爲敷、 爲大涂、爲長子、爲決躁、爲蒼筤竹、爲萑葦。 其於馬也,爲善鳴、爲馵足,爲的顙。 其於稼也,爲反生。 其究爲健,爲蕃鮮。 巽爲木、爲風、爲長女、爲繩直、 爲工、爲白、爲長、爲高、爲進退、爲不果、爲臭。 其於人也,爲寡髮、爲廣顙、爲多白眼、爲近利市三倍。 其究爲躁卦。 坎爲水、爲溝瀆、爲隱伏、爲矯輮、爲弓輪。 其於人也,爲加憂、爲心病、爲耳痛、爲血卦、爲赤。 其於馬也,爲美脊、爲亟心、爲下首、爲薄蹄、爲曳。 其於輿也,爲多眚。 爲通、爲月、爲盜。 其於木也,爲堅多心。 離爲火、爲日、爲電、爲中女、爲甲冑、爲戈兵。 其於人也,爲大腹,爲乾卦。 爲鱉、爲蟹、爲蠃、爲蚌、爲龜。 其於木也,爲科上槁。 艮爲山、爲徑路、爲小石、爲門闕、爲果蓏、爲閽寺、爲指、爲狗、爲鼠、爲黔喙之屬。 其於木也,爲堅多節。 兌爲澤、爲少女、爲巫、爲口舌、爲毀折、爲附決。 其於地也,爲剛鹵。 爲妾、爲羊。

제11장
건은 하늘이다. 둥근 원이다. 임금이다. 아버지다. 옥이다. 금이다. 춥다.얼음이다. 아주붉음이다. 좋은말, 늙은말, 여윈말,얼룩말,과실이다. 곤은 땅이다. 어머니이다. 베품이다. 가마솥이다. 아낌이다. 균일함이다. 어미소이다. 큰수레, 문장,무리,자루이다. 이것이 땅에서 검음이다라는것이다. 진은 우레이다. 용,현황(玄黃),펼침, 큰길,장자,성급한결단,푸른어린대나무,물억새갈대,그것은 말에서 또한 좋은 소리를 내는것이며, 발흰말의 다리이고 이마가 흰말의 이마이다. 그것은 농작물에서 또한 반만 잘익은것이며, 그 궁구는 튼튼하고 번성하고 고운것이다.손은 나무이다. 바람이고 장녀, 먹줄의 곧음이며 장인이다. 희다. 길다.높다. 진퇴.과감하지못함. 냄새이다. 그것은 사람에게서 또한 적은터럭숱. 넓은이마. 많은흰눈동자. 가까워이로우니 3배의 값이다. 그 궁극은 성급한 괘이다. 감은 물이다. 도랑.숨어엎드림.굳센 바퀴테.구부러진 바퀴. 그것은 사람에게서 또한 근심을 더함. 마음병. 이통(耳痛).혈괘. 붉음이다. 그것은 말에서 또한 아름다운 등짝. 급한마음. 아랫머리. 얇은발굽. 끌다. 그것은 수레에서 또한 많은 흐림이다. 통이다.월이다.도적이다. 그것은 나무에서 또한 견고한 뛰어난 의지이다. 이(離)는 불이다. 태양.뇌전.중녀.갑주.무기와전쟁. 그것은 사람에게서 또한 큰배. 건괘이다. 자라.게.소라.펄조개.거북이이다. 그것은 나무에서 또한 그루가 점점 여위어 파리해간다. 간은 산이다. 경로.작은돌.대궐문.열매과실.문지기.손가락.개.쥐. 검은부리의 족속이다. 그것은 나무에서 또한 견고한 많은 마디이다. 태는 연못이다. 소녀. 무당. 입과혀. 헐고꺽다. 붙고자른다. 그것은 땅에서 또한 단단한 소금. 첩. 양이다.

序卦傳 上,下

편집
上篇

有天地,然后萬物生焉。盈天地之間者,唯萬物,故受之以屯;屯者盈也,屯者物之始生也。物生必蒙,故受之以蒙;蒙者蒙也,物之穉也。物穉不可不養也,故受之以需;需者飲食之道也。飲食必有訟,故受之以訟。訟必有衆起,故受之以師;師者衆也。衆必有所比,故受之以比;比者比也。比必有所畜也,故受之以小畜。物畜然后有禮,故受之以履。履而泰,然后安,故受之以泰;泰者通也。物不可以終通,故受之以否。物不可以終否,故受之以同人。與人同者,物必歸焉,故受之以大有。有大者不可以盈,故受之以謙。有大而能謙,必豫,故受之以豫。豫必有隨,故受之以隨。以喜隨人者,必有事,故受之以蠱;蠱者事也。有事而后可大,故受之以臨;臨者大也。物大然后可觀,故受之以觀。可觀而后有所合,故受之以噬嗑;嗑者合也。物不可以苟合而已,故受之以賁;賁者飾也。致飾然后亨,則盡矣,故受之以剝;剝者剝也。物不可以終盡,剝窮上反下,故受之以復。復則不妄矣,故受之以無妄。有無妄然后可畜,故受之以大畜。物畜然后可養,故受之以頤;頤者養也。不養則不可動,故受之以大過。物不可以終過,故受之以坎;坎者陷也。陷必有所麗,故受之以離;離者麗也。

상편

천지가 있고난 연후에 만물이 생겼도다. 천지간에 충만하게 채워지니 이것이 만물이다. 고로 둔(屯)으로써 그것을 받는다. 둔은 찰 영인것이다. 둔은 사물의 처음 생겨나는바인것이다. 사물이 생겨나면 반드시 그것이 (시작에서 어리니 이를) 몽(蒙)하다한다. 고로 몽으로써 그것을 받는다. 몽은 어두울 몽이다. 사물의 유치한바이다. 사물이 유치한바는 (아직)양육을 공급받지못한바이다. 고로 양육함을 공급받는 수(需)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공급받는것은 음식의 도인것이다. (음식의)먹을것에서는 반드시 (서로)다툼이 따른다. 이런까닭에 송사 송(訟)으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송사는 반드시 (편이 나뉘고 갈리어) 무리가 지어지니 뭇사람 사(師)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사(師)는 뭇사람 무리들이다. 무리들은 반드시 서로 비교하여 견주니 이런까닭에 그것을 비(比)로써 받는다. 비는 견줄 비이다. 견줌에는 반드시 축적하는바가 있다. 이런까닭에 작은 축적인 소축(小畜)으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물질이 축적된 연후에 예(禮)가 있게된다. 이런까닭에 이(履)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이는 (바른)행실을 이루어 이는 (덕으로) 크게 된다. (덕이 깊고 넓게 펼쳐지면)이런 연후에 평안해진다. 이런까닭에 클 태(泰)로써 이것을 이어받는다. 태는 통(通)하는것이다. (우선) 사물은 마침내 (막힘에 도달한다) 통할수없다. 이런까닭에 막힐 비(否)로 이어받는다. (그러나 이어서) 사물은 마침내 (통하게 된다) 막힐수없는것이다. 이런까닭에 그것을 동인(同人)으로 이어받는다. 사람들과 더불어 함께 모여서 뭉친 한 동아리가 되는것은 사물이 반드시 되돌아가는바인것다. 이런까닭에 그것을 대유(大有)로써 이어받는다. 큰바가 있다는것은 가득채울수없을 정도로 크다는것이다. 이런까닭에 겸허할 겸(謙)으로써 이어받는다. 큰바가있으니 겸손히 허(虛)할수있다는것은 미리(豫) 안다는것이다. 미리 알면 반드시 따른다. 이런까닭에 따를 수(隨)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기쁘게 사람을 따른다는것은 반드시 섬기는 일이 있다. 이런까닭에 곡식(穀食)벌레 충(蠱)으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충은 섬기는바 (즉 일)이다. 섬기는바가 있는것은 후에는 크게될수있다는것이다. 이런까닭에 그것을 임(臨)으로써 이어받는다. 임은 중히 여긴다는것이다. 사물의 중히여기는바를 안 연후에라야 살필수있다. 이런까닭에 그것을 관(觀)으로써 이어받는다. 실필수있는 연후라야 합하는바를 볼수 있다. 이런까닭에 그것을 서합(噬嗑)으로써 이어받는다. 서합은 합하는바이다. 사물이 합할수있을뿐 하나로 되어질수는없는것이다. 이런까닭에 그것을 비(賁)으로써 이어받는다. 비는 꾸미는것이다. 장식한 연후에라야 형통할수있으니 다한것이다. 고로 그것을 박(剝)으로써 받는다. 박은 깍이는것이다. 사물이 끝내는 다할수없는것이다. 위가 궁하고 깍이면 반대로 아래로 되는것이다. 고로 그것을 복(復)으로써 받는다. 되돌아가는것은 허망할것이다. 고로 무망으로써 그것을 받는다. 허무함이있은 연후에라야 (비로서 진정한것을) 축적할수있다. 고로 그것을 대축(大畜)으로 받는다. 사물을 간직한 연후에라야 먹이고 기를수있다. 고로 그것을 턱 이(頤)로써 받느다. 턱은 먹이고 기르는것이다. 먹이고 기르지않으면 움직일수없다. 고로 대과(大過)로써 그것을 받는다. 사물은 끝내 지나칠수없다.(미치는것이다.) 고로 감(坎)으로써 그것을 받는다. 감은 빠지는것이다. (몰입하여) 깊이 빠지는것은 아름답다. 고로 리(離)로써 그것을 받는다. 리는 아름다움인것이다.

下篇

有天地,然后有萬物;有萬物,然后有男女;有男女,然后有夫婦;有夫婦,然后有父子;有父子,然后有君臣;有君臣,然后有上下;有上下,然后禮儀有所錯。夫婦之道,不可以不久也,故受之以恒;恒者久也。物不可以久居其所,故受之以遯;遯者退也。物不可以終遯,故受之以大壯。物不可以終壯,故受之以晉;晉者進也。進必有所傷,故受之以明夷;夷者傷也。傷於外者,必反其家,故受之以家人。家道窮必乖,故受之以睽;睽者乖也。乖必有難,故受之以蹇;蹇者難也。物不可以終難,故受之以解;解者緩也。緩必有所失,故受之以損。損而不已,必益,故受之以益。益而不已,必決,故受之以夬; 夬者決也。決必有所遇,故受之以姤;姤者遇也。物相遇而后聚,故受之以萃;萃者聚也。聚而上者,謂之升,故受之以升。升而不已,必困,故受之以困。困乎上者,必反下,故受之以井。井道不可不革,故受之以革。革物者莫若鼎,故受之以鼎。主器者莫若長子,故受之以震;震者動也。物不可以終動,止之,故受之以艮;艮者止也。物不可以終止,故受之以漸;漸者進也。進必有所歸,故受之以歸妹。得其所歸者必大,故受之以豐;豐者大也。窮大者必失其居,故受之以旅。旅而無所容,故受之以巽;巽者入也。 入而后說之,故受之以兌;兌者說也。說而后散之,故受之以渙;渙者離也。物不可以終離,故受之以節。節而信之,故受之以中孚。有其信者,必行之,故受之以小過。有過物者,必濟,故受之既濟。物不可窮也,故受之以未濟終焉。

하편

천지가 있어 연후에 만물이 있다. 만물이 있고 연후에 남녀가 있다. 남녀가 있고 연후에 부부가 있다. 부부가 있고 연후에 부가가있다. 부자가 있고 연후에 군신이 있다. 군신이있고 연후에 상하가 있다. 상하가있고 연후에 예의를 갖추는바가 있다. 부부의 도는 장구하지않을수없다. 이런까닭에 항(恒)으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항은 장구한것이다. 사물이 이런까닭에 둔(遯)으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둔은 물러나는 것이다. 사물이 끝내는 물러날수없다. 이런까닭에 대장(大壯)으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사물이 끝내는 씩씩할수없다. 고로 그것을 진(晉)으로 받는다. 진은 나아가는것이다. 진은 반드시 상처입는바가 있다. 이런까닭에 명이(明夷)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이는 상처이다. 상처는 바깥에서부터인것이다. 반드시 그 집으로 되돌아가는바이다. 고로 그것을 가인(家人)으로 받는다. 집안의 도가 궁하면 반드시 어그러진다. 이런까닭에 규(睽)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규는 어그러짐이다. 어그러짐은 반드시 어지러워진다. 고로 그것을 건(蹇)으로 받는다. 건은 어지러워짐이다. 사물은 끝내는 어지러울수없으니 이런까닭에 해(解)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해는 원만함이다. 원만함은 반드시 잃는바가있다. 고로 그것을 덜어짐(損)으로 받는다. 덜어짐은 이후에 부득이 반드시 더하여진다. 이런까닭에 익(益)으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더하는것은 부득이 반드시 결단한다. 고로 그것을 쾌(夬)로 받는다. 쾌는 결정하는것이다. 쾌는 반드시 만나는바가있으니 이런까닭에 구(姤)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구는 만나는바이다. 사물이 서로 만나는 연후에 취합하는것이다. 고로 그것을 췌(萃)로 받는다. 췌는 취합인것이다. 취합하여 위에 있는것은 소위 승(升)한것이다. 이런까닭에 승(升)으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승은 부득이 반드시 곤한다. 고로 그것을 곤(困)으로 받는다. 곤은 위의 것이 반드시 반대로 아래에 처하는것이다. 이런까닭에 정(井)으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84] 우물의 도(道)는 혁(革)하지않을수없다. [85] 고로 그것을 혁(革)으로 받는다. 사물을 새로이 취하는것은 솥같음만한것이없다.[86] 이런까닭에 정(鼎)으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솥은)주된 그릇으로써 이는 장자같은것이니 고로 그것을 진(震)으로 받는다. 진은 움직이는바이다. 사물이 끝내는 움직일수없으니 그것이 그친다. 이런까닭에 간(艮)으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간은 멈춤이다. 사물이 끝내는 멈출수없으니 고로 그것을 점(漸)으로 받는다. 점은 나아가는바이다. 나아가는것은 반드시 되돌아온다. 이런까닭에 귀매(歸妹)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돌아가는바로써 그것보다 큰일이 없으니 고로 그것을 풍(豐)으로 받는다. 풍은 큰바이다. 큰것이 궁하면 반드시 그 거하는바를 잃으니 이런까닭에 여(旅)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여는 처하는바가없는것이다. 고로 그것을 손(巽)으로 받는다. 손은 들어가는것이다. 들어간 연후에 그것이 기뻐하니 이런까닭에 태(兌)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태는 말하는것이다. 말하는것은 연후에 그것이 흩어지는바이니 고로 그것을 환(渙)으로 받는다. 환은 떠나는것이다. 사물이 끝내는 떠나 헤어질수밖에없으니 이런까닭에 절(節)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절은 그것을 믿는것이다. 고로 그것을 중부(中孚)로 받는다. 그 믿는바가있다는것은 반드시 그 행함이 있다. 이런까닭에 소과(小過)로써 그것을 이어받는다. 사물이 지나침이 있으면 반드시 그치는바가 있다. 고로 그것을 기제(既濟)로 받는다. 사물이 궁하지못한것이다. 이런까닭에 아직 끝나지않음(未濟)으로써 그 끝을 받는것이다.

雜卦傳

편집

乾剛坤柔,比樂,師憂。臨、觀之義,或與或求。屯見而不失其居,蒙雜而著。震起也,艮止也。損、益,盛衰之始也。大畜時也,無妄災也。萃聚,而升不來也。謙輕,而豫怠也。噬嗑食也,賁無色也。兌見,而巽伏也。隨無故也,蠱則飭也。剝爛也,復反也。晉晝也,明夷誅也。井通,而困相遇也。咸速也,恒久也。渙離也,節止也。解緩也,蹇難也。睽外也,家人內也。否、泰,反其類也。大壯則止,遯則退也。大有眾也,同人親也。革去故也,鼎取新也。小過過也,中孚信也。豐多故也,親寡旅也。 離上,而坎下也。小畜寡也,履不處也。需不進也,訟不親也。大過顛也,姤遇也,柔遇剛也。漸女歸待男行也,頤養正也,既濟定也。歸妹女之終也,未濟男之窮也。夬決也,剛決柔也。君子道長,小人道憂也。


건(乾)은 강(剛)함이다. 곤(坤)은 부드러움(柔)이다. 비(比)는 즐거움(樂),사(師)는 우려(憂)이다. 임(臨)은 의(義)를 살핌(觀)이니 혹은 함께하고 혹은 구하는것이다. 둔(屯)은 그 거함을 잃지않도록 지켜보는것이다. 몽(蒙)은 어지러움속에서 드러남(著)이다. 진(震)은 일어나는것이다. 간(艮)은 멈춤(止)이다. 손익(損益)은 흥망성쇠의 단초들이다. 대축(大畜)은 때(時)이다. 무망은 재앙아닌재앙이다. 췌(萃)는 모으려고 나아가나 오지않음이다. 겸(謙)은 가볍고 예(豫)는 게으르다. 서합(噬嗑)은 먹음이다. 분(賁)은 색이 없는것이다.태(兌)는 보이는것이고 손(巽)은 엎드림(伏)이다. 수(隨)는 까닭없음(無故)이다. 충(蠱) 즉 신칙(申飭)한것이다. 박(剝)은 빛남(爛)이다. 복(復)은 반(反)이다. 진(晉)은 낮(晝)이다. 명이(明夷)는 더는(誅)것이다. 정(井)은 통(通)하고 ,곤(困)은 서로 만남이다. 함(咸)은 이름(速)이다. 항(恒) 지속(久)됨이다. 환(渙)은 먼(離)것이고 절(節) 지(止)이며 해(解)는 느림(緩)이고,건(蹇)은 난(難)이다. 규(睽)는 떠남(外)이다. 가인(家人)은 들어옴(內)이고 비(否)、태(泰)는 그 반대의 종류이다. 대장(大壯)즉 머무름(止),둔(遯) 즉 퇴(退)이다. 대유(大有)는 무리이다. 동인(同人)은 친함(親)이고, 혁(革)은 이유를 제거함이다. 정(鼎)은 새로운것을 취(取)함이다. 소과(小過)는 과(過),중부(中孚)는 신(信), 풍(豐)은 많은 연고이다.친하여 무리를 돌본다. 이(離)를 위로 임하는바이고 감(坎)은 아래로 임하는바이다. 소축(小畜)은 적고 리(履)는 처하지않는다. 수(需) 나아가지않고 송(訟)은 친하지않는다. 대과(大過)는 엎드러짐(顛)이고, 후(姤)는 짝하는것(遇)이니 유(柔)가 강(剛)을 맞이하는것이다. 점(漸)은 여자가 남자를 기다려 시집을 가는것이다. 이(頤)는 바르게 크는것이다. 기제(既濟)는 정(定)하고 귀매(歸妹)는 여자의 마무리이다. 미제(未濟)는 남자의 궁함(窮)이다. 쾌(夬)는 결(決)이어서,강함(剛)은 유(柔)함을 결(決)한다. 군자의 길은 장구하고 소인의 길은 근심이다.


참고
  1. 바르다는것은 주관적인것이 아니다. 자신이 스스로 바르다고 여겨서 바른것이 아니다. 객관적인 것이다. 자신을 살펴서 바르지 않음이 있을 여지를 객관적으로 따져보는것이다. 그런 연후에 자신이 스스로 바른바가 있음을 살피는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스스로 바르다면 타인이 자신의 바르지 못함을 찾아 보여도 이 또한 객관적으로 따져보는것이 가능하게 되는것을 말한다.
  2. (자하역전)志在隨人,所執下也。居下體之上,隨上體而往止,亦非自處之物也。感止於下,以下事而求感也,豈由已乎。執賤隨感可惜者也。
  3. (자하역전)升於上體而兼於下,始以兩體相逐追也。凡物以形利相感者,未極於志也。神遇者,豈假役哉。無慮澹然而居於形之上,不言而信,不行而至天下,感之況於明乎。而以形質相感,未感則害至,故貞吉。而獲悔亡,憧憧相追,朋乃從思。
  4. 恆 雷風 巽下震上
  5. 遯 天山 艮下乾上
  6. 大壯 雷天 乾下震上
  7. 晉 火地 坤下離上
  8. 강(康)- (주역정의) 소(疏)공영달 〈康,美之名也。順以著明,臣之道也。「柔進而上行」,物所與也。故得錫馬而蕃庶。以「訟受服」,則「終朝三褫」。柔進受寵,則「一晝三接」也。
  9. 석서(鼫鼠) - (동물)다람쥣과의 포유류. 다람쥐와 비슷하나 몸빛은 누런 갈색이며, 눈 가장자리에 갈색 둘레가 있고 꼬리 끝은 흰색, 배 쪽은 회황색이다. 볼에는 볼주머니가 있는데, 낮에는 굴에서 자고 밤에 나다니며 먹이를 찾는다. 털은 붓을 만드는 데에 쓰며 바위산에 사는데 만주 특산종이다.(Sciurotamias davidianus) 우리말샘
  10. 明夷 地火 離下坤上
  11. 家人 風火 離下巽上
  12. 睽 火澤 兌下離上
  13. (주역정의 38규) 六三:見輿曳,其牛掣。其人天且劓,無初有終。〈凡物近而不相得,則凶。處睽之時,履非其位,以陰居陽,以柔乘剛,志在於上,而不和於四,二應於五,則近而不相比,故「見輿曳」。「輿曳」者,履非其位,失所載也。「其牛掣」者,滯隔所在,不獲進也。「其人天且劓」者,四從上取,二從下取,而應在上九,執志不回。初雖受困,終獲剛助。〉 [疏]「六三見輿曳其牛」至「無初有終」。○正義曰:「見輿曳其牛掣」者,處睽之時,履非其位,以陰居陽,以柔乘剛,志在上九,不與四合。二自應五,又與巳乖。欲載,其輿被曳,失巳所載也。欲進,其牛被牽,滯隔所在,不能得進也。故曰「見輿曳其牛掣」也。「其人天且劓,無初有終」者,黥額為天,截鼻為劓。既處二四之間,皆不相得,其為人也,四從上刑之,故黥其額,二從下刑之,又截其鼻,故曰「其人天且劓,「而應在上九,執志不回,初雖受困,終獲剛助」,故曰「無初有終」。
  14. 蹇 水山 艮下坎上
  15. 解 雷水 坎下震上
  16. 損 山澤 兌下艮上
  17. 益 風雷 震下巽上
  18. 夬 澤天 乾下兌上
  19. (주역정의-第43夬卦,九五爻-正義曰:「莧陸,草之柔脆」者,子夏《傳》云:「莧陸,木根,草莖,剛下柔上也。」馬融、鄭玄、王肅皆云「莧陸,一名商陸」,皆以莧陸為一。黃遇云:「莧,人莧也。陸,商陸也。」以莧陸為二。
  20. 상륙(商陸)은 (식물) 자리공의 뿌리를 현륙(莧陸)은 비름과 자리공을 일컫는다.
  21. 姤 天風 巽下乾上
  22. 萃 澤地 坤下兌上
  23. 升 地風 巽下坤上
  24. 困 澤水 坎下兌上
  25. 井 水風 巽下坎上
  26. 革 澤火 離下兌上
  27. 鼎 火風 巽下離上
  28. 震 震爲雷 重雷震 震下震上
  29. 艮 艮爲山 重艮山 艮下艮上
  30. 漸 風山 艮下巽上
  31. 歸妹 雷澤 兌下震上
  32. 豐 雷火 離下震上
  33. 旅 火山 艮下離上
  34. 巽 巽爲風 重巽風 巽下巽上
  35. (주역정의) 57손 - 乘剛,悔也,然得位承五,卑得所奉。雖以柔乘剛,而依尊履正,以斯行命,必能獲強暴,遠不仁者也。獲而有益,莫善三品,故曰「悔亡,田獲三品」。一曰乾豆,二曰賓客,三曰充君之庖。 〉
  36. (주역정의)九五:貞吉,悔亡,無不利。無初有終。先庚三日,後庚三日,吉。〈以陽居陽,損於謙巽。然秉乎中正以宣其令,物莫之違,故曰「貞吉,悔亡,無不利」也。化不以漸,卒以剛直用加於物,故初皆不說也。終於中正,邪道以消,故有終也。申命令謂之庚。夫以正齊物,不可卒也;民迷固久,直不可肆也,故先申三日,令著之後,復申三日,然後誅而無咎怨矣。甲、庚,皆申命之謂也。 〉
  37. 兌 兌爲澤 重澤兌 兌下兌上
  38. 渙 風水 坎下巽上
  39. 節 水澤 兌下坎上
  40. 中孚 風澤 兌下巽上
  41. 小過 雷山 艮下震上
  42. 既濟 水火 離下坎上
  43. 未濟 坤爲地 重坤地 坎下離上
  44. 낮으면 함께할수있고 높으면 우러를수있다. 연약하고 무지함은 인간의 소질(素質)이며 이것을 알아보고 서로에게 연민을 가짐은 인간의 타고난 성품이다. 이런까닭에 본질적인 나약함에서 연민이 생기고 연민에서 고통이 생기며 고통에서 희망이 생기고 희망에서 진정한 강함이 생기는바이다. 비천함이 귀함을 받아들여야 함께 높아질수있는바이며 낮으니 함께할수있고 높으니 우러를수있는바이다.
  45. 사람이 하고자 하는바를 살펴보고 사람이 말하고자 하는바를 들어보는것은 이를 당하고 이에 처한 사람의 도리이다. 그러나 훌륭한 사람은 하고자하는이와 말하는이의 그것에서 감정을 일으키는바를 땅에 처하게 하고 만인을 이롭게 하는바를 하늘에 이르게 하는 이이다.
  46. 원시반종(原始反終) 시작이 있는곳에 끝이 있다. 시작이 있기에 끝남이 있고 이로써 끝에서 새로운 시작이 시작된다.
  47. 일용(日用) - 일상생활
  48. 백성은 일용의 깊은 뜻을 헤아리기 어려우며 군자 또한 이를 밝혀 보이는것이 쉽지 않다. 그러나 서로가 서로의 입장에서 어려움으로 인해 아무도 나아가지 못하면 이때 먼저 나서는자가 마땅히 더 나은 사랑이 아니겠는가. 이것이 인류역사의 진전이 수백년이 지나도 한발짝 앞으로 걸음을 내딛기 어려우나 한걸음 한걸음 내딛고 걸어온바일것이다.
  49. 거미줄의 씨줄과 날줄은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있으니 거미줄에 잡힌 먹잇감의 고통의 몸부림이 온전히 반대편에 있는 또다른 먹잇감에게도 전해져 느껴지는것이다. 하지만 거미줄의 정중앙에 자리잡아있는 거미의 발에는 먹이감으로 느껴지는 욕망이 되어지나 서로 같은 먹잇감 신세인 서로에게 고통과 연민을 느끼게된다. 과연 끝내는 고통와 연민으로부터 나오는 희망과 사랑이 욕망을 이기게되는것이다.
  50. 廣矣大矣 - 두루 미치기를 미세한곳에까지 넓혀 이르면 장엄한것이다. 두루 미치기를 사소한것과 더불어 함께하면 광대하다한다.
  51. 추기(樞機)-중추가 되는 기관(機關) 또는 몹시 중요한 사물. 또는 사물의 중요한 부분.
  52. 第二十八卦 大過
  53. 第十五卦 謙 九三
  54. 第一卦 乾 上九
  55. 第六十卦 節 初九
  56. 천지 55개에서 5개는 6회중5회의 효를 기록하기위해 따로 남겨놓은다
  57. 삼재(三才) 천지인
  58. 工 ,윗쪽이 24개,가운데1개,아래쪽에25개
  59. 하늘은 1,3,5,7,9다. 땅은 2,4,6,8,10이다. 하늘은 합하여 25이다. 땅은 합하여30이다. 하늘과 땅을 합하여 55이다.
  60. 4회에 6을 곱하고 양수9를 곱한다.
  61. 4회에 6을 곱하고 음수6을 곱한다.
  62. 산가지의 앞과뒤쪽으로 음과양을 표현할수있다.
  63. 64괘는 괘당6효이다. 여기에 양효36책과 음효36책을 곱하면 11520이다.
  64. 1효를 얻기위해 3회를 거친다. 6효를 얻기위해서는 총18회를 가져야한다.
  65. 수작(酬酌) 술잔을 서로 주고받음.
  66. (자하역전)初以乾坤錯綜而為八卦,以象動止。離陷巽説而各得其情矣。重而伸,類而長,以觀其愛惡失得,窮天下之情,極天下之變,以此而能事畢矣。故能明其道,辨其徳,行可以應天下之來,而助其神化者也。
  67. [東坡易傳] (天一、地二、天三、地四、天五、地六、天七、地八、天九、地十。)(天數五、地數五,五位相得而各有合。天數二十有五,地數三十;凡天地之數五十有五,此所以成變化而行鬼神也。)大衍之數五十,  其用四十有九,分而為二以象兩,掛一以象三,揲之以四以象四時,歸奇於扐以象閏,五歲再閏,故再扐而後掛。(天數五、地數五,五位相得而各有合。天數二十有五,地數三十;凡天地之數五十有五,此所以成變化而行鬼神也。)乾之策,二百一十有六,坤之策,百四十有四,凡三百有六十,當期之日。二篇之策,萬有一千五百二十,當萬物之數也。是故四營而成易,十有八變而成卦,八卦而小成;引而伸之,觸類而長之,天下之能事畢矣。顯道神德行,是故可與酬酢,可與祐神矣。   子曰:「知變化之道者,其知神之所為乎!」 易有聖人之道四焉:以言者尚其辭,以動者尚其變,以制器者尚其象,以卜筮者尚其占。是以君子將有為也,將有行也,問焉而以言,其受命也如響,无有遠近幽深,遂知來物。非天下之至精,其孰能與於此!參伍以變,錯綜其數,通其變,遂成天下之文,極其數,遂定天下之象;非天下之至變,其孰能與於此!易,无思也,无為也,寂然不動,感而遂通天下之故。非天下之至神,其孰能與於此!夫易,聖人之所以極深而研幾也!唯深也,故能通天下之志;唯幾也,故能成天下之務;唯神也,故不疾而速,不行而至。子曰:「易有聖人之道四焉。」者,此之謂也。  (天一、地二、天三、地四、天五、地六、天七、地八、天九、地十。) 子曰:「夫易,何為者也?夫易,開物成務,冒天下之道,如斯而已者也。」是故聖人以通天下之志,以定天下之業,以斷天下之疑。是故蓍之德圓而神,卦之德方以知,六爻之義易以貢;聖人以此洗心,退藏於密,吉凶與民同患,神以知來,知以藏往,其孰能與此哉?古之聦明叡知神武而不殺者夫!是以明於天之道,而察於民之故,是興神物以前民用;聖人以此齊戒以神明其德夫!是故闔戶謂之坤,闢戶謂之乾,一闔一闢謂之變;往來不窮謂之通,見乃謂之象,形乃謂之器,制而用之謂之法,利用出入,民咸用之謂之神。  
  68. 하늘은 1,3,5,7,9다. 땅은 2,4,6,8,10이다. 하늘은 합하여 25이다. 땅은 합하여30이다. 하늘과 땅을 합하여 55이다.
  69. 한편 '하나'라고 하는것은 물방울 한방울도 하나요 여러 물방울이 모인 강줄기도 하나요 여러 강줄기가 모인 바다도 하나임을 뜻한다. 따라서 한사람의 뜻도 하나요 여러사람의 뜻이 모여 공간을 넘어 한방향이 되면 그 뜻도 하나요 한방향의 뜻이 시간을 뛰어넘으면 그 한줄기 뜻도 하나이다. 하나는 그 시작은 작으나 그 끝은 크다.
  70. 위(位),위치 - 마땅히 처해야하는 자리
  71. 사람들과 재물을 서로 나누는것은 천지가 베푼 이치이나 사람들과 함께 사랑을 나누것은 사람에게 주어진 이치이다.
  72. 第三十一卦 咸 구사
  73. 제47괘 困 六三
  74. 第四十卦 解 상육
  75. 선미하다(善美하다) 산뜻하고 아름답다.
  76. 중정(中正) 어느 한쪽으로 지나치거나 모자람이 없이 곧고 올바름. 또는 그런 모양.
  77. 사방팔방(四方八方)여기저기 모든 방향이나 방면. 또는 전후좌우상하등 여러방향
  78. 전상(典常) 늘 지켜야 하는, 변하지 아니하는 도리(道理)
  79. 원시요종(原始要終) - 처음시작은 끝남에서 필요로한다.
  80. 계사 상 제3장 - 원시반종(原始反終)
  81. 기초난지 기상역지(其初難知,其上易知)그 초효를 시작으로할때에는 알기 어렵지만 점차로 그 위쪽으로해서 점점 상효에 이르게 되면서 점점 알기 쉽게 되는것이다. 또는 초효는 알기 어렵고 상효는 알기 쉽다
  82. 삼재(三才)有天道焉,有人道焉,有地道焉,兼三材而兩之 하늘의 길이 있겠고 사람의 길이 있겠고, 땅의 길이 있겠다. 이 삼재를 아우르니 그것을 둘로 짝한다. 계사전 하 제8장
  83. 德行恒易以知險 항상 위태롭게 바뀔수있기에 덕을 행해야하는바가 있다.
  84. 곤궁에 처하면 도가 궁해지고 도가 궁해지면 스스로를 수학한다. 수학하면 우물물이 깊음을 사용하는것과 같이 덕은 날마다 새로와지고 깊어지는것이다.(자하역전)升而不巳必困,故受之以困。困於上必反於下,道窮而自修也,故受之以井。井者,治之使深也。德者知而日新也,故不可以不革,故受之以革。革物而盛新者,莫如於鼎,故受之以鼎。
  85. 우물의 물은 길어내고 또 길어내어 새로이 차오르는것이 이치이다. 우물의 물은 사용하지 않으면 신선한물이 흐르지않아 혼탁해지고 더러워진다.(주역정의)《井》。井道不可不革,井久則濁穢,宜革易其故。故受之以《革》。
  86. 주방에서 솥은 주요한 기물이다. 솥은 물과 불의 이치를 모두 사용하여 온갖 생물을 가지런히 합하여 재료를 요리로 새로이 만들어 낸다. (주역정의)革物者莫若鼎,故受之以《鼎》。革去故,鼎取新。既以去故,則宜制器立法以治新也。鼎所以和齊生物,成新之器也,故取象焉。主器者莫若長子,故受之以《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