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상고사/제8편
제 1 장 네 나라 연합군의 합전(合戰)과 고구려의 퇴각
편집신라(新羅) · 백제(百濟) 양국의 관계와 비밀동맹의 성립
편집장수왕의 남진정책(南進政策)이 비록 한때 백제를 무너뜨렸으나 마침내 남쪽 세 나라---신라· 백제·가라의 연맹(聯盟)을 이루게 한 원인이 되어 역사상 초유의 대변국(大變局)을 이루었다. 이 연맹의 주력이 신라에 있었으므로 이제 그 경과를 서술함에 있어, 먼저 신라 대 백제·고구려 관계의 유래부터 대략 말하려 한다.
신라는 원래 그 지방이 고구려와 멀고 백제와 가까워서 고구려보다 백제와의 관계가 더욱 복잡하였다. 그러나 삼국사기에 실려 있는 신라 · 백제 관계의 기록은 믿을 것이 적으니 그 한두 예를 들어보겠다. 이를테면 신라가 탈해이사금(脫解尼師今) 이후로 백제와 서로 2백 명 정도의 적은 군사로 연혁(沿革)도 전하지 않는 와산(蛙山) 봉산(烽山) 등지를 거의 해마다 빼앗고 빼앗기곤 하였으나, 신라는 당초 경주 한 귀퉁이의 조그만 나라이고, 백제는 온조왕(溫祚王) 당년에 벌써 마한(馬韓) 50여 나라를 차지하였으니 어찌 신라와 똑같이 해마다 2백 명정도의 군사를 내었으랴? 또 한 가지, 두 나라가 간혹 화호(和好)한 일이 있으나 늘 백제가 먼저 신라에 향하여 화의를 빌었다고 하였는데, 백제가 신라보다 몇 갑절 되는 큰 나라로서 어찌 늘 먼저 굴복하였으랴? 백제와 신라 사이에 가라(加羅) 6나라와 사벌(沙伐)·감문(甘文) 등 완충국(緩衝國)이 있었는데 어찌 백제가 가라 등의 나라들과는 한 번의 충돌도 없고 도리어 신라를 침범하였으랴? 대개 신라가 백제를 원망함이 심하였으므로 백제가 망한 뒤에 그와 관계된 사적을 많이 고치거나 혹은 위조하였다. 지나의 삼국지(三國志)·남사(南史)·북사(北史) 등에 보인 기록을 보면 신라가 처음에 백제의 결제를 받았다 하였으니 이것이 도리어 믿을 만한 기록일 것이다.
근구수왕 ( 近仇首王 ) 이후 백제가 고구려와 혈전을 벌이는 동안에 신라는 비로소 자립하여 백제와 대항하다가 오래지 않아 고구려의 광개토왕이 나와 국위가 크게 떨치자 백제의 아신왕 ( 阿莘王 ) 이 왜병 ( 倭兵 ) 을 불러 북으로 고구려를 막고 남으로 신라를 치니, 신라의 내물이사금 ( 奈勿尼師今 ) 은 고구려의 구원병을 얻어 왜를 물리치고 몸소 광개토왕에게 조알 ( 朝謁 ) 하고 왕족 실성 ( 實聖 ) 으로 볼모를 삼았다. 내물이사금이 돌아가자 내물의 아들 눌지 ( 訥祗 ) 가 아직 어리므로 실성이 귀국하여 왕위를 잇고, 눌지 · 복호 ( 卜好 ) 형제를 고구려에 볼모로 보냈다. 그 뒤에 실성왕이 고구려의 귀인 ( 貴人 ) 과 결탁하여 눌지를 죽이려고 하였으나 고구려 사람이 듣지 않고 눌지를 돌려보내서 실성왕을 죽이고 즉위하였다.
눌지이사금 ( 訥祗尼師今 ) 이 이와 같이 고구려로 하여 왕위를 얻었으나 고구려가 백제를 아우르면 신라도 홀로 견디어내지 못할 것을 알고, 박제상 ( 朴堤上 ) 을 보내서 신라의 고구려에 대한 정성이 한낱 볼모의 있고 없음에 달리지 아니하였다는 말로 고구려의 군신을 꾀어 왕의 사랑하는 아우 복호 ( 卜好 ) 를 돌려오고 비밀히 백제와 통하여 고구려를 막으려 하였으며, 백제도 왜 ( 倭 ) 는 멀고 신라는 가까우므로 왜를 끊고 신라와 사귀어 고구려를 막기로 결정하여 신라와 백제 두 나라의 동맹이 성립하였다. 삼국사기에, 눌지이사금 39 년, 기원후 455 년에 고구려가 백제를 침범하니 눌지 이사금이 군사를 보내 백제를 구원하였다 하였으니 이는 곧 위에 말한 두 나라 동맹의 결과이거니와 이 밖에도 고구려 대 동맹 양국의 침략전과 동맹 양국 대 고구려의 방어전이 잦았을 것인데 기록에 보이지 아니하는 것은 사문 ( 史文 ) 이 떨어져나가 없어진 때문이다.
신라·백제 ·임나(任那)·아라(阿羅) 네 나라의 대 고구려동맹
편집장수왕이 신위례성 ( 新慰禮城 ) 을 침노하자 근개루왕 ( 近蓋屢王 ) 의 태자문주 ( 文周 ) 가 신라에 와서 급함을 고하니, 신라는 동맹의 의리로뿐 아니라 그 자위상 ( 自衛上 ) 부득이 출병하게 되었다. 그래서 자비마립간 ( 慈悲麻立干 ) 이 군사 1 만으로 구원에 나섰으나 근개루왕은 이미 죽고 신위례성은 벌써 무너졌으므로, 문주왕 ( 文周王 ) 은 서울을 회복하지 못하고 물러나 웅진 ( 熊津 ) 에 도읍하니 웅진은 광개토왕의 비문에 고모나라 ( 古模那羅 ) 라고 한 곳이다. 둘 다 '곰나루'로 읽을 것이니 전자는 뜻으로 쓴 이두자요, 후자는 음으로 쓴 이두자이다. 지금의 공주 ( 公州 ) 가 당시의 '곰나루'이다.
이때 지금의 한강 ( 漢江 ) 이남에 신라 · 백제 이외에 가라 ( 加羅 ) 등 여섯 나라가 있어서 지금의 경상남도를 나누어 웅거하였음은 제 3 편에서 말하였거니와 최초에는 신가라가 종주국 ( 宗主國 ) 이고 임나 ( 任那 ) · 아라 ( 阿羅 ) · 고자 ( 古自 ) · 고령 ( 古寧 ) · 벽진 ( 碧珍 ) 의 다섯 가라는 이에 딸려 있었는데 그 뒤에 신가라와 다른 세 가라는 미약해져서 정치문제에 관여할 권리를 잃고 오직 임나와 아라 두 가라만이 강성해져 신라와 맞섰다. 그래서 광개토왕이 왜를 칠 때에도 상당한 군사를 내어 신라와 함께 고구려를 도와서 왜와 싸웠다. 그러나 이때에 이르러 신위례성이 무너지고 백제가 웅진 ( 熊津 ) 으로 천도하니 두 가라가 다 크게 놀라 스스로 보전하기를 도모하는 동시에, 신라와 백제도 그 두 나라의 힘이 고구려를 막아냄 에 부족함을 느끼고 드디어 두 가라의 동맹가입을 권유하여, 이에 신라 · 백제 두 나라 대 고구려의 공수동맹이 신라 · 백제 · 임나 · 아라 네 나라 대 고구려 공수동맹으로 변하였다. 장수왕은 신라가 전번의 고구려의 큰 은혜 ---광개토왕이 왜군을 정벌한 일을 잊고 백제와 연합함을 크게 분하게 여겨 기원후 481 년에 대병을 일으켜 신라의 동북부를 침공하니, 신라의 소지마립간 ( 炤智麻立干 ) 이 몸소 비열홀 ( 比列忽 )--- 지금의 안변 ( 安邊 ) 에 이르러 방어하다 크게 패하여 고구려 군사가 이긴 기세를 타서 남으로 나와 고명 ( 孤鳴 ) 지금의 회양 ( 淮陽 ) 등 일곱 성을 함락시키니, 백제의 동성대왕 ( 東城大王 : 다음 장 참조 ) 이 두 가라국 ( 加羅國 ) 과 연합하여 길을 나누어 응원해서 고구려 군사를 격파하고 그 잃은 땅을 회복하였다.
40년 계속된 네 나라 동맹
편집네 나라 동맹으로 인하여 장수왕의 남진 철편 ( 鐵鞭 ) 이 꺾이고 백제와 신라가 다 스스로 보전함을 얻었으니, 그러므로 이것은 당시 조선 정치사상 큰 사건이라 아니할 수 없는 것이다. 백제 동성대왕이 해외를 경략 ( 經略 : 다음 장 참조 ) 하여 백제가 고구려 이상의 강국임을 자랑하던 때까지도 이 동맹이 오히려 계속되었다. 기원후 494 년에 신라가 살수 ( 薩水 ) 지금의 대동강 상류 부근에서 고구려와 싸우다가 견 아성 ( 犬牙城 ) 에서 포위당하여 구원을 청하므로 백제의 동성대왕이 군사 3 천을 보내 고구려를 격퇴하고 포위를 풀었으며, 이듬해 고구려가 백제의 반걸양 ( 半乞壞 ) 을 치자 신라 소지마립간이 또한 구원병을 보내 고구려 군사를 격퇴하였으니, 이 동맹이 대개 40 여 년 계속되었음이 분명하며, 이 동맹이 해체된 뒤에야 신라가 가라 ( 加羅 ) 침략을 시작하였다.
제 2 장 백제의 위(魏) 침입 격퇴와 해외 식민지 획득
편집동성대왕(東城大王) 이후 다시 강성해진 백제
편집백제는 신위례성 ( 新慰禮城 ) 이 무너져서 외우 ( 外憂 ) 가 한창 심한 가운데 내란이 또한 잦아 문주왕 ( 文周王 ) 은 곰나루〔熊津〕로 천도한 뒤 4 년 ( 연표에는 3 년 ) 만에 반란을 일으킨 신하 해구 ( 解仇 ) 에게 죽임을 당하고, 맏아들 임근왕 ( 壬斤王 : 본기에는 三斤이라 하였으나 그의 딴 이름 壬乞로 보면 三斤의 三은 王의 잘못 ) 이 l3 살의 소년으로서 즉위 하였는데, 그 이듬해에 좌평 ( 佐平 ) 진남 ( 眞男 ), 덕솔 ( 德率 ) 진로 ( 眞老 ) 등과 비밀히 모의하여 해구를 벤 영주 ( 英主 ) 였지만 3 년 만에 15 살의 젊은 나이로 죽고, 그 해 기원후 479 년에 동성대왕이 즉위하였다. 왕의 이름은 마모대 ( 摩牟大 ) 이니 전사 ( 前史 ) 에 마모 ( 摩牟 ) 라 쓴 것은 끝의 한 자를 생략한 것이고 모대 ( 牟大 ) 라고 쓴 것은 위의 한 자를 생략한 것이다. 왕이 즉위 당시의 나이가 얼마였던 것은 역사에 기록되지 아니하였으나 임근 ( 壬斤 ) 의 종제 ( 終第 ) 이니까 열너덧 살에 지나지 못했을 것이다. 왕은 어린 소년으로 이같이 어려운 판국을 당했지마는 천성이 숙성하고 백발백중의 활쏘는 재주가 있어 고구려와 위 ( 魏 ) 를 물리쳐 국난을 평정하였을 뿐 아니라 바다를 건너 지나의 지금의 산동 ( 山東 ) · 절강 ( 漸江 ) 등지를 점령하고 일본을 쳐서 속국을 만들었으며 그 밖에도 전공이 허다했는데, 삼국사기에는 다만 당시 천재 ( 天災 ) 인 한두 번의 홍수와 가뭄과 왕의 사냥한 일을 기록하였을 뿐이요, 그 나머지는 모두 뺐으니 이는 신라 말기의 문사들이 삭제한 것일 것이다. 이제 다음에 그의 약사 ( 略史 ) 를 말하기로 한다.
장수태왕의 음모와 위병(魏兵)의 침입
편집이때 지나는 황하 ( 黃河 ) 남북으로 갈려 곧 위 ( 魏 )· 제 ( 齊 ) 두 나라 로 분립하였다. 위는 곧 선비족 ( 鮮卑族 ) 의 척발씨 ( 拓跋氏 ) 로 모용씨 ( 慕容氏 ) 의 연 ( 燕 ) 을 대신하여 일어난 나라인데, 그 세력이 대단히 커져서 당시 유일한 강국으로 치게 되었다. 그런데 장수왕은 남쪽 네 나라의 동맹으로 인해 백제를 합치지 못하겠으므로, 손을 대지 않고 사람을 죽이는 신랄한 수완을 부려 제 3 국으로 하여금 먼저 백제를 격파하게 하고 자기는 그 뒤에서 이익을 거두려고 하였다. 그래서 해마다 황금 · 명주 10 되를 위왕에게 보내주다가 3 년 만에 사신 예실불 ( 芮悉弗 ) 을 빈손으로 위에 보냈다. 위왕이 그 까닭을 물으니, 예실불이“사비 ( 泗此 ) 부여 ( 扶餘 ) 에는 황금산이 있고 섭라 ( 涉羅 : 지금의 濟州 ) 에는 명주연 ( 明珠淵 ) 이 었어 두 가지 보물이 한량없이 나므로 전일에는 이를 캐어서 폐하에게 바친 것인데, 이제 사비부여는 백제의 서울이 되고 섭라도 백제가 정복하여 황금산과 명주연이 다 그의 손에 들어가서 우리 고구려인은 그 두 가지 보물을 구경할 수 없습니다. 그러니 어찌 폐하께 갖다드릴 것이 있겠습니까? ” 하였다. 위의 임금과 신하들이 이 말을 곧이듣고 백제를 쳐서 황금산의 황금과 명주연의 명주를 빼앗을 야욕이 치밀어 이에 동침 ( 東侵 ) 의 군사를 일으켰다.
삼국사기에는 위서 ( 魏書 ) 에서 뽑아다가 예실불의 일을 장수왕의 아들 문자왕 ( 文咨王 ) 때의 일로 기록하였으나 남양예씨 ( 南陽芮氏 ) 의 족보에 의하면 예실불을 그 시조라 하고 그가 위에 사신간 일을 앞서 말한 것과 같이 기록하였으니, 대개 위가 북으로는 고구려, 남으로는 제 ( 齊 )--- 곧 그 육지가 맞닿아 있는 나라를 두어두고 멀리 바다를 건너 백제와 싸운다는 것은 해운 ( 海運 ) 이 불편한 고대에 있어서 땅을 다투려는 자의 일이 아니니 예실불의 말에 속아 황금과 명주를 가지려 하였음이 사실인 듯하고, 위의 백제 침입이 장수왕 때요 문자왕 때가 아니니 삼국사기의 연대가 틀린 듯하므로 이제 삼국사기를 버리고 예씨의 족보를 좇는다.
위병(魏兵)의 두 차례 침입과 두 번의 패배
편집지나 대륙의 나라로 조선에 침입한 자가 많으나 그 군사의 수가 대략 10 만에 이른 것은 척발씨의 위가 시초였고, 이같이 큰 적을 격퇴한 이는 백제의 동성왕이 처음이었다 . 위서 ( 魏書 ) 에는 그 나라의 수치를 숨기기 위해 이를 기록하지 않았고, 삼국사기는 백제의 공을 샘하여 그 사적을 삭제한 신라의 사필 ( 史筆 ) 을 그대로 좋아 기록하지 않은 것이고 오직 남제서 ( 南齊書 ) 에 그 대략이 기재되었으나 그것도 당태종 ( 唐太宗 ) 의 훼방으로 대부분은 빠지고 겨우 동성왕이 남제 ( 南齊 ) 에게 보낸 국서가 남아 있어 그 사실의 편린 ( 片鱗 ) 을 알 수 있을 뿐이다.
그 국서는 완전한 원문이냐 하면, “중국인이 남의 시문 ( 조선인의 詩文 ) 을 고침에 대담하여 중국을 '수방 ( 殊方 )' 혹은 '원방 ( 遠邦 )'이라 쓴 자구는 저네가 채집 ( 採輯 ) 할 때에 반드시 '황도 ( 皇都 )' 혹은 '대방 ( 大邦 )' 등으로 고친다.”라고 한 박연암 ( 朴燕嚴 ) 선생의 말이 있으니, 심상한 음풍영월 ( 吟風咏月 ) 의 시나 글도 그러하거든 하물며 정치상에 관계되는 국서이랴. 우리가그 국서로 인하여 1) 기원후 490 년에 위가 두 번이나 보병 · 기병 수십 만을 내어 백제를 침노하였음과 2) 동성왕이 첫 번째에 삭녕장군 ( 朔寧將軍 ) 면중왕 ( 面中王 ) 저근 ( 姐瑾 ), 건위장군 ( 建威將軍 ) 팔중후 ( 八中候 ) 부여고 ( 扶餘古 ), 건위장군 부여역 ( 技餘 歷 ), 광무장군 ( 廣武將軍 ) 부여고 ( 柱餘固 ) 를 보내어 위병을 맞아 싸워서 이를 크게 격파하였음과 3) 동성왕이 두 번째에는 정로장군 ( 征虜將軍 ) 매라왕 ( 邁羅王 ) 사법명 ( 沙法名 ), 안국장군 ( 安國將軍 ) 벽중왕 ( 辟中王 ) 찬수류 ( 贊首流 ), 무위장군 ( 武威將軍 ) 불중후 ( 弗中候 ) 해례곤 ( 解禮昆 ), 광위장군 ( 廣威將軍 ) 면중후 ( 面中候 ) 목간나 ( 木千那 ) 를 보내어 또 위병을 맞아 쳐서 수만 명을 목베었음과 4) 동성왕이 이 두 번의 큰 싸움에 큰 승리를 얻고 국서와 우격 ( 우격 : 나라의 급한 일에 내는 敵文 ) 을 여러 나라에 보내서 이를 과시하였음과 5) 동성왕이 여러 대 이래로 쇠잔해진 백제에 나서 국세가 위태로운 때를 당하여 두 번의 큰 싸움의 승리를 의지하여 국운을 만회하고 마침내 해외 경략 ( 經略 ) 의 터를 닦았음과 6) 당시 출전한 대장들은 저근·사법명·부여고·부여역·부여고·찬수류·해례곤·목간나 등이 있었음을 알 뿐이요, 전선 ( 戰線 ) 이 얼마나 길었으며 싸움이 얼마나 계속되었는지, 후자는 육전 ( 陸戰 ) 이거니와 전자는 육전이었는지 해전이었는지 이는 다 분명치 아니하다.
어찌하여 전후 두 차례의 전쟁에 대장은 각각 네 사람이었던가? 이는 백제왕도 부여나 고구려와 같이 중 ( 中 ) · 전 ( 前 ) · 후 ( 後 ) · 좌 ( 左 ) · 우 ( 右 ) 의 5 군 ( 軍 ) 제도를 써서 동성왕이 중군 ( 中軍 ) 대원수 ( 大元帥 ) 가 되고 네 사람은 각기 네 원수가 된 때문이었다. 어찌하여 저근이나 사법명이 동성왕의 신하로서 또한 왕이 되었는가? 신 (伸 ) 은 조선의 고제 ( 古制 ) 이니 대왕은 '신하'의 번역으로 곧 한 나라에 군림 한 천자를 일컫는 것이고, 왕은 '한'의 번역으로 곧 대왕을 보좌하는 소왕 ( 小王 ) 들의 칭호이기 때문이다.
동성대왕(東城大王)의 해외(海外) 경략(經略)과 중도에 돌아가심
편집조선 역대로 바다를 건너 영토를 둔 것은 오직 백제의 근구수왕 ( 近仇首王 ) 과 동성왕 두 시대이다. 동성왕 때는 근구수왕 때보다 더욱 영토가 넓었으므로, 구당서 ( 舊居書 ) 의 백제전 ( 百濟傳 ) 에 백제의 지리를 기록하되 “서 ( 西 ) 로 바다를 건너 월주 ( 越州 ) 에 이르고, 북으로 바다를 건너 고려 ( 고구려 ) 에 이르고, 남으로 바다를 건너 왜 ( 倭 ) 에 이른다 ( 西渡海至越州 北懷海至高麗 南渡海至慶 ). ”라고 하였는데, 윌주는 지금 의 회계 ( 會稽 ) 이니 회계 부근이 다 백제의 소유였다. 문헌비고 ( 文獻備考 ) 에 “월왕 ( 越王 ) 구천 ( 句錢 ) 의 고도 ( 古都 ) 를 둘러싼 수천 리가 다 백제의 땅이었다.”라고 한 것이 이를 가리킨 것이고, 고려는 당인 ( 唐人 ) 이 고구려를 일컬은 명사이다. 고구려의 국경인 요수 ( 遼水 ) 서쪽 ---지금의 봉천 ( 奉天 ) 서쪽이 다 백제의 소유였으니, 만주원류고 (滿洲源流考 ) 에 “금주 ( 錦州 ) · 의주 ( 義州 ) · 애훈 ( 愛훈) 등지가 다 백제이다. ”라고 한 것이 이를 가리킨 것이다. 왜는 지금의 일본이니, 위에 인용한 구당서의 위 두 구절에 의하면 당시 일본 전국이 백제의 속국이 되었던 것을 의심할 나위 없다. 백제가 위의 해외 식민지를 어느 때에 잃었는가 하면 성왕 ( 聖王 ) 의 초년에 고구려에게 패하고 말년에 신라에게 패하여 나라의 형세가 한때 쇠약해졌으니, 이때에 이르러서 는 해외 식민지가 거의 몰락하였을 것이다.
동성왕이 이같이 전공을 이루었으나 수해와 한재가 심한 때임을 돌아보지 않고 화려하게 큰 임류각 ( 臨流聞 ) 을 짓고 그 앞에 원림 ( 園林 ) 을 만들고 못을 파서 진기한 새와 기이한 고기를 기르고 또 사냥을 즐겨 자주 거동을 하였는데, 기원 501 년 11 윌에 사비부여 ( 泗此扶餘 ) 마포촌 ( 馬浦村 ) 의 사냥에서 큰 눈을 만나 묵고 있다가 왕을 원망하던 위사좌평 ( 衛士佐平 ) 가림성주 ( 加林城主 ) 백가 ( 백加 ) 의 자객 칼에 죽으니 재위 23 년이요 그 나이 겨우 30 여 살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