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말 규범집 (2016)/조선말 표준발음법

조선말표준발음법

총 칙

편집

조선말 표준발음법은 우리 나라 조선족 인민들에게 널리 쓰이고 조선말 발음법칙에 맞는 발음을 가려잡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1장 모음 ‘ㅚ, ㅟ, ㅢ, ㅖ’의 발음

편집

제1항 ‘ㅚ, ㅟ’는 홑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례:
외교부[외교부], 시외[시외], 위성[위성], 고귀하다[고귀하다]

[붙임] ‘ㅚ, ㅟ’는 각각 [ㅞ, ㅟㅣ]로 발음할 수도 있다.

례:
외가집[웨가찝], 위대하다[위이대하다], 윙윙[위잉위잉]

제2항 ‘ㅢ’는 단어의 첫머리에서 겹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례:
의사[의사], 의견[의견]

[붙임 1] 단어의 첫머리에서 자음과 결합될 경우와 단어의 첫머리가 아닌 경우에는 홑모음 [ㅣ]로 발음한다.

례:
희망[히망], 띄여쓰다[띠여쓰다]
의의[의이], 사회주의[사회주이], 회의실[회이실]

[붙임 2] 속격토로 쓰일 경우 [에]로 발음할 수도 있다.

례:
우리의 노래[우리에노래], 이번 회의의 의의[이번회이에의이]

제3항 ‘ㄱ, ㄹ, ㅁ, ㅎ’ 뒤에 있는 ‘ㅖ’는 [ㅔ]로 발음한다.

례:
계급[게급], 계시다[게시다], 세계[세게], 례절[레절], 경례[경레], 첨예[처메], 혜택[헤택], 은혜[은헤]

제2장 단어 첫머리의 자음 ‘ㄴ, ㄹ’의 발음

편집

제4항 ‘ㄴ, ㄹ’은 모든 모음 앞에서 [ㄴ, ㄹ]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례:
나라[나라], 녀성[녀성], 뇨산[뇨산], 뉴대[뉴대], 니탄[니탄], 니코틴[니코틴]
랑비[랑비], 량심[량심], 력사[력싸], 로동[로동], 료해[료해], 루락[루락], 류학[류학], 리론[리론], 래일[래일], 레루[레루], 례외[레외], 뢰관[뢰관]

제3장 받침소리의 발음

편집

제5항 우리 말의 받침소리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 7개이다. 받침으로 쓰이는 자모와의 호상관계는 다음과 같다.

1) 받침 ‘ㄱ, ㅋ, ㄲ, ㄳ, ㄺ’의 받침소리는 [ㄱ]이다. 그 가운데서 받침 ‘ㄺ’은 그 뒤에 토나 접미사 ‘-고, -기, -게’ 등이 올 때는 [ㄹ]로 발음한다.

례:
국[국], 박[박], 옥[옥]
동녘[동녁], 부엌[부억], 새벽녘[새병녁], 키읔[키윽]
낚다[낙따], 낚시[낙씨], 닦다[닥따], 밖[박]
넋[넉], 넋살[넉쌀], 몫[목]
굵다[국따], 긁다[극따], 닭[닥], 맑다[막따], 밝다[박따], 붉다[북따], 읽다[익따], 흙[흑]
굵게[굴께], 맑게[말께], 밝고[발꼬], 읽기[일끼]

2) 받침 ‘ㄴ, ㄵ, ㄶ’의 받침소리는 [ㄴ]이다.

례:
손[손], 앉다[안따], 얹다[언따], 많다[만타], 끊다[끈타]

3) 받침 ‘ㄷ, ㅌ, ㅈ, ㅊ, ㅅ, ㅆ’의 받침소리는 [ㄷ]이다.

례:
곧[곧], 닫다[닫따], 듣다[듣따], 묻다[묻따], 뜯다[뜯따]
뭍[묻], 바깥[바깓], 밭[받], 붙다[붇따], 뱉다[밷따], 솥[솓]
낮[낟], 맞다[맏따], 빚다[빋따], 꽂다[꼳따]
빛발[빋빨], 윷[윧], 꽃[꼳], 쫓다[쫃따]
솟다[솓따], 옷[옫], 웃다[욷따], 젓다[젇따]
있다[읻따]

[붙임] 받침 ‘ㅎ’의 받침소리도 [ㄷ]이다.

례:
놓소[녿쏘]

4) 받침 ‘ㄹ, ㄽ, ㄾ, ㅀ’의 받침소리는 [ㄹ]이다.

례:
갈다[갈다], 길[길], 놀다[놀다], 달[달], 꿀벌[꿀뻘]
곬[골], 돐[돌], 외곬[외골]
핥다[할따], 훑다[훌따]
옳다[올타]

5) 받침 ‘ㅁ, ㄻ’의 받침소리는 [ㅁ]이다.

례:
곰[곰], 놈[놈]
닮다[담따], 삶[삼], 옮다[옴따], 젊다[점따]

6) 받침 ‘ㅂ, ㅍ, ㄼ, ㄿ, ㅄ’의 받침소리는 [ㅂ]이다. 그 가운데서 받침 ‘ㄼ’은 그 뒤에 토나 접미사 ‘-고, -기, -게’ 등이 올 때에는 [ㄹ]로 발음한다.

례:
갑[갑], 곱다[곱따], 덥다[덥따], 밉다[밉따], 밥[밥], 법[법], 좁다[좁따]
깊다[깁따], 높다[놉따], 늪[늡], 덮다[덥따], 무릎[무릅]
넓다[넙따], 넓기[널끼], 밟다[밥따], 밟고[발꼬], 떫다[떱따], 떫게[떨께]
읊다[읍따]
값[갑], 없다[업따]

[붙임] ‘여덟’만은 언제나 [여덜]로 발음한다.

7) 받침 ‘ㅇ’의 받침소리는 [ㅇ]이다.

례:
땅[땅], 공산당[공산당]

제6항 단어 안에서 받침은 뒤의 모음에 이어서 발음한다. 둘받침의 왼쪽 받침은 받침소리로 되고 오른쪽 받침은 뒤의 모음에 이어서 발음한다.

례:
국영[구경], 군음식[구늠식], 높으니[노프니], 몸이[모미], 물오리[무로리], 받으니[바드니], 밭에[바테], 속옷[소곧], 손에[소네], 절약[저략], 첨예[처메], 떡이[떠기], 깎으니[까끄니], 넋이[넉시→넉씨], 밟아[발바], 앉으니[안즈니], 흙이[흘기]

[붙임] 조선어 자모의 이름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특별히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례:
디읃이[디으시], 디읃을[디으슬]
지읒이[지으시], 지읒을[지으슬]
치읓이[치으시], 치읓을[치으슬]
키읔이[키으기], 키읔을[키으글]
티읕이[티으시], 티읕을[티으슬]
피읖이[피으비], 피읖을[피으블]
히읗이[히으시], 히읗을[히으슬]

제7항 ‘아, 어, 오, 우, 으, 애, 외’로 시작한 어근의 앞에 있는 받침 ‘ㅋ, ㄳ, ㄺ’, ‘ㅅ, ㅈ, ㅊ, ㅌ’, ‘ㅍ, ㅄ’은 각각 같은 계렬의 받침소리 [ㄱ], [ㄷ], [ㅂ]으로 끊었다가 다시 그 받침소리를 뒤에 오는 모음에 이어서 발음한다.

례:
부엌 안[부억안→부어간], 넋없이[넉업씨→너겁씨], 닭우리[닥우리→다구리], 맛오르다[맏오르다→마도르다], 맛없다[맏업따→마덥따], 웃옷[욷옫→우돋], 젖어미[젇어미→저더미], 옻오르다[옫오르다→오도르다], 팥알[팓알→파달], 무릎아래[무릅아래→무르바래], 값없다[갑업따→가법따]

[붙임] ‘멋있다’와 ‘맛있다’는 [머싣따], [마싣따]로 발음할 수도 있다.

제8항 받침 ‘ㅇ’은 모음 앞에서도 받침소리 [ㅇ]으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례:
방안[방안], 병원[병원], 앙양[앙양], 송아지[송아지]
[붙임] ‘중앙, 영웅’은 [주앙, 여웅]으로 발음할 수도 있다.

제4장 된소리현상과 관련한 발음

편집

제9항 받침 ‘ㄱ, ㅋ, ㄲ, ㄳ, ㄺ’, ‘ㄷ, ㅅ, ㅈ, ㅊ, ㅌ, ㅆ’, ‘ㅂ, ㅍ, ㄼ, ㄿ, ㅄ’ 다음에 오는 순한소리는 된소리로 발음한다.

례:
먹다[먹따], 부엌간[부억깐], 닦다[닥따], 깎다[깍따], 몫도[목또], 맑다[막따]
듣다[듣따], 잇다[읻따], 늦다[늗따], 꽃도[꼳또], 빛살[빋쌀], 밭도[받또], 있지[읻찌]
입다[입따], 높다[놉따], 밟다[밥따], 읊다[읍따], 없다[업따]

제10항 용언어근의 끝음절받침 ‘ㄴ, ㄵ’, ‘ㅁ, ㄻ’, ‘ㄾ’ 다음에 오는 토나 접미사의 첫머리에 오는 순한소리는 된소리로 발음한다.

례:
안고[안꼬], 안기[안끼], 안다[안따], 안소[안쏘], 안지[안찌], 앉고[안꼬], 앉기[안끼], 앉다[안따], 앉소[안쏘], 앉지[안찌]
남고[남꼬], 남기[남끼], 남다[남따], 남소[남쏘], 남지[남찌], 옮고[옴꼬], 옮기[옴끼], 옮다[옴따], 옮소[옴쏘], 옮지[옴찌]
훑고[훌꼬], 훑기[훌끼], 훑다[훌따], 훑소[훌쏘], 훑지[훌찌]

[붙임] 피동이나 사역의 뜻을 나타내는 ‘-기’일 때에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례:
넘기다[넘기다], 안기다[안기다], 옮기다[옴기다]

제11항 용언토내에서 받침 ‘ㄹ’ 다음에 오는 순한소리는 된소리로 발음한다.

례:
-ㄹ가[-ㄹ까], -ㄹ수록[-ㄹ쑤록], -ㄹ지[-ㄹ찌]

[붙임 1] 규정토 ‘ㄹ’ 뒤에 순한소리로 시작한 명사가 올 때는 그 순한소리를 된소리로 발음한다.

례:
갈 바[갈빠], 갈 데[갈떼], 갈 사람[갈싸람]

[붙임 2] ‘열’, ‘여덟’ 뒤에 순한소리로 시작하는 명사가 올 때는 그 순한소리를 된소리로 발음한다.

례:
열개[열깨], 열 사람[열싸람], 여덟자[여덜짜], 여덟그릇[여덜끄륻]

제12항 한자어 안에서는 받침 ‘ㄹ’ 뒤에 오는 순한소리 ‘ㄷ, ㅅ, ㅈ’을 된소리로 발음한다.

례:
발달[발딸], 결심[결씸], 결정[결쩡]

[붙임] 같은 한자가 겹쳐서 이루어진 한자어에서는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는다.

례:
절절하다[절절하다]

제5장 ‘ㅎ’과 관련한 발음

편집

제13항 받침 ‘ㅎ, ㄶ, ㅀ’의 ‘ㅎ’은 순한소리 ‘ㄱ, ㄷ, ㅈ’과 어울릴 때 각각 [ㅋ, ㅌ, ㅊ]으로 발음한다.

례:
좋고[조코], 좋다[조타], 좋지[조치], 많고[만코], 많다[만타], 많지[만치], 옳고[올코], 옳다[올타], 옳지[올치]

[붙임] ‘옳바르다’, ‘싫증’은 각각 [올바르다], [실쯩]으로 발음한다.

제14항 받침 ‘ㅎ’은 ‘ㅅ, ㅊ’이나 ‘ㄴ’ 앞에서는 [ㄷ]으로 발 음한다.

례:
놓소[녿쏘], 놓치다[녿치다], 놓니[녿니→논니], 좋니[졷니→존니], 좋소[졷쏘]

제15항 둘받침 ‘ㄶ, ㅀ’은 ‘ㅅ’이나 ‘ㄴ, ㄹ’ 앞에서 각각 [ㄴ], [ㄹ]로 발음한다.

례:
많소[만쏘], 많네[만네], 옳소[올쏘], 옳네[올네→올레], 곯리다[골리다]

제16항 받침 ‘ㅎ’은 모음 앞에서 발음하지 않는다.

례:
놓아[노아], 놓으니[노으니], 많아[마나], 많으니[마느니], 배앓이[배아리], 수놓이[수노이], 싫어[시러]

제17항 받침소리 [ㄱ, ㄷ, ㅂ] 뒤에 ‘ㅎ’이 올 때 그 ‘ㅎ’은 각각 [ㅋ, ㅌ, ㅍ]으로 발음한다.

례:
석회[석쾨/석퀘], 맏형[맏텽], 입학[입팍]

[붙임] 받침 ‘ㅅ, ㅈ, ㅊ’의 받침소리는 [ㄷ]으로 되기에 ‘ㅎ’을 만나면 [ㅌ]으로 발음한다.

례:
첫해[첟해→첟태], 늦호박[늗호박→늗토박], 꽃향기[꼳향기→꼳턍기]

제18항 둘받침 ‘ㄵ, ㄺ, ㄼ’은 뒤에 ‘ㅎ’이 올 때 그 둘받침의 왼쪽 받침은 제대로 받침소리로 내고 오른쪽 받침은 ‘ㅎ’과 어울려 해당한 거센소리로 발음한다.

례:
앉히다[안치다], 얹히다[언치다], 밝히다[발키다], 밟히다[발피다]

제19항 모음이나 유향자음 뒤에 오는 음절의 첫소리 ‘ㅎ’은 약하게 발음한다.

례:
마흔, 아홉, 안해, 열흘, 용감히

제6장 동화현상이 일어날 때의 발음

편집

제20항 받침 ‘ㄷ, ㅌ, ㄾ’ 뒤에 토나 접미사 ‘-이’, ‘-히’가 올 때 받침 ‘ㄷ, ㅌ’은 ‘-이’, ‘-히’와 어울려 각각 [지], [치]로 발음한다.

례:
굳이[구지], 굳히다[구치다], 해돋이[해도지], 밭이[바치], 붙이다[부치다], 벼훑이[벼훌치], 핥이다[할치다]

제21항 받침소리 [ㄱ, ㄷ, ㅂ] 뒤에 유향자음 ‘ㄴ, ㅁ, ㄹ’이 올 때 그 받침소리를 해당한 계렬의 유향자음으로 발음한다.

례:
폭로[퐁로], 부엌문[부엉문], 닦는다[당는다], 몫몫[몽목], 흙물[흥물], 꽂는다[꼰는다], 웃는다[운는다], 받는다[반는다], 밭머리[반머리], 있는다[인는다], 쫓는다[쫀는다], 협력[혐력], 엎는다[엄는다], 밟는다[밤는다], 없느냐[엄느냐], 읊는다[음는다]
[붙임] 단어들이 어울릴 때 우와 같은 동화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본 항의 규정을 따른다.
례:
밥 먹는다[밤멍는다], 옷 만든다[온만든다]

제22항 받침소리 [ㄹ] 뒤에 ‘ㄴ’이 올 때 그 ‘ㄴ’을 [ㄹ]로 발음한다.

례:
별나라[별라라], 실내[실래], 옳네[올레], 할는지[할른지]

제23항 한자어 음절 사이에서 받침 ‘ㄴ’ 뒤에 ‘ㄹ’이 올 때에 그 ‘ㄴ’을 [ㄹ]로 발음한다.

례:
건립[걸립], 단련[달련], 산량[살량], 인류[일류], 진리[질리], 혼란[홀란]

제24항 합성어 또는 파생어에서 앞 형태소의 끝소리가 ‘ㄴ’이고 뒤 형태소의 첫소리가 ‘ㄹ’일 때에는 제대로 [ㄴ, ㄹ]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면서 [ㄴ, ㄴ]으로 발음할 수도 있다.

례:
순리윤[순리윤], [순니윤]
생산량[생산량], [생산냥]
손로동[손로동], [손노동]

제25항 한자 ‘렬’, ‘률’은 모음 아래에서는 [열], [율]로 발음하고 ‘ㄹ’을 제외한 기타 자음 아래에서는 [녈], [뉼]로 발음한다.

례:
가렬하다[가열하다], 규률[규율], 강렬하다[강녈하다], 격렬하다[경녈하다], 진렬실[진녈실], 능률[능뉼], 법률[범뉼], 선률[선뉼], 생산률[생산뉼]

제26항 한자어 안에서 받침 ‘ㄴ’ 뒤에 ‘ㄴ’이 올 때는 제대로 [ㄴ, ㄴ]으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례:
근년[근년], 관념[관념], 만년필[만년필], 안내[안내], 한난계[한난게]

[붙임] ‘곤난’만은 발음이 굳어진 대로 [골란]으로 발음한다.

제27항 다음과 같은 동화현상은 표준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1) 받침소리 [ㄷ](ㄷ, ㅌ, ㅅ, ㅆ, ㅈ, ㅊ), [ㅂ]이 뒤에 오는 자음 ‘ㄱ, ㅂ’과 같게 발음하는 것은 표준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례:
옳 음 그 름
받고 [받꼬] [박꼬]
돋보기 [돋뽀기] [돕뽀기]
밭고랑 [받꼬랑] [박꼬랑]
엿보다 [엳뽀다] [엽뽀다]
있고 [읻꼬] [익꼬]
늦보리 [늗뽀리] [늡뽀리]
꽃보라 [꼳뽀라] [꼽뽀라]
갑갑증 [갑깝쯩] [각깝쯩]

2) 받침소리 [ㄴ, ㅁ]이 뒤에 오는 자음 ‘ㄱ, ㅋ, ㄲ’을 닮아서 [ㅇ]으로 발음하는 것은 표준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례:
옳 음 그 름
반갑다 [반갑따] [방갑따]
산꼭대기 [산꼭때기] [상꼭때기]
손칼 [손칼] [송칼]
참고 [참꼬] [창꼬]
감고 [감꼬] [강꼬]
3) 받침소리 [ㄴ]이 뒤에 오는 자음 ‘ㅁ, ㅂ, ㅍ, ㅃ’을 닮아서 [ㅁ]으로 발음하는 것은 표준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례:
옳 음 그 름
신문 [신문] [심문]
전보 [전보] [점보]
간판 [간판] [감판]
눈뿌리 [눈뿌리] [눔뿌리]

제7장 사이소리현상이 일어날 때의 발음

편집

제28항 합성어(또는 파생어)에서 앞 형태소가 유향자음이거나 모음으로 끝나고 뒤 형태소의 첫소리가 순한소리일 때는 그 순한소리를 된소리로 발음한다.

례:
기발[기빨], 달빛[달삗], 도장방[도장빵], 바다가[바다까], 밤길[밤낄], 보리짚[보리찝], 손등[손뜽], 시계방[시게빵], 일군[일꾼], 정신병[정신뼝], 총소리[총쏘리], 코등[코뜽], 표기법[표기뻡]

[붙임] 한자어에서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사이소리를 내여 발음한다.

례:
~가(價): 대가[대까], 물가[물까], 원가[원까], 평가 [평까]
~건(件): 문건[문껀], 사건[사껀], 조건[조껀]
~격(格): 성격[성껵], 주격[주껵]
~고(庫): 금고[금꼬], 저장고[저장꼬], 창고[창꼬]
~구(句): 례구[레꾸], 성구[성꾸]
~과(果): 성과[성꽈], 효과[효꽈], 후과[후꽈]
~과(科): 내과[내꽈], 분과[분꽈]
~권(權): 인권[인꿘], 정권[정꿘]
~법(法): 가법[가뻡], 필법[필뻡], 헌법[헌뻡]
~수(數): 배수[배쑤], 허수[허쑤]
~자(字): 문자[문짜], 한자[한짜]
~적(的): 내적[내쩍], 인적[인쩍]
~점(點): 관점[관쩜], 우점[우쩜], 중점[중쩜]

제29항 합성어(또는 파생어)에서 앞 형태소가 자음으로 끝나고 뒤 형태소가 ‘야, 여, 요, 유, 이’로 시작될 때는 아래 음절 첫소리에 언제나 [ㄴ]을 덧내여 발음한다.

례:
관절염[관절념→관절렴], 낮일[낟닐→난닐], 담요[담뇨], 덧양말[덛냥말→던냥말], 물약[물냑→물략], 부엌일[부억닐→부엉닐], 사업열[사업녈→사엄녈], 솔잎[솔닙→솔립], 암여우[암녀우], 앞이마[압니마→암니마], 옛이야기[옏니야기→옌니야기], 콩엿[콩녇], 폭발약[폭빨냑→폭빨략], 꽃잎[꼳닙→꼰닙]

[붙임] 단어들이 어울릴 때의 발음도 본 항의 규정을 따른다.

례:
쓸 일[쓸닐→쓸릴], 할 일[할닐→할릴], 흙 이기다[흑니기다→흥니기다]

제30항 합성어(또는 파생어)에서 앞 형태소가 모음으로 끝나고 뒤 형태소가 유향자음 ‘ㄴ, ㅁ’으로 시작될 때는 그 사이에 [ㄴ]을 덧내여 발음한다.

례:
내물[낸물], 배머리[밴머리], 이레날[이렌날], 코날[콘날]

제31항 합성어(또는 파생어)에서 앞 형태소가 모음으로 끝나고 뒤 형태소가 ‘야, 여, 요, 유, 이’로 시작될 때는 그 사이에 [ㄴ, ㄴ]을 덧내여 발음한다.

례:
나무잎[나문닙], 뒤일[뒨닐], 바다일[바단닐], 깨잎[깬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