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말 규범집 (2016)/조선말 맞춤법
총 칙
편집조선말 맞춤법은 단어에서 뜻을 가진 매개의 부분을 언제나 같게 적는 형태주의원칙을 기본으로 한다.
제1장 자모의 차례와 그 이름
편집제1항 자모의 차례와 그 이름은 다음과 같다.
자음자(19개):
차례 | 자음 | 이름 | |
---|---|---|---|
1 | ㄱ | 기윽 | 그 |
2 | ㄴ | 니은 | 느 |
3 | ㄷ | 디읃 | 드 |
4 | ㄹ | 리을 | 르 |
5 | ㅁ | 미음 | 므 |
6 | ㅂ | 비읍 | 브 |
7 | ㅅ | 시읏 | 스 |
8 | ㅇ | 이응 | 으 |
9 | ㅈ | 지읒 | 즈 |
10 | ㅊ | 치읓 | 츠 |
11 | ㅋ | 키읔 | 크 |
12 | ㅌ | 티읕 | 트 |
13 | ㅍ | 피읖 | 프 |
14 | ㅎ | 히읗 | 흐 |
15 | ㄲ | 쌍기윽 | 끄 |
16 | ㄸ | 쌍디읃 | 뜨 |
17 | ㅃ | 쌍비읍 | 쁘 |
18 | ㅆ | 쌍시읏 | 쓰 |
19 | ㅉ | 쌍지읒 | 쯔 |
모음자(21개):
차례 | 모음 | 이름 |
---|---|---|
1 | ㅏ | 아 |
2 | ㅑ | 야 |
3 | ㅓ | 어 |
4 | ㅕ | 여 |
5 | ㅗ | 오 |
6 | ㅛ | 요 |
7 | ㅜ | 우 |
8 | ㅠ | 유 |
9 | ㅡ | 으 |
10 | ㅣ | 이 |
11 | ㅐ | 애 |
12 | ㅒ | 얘 |
13 | ㅔ | 에 |
14 | ㅖ | 예 |
15 | ㅘ | 와 |
16 | ㅚ | 외 |
17 | ㅙ | 왜 |
18 | ㅝ | 워 |
19 | ㅟ | 위 |
20 | ㅞ | 웨 |
21 | ㅢ | 의 |
제2장 형태소 적기
편집제2항 조선말의 받침은 다음과 같은 27개가 있다.
례: ㄱ: 막다, 먹, 익다, 떡 ㄴ: 간다, 문, 산, 신다 ㄷ: 곧, 긷다, 묻다, 받다 ㄹ: 갈다, 달, 몰다, 물 ㅁ: 감다, 몸, 심다, 꿈 ㅂ: 덥다, 밥, 입, 잡다 ㅅ: 낫, 벗다, 옷, 짓다 ㅇ: 동이다, 방, 땅 ㅈ: 낮, 맞다, 젖, 찾다 ㅊ: 낯, 빛, 좇다, 쫓다 ㅋ: 동녘, 부엌 ㅌ: 같다, 맡다, 밑, 밭 ㅍ: 깊다, 높다, 늪, 숲ㅎ: 놓다, 좋다, 히읗, 까맣다
ㄲ: 낚시, 묶다, 밖, 깎다 ㄳ: 넋, 몫, 삯 ㄵ: 앉다, 얹다 ㄶ: 귀찮다, 많다, 끊다 ㄺ: 굵다, 기슭, 닭, 붉다, 흙 ㄻ: 삶, 옮다, 젊다 ㄼ: 넓다, 밟다, 여덟, 짧다 ㄽ: 곬, 돐 ㄾ: 핥다, 훑다 ㄿ: 읊다, 애닲다 ㅀ: 닳다, 싫다, 옳다 ㅄ: 가엾다, 값, 없다 ㅆ: -겠다, 있다, -았다
제3항 받침 'ㄷ, ㅅ, ㅈ, ㅊ, ㅌ, ㅆ' 가운데서 어느 하나로 밝혀 적을 수 없는 것은 'ㅅ'으로 적는다.
례: 무릇, 뭇별, 빗나가다, 싱긋싱긋, 얼핏, 핫옷, 헛소문
제4항 한 형태소 안의 두 모음 사이에서 나는 설측음만 'ㄹㄹ'로 적고 기타의 자음들은 받침으로 적지 않는다.
- 1) 설측음인 경우
례:
|
- 2) 설측음 이외의 자음인 경우
례:
|
제5항 한 형태소 안에서 받침 'ㄴ, ㄹ, ㅁ, ㅇ' 다음의 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에는 아래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고 다른 받침들로 끝난 경우에는 언제나 된소리로 나지만 순한소리로 적는다.
- 1) 받침 'ㄴ, ㄹ, ㅁ, ㅇ' 다음의 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
례:
|
- 2) 'ㄴ, ㄹ, ㅁ, ㅇ' 이외의 받침인 경우
례:
|
- 그러나 토에서는 'ㄹ' 다음에 된소리가 나더라도 된소리로 적지 않는다.
례:
|
제6항 한 형태소 안에서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나는 것은 같거나 비슷한 글자로 적는다.
례:
|
제7항 형태소의 소리가 줄어진 경우에는 준 음절의 첫소리를 앞 음절의 받침으로 바로잡아 적는다.
례:
|
제3장 어간과 토 적기
편집제8항 어간과 토가 어울릴 때에는 각각 그 원 형태를 밝혀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례: 손이, 손을, 손에 꽃이, 꽃을, 꽃에 먹다, 먹으니, 먹어, 먹지 앉다, 앉으니, 앉아, 앉지 읊다, 읊으니, 읊어, 읊지
그러나 오늘날 어간에 토가 붙은 것으로 인정하기 어렵거나 또한 어간에 토가 붙은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라도 뜻이 달라진 것은 어간과 토를 밝혀 적지 않는다.
례:
|
제9항 일부 용언에서 어간과 토가 어울릴 때에 어간의 끝소리가 일정하게 바뀌여지는 것은 바뀐 대로 적는다.
1) 어간의 끝소리를 'ㄹ'로 적거나 빼버리는 경우
례: 갈다: 갈고, 갈며, 갈아, 가니, 갑니다, 가시니, 가오 달다: 달고, 달며, 달아, 다니, 답니다, 다시니, 다오 몰다: 몰고, 몰며, 몰아, 모니, 몹니다, 모시니, 모오 알다: 알고, 알며, 알아, 아니, 압니다, 아시니, 아오2) 어간의 끝소리를 'ㅅ'으로 적거나 빼버리는 경우
례: 낫다: 낫고, 낫지, 나으니, 나아 짓다: 짓고, 짓지, 지으니, 지어 잇다: 잇고, 잇지, 이으니, 이어
3) 어간의 끝소리를 'ㅎ'으로 적거나 빼버리는 경우
례: 낳다: 낳고, 낳지, 낳소, 낳으니, 낳아서 넣다: 넣고, 넣지, 넣소, 넣으니, 넣어서 놓다: 놓고, 놓지, 놓소, 놓으니, 놓아서 좋다: 좋고, 좋지, 좋소, 좋으니, 좋아서 거멓다: 거멓고, 거멓지, 거머오, 거머니, 거머랴, 거머면, 거멉니다, 거매서 길다랗다: 길다랗고, 길다랗지, 길다라오, 길다라니, 길다라랴, 길다라면, 길다랍니다, 길다래서 노랗다: 노랗고, 노랗지, 노라오, 노라니, 노라랴, 노라면, 노랍니다, 노래서
4) 어간의 끝소리 'ㄷ'을 'ㄹ'로 적는 경우
례: 걷다: 걷고, 걷지, 걸으니, 걸어 긷다: 긷고, 긷지, 길으니, 길어 듣다: 듣고, 듣지, 들으니, 들어5) 어간의 끝소리 'ㅂ'을 '우'로 적는 경우
례: 고맙다: 고맙고, 고맙지, 고마우니, 고마워 굽다: 굽고, 굽지, 구우니, 구워 깁다: 깁고, 깁지, 기우니, 기워 눕다: 눕고, 눕지, 누우니, 누워 덥다: 덥고, 덥지, 더우니, 더워 무겁다: 무겁고, 무겁지, 무거우니, 무거워 사랑스럽다: 사랑스럽고, 사랑스럽지, 사랑스러우니, 사랑스러워 아름답다: 아름답고, 아름답지, 아름다우니, 아름다워 어둡다: 어둡고, 어둡지, 어두우니, 어두워 춥다: 춥고, 춥지, 추우니, 추워
[붙임] 다만 '곱-, 돕-'과 같은 단음절 어간에 토 '-아'가 결합되여 '와'로 소리 나는 것은 '와'로 적는다.
례: 곱다: 고와, 고와서, 고와도, 고왔다 돕다: 도와, 도와서, 도와도, 도왔다
6) 어간의 끝음절 '르'를 '르ㄹ'로 적는 경우
례: 누르다: 누르러, 누르렀다 푸르다: 푸르러, 푸르렀다 이르다: 이르러, 이르렀다
7) 어간의 끝음절 '르'를 'ㄹㄹ'로 적는 경우
례: 고르다: 골라, 골랐다 부르다: 불러, 불렀다 오르다: 올라, 올랐다
8) 어간의 끝소리를 'ㅜ', 'ㅡ'로 적거나 빼버리는 경우
례: 푸다: 푸고, 푸지, 퍼, 펐다 담그다: 담그고, 담그지, 담가, 담갔다 뜨다: 뜨고, 뜨지, 떠, 떴다
제10항 용언 어간이 '아, 어, 여' 또는 '았, 었, 였'과 어울릴 때에는 그 어간의 모음의 성질에 따라 각각 다음과 같이 갈라 적는다.
1) 어간의 모음이 'ㅏ, ㅑ, ㅗ, ㅏㅡ, ㅗㅡ'인 경우('ㅏㅡ, ㅗㅡ'는 어간 끝소리가 'ㅡ'로 된 경우)에는 '아, 았'으로 적는다.
례: 받다: 받아, 받았다 얇다: 얇아, 얇았다 녹다: 녹아, 녹았다 따르다: 따라, 따랐다 노느다: 노나, 노났다
[붙임] 어간의 모음이 'ㅏㅡ, ㅗㅡ'인 것이라도 합성어간인 경우에는 '어, 었'으로 적는다.
례: 나뜨다: 나떠, 나떴다 본뜨다: 본떠, 본떴다
2) 어간의 모음이 'ㅓ, ㅕ, ㅜ, ㅡ, ㅓㅡ, ㅜㅡ, ㅡㅡ, ㅣㅡ'인 경우에는 '어, 었'으로 적는다.
례: 벗다: 벗어, 벗었다 겪다: 겪어, 겪었다 두다: 두어, 두었다 쓰다: 써, 썼다
거르다: 걸러, 걸렀다 부르다: 불러, 불렀다 흐르다: 흘러, 흘렀다 치르다: 치러, 치렀다
3) 어간의 모음이 'ㅣ, ㅐ, ㅔ, ㅚ, ㅟ, ㅢ'인 경우와 어간이 '하'인 경우에는 '여, 였'으로 적는다.
례: 기다: 기여, 기였다 매다: 매여, 매였다 세다: 세여, 세였다
되다: 되여, 되였다 쥐다: 쥐여, 쥐였다 희다: 희여, 희였다 하다: 하여, 하였다
그러나 어간이 받침으로 끝난 경우에는 '어, 었'으로 적는다.
례: 밀다: 밀어, 밀었다 심다: 심어, 심었다 잇다: 이어, 이었다 짓다: 지어, 지었다 맺다: 맺어, 맺었다 뱉다: 뱉어, 뱉었다
[붙임] 부사로 된 다음과 같은 단어는 아래와 같이 적는다.
례:
|
례: 고이다: 괴다, 고이여서-괴여서-고여서, 고이여야-괴여야-고여야, 고이였다-괴였다-고였다 개다: 개여서-개서, 개여야-개야, 개였다-갰다 되다: 되여서-돼서, 되였지-됐지, 되여도-돼도, 되여야-돼야, 되였다-됐다 바치다: 바치여-바쳐, 바치여서-바쳐서, 바치여야-바쳐야, 바치였다-바쳤다 보다: 보아-봐, 보았다-봤다 주다: 주어-줘, 주었다-줬다 트다: 트이다-틔다, 트이여-틔여, 트이였다-틔였다
- 그러나 다음과 같은 단어들은 줄어든 대로만 적는다.
례: ① 지다: (지여)져, 졌다 치다: (치여)쳐, 쳤다 찌다: (찌여)쪄, 쪘다 ② 가다: (가아)가, 갔다 사다: (사아)사, 샀다 서다: (서어)서, 섰다 자다: (자아)자, 잤다 켜다: (켜어)켜, 켰다 펴다: (펴어)펴, 폈다 짜다: (짜아)짜, 짰다
제12항 어간과 토가 녹아붙어 소리가 줄어들 때에는 줄어든 대로 적을 수 있다.
례: 그것이-그게 그것으로-그걸로 나는-난 나를-날 너를-널 무엇을-무얼(뭘) 무엇이요-뭐요(머요) 자네는-자넨
제13항 어간의 끝음절 '하'의 'ㅏ'가 줄어서 뒤에 오는 'ㄱ, ㄷ, ㅈ'이 거센소리로 될 때에는 거센소리로 적는다.
례: 다정하다-다정타 례하건대-례컨대 발명하게-발명케 시원하지-시원치
그러나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어간의 끝음절의 첫소리 'ㅎ'을 받침으로 올려 적는다.
례: 그러하다: 그렇다, 그렇고, 그렇지
아니하다: 않다, 않고, 않지 어떠하다: 어떻다, 어떻고, 어떻지 자그마하다: 자그맣다, 자그맣고, 자그맣지 저러하다: 저렇다, 저렇고, 저렇지 흔하다: 흖다, 흖고, 흖지
그리고 어간의 끝음절 '하'가 아주 줄어들 때에는 준 대로 적는다.
례: 못하지 않다-못지 않다 생각하다-생각다 깨끗하다-깨끗다
제14항 토 '-지' 뒤에 '않-'이 어울려 '-잖-'이 될 때와 '-하지' 뒤에 '않-'이 어울려 '-찮-'이 될 때에는 준 대로 적는다.
례: 많지 않다-많잖다 무섭지 않다-무섭잖다 적지 않다-적잖다 만만하지 않다-만만찮다 시원하지 않다-시원찮다 흔하지 않다-흔찮다
제4장 합성어 적기
편집제15항 합성어는 매개 어근의 형태를 각각 밝혀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례: ① 걷잡다, 낮보다, 닻줄, 돋보다, 옭걸다, 집안, 흙벽, 꽃철, 꿇앉다 ② 값있다, 겉늙다, 덧없다, 빛나다, 설날, 젖어미, 칼날, 팥알, 꽃무늬, 끝마치다
그러나 오늘날 두개의 어근이 뚜렷하지 않은 것은 그 형태를 밝혀 적지 않는다.
례: 며칠, 부랴부랴, 이틀, 이태
제16항 합성어(또는 파생어)를 이룰 때에 어근 사이에서 'ㅂ'이 덧나거나 뒤에 오는 어근의 첫소리가 거센소리로 바뀌여 나는 것은 덧나고 바뀌여 나는 대로 적는다.
례: ① 몹쓸놈, 멥쌀, 부릅뜨다, 좁쌀, 찹쌀, 휩쓸다 ② 마파람, 머리카락, 수펄, 안팎, 휘파람
제17항 합성어(또는 파생어)를 이룰 때에 'ㄹ'이 'ㄴ, ㄷ, ㅅ, ㅈ' 우에서 빠지는 경우에는 빠진 대로 적는다.
례: 마소, 미닫이, 바느질, 버드나무, 보조개, 소나무, 차돌, 화살
제18항 합성어에서 어근의 받침소리 [ㄹ]이 뒤에 오는 어근과 어울리면서 페쇄음이 되는 것은 'ㄷ'으로 적는다.
례: 나흗날, 며칟날, 섣달, 숟가락, 이튿날
제5장 접두사와 어근 적기
편집제19항 접두사와 어근이 어울릴 때에는 각각 그 형태를 밝혀 적는다.
례: 덧저고리, 맏아들, 맞들다, 맨발, 선웃음, 선잠, 싯누렇다, 샛말갛다, 짓밟다, 풋곡식, 헛걸음, 햇닭, 햇쌀
제6장 어근과 접미사 적기
편집제20항 자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어근과 어울릴 때에는 그 형태를 각각 밝혀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 새 단어를 만드는 접미사
례: 늙수그레하다, 덮개, 셋째, 앞장, 잎사귀, 정답다, 집게, 찜질
2) 동사의 사역 또는 피동을 나타내는 접미사
례: 돋구다, 맺히다, 밟히다, 솟구다, 업히다, 얽히다, 웃기다, 입히다, 잠기다
3) 강조의 뜻을 나타내는 접미사 '-치'
례: 놓치다, 덮치다, 밀치다, 받치다, 엎치다, 뻗치다
4) 형용사를 동사로 만드는 접미사 '-히', '-추'
례: 굳히다, 넓히다, 밝히다, 붉히다, 낮추다, 늦추다
[붙임] 그러나 둘받침 'ㄺ, ㄼ, ㄾ, ㅀ'으로 끝난 어근에 접미 사가 어울릴 때에 그 둘받침이 받침소리규칙에 맞지 않게 발음되는 경우에는 그 받침을 밝혀 적지 않는다.
례: 말끔하다, 말쑥하다, 말짱하다, 널직하다, 얄직하다, 얄팍하다, 실쭉하다
제21항 어근과 접미사가 어울리여 그 뜻이 달라질 때에는 어근과 접미사를 밝혀 적지 않는다.
례: 거두다(곡식을 ~), 기르다, 도리다, 드리다(선물을 ~), 미루다, 바치다(세금을 ~), 부치다(편지를 ~), 이루다
제22항 모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어근과 어울릴 때에는 다음과 같이 갈라 적는다.
1) 어근과 접미사를 밝혀 적는 경우
(1) 명사나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 '-이'
례:
같이, 곳곳이, 굳이, 길이, 괴로이, 다듬이, 많이, 몫몫이, 번번이(계획을 ~ 넘쳐 완수하다), 부질없 이, 손잡이, 정다이, 좋이, 즐거이, 집집이, 참되이, 층층이, 푼푼이(~ 모은 돈), 흥겨이
(2) 명사를 만드는 접미사 '-음'
례: 걸음, 물음, 묶음, 믿음, 얼음, 웃음, 졸음
[붙임] 다음과 같은 단어들은 어근과 접미사를 밝혀 적지 않는다.
례: 거름(~을 내다), 고름(~을 짜다), 노름(~을 놀다)
(3) 동사의 사역 또는 피동을 나타내거나 형용사를 동사로 만드는 접미사들인 '-이', '-우', '-으키', '-이키', '-애'
례: 녹이다, 높이다, 놓이다, 덮이다, 먹이다, 돋우다, 일으키다, 돌이키다, 없애다
(4) '-거리'와 어울릴 수 있는 어근에 붙어서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이'
례: 번득이다, 번쩍이다, 속삭이다, 움직이다
2) 어근과 접미사를 밝혀 적지 않는 경우
(1) 어근에 '-이', '-음' 이외의 접미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명사나 부사
례: 거뭇거뭇, 나머지, 너무, 도로, 마감, 마개, 마중, 바투, 바깥, 비로소, 오긋오긋, 자주, 지붕, 끄트머리, 뜨덤뜨덤
(2) 의성의태어에 '-이'가 붙어서 이루어진 명사
례: 기러기, 개구리, 귀뚜라미, 더퍼리, 얼루기, 꾀꼬리, 딱따구리
(3) 어떤 토나 '하다'가 붙어서 단어를 이루는 일이 없는 어근에 접미사 '-이', '-아기', '-애기', '-어기(에기)'가 붙어서 된 명사나 부사
례: 갑자기, 동그라미, 반드시(~ 하여야 한다), 슬며시, 까끄라기, 호르래기, 두드러기, 부스레기
(4) 접미사 '-앟(-엏)', '-업(-압)', '-읍'이 붙어서 이루어진 형용사
례: 가맣다, 누렇다, 발갛다, 써느렇다, 간지럽다, 미덥다, 보드랍다, 부드럽다, 시끄럽다, 어지럽다, 우습다
제23항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 '-이', '-히'는 다음과 같이 갈라 적는다.
1) 어간에 '하다'를 붙일 수 있는 부사
(1) 받침 'ㅅ, ㄱ'을 제외한 기타의 받침과 모음 아래에서는 '히'로 적는다.
례: 고요히, 덤덤히, 마땅히, 부지런히, 영원히
(2) 받침 'ㅅ' 아래에서는 '-이'로 적는다.
례: 깨끗이, 따뜻이, 뚜렷이
(3) 받침 'ㄱ' 아래에서는 발음에 따라 '-이', '-히'로 갈라 적는다. (한자어에서는 전부 '-히'로 적고 고유어에서는 대부분 '-이'로 적는다.)
례: 납죽이, 수두룩이, 엄격히, 정확히, 진득이, 큼직이
2) 어간에 '하다'를 붙일 수 없는 부사는 '-이'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뚜렷이 '-히'로 발음되는 것은 '-히'로 적는다.
례: 고이, 공교로이, 기어이, 가히, 자연히, 작히, 특히
제7장 한자어 적기
편집제24항 한자어는 음절마다 조선어 현대 한자음에 따라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례: ① 녀자(女子), 로동(勞動), 례외(例外), 인민(人民), 혁명(革命) ② 당분(糖分), 사탕(砂糖), 동북(東北), 패배(敗北), 생략(省略), 성위(省委), 일체(一切), 절실(切實)
그러나 습관에 따라 달리 발음되는 것은 달리 발음되는 대로 적는다.
례:
|
제25항 한자 '不'의 음은 'ㄷ, ㅈ'을 첫소리로 하는 자가 뒤에 올 때는 '부'로 적고 그외에는 '불'로 적는다.
례: ① 부단(不斷), 부당(不當), 부동(不同), 부득불(不得不), 부자연(不自然), 부적당(不適當), 부족(不足), 부주의(不注意), 부지중(不知中) ② 불요불굴(不撓不屈), 불운(不運), 불편(不便)
제26항 한자어에서 모음 'ㅖ'가 들어있는 음절로는 '계', '례', '혜', '예'만을 인정한다.
례: 계산(計算), 세계(世界), 례절(禮節), 혜택(惠澤), 은혜(恩惠), 예술(藝術)
그러나 원음이 '게'인 것은 그대로 적는다.
례: 게시판(揭示板), 게재(揭載)제27항 한자어에서 모음 'ㅢ'가 들어있는 음절로는 '희', '의'만을 인정한다.
례: 유희(遊戱), 의의(意義), 의학(醫學), 희망(希望), 회의(會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