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말 규범집 (2016)/조선말 띄여쓰기
총 칙
편집첫째, 조선말은 단어를 단위로 하여 띄여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둘째, 한국과 조선이 이미 합의를 본 것은 그대로 쓴다.
제1장 명사, 수사, 대명사와 과련한 띄여쓰기
편집제1항 명사에 토가 붙은 경우에는 뒤의 단어와 띄여쓴다.
례: 봄이 오니 산과 들에 꽃이 핀다.
제2항 인명에서 이름과 호는 성에 붙여쓴다.
례: 김철수, 서화담
제3항 호칭어는 붙여쓴다.
례: 리영철씨, 순희양, 영순아주머니, 최국권아나운서, 장○○동무
제4항 관직명은 띄여쓴다.
례: 김○○ 주임, 권○○ 국장
[붙임] 그러나 성씨 바로 뒤에 올 때에는 붙여쓴다.
김주임, 리처장, 장과장
제5항 지명의 단위를 나타내는 단어는 앞말에 붙여쓴다.
례: 연길시, 공원가
제6항 고유한 대상의 이름은 붙여쓴다.
례: 중화인민공화국, 중국공산당, 연변조선족자치주인민정부, 연길시제3중학교
제7항 당조직, 국가기구, 인민단체, 행정구역 등의 명칭은 전체와 부분(또는 급별)의 사이를 띄여쓴다.
례: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회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아시아주사 중국공산당 길림성위원회 선전부 연변대학 조선-한국학학원 조선어문학부 조선어학과 연변대학 교무처 연길시 하남가두 신원거주민위원회 18조
제8항 회의명칭(전람회, 운동회 명칭도 포함함)은 회의의 주최단위를 나타내는 부분, 순차를 나타내는 부분, 범위를 나타내는 부분, 내용을 나타내는 부분을 각각 띄여쓴다.
례: 중국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 중국공산당 제18기 중앙위원회 제1차 전원회의(당중앙 제18기 제1차 전원회의) 연길시인민정부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65돐 경축대회 제1회 전국조선족축구대회
제9항 기관이나 부서의 이름과 직무이름(또는 직업, 신분, 칭호), 사람이름 사이는 각각 띄여쓴다.
례: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 장○○(중앙위원 장○○)
선전부 부장 김○○(선전부장 김○○) 교육국 국장 장○○(교육국장 장○○) 정치부 주임 리○○ 중국공산당 당원 리○○(공산당 당원 리○○, 공산당원 리○○) 연변대학 교수 리○○(연대 교수 리○○)
제10항 국가나 정당, 사회단체 등의 정식 이름 뒤에 오는 보통명사는 띄여쓴다.
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성명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각서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기관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귀빈 중화전국체육총회 성명
제11항 동격이나 이에 준하는 말은 띄여쓴다.
례: 수도 북경 텔레비죤드라만 《사랑이 뭐길래》 잡지 《연변문학》 1년 12달
여름 삼복 때 동서남북 사방
제12항 쉼표( , )를 찍어서 렬거되거나 토 '-과', '-와', 접속부사 '및' 등에 의하여 렬거된 명사의 앞뒤에 공통적으로 어울리는 단어는 띄여쓴다.
례: 문구점에는 연필, 만년필, 원주필 및 필기책 등 학용품을 사는 아이들로 가득했다. 학교 교원과 학생 당과 인민 앞에 현대적 공업과 농업 20세기 초엽과 중엽
제13항 장소를 나타내는 고유명사 뒤에 오는 명칭은 띄여쓴다.
례: 할빈시 흑룡강일보사 연길시 연변인민출판사 중국 북경제14항 관형사적으로 쓰이는 '각급, 각종, 각항, 력대, 매개, 소수, 전체, 해당, 일부, 일체, 각계각층…' 등 명사는 뒤의 명사와 띄여쓴다.
례: 각급 당조직, 각종 활동, 각항 정책, 매개 기업소들, 력대 소설가들, 소수 농민들, 전체 로동자들, 해당 기관, 일부 학교, 일체 문제, 각계각층 대표
제15항 앞의 명사를 다시 받는 명사 '자신, 자체, 전체, 전부, 전원, 일행, 일가, 일동'은 앞의 단어와 띄여쓴다.
례: 학생 자신이 만든 것이다. 지구 자체도 돈다. 학생 전원 답사자 일행 학급 전체
제16항 사람의 이름 뒤에 오는 '작곡, 작사, 안무, 각색, 목각, 시…' 등 명사는 앞의 단어와 띄여쓴다.
례: 김○○ 작곡 리○○ 작사 최○○ 안무 박○○ 각색 안○○ 목각 정○○ 시
제17항 전문용어는 붙여쓴다.
례: 염알칼리성토양 고속전기계산기 거센소리 1원2차방정식 직각2등변삼각형
[붙임] 너무 길어 읽고 리해하기 힘들 때에는 뜻 단위로 띄여쓴다.
례: 중증 급성호흡기 증후군
제18항 명사 결합체에서 붙여쓰면 다른 뜻이 생길 경우 의미 단위별로 뜻이 통하게 띄여쓴다.
례: 중세 언어연구(중세에 진행된 언어연구) 중세언어 연구(중세의 언어 연구)
제19항 명사끼리 토 없이 결합되여 하나의 대상, 현상,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붙여쓴다.
례: 가야금병창
소학교원
제20항 고유어불완전명사는 앞의 단어와 띄여쓴다.
례: 아는 것이 힘이다.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사과배 따위의 과실.
제21항 한자어불완전명사는 앞의 단어에 붙여쓰고 뒤의 단어와는 띄여쓴다.
례: 사상상 식물성 중국식 회의중 력사적 국산제 3일부 6월분 학생용
[붙임] 그러나 '등', '대', '겸'만은 앞의 단어와도 띄여쓴다.
례: 교원, 학생, 직원 등 3반 대 5반 원장 겸 서기
제22항 단위명사는 앞의 단어와 붙여쓴다.
례: 한개, 세마리, 열장 일년
제23항 수사는 아라비아수자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정수인 경우 왼쪽으로 가면서 세개 단위씩 쉼표를 찍어주고 소수인 경우 오른쪽으로 가면서 다 붙여쓴다. 조선문자로 단위를 달아줄 경우거나 순 조선문자로 적을 경우에는 '만, 억, 조' 등의 단위에서 띄여쓴다.
례: 987,654,321 0.00232178 9억 8,765만 4,321 구억 팔천칠백륙십오만 사천삼백이십일제24항 대명사는 아래 단어와 띄여쓴다.
례: 우리 나라, 내 나라, 이 책, 그 사람, 누구 모자, 여기 있다
[붙임] 다만 '이것', '그것', '저것'만은 붙여쓴다.
제2장 동사, 형용사와 과련한 띄여쓰기
편집제25항 동사나 형용사는 앞뒤의 단어와 띄여쓴다.
례: 배우며 일한다. 겸손하고 근신하다. 자원하여 일하다. 읽고 쓰기가 좋다.
제26항 보조용언은 앞의 단어와 띄여쓴다.
례: 견지하고야 말다. 발전하고 있다. 보고 싶다. 울상 싶다. 읽고 나다. 읽고 있다.
[붙임] 그러나 토 '-아, -어, -여' 바로 다음에 오는 보조용언은 앞말에 붙여쓴다.
례: 남아있다, 밝아오다, 넘어서다, 깊어지다, 붙여쓰다, 띄여쓰다
제27항 동사나 형용사 규정형 뒤에 오는 '듯, 만, 번, 법, 척, 체…' 등과 같은 불완전명사는 앞 단어와는 띄여쓰고 '하다'와는 붙여쓴다.
례: 옳은 듯하다, 쓸 만하다, 만날 번하다, 이길 번하다, 이길 법하다, 웃을 사하다, 아는 척하다, 아는 체하다, 모르는 체하다
제28항 명사에 동사나 형용사가 직접 어울려서 하나의 단어로 된 것은 붙여쓴다.
례: 건설하다, 세련되다, 훈련시키다, 교육받다, 물결치다, 욕보다, 값지다, 그늘지다, 멋지다, 능청맞다, 심술궂다, 멋적다, 지성어리다, 남다르다, 낯설다, 눈익다, 담차다, 눈부시다, 빛나다, 애쓰다, 왕청같다, 거침없다, 속절없다, 힘없다
제29항 부사에 동사나 형용사가 직접 어울려서 동사나 형용사를 이룬 것은 붙여쓴다.
례: 잘하다, 잘되다, 잘시키다, 잘살다, 못하다, 못되다, 못시키다, 못나다, 아니하다, 아니되다, 아니시키다, 같이하다, 더없다, 가까이하다, 방긋하다, 생긋하다, 오싹하다, 찰싹하다, 방긋방긋하다, 생글생글하다, 반질반질하다, 바삭바삭하다, 쩔쩔매다, 설설하다, 가로채다, 내리누르다, 바로잡다, 가로퍼지다
제3장 관형사, 부사, 감탄사와 관련한 띄여쓰기
편집제30항 관형사가 접두사적으로 쓰일 때는 아래의 단어와 붙여쓴다.
례: 새해, 새옷, 새집, 새봄 첫여름, 첫머리, 첫시작 맨머리, 맨발, 맨주먹 별말, 별소리, 별걱정 딴말, 딴생각, 딴마음, 딴세상 옛동무, 옛모습, 옛친구, 옛이야기 온몸, 온종일, 온밤
제31항 두 부사가 겹쳐 새로운 부사를 만드는 경우 붙여쓴다.
례: 거의다, 더욱더, 더한층, 모두다, 이리저리, 고루고루, 새록새록, 이래저래
제32항 명사에 '없이, 같이, 높이, 깊이, 가득, 듬뿍…' 등이 직접 어울려서 부사를 이룰 때 불여쓴다.
두말없이, 번개같이, 하늘높이, 가슴깊이, 가슴가득, 가슴듬뿍
제4장 기타 띄여쓰기
편집제33항 문장의 첫머리와 단락을 바꿀 때 두칸을 띄여쓴다.
례:
|
1) 마침표는 달과 날의 수자를 합쳐서 이룬 명사를 적을 때를 제외하고 그 뒤를 띄여쓴다.
2) 쉼표, 물음표, 느낌표의 뒤는 띄여쓴다.
3) 가운데점은 제목에서 렬거를 나타낼 때 그 앞뒤를 띄여쓴다.
4) 두점은 내포되는 종류를 들 때거나 소표제 뒤에 간단한 설명을 붙일 때에 그 뒤를 띄여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