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룩

(에서 넘어옴)
蚤 (조)
벼룩
저자: 김삿갓


貌似棗仁勇絕倫 (모사조인용절륜)[1][2]
伴虱爲友蝎爲隣 (반슬위우갈위린)[3]
朝從席隔藏身密 (조종석격장신밀)
暮向衾中犯脚親 (모향금중범각친)
尖嘴嚼時心動索 (첨취작시심동색)
赤身躍處夢驚頻 (적신약처몽경빈)[4]
平明點檢肌膚上 (평명점검기부상)
剩得桃花萬片春 (잉득도화만편춘)[5]

주석

편집
  1. 棗仁(조인) : 대추 씨.
  2. 勇(용) : 보통 ‘용감하다’, ‘날쌔다’ 둘 중 하나로 본다.
  3. 蝎(갈) : 전갈, 빈대. 문맥 상으로 빈대가 맞다.
  4. 赤身(적신) : 벌거벗은 몸. 곧 벼룩에게 뜯기는 백성을 의미한다. 가끔씩 이를 붉은 벼룩이라고 보는 것은 잘못된 번역이다.
  5. 桃花(도화) : 복숭아꽃. 벼룩에게 물린 상처로 비유하였다.

라이선스

편집

 

이 저작물은 저자가 사망한 지 100년이 지났으므로, 미국을 포함하여 저자가 사망한 후 100년(또는 그 이하)이 지나면 저작권이 소멸하는 국가에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단, 나중에 출판된 판본이나 원본을 다른 언어로 옮긴 번역물은 시기와 지역에 따라 저작권의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저작물이 미국에서도 자유 라이선스 또는 퍼블릭 도메인인 이유를 별도로 명시하여야 합니다.

Public domainPublic domainfalse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