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정철
←분류:저자 ㅈ ←분류:조선의 저자 |
정철 鄭澈 (1536년 ~ 1593년) |
참고 생애 조선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계함(季涵), 호는 송강(松江), 시호는 문청(文淸). 윤선도, 박인로와 함께 조선의 삼대 시가인(三大詩歌人)으로 불린다. 1562년(명종 17년)에 진사시와 별시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전라도 관찰사, 강원도 관찰사, 예조판서, 대사간을 거쳐 좌의정에 이르렀다. 서인의 거두로 여러 차례의 파직과 유배을 겪었다. 한편 시인으로서 한문투에서 벗어나서 한국어를 자유롭게 구사하였으며, 그의 가사 작품은 가사의 최고봉으로 평가된다. 문집으로 《송강집(松江集)》, 《송강가사(松江集)》가 전한다.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의 〈가사문학〉에서 인용. |
저작
편집가사
편집시조
편집- 거문고 대현을 티니
- 곳즌 밤비에 피고
- 광화문 드리다라
- 기울 계 대니거니따나
- 길 우해 두 돌부텨
- 나모도 병이 드니
- 나올 적 언제러니
- 남진 죽고 우는 눈물
- 내 마음 벼혀 내어
- 내 말 곳텨 드러
- 내 시름 어디 두고
- 내 양자 남만 못한 줄
- 뉴령은 언제 사람
- 대 우해 심근 느티
- 댱지치 다 디게야
- 무사 일 일우리라
- 봉내산 님계신대
- 송림에 눈이 오니
- 쇠나기 한 줄기미
- 쉰 술 걸러내여
- 쓴 나믈 데온 물이
- 심의산 세네 바회
- 옥이 옥이라 커늘
- 어와 버힐시고
- 이바 이 집사람아
- 일이나 일우려 하면
- 잘 새는 다 나라들고
- 장진주사
- 재 너머 성권롱 집의
- 쳥텬 구름밧긔
- 훈민가
이 저자의 저작물은 저자가 사망한 지 100년이 지났으므로 전 세계적으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단, 나중에 출판된 판본이나 원본을 다른 언어로 옮긴 번역물은 시기와 지역에 따라 저작권의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