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월의 산골짜기

五月[오월]의 산골작이


나의故鄕[고향]은 저 江原道[강원도] 산골이다. 春川邑[춘천읍]에서 한 二十里假量[이십리가량] 山[산]을끼고 꼬불꼬불 돌아 들어가면 내닷는 조고마한 마을이다. 앞뒤左右[좌우]에 굵찍굵찍한 山[산]들이 빽 둘러섯고 그속에 묻친 안윽한 마을이다. 그山[산]에 묻친 模樣[모양]이 마치 옴푹한 떡시루 같다하야 洞名[동명]을 실레라 부른다. 집이라야 大槪[대개] 씨러질듯한 헌 草家[초가]요 그나마도 五十戶[오십호]밖에 못되는 말하자면 아주貧弱[빈약]한 村落[촌락]이다.

그러나 山川[산천]의 風景[풍경]으로 따지면 하나 흠잡을데 없는 귀여운 田園[전원]이다. 山[산]에는 奇花異草[기화이초]로 바닥을 틀었고, 여기저기에 쫄쫄거리며 내솟는 藥水[약수]도 맑고 그리고 우리의 머리우에서 골골거리며 까치와 是非[시비]를 하는 노란 꾀꼬리도 좋다.

周圍[주위]가 이렇게 詩的[시적]이니만치 그들의 生活[생활]도 어데인가 詩的[시적]이다. 어수룩하고 꾸물꾸물 일만하는 그들을 對[대]하면 딴 世上[세상]사람을 보는듯 하다.

僻村[벽촌]이라 交通[교통]이 不便[불편]함으로 現社會[현사회]와 去來[거래]가 드물다. 片紙[편지]도 나달에 한번식밖에 안온다. 그것도 配達夫[배달부]가 自轉車[자전거]로 이 산골짝까지 오기가 괴로워서 道中[도중]에 마을사람이나 만나면 片紙[편지]좀 傳[전]해달라고 附託[부탁]하고는 도루 가기도 한다.

이렇게 都會[도회]와 因緣[인연]이 멀음으로 그人心[인심]도 그리 野薄[야박]지가 못하다. 勿論[물론] 極[극]히 窮[궁]한 生活[생활]이 아닌것은 아니나 그러나 그들은 아즉 齷齪[악착]한 行動[행동]을 모른다. 그證據[증거]로 아즉 나의 記憶[기억]에 傷害事件[상해사건]으로 마을의 騷動[소동]을 일으킨 적은 없었다.

그들이 모이어 일하는것을 보아도 퍽 友誼的[우의적]이요 따라 愉快[유쾌]한 勞働[노동]을 하는것이다.

五月[오월]쯤되면 農家[농가]에는 한창 바뿔 때이다. 밭일도 急[급]하거니와 논에 모도 내야한다. 그보다도 논에 거름을 할 갈이 于先[우선] 必要[필요]하다. 갈을 꺾는데는 갈잎이 알맞게 퍼드러젔을때 그리고 쇠기前[전]에 불야살야 꺾어나려야 한다.

이러한 境遇[경우]에는 一時[일시]에 많은 품이 든다. 그들은 열아문식 한떼가 되어 돌려가며 품아시로 일을 해주는것이다. 이것은 일의 倦怠[권태]을 잊을뿐만 아니라 또한 일의 能率[능률]까지 오르게 된다.

갈때가 되면 산골에서는 老幼[노유]를 莫論[막론]하고 무슨 名節[명절]이 나처럼 空然[공연]히 기꺼웁다. 왜냐면 갈꾼을 爲[위]하야 막걸리며, 고등어, 콩나물, 두부에 이팝 ——— 이렇게 別食[별식]이 버러지기 때문이다.

농군하면 얼뜬 앉은 자리에서 밥 몇그릇식 치는 貪食家[탐식가]로 定評[정평]이 났다. 事實[사실] 갈을 꺾을때 그들이 먹는 食稟[식품]은 놀라운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먹지 않으면 몸이 堪當[감당]해나가지 못할만치 일도 亦[역] 고된 일이다. 거한 山[산]으로 헤매이며 갈을 꺾어서 한짐잔뜩 지고 오르나리자면 방울땀이 떨어지니 여느 일와 勞働[노동]이 좀 다르다. 그러니만치 산골에서는 갈꾼만은 特[특]히 잘 먹이고 잘 待接[대접]하는 法[법]이다.

開東[개동]부터 어두울때까지 그들은 밥을 다섯끼를 먹는다. 다시 말하면, 朝飯[조반], 點心[점심]겨누리, 點心[점심], 저녁겨누리, 저녁 ——— 이렇게 여러번 먹는다. 게다가 참참이 먹이는 막걸리까지 친다면 하루에 無慮[무려] 여덟번을 食事[식사]를하는 세음이다. 그것도 감투밥으로 처올려담은 큰 그릇의 밥한사발을 그들은 주는대로 어렵지않게 다 치고치고 하는것이다.

“아 잘먹었다. 이렇게 먹어야 허리가 안휘어 ———”

이것이 그들의 가진 知識[지식]이다. 일에 過勞[과로]하야 허리가 아픈것을 모르고 그들은 먹은 밥이 삭어서 창자가 훌쭉하니까 허리가 휘는줄로만 안다. 그러니까 빈 창자에 연실 밥을 메꿔서 꼿꼿이 만들어야 따라 허리도 펴질걸로 알고 굳이 먹는 것이다.

갈꾼들은 흖이 밖앝뜰에 멍석을 펴고 쭉 돌라앉아서 술이고 밥이고 한태 즐긴다. 어쩌다 洞里[동리]사람이 그앞을 지나가게되면 그들은 손짓으로 불른다.

“여보게 이리와 한잔하게 ———”

“밥이 따스하니 한술 뜨게유 ———”

이렇게 옆 사람을 불러서 가치 飮食[음식]을 나느는것이 그들의 禮儀[예의]다. 어떤 사람은 아무개집의 갈 꺾는다 하면 일부러 찾아와 제목을 堂堂[당당]이 보고 가는이도 있다.

나도 故鄕[고향]에 있을때 갈꾼에게 여러번 얻어먹었다. 그 막걸리의 맛도 좋거니와 웅게중게 모이어 한家族[가족]같이 주고받는 그 氣分[기분]만도 깨끗하다. 산골이 아니면 보기 어려운 귀여운 團欒[단란]이다.

그리고 산골에는 잔디도 좋다.

山[산] 비알에 포곤히 깔린 잔디는 제물로 寢臺[침대]가 된다. 그우에 바둑이와 가치 벌룽 자빠저서 默想[묵상]하는 자미도 좋다. 여길 보아도 저길 보아도 우뚝우뚝 섯는 모조리 푸른 山[산]이매 雜音[잡음]하나 들리지 안는다.

이런 산속에 누어 생각하자면 비로소 自然[자연]의 아름다움을 고요히 느끼게 된다. 머리우로 나라드는 새들도 각가지다. 어떤 놈은 밤나무 가지에 앉어서 한다리를 반짝 들고는 길음한 꽁지를 회회 두르며

“삐죽 ———! 삐죽 ———”

이렇게 노래를 부른다. 그러면 이번에는 하얀 새가 “뺑!” 하고 나라와 앉어서는 고개를 까땍까땍 하다가 도루 “뺑!” 하고 다라난다. 혹은 나무줄기를 쪼며 돌아다니는 딱따구리도 있고. 그러나 떼를 지어 푸른 가지에서 遊戱[유희]를 하며 짖어귀는 꾀꼬리도 몹시 귀엽다.

산골에는 草木[초목]의 내음새까지도 特殊[특수]하다. 더욱이 새로 튼 잎이 한창 퍼드러질 臨時[임시]하야 바람에 풍기는 그 香臭[향취]는 一筆[일필]로 形容[형용]하기 어렵다. 말하자면 개운한 그리고 졸음을 請[청]하는 듯한 그런 나른한 香氣[향기]다. 一種[일종]의 煽情的[선정적] 魅力[매력]을 느끼게하는 짙은 香氣[향기]다.

뻐꾹이도 이 내음새에는 敏感[민감]인 모양이다. 이때로부터 하나 둘 울기 시작한다.

한해만에 뻐꾹이의 울음을 처음 드를적만치 반가운 일은 없다. 憂鬱[우울]한 그리고 구슬픈 그 울음을 울어대이면 가뜩이나 閑寂[한적]한 마을이 더욱 느러지게 보인다.

다른데서는 논이나 밭을 가를때 노래가 없다한다. 그러나 산골에는 소모는 노래가 따로히 있어 논밭일에 소를 부릴적이면 依例[의례]히 그 노래를 부른다. 소들도 洗鍊[세련]이 되어 主人[주인]이 부르는 그 노래를 잘 理解[이해]하고있다. 그래서 노래대로 左右[좌우]로 方向[방향]을 變[변]하기도 하고 또는 步調[보조]의 速度[속도]를 느리고 주리고, 이렇게 順從[순종]한다.

먼 발치에서 소를 몰며 처량히 부르는 그 노래도 좋다. 이것이 모두 산골이 홀로 가질수있는 聖[성]스러운 音樂[음악]이다. 산골의 音樂[음악]으로 치면 물소리도 빼지는 못하리라. 쫄쫄 내솟는 샘물소리도 좋고 또는 촐랑촐랑 흘러나리는 시내도 좋다. 그러나 세차게 콸콸 쏠려나리는 큰내를 對[대]하면 精神[정신]이 번쩍 난다.

논에 모를 내는것도 이맘때다. 시골서는 모를 낼적이면 새로운 希望[희망]이 가득하다. 그들은 질거운 노래를 불러가며 가을의 收穫[수확]까지 聯想[연상]하고 한포기 한포기의 모를 심어나간다. 농군에게 있어서 모는 그야말로 그들의 자식과같이 貴重[귀중]한 물건이다. 모를 내고나면 그들은 그것만으로도 한해의 農事[농사]를 다 진듯 싶다.

안악네들도 일꾼에게 밥을 해내기에 눈코뜰새없이 바뿌다. 그리고 큰 함지에 처담아 이고는 일터에까지 나르지 않으면 안된다. 아이들은 그 함지 끝에 줄레줄레 따라다니며 默默[묵묵]히 제목을 要求[요구]한다.

그리고 갈때 前後[전후]하야 송아가 한창이다. 바람이라도 세게 불적이면 시냇面[면]에 송아가루가 노랗게 엥긴다.

안악네들은 機會[기회]를 타서 머리에 手巾[수건]을 쓰고 山[산]으로 송아를 따러간다. 或[혹]은 나무우에서 或[혹]은 나무아래에서 서루 맞붙어 일을하며 저이도 모를 소리를 몇마디 지꺼리다는 抱腹卒倒[포복졸도]할듯이 깔깔대고 하는것이다.

이것이 五月頃[오월경] 산골의 生活[생활]이다.

산 한중턱에 번듯이 누어 마을의 이런 生活[생활]을 나려다보면 마치 그림을 보는듯하다. 勿論[물론] 理知[이지]없는 無識[무식]한 生活[생활]이다. 마는 좀더 有心[유심]히 觀察[관찰]한다면 理知[이지]없는 生活[생활]이 아니고는 맛볼수 없을만한 그런 純潔[순결]한 情緖[정서]을 느끼게 된다.

내가 故鄕[고향]을 떠난지 한 四年[사년]이나 되었다. 그동안 얼마나 山川[산천]이 변했는지 모르겠다. 그러나 금쟁이의 禍[화]를 아즉 입지않은 곳이매 桑田碧海[상전벽해]의 變[변]은 없으리라.

내내 健在[건재]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