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보국정정편
1단
편집定靜立志와 靈寶大義
1 〔수심정경1:2 明定靜大旨〕夫定靜之法은 懷至廣至大之願하며 發至誠至信之心하야 念々不忘則定靜을 可得이라。
2 ○定者는 一定於此而諸他道理 無加於吾之所做며 許多法術이 不出於渠之惑世而已오。
3 ○靜者는 歸於一定而不復動於他하야 富貴繁華도 不能誘心이오 金玉寶貝도 無可奪志하야 一志立定하고 五心이 不動則이면 孟子之不動心과 老子之歸根靜이 皆是也라。
4 ○〔수심정경1:3〕上無色界하고 下無慾海하야 一念萬年이면 耳目이 俱淸하고 心身이 俱忘하야 神氣俱爽하고 內外俱空하야 泯於深定寂靜하야 湛然至一하야 先全我ㅣ 太一之天而後에 神氣冷々然而淸하고 神光이 炯々然而明하야 無地不燭하며 無理不通이나
5 ○然이나 若有喧動(이면) 則神氣懵々然而昏하고 神光이 黯々然而晦하나니 何益於思想之所存哉아。
6 ○〔수심정경1:4〕唯綿々密々하야 念而不念則 一心이 不動하고 百脈이 歸源하야 自然火降水昇하나니
7 ○氣定神淸하야 泰宇發光하고 虛室에 生白하야 上透天界하고 下徹地府호대 空々洞々하야 光明이 無邊이라 勤而無間하면 鬼神境界도 洞視徹開[1]나
8 ○〔수심정경2:1 明禁忌〕然이나 行有五忌하니 第一曰 不信이오 次曰 泄瀆이오 次曰 執着이오 次曰 歡喜오 次曰 欲速이니 皆爲大病이라。 必落邪道하리니 敬之愼之하라。
9 ○〔수심정경2:2〕若初學이 靜坐에 必苦於自心不定하야 煩雜之念이 反生하야 禁忌則惟하느니 在寬々漫々하야 任之自然이면 定靜을 可得이니 譬如濁水待淸[2]이라。 急慾澄淸[3]하야 頻考數察하면 則泥濁이 尤起也라。
10 ○故로 定觀經에 云 以速心太急으로 先爲上戒者는 若或未定에 惡境이 出現(이면) 則回心泯々하고 求意閑々하야 多々密念 【太乙救苦天尊】 六字聖號하면 自然定而靜矣라。
11 ○〔수심정경2:3〕凡行事之際에 萬像[4]이 森列이라도 不可太急焉하라 紛紜話頭[5]가 悉從心頭所出이니、
○一切奇異殊勝善惡應變之事ㅣ 隨汝心設하며 隨汝心生하며 隨汝心求하며 隨汝心現일새[6]。 欲使道心으로 挽牽人心이라가 便墜於他圈中이면 正退邪進하나니 豈不愼哉아。
12 ○且幽冥境界도 只在我 一念轉移之地니 愼勿投心于華頭所施하라。
○〔수심정경2:3〕若或視之라도 視若不見하야 稍不掛於心意[7]하고 必以一点眞心[8]으로 反歸玄妙하야 精誠極一하면 鐵石이 俱開하고 骨肉이 分形하야 心爲天地萬靈之主하고 身爲陰陽造化之宅[9]이라。
13 ○陰符經에 云 五賊이 在乎心하고 宇宙在乎手하고 萬化生乎身者(가) 此也라。
2단
편집靈寶 修鍊之法
14 ○〔수심정경2:4〕近世鑄鍊志士[10]가 往往以外具華飾[11]으로 宣念科呪하고 懷欲稱修[12]호대 空度歲月하니 豈入於眞境哉아。
15 ○盖夫至道深窈[13]나 不在其他하니 人能弘道면 道不遠人이라。
16 ○朱子曰 道也者는 不可斯須去身이라하고、 子思曰 率性之謂道라하고 曾子曰 知止而後에 有定하고 定而後에 能靜하고 靜而後에 能安하고 安而後에 能慮하고 慮而後에 能得이라하니 此皆自明其明德之事也라。
17 ○我旣有此明德하니 豈不修煉而明之乎아。
○〔수심정경3:1 明鍊氣方法〕此一段事는 自修明德也나 若不知水火玄妙之理와 五行生化之道則[14] 徒是粧点兒戱耳[15]라。
18 ○大抵定靜煉度之法은 乃煉自己造化之道[16]니 苟力行之면 心火下降하고 腎水上昇하야 眞一之水 滿口하야 甘潤香味者는 腎中眞水上昇之外候也라。
19 ○〔수심정경3:5〕坎离交媾[17]하고 水火旣濟之後에 造化皆上(에) 朝於泥丸也니(泥丸頭腦也)[18]、
20 ○運我一点靈光[19](이면) 則化爲火鈴於南昌上宮[20]하야 上透於泥丸玄宮[21]이니 頂門이 微動에 因誠行之則[22] 頂門이 豁然하야 初如萬蟻會集之像이라
○甚痒癢之[23]라도 愼勿刮摩하고 聚精會神于頂上則[24](이면) 忽然淸雷一聲에 頂門이 如巨石裂開라。
21 ○一身萬靈이 出入此門호대 形貌光明하야 如望夕之月이라。 三界天眞이 雲集 泥丸하야 歡喜和悅이 如同氣之親也니 此乃黙朝上帝法[25]으로 實同一理也라。
22 ○行此者 當先注意於下丹田하야 淡然良久에 水火交媾[26]하고 玉池水生하야 滿口嚥下하면[27] 精靈이 乃昇上朝於泥丸頂門이나
○若不運玉池嚥下則[28] 但炎上하야 燼之焦之而已라。
23 ○是故로 行鑄之士每日夜半淸晨에 常行內煉而 【必以雙眼으로 當我胸前하야 抵垂乎臍下하고
24 ○使項後[29]로 高於頂頭[30]하야】[31] 心思火降水昇하고 意存坎离交媾則自然水火循環[32]하야 轉久純熟하면 精神이 會朝於泥丸하고 火鈴이 發出於頂門이니 此乃傳道之秘오 修道之要오 覺道之眞訣也라。
25 ○〔수심정경3:6〕先行定靜之法은 盖由此事而已[33]이니 非定靜이면 水火不昇降故로 得此者(는) 可克日而成功也[34]라。
3단
편집靈寶鍊修의 目的과 精誠
26 ○〔수심정경4:1 明入門要法〕禪要에 云 大要有三하니 一曰 大信根이오 二曰 大憤志[35]오 三曰 大疑情이니。
○〔수심정경4:2〕疑者는 以信爲体[36]하고 悟者는 以疑爲用이라。 信有十分이면 疑有十分하고 疑得十分하면 悟得十分이라하니 此說은 卽定靜之捷法也[37]라。
27 ○何者오 無大願이면 至誠이 不生하고 無大疑면 死憤이 不生하고 無大信이면 眞疑不生하나니、
○問 何以로 願하야사 且忿疑信之誠[38]이 所出고。
28 ○曰 一天之下에 至妙至寶至聖至尊之法이 唯一靈寶眞局也라。 靈寶之局은 人々이 各有稟賦於身內(하야) 而天素命之니 卽我之本性이라。
29 ○率性修道하면 明德이 發揮하야 可以治國而平天下하며 可以爲億兆之君師하며 可以得無量之壽仙이라。
30 ○何者오 天命之德이 稟賦爲人之初에 頭化天上三淸眞宮之氣하고 腹受地下山林 川澤之形하고 胸懷日月星辰風雲雨雷陰陽造化之府하니
31 ○所以로 吾身에 有天尊帝君과 九靈三精과 五神眞君과 內外將軍과 左右官屬[39]과 諸府工曹及八萬四千元君[40]이 各依部分하니 是乃靈寶道局也라。
32 ○修而明之者는 爲仙爲聖이오 失而放之者는 爲愚爲蠢이라。 欲修而明之者는 非大願而何[41]오。 且人々이 各有此局호대 何人 得之며 何人 不得고하야 【大忿이 出焉에 且萬理[42](가) 具於我하고 萬法이 備於此하니】[43]
33 ○惟一而已어늘 道何衆門이며 【惟一而已어늘 法何多支[44]며 惟一而已어늘】[45] 人何他求[46]며 惟一而已어늘。 我何復疑오하야、
○思則疑無하고 望則疑有하야 疑去疑來에 疑無所疑어니 空然何疑아 忽然煉心하니 是乃眞疑로다。
34 ○眞疑之下에 萬疑靜寂[47]하야 不分晝夜하고 如夢若眞하야 空寂天地에 唯一疑而已라。 此非大疑而何오
35 ○盖疑字之工이 最難得知라。 若非大信心이면 眞疑不生故로 禪要에 曰 信有十分하면 疑有十分하고 悟亦十分이라하니 指此謂也로다。
36 ○信可信矣며 誠可誠矣니 以信定靜하고 以信憤疑하니 非大信이면 誠何久長[48]이리오。 一定不變하야 始終如一을 是謂誠也라。
37 ○故로 玉經에 曰[49] 以誠而入하며 以黙而守[50](이면) 則物我俱忘하고 慧光이 乃生하야 聖知自全이라하고。
38 ○且 陰符寶經은 全指此靈寶始終이 發也[51]라。
○故로 煉此靈寶者 以陰符로 爲定靜之元經하야 外以誦念하고 內以定靜하니 靈寶始終이 盡載於陰符三篇故로 古法이 傳於靈寶也나 本無文字口訣하고 但授與陰符而已라。 是故로 靈寶眞道를 知者鮮矣로다。
4단
편집靈寶道宮 入門과 正覺
39 ○今旣有文字하고 且記假令하니[52] 豈不彰明耶아。 更加先賢修煉指導之文字하야 以開來學之道心하노니 亦可爲修工之一助로다[53]。 洗心盥讀焉[54]하라。
40 ○昔에 西峰道師[55] 謂其學徒曰[56] 天下에 有一無主屋舍[57]하니 是乃靈寶道宮也라。 其中에 儲天下無窮之妙하며[58] 積天下無窮之寶하며 藏天下無窮之財하고 通開八萬四千門路하야 圍繞牆垣하고[59] 使慾者 貪者 懶者 愚者 不信者로 各守諸門路하라하고
41 ○命之曰[60] 若貪慾懶愚不信者來到則(하거든)[61] 爾等은 各守防禦호대[62] 雖某人이라도 誠信專一者來到則(하거든)[63] 開門納之하야 以爲空舍之主하야 用無窮之財寶케하라[64] 云호대
42 ○世人이 聞此說[65]하고 皆仰笑(하야) 空棄不取曰 如許財寶를 我何敢取리오。 此 有福有緣者之所當取之라하고 敢不往求則[66]○하나니
43 ○釋迦(는) 傳說[67]하고 老子(는) 指路하고 孔子 勸送하되 亦不就取라[68] 間或有往之者[69]라도 或不信者[70]○는 防而不受하고 貪慾者 拒而不納하니 其間에 能入取者는 唯千萬人中一二人也[71]라。
44 ○其餘貪慾楊墨之輩[72]는 曠安宅而不居하고 舍正路而不由[73]하야 卽盜野人之財産하며 或乞富人之餘財하며 或奪行人之路備[74]하야 或穿壁或欺取○하며 或饑寒[75] 或鬪爭[76]하야
45 ○五賊이 倂起하고 三盜(가) 不息하니 天下大亂이라 法官이 刑命[77]하고 親友誹謗하니 可謂寒心處也로다。
46 ○不取所當取하고 取其不當取 曰 我行이 捷法矣라。 易取易得이라하야 或死或敗호대 受苦不悔하고 反見支離하니 愚耶(아) 懶耶아 夫子所謂 糞土之墻과 孟子所謂 下愚不移者 是其徒乎ㅣㄴ저。
47 ○禪書에 曰 能開衆門中(에) 一門하야 入取無盡藏寶하야 用之不渴[78]하고 取之無禁也者는 此寶非外來之物이라。 是室內生生無窮之物이니 能昇堂者[79]는 誠也오 能開門者는 疑也오 能主物者는 信也오。
48 ○義(에) 不取他人財寶하고 卽取所當取之物者[80]는 忿也니、
○若無忿疑信三者則(하면)[81] 盤桓墻外하고 逗留簷端[82]하야 漫然歲月하고 空費氣力하다가 太息而退歸하야 乃爲行乞之人故로
49 ○譬之 曰 石中藏玉을[83] 非鐵釘이면 難琢이오 非礪石이면 不磨라하고 又曰 不入虎穴이면 焉得虎子리오하니 釘[84]은 信也오 礪[85]는 疑也오 入虎穴은 忿也니
50 ○欲琢磨得虎者[86]○는 發大忿勇[87]하야 金剛利刀[88]로 先割世緣一縷하고 因大疑하야 卽殺心猿意馬之奔馳하고 懷大信하야 能入此門然後에 鐵柱中心이오 石壁外面이라。
51 ○千萬師說[89]도 更不妙於此說[90]이오 妙道玄理도 且無加於此道라 目無所好見하고 耳無所喜聞하고 妙無此妙하며 寶無此寶則 一心이 定靜하야 蕩々然豁々然하야 無絲毫纖塵之礙滯則[91] 若人初生無異라。
52 ○飮茶[92](에) 不知茶하며 喫飯(에) 不知飯하며 行不知行하며 坐不知坐하야 情識이 頓淨하고 計較都忘하니 恰似有氣底死人이오 且泥塑人相似라。
53 ○驀然에 脚蹉手跌하고 心華頓發에 洞然十方하야 如杲日麗天[93]하고 明鏡當對[94]라。 不越一念하고 頓成正覺하면 禪家之佛이오 靈寶之聖이오 仙家之丹이라。
54 ○〔수심정경4:3〕然이나 若信忿疑之誠이 未極하면 八萬四千魔兵이 覘在六根門頭[95]라가 隨機誘心하고 百方作化하야 四面華頭에 勞碌心神하나니
55 ○卽念聖號하고 要取無心하야 更加精力하고 剋日就工而使吾一身으로 如墜千尺井底相似[96]하야 從朝至暮하고 從暮至朝하야 千思想萬思量이 單々只是求出之心이오 訣無二念[97]하나니 誠能如是(하야) 施工이면 剋日을 可期矣라。
56 ○此段은 卽有相火虛火(하니) 强健之人[98](이라야) 所取者也오
○又曰柔溫氣弱之人은 以自身으로 得當死之罪하야 深囚獄中하야 剋日斬殺次로 四面守直이러니 忽遇獄卒이 醉倒하고 時夜寂寥[99]라。 乃扣枷打鎖[100]하고 越獄脫身하야 不分東西하고 卽逃出境之際에 毒龍猛獸도 一無惧心[101]이오 卽向當前하면 矢石(도) 劒戟[102]{*|(이라도)}}도 亦無怖畏라。
57 ○蒙被奔迅에 崎嶇險路를 如踏平地하고 荊莿蒺藜[103]를 視若草芥하니 此何故耶아。 寧死他死언정 不死此死라。 是乃極切之心이니 用工之際에 有此切心이면 剋日之工을 管取百發百中[104]이라。
58 ○然이나 此剋日之功[105]은 切非初行之法이오 宜取末境之術也라。
○〔수심정경5:1 明風土移化之功〕初行之工은 危心安之하면 定靜을 可得이오 微心暢之하면 火鈴이 發輝[106]하고 惟精惟一하면 允執厥中이니
60 ○中必庸하면 中庸하고 學大하면 大學하고 論道語理니 論語에 元亨利貞(과) 仁義禮智(가) 隨性感現으로 或聖或賢은 卽風土稟受之自異로 氣質이 不齊者也라。
5단
편집朝眞禮聖과 人天合一
61 ○然이나 此靈寶眞訣[107]은 善化人者也라、
○〔수심정경5:2〕多誦定靜之篇하고 存念陰符之義하야 嚥津煉氣하고 揮我水火하면 風土도 可移오 氣質도 卽齊라
62 ○朝眞禮聖하면 叅三才出萬化[108]하나니 舜與我相似하며 我與天無異라。
63 ○學々皆然하고 修々相同하야 別無遲速하고 且無先後故로 定靜之大限[109]은 九旬이오 小限은 五旬也라。 大道之工을 限何近期오。 曰 十年定限하고 無不貫通하면 限期速耶아
64 ○千年盲龜도 脫身萬里之樹城하고 三日曲針도 投穿半片之纖芥[110]커든 况此剋日之限期[111] 大限은 三日이오 中限은 五日이오 下限은 七日也라。 至道之下에 剋日何晩고。
○曰 半時之內에 正覺圓性하면 限期遠耶아
65 ○戒乎我願學天人하노니 莫忘意於異道[112]하고 一就我靈寶局中하야 自修自明하면 可仙可佛이오 爲聖爲眞乎ㅣㄴ저。
66 ○道門小子玉圃는 敢發天師之秘하야 記述定靜一部하노니 初學者 多誦此篇하야 氣和神化하면 定靜을 可得이니 修之明之하야 乃得其性이 乎可[113]ㅣㄴ저。
주석
편집원본: 삼덕교 영보국정정편 이본a: 생화정경a 이본b: 증산도 영보국정정지법
- ↑ 이본a,b 洞視撤開: -撤-
- ↑ 이본b 譬濁水待淸: 如 없음
- ↑ 이본a,b 急欲澄淸: -欲-
- ↑ 이본a 萬象: -象
- ↑ 이본b 紛話頭: -紜- 없음
- ↑ 원본은 -일세: 까닭이나 근거로 보아 '-일새'일 것.
- ↑ 이본b 稍不掛心於心意: -心- 있음
- ↑ 이본a,b 必以一點眞心: -點-
- ↑ 이본b 身爲陰陽造化之宅故: -故 있음
- ↑ 이본a,b 近世鑄鍊之士: -之-
- ↑ 이본b 往往以外俱華飾: -俱-
- ↑ 이본a 懷慾稱修: -慾-
- ↑ 이본a 蓋夫至道深窈: 蓋-
- ↑ 이본b 五行生化之道卽: -卽
- ↑ 이본a 徒是粧点兒戲耳: -戲-, 이본b 徒是粧點兒戱耳: -點-
- ↑ 이본b 乃煉自己造化道: -之- 없음
- ↑ 이본a,b 坎離交媾: -離-, 이본b 坎離交: -媾 없음
- ↑ 수심정경3:5
- ↑ 이본b 運我一點靈光: -點-
- ↑ 이본b 卽化爲火鈴於南昌上宮: 卽-
- ↑ 이본a 上透泥丸玄宮: 於 없음
- ↑ 이본b 因誠行之卽: -卽
- ↑ 이본a,b 甚痒痒之: -痒-
- ↑ 이본b 聚精會神于頂上卽: -卽
- ↑ 이본b 此乃默朝上帝法: -默-
- ↑ 이본b 水火交: -媾 없음
- ↑ 이본a -하며
- ↑ 이본b 若不運玉池嚥下卽: -卽
- ↑ 이본a,b 使頂後: 頂
- ↑ 이본b 萬於頂頭: 萬-
- ↑ 이본b 생략
- ↑ 이본a 意存坎離交媾則自然水火循環: -離-, 이본b 意存坎離交卽自然水火循環: -離-, -卽-
- ↑ 이본a 蓋由此事而已: 蓋-, 이본b 蓋有此事而已: 蓋有-
- ↑ 이본a 可克曰而成功也: -曰-, 이본b 得此者可克曰成功也: -而- 없음
- ↑ 이본b 大忿志: -忿-
- ↑ 이본a,b 以信爲體: -體
- ↑ 이본b 卽定靜之法也: -捷- 없음
- ↑ 이본b 此憤疑信之誠: 此憤-
- ↑ 이본a,b 左右宮屬: -宮-
- ↑ 이본b 諸部工曺及八萬四千元君: -部-
- ↑ 이본b 非大願何: -而- 없음
- ↑ 이본b 此萬理: 此-
- ↑ 이본b 생략
- ↑ 이본a,b 法何多岐: -岐
- ↑ 이본b 생략
- ↑ 이본a 人何多求: -多-
- ↑ 이본b 萬疑寂靜: -寂靜
- ↑ 이본b 誠何長久: -長久
- ↑ 이본b 云
- ↑ 이본a,b 以默而守: -默-
- ↑ 이본a,b 全指此靈寶始終而發也: -而- 있음
- ↑ 이본a -하나
- ↑ 이본a -라
- ↑ 이본b 洗心讀焉: -盥- 없음
- ↑ 이본a,b 西峰道士: -士
- ↑ 이본b 爲其學徒曰: 爲-
- ↑ 이본a,b 有一無主室舍: -室-
- ↑ 이본a -하고
- ↑ 이본a,b 圍繞墻垣하야: -墻-, -하야
- ↑ 이본b 又命曰
- ↑ 이본a,b 若貪慾懶愚不信者來到어든: -則 없음, -어든
- ↑ 이본a -하고
- ↑ 이본a,b 誠信專一者來到어든: -則 없음, -어든
- ↑ 이본 -하며
- ↑ 이본a,b 聞此設: -設
- ↑ 이본b 敢不往求卽: -卽
- ↑ 이본a,b 傳設: -設
- ↑ 이본a -하고
- ↑ 이본b 間或有往知者: -知-
- ↑ 이본a,b 惑不信者: 惑-
- ↑ 이본b 千萬人中唯一二人也: 唯- 없음
- ↑ 이본a 其餘貪慾淫懶愚不信之輩: -淫懶愚不信-
- ↑ 이본b 捨正路而不由
- ↑ 이본b 或奪行人之路費: -費
- ↑ 이본a,b 或飢寒: -飢-
- ↑ 이본a,b 或爭鬪: -爭鬪
- ↑ 이본b 形名: 形-
- ↑ 이본b 用之不竭: -竭
- ↑ 이본b 能昇當者: -當-
- ↑ 이본a 卽取當取之物者: -所- 없음, 이본b 卽取此當取物者: -之- 없음
- ↑ 이본a,b 若無忿疑信三字則: -字-
- ↑ 이본b 逗留妻端: -妻-
- ↑ 이본a -은
- ↑ 이본b 鐵釘: 鐵- 있음
- ↑ 이본b 礪石: -石 있음
- ↑ 이본b 欲琢磨得虎子者: -子- 있음
- ↑ 원본 發大忿
- ↑ 원본 勇金剛利刀, 이본a 勇用金剛利刀: 勇用- 있음
- ↑ 이본b 千萬師設: -設
- ↑ 이본b 千萬師設: -設
- ↑ 이본b 無絲毫纖鹿之滯: -礙- 없음
- ↑ 이본b 欲茶
- ↑ 이본b 如果日麗天: -果-
- ↑ 이본b 明鏡當臺: -臺
- ↑ 이본b 在六根門頭: 覘- 없음
- ↑ 이본b 如墮千尺井底相似: -墮-
- ↑ 이본a 決無二念: 決-, 이본b 決無二心: 決-, -心
- ↑ 이본b 康健之人
- ↑ 이본a,b 時夜寂廖: -廖
- ↑ 이본b 乃枷打鎖: -扣- 없음
- ↑ 이본a,b 一無懼心: -懼-
- ↑ 이본a,b 劍戟: 劍-
- ↑ 이본a,b 荊棘蒺藜: -棘-
- ↑ 이본b 管取百中
- ↑ 이본a 此剋日之工: -工, 이본b 此極切之功: -極-
- ↑ 이본a 發揮: -揮
- ↑ 이본b 此我靈寶眞訣: -我- 있음
- ↑ 이본a,b 參三才出萬化: 參-
- ↑ 이본b 定靜大限大限: -之- 없음
- ↑ 이본b 投穿半片之讖芥: -讖-
- ↑ 이본a 況此剋日之限期: 況-, 이본b 況此克日之限期: -克-
- ↑ 이본b 莫妄意於異道: -妄-
- ↑ 이본b 可乎
라이선스
편집이 저작물은 저자가 사망한 지 100년이 지났으므로 전 세계적으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단, 나중에 출판된 판본이나 원본을 다른 언어로 옮긴 번역물은 시기와 지역에 따라 저작권의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