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빈시
余生於貧長於貧. 迨爲貧而仕也. 祿亦貧薄. 菽水不能繼. 日困於貧. 心常隱痛. 欲哭貧而不敢發久矣. 偶讀韓子哭花詩. 不覺喟然曰此無乃我哭貧之先獲也歟. 乃作哭貧詩一篇. 以罄悲菀之心曲. 薑山尙書評其詩. 至有時不忍恨. 欲放聲街谷. 有時便决意. 欲自經溝瀆. 乙其兩句曰傳有之. 貧與賤. 不以其道得之. 不去也. 素貧賤行乎貧賤. 今爾世居貧而不能力貧. 又不能安貧. 不樂貧而憂貧. 憂之甚而至於哭. 何其繆於君子之憂道不憂貧也. 士而讀書. 豈有不堪貧. 而捨性命者乎. 余悚然對曰原思之貧. 端木猶謂之病. 今余之貧. 所謂錐也本无. 去年貧今年貧. 有所不論. 何暇及力其貧安其貧樂其貧邪. 憂貧而哭貧. 亶亦不宜乎. 後謁其詩於醇菴尙書. 尙書聞薑山說而然之曰. 貧者士之常. 貧雖苦. 何哭之爲. 送窮之文逐貧之賦. 皆往碩所以寓諷. 然則題以賦貧可乎. 題以送貧可乎. 古有述懷述酒. 述之可乎. 爾其擇斯二者. 余拜而受之曰唯. 卽改書曰述貧. 詩凡二百四十四句云.
라이선스편집
이 저작물은 저자가 사망한 지 100년이 지났으므로 전 세계적으로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단, 나중에 출판된 판본이나 원본을 다른 언어로 옮긴 번역물은 시기와 지역에 따라 저작권의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