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인:김낭자전 외.djvu
| 〈김낭자전〉은 전자로 끝나는 소설의 작명법과 같이 지어져 있으나, 실제 내용은 규방가사로 김씨부인 시집살이를 통해 가문을 유복하게 하고 대조적인 인물인 괴똥어미를 통해 경계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복선화음가 계열의 창작물로 구전 및 낭송을 통해 전해지기 때문에 다양한 이본이 존재한다. 뒤쪽은 고종의 장례식인 인산일을 소재로한 〈인산별곡〉이 수록되어 있어, 1919년 이후에 필사된 것을 짐작케 한다. |
| 〈김낭자전〉은 전자로 끝나는 소설의 작명법과 같이 지어져 있으나, 실제 내용은 규방가사로 김씨부인 시집살이를 통해 가문을 유복하게 하고 대조적인 인물인 괴똥어미를 통해 경계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복선화음가 계열의 창작물로 구전 및 낭송을 통해 전해지기 때문에 다양한 이본이 존재한다. 뒤쪽은 고종의 장례식인 인산일을 소재로한 〈인산별곡〉이 수록되어 있어, 1919년 이후에 필사된 것을 짐작케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