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Gminky/한글 맞춤법 통일안 등 비교표
총칙
편집형태주의와 표음주의
통일안(초판) | 一、 한글 마춤법(綴字法)은 표준말을 그 소리대로 적되、 語法에 맞도록 함으로써 原則을 삼는다。 |
---|---|
통일안(고친판) | 一. 한글 마춤법(綴字法)은 표준말을 그 소리대로 적되, 語法에 맞도록 함으로써 原則을 삼는다. |
통일안(새판) | 一. 한글 마춤법(綴字法)은 표준말을 그 소리대로 적되, 語法에 맞도록 함으로써 原則을 삼는다. |
신철자법 | 1. 朝鮮語 綴字法은 現代 朝鮮 人民의 言語 意識 가운데에 共通的으로 把握할 수 있는 것은 一定한 形態로 表記함으로써 原則을 삼는다. 2. 朝鮮語 綴字法은 그 表記에 있어 一般 語音學的 原理에 依據하되 朝鮮 固有의 發音上의 諸規則을 尊重한다. |
조선어절차법 | 1. 조선어 철자법은 단어에서 일정한 의미를 가지는 매개의 부분을 언제나 동일한 형태로 표기하는 형태주의 원칙을 그 기본으로 삼는다. 2. 조선어 철자법은 그 표기에 있어 일반 어음학적 원리에 의거하되, 조선어에 고유한 발음상의 제 규칙을 존중한다. |
한글맞춤법 | 제 1 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
표준어의 정의
통일안(초판) | 二、 표준말은 大體로 現在 中流 社會에서 쓰는 서울말로 한다。 |
---|---|
통일안(고친판) | 二. 표준말은 大體로 現在 中流 社會에서 쓰는 서울 말로 한다. |
통일안(새판) | 二. 표준말은 大體로 現在 中流社會에서 쓰는 서울 말로 한다. |
신철자법 | 4. 標準語는 朝鮮 人民 사이에 使用되는 共通性이 가장 많은 現代語 가운데서 이를 定한다. |
조선어절차법 | 4. 표준어는 조선 인민 사이에 사용되는 공통성이 가장 많은 현대어 가운데서 이를 정한다. |
한글맞춤법 | (표준어규정에서 정함.) |
띄여쓰기의 원칙
통일안(초판) | 三、 文章의 各 單語는 띄어 쓰되、 토는 그 웃 말에 붙여 쓴다。 |
---|---|
통일안(고친판) | 三. 文章의 各 單語는 띄어 쓰되, 토는 그 웃 말에 붙여 쓴다. |
통일안(새판) | 三. 文章의 各 單語는 띄어 쓰되, 토는 그 위ㅅ 말에 붙이어 쓴다. |
신철자법 | 3. 文章의 單語는 原則的으로 各各 띄여 쓴다. |
조선어절차법 | 3. 문장에서 단어는 원칙적으로 띄여 쓴다. |
한글맞춤법 | 제 2 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
횡서원칙
통일안(초판) | |
---|---|
통일안(고친판) | |
통일안(새판) | |
신철자법 | 5. 모든 文書는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橫書함으로써 原則을 삼는다. |
조선어절차법 | 5. 모든 문서는 왼 쪽으로부터 오른 쪽으로 가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삼는다. |
한글맞춤법 |
외래어표기법
통일안(초판) | |
---|---|
통일안(고친판) | |
통일안(새판) | |
신철자법 | |
조선어절차법 | |
한글맞춤법 | 제 3 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
각칙
편집자모
편집字母의 數와 順序 및 이름
된소리
편집통일안(초판) | 통일안(고친판) | 통일안(새판) | 신철자법 | 조선어절차법 | 한글 맞춤법 | ||||||||||||||||||||||||||||||||||||||||||||||||||||||||||||||||||||||||||||||||||||||||||||||||||||||||||||||||||||||||||||||||||||||||||||||||||||||||||||||||||||||
---|---|---|---|---|---|---|---|---|---|---|---|---|---|---|---|---|---|---|---|---|---|---|---|---|---|---|---|---|---|---|---|---|---|---|---|---|---|---|---|---|---|---|---|---|---|---|---|---|---|---|---|---|---|---|---|---|---|---|---|---|---|---|---|---|---|---|---|---|---|---|---|---|---|---|---|---|---|---|---|---|---|---|---|---|---|---|---|---|---|---|---|---|---|---|---|---|---|---|---|---|---|---|---|---|---|---|---|---|---|---|---|---|---|---|---|---|---|---|---|---|---|---|---|---|---|---|---|---|---|---|---|---|---|---|---|---|---|---|---|---|---|---|---|---|---|---|---|---|---|---|---|---|---|---|---|---|---|---|---|---|---|---|---|---|---|---|---|---|---|---|---|
第三項 한 單語 안에서 아무 뜻이 없는 두 音節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는 모두 아래 音節의 첫 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例
|
第三項 한 單語 안에서, 아무 뜻이 없는 두 音節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는, 모두 아래 音節의 첫 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例: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
第三項. 한 單語 안의 두 音節 사이에서 아무뜻이 없는 나는 된소리는, 아래 音節의 첫 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例: (甲을 取하고, 乙을 버린다.)
|
第3項. 한 單語 안의 두 音節 사이에서 아무 뜻이 없이 나는 된소리는 아래 音節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
제9항. 한 형태부 안의 두 음절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는 아래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례: (갑을 취하고 을을 버린다)
한 형태부 안에서 받침 ≪ㄹ≫ 다음에 된소리를 내는 다음의 단어들도 아래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례: (갑을 취하고 을을 버린다)
그러나 토에 있어서는 비록 ≪ㄹ≫ 다음에 된소리를 내더라도 아래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지 아니한다. 례: (갑을 취하고 을을 버린다)
|
제 5 항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소쩍새 어깨 오빠 으뜸 아끼다 기쁘다 깨끗하다 어떠하다 해쓱하다 거꾸로 부썩 어찌 이따금
산뜻하다 잔뜩 살짝 훨씬 담뿍 움찔 몽땅 엉뚱하다
국수 깍두기 딱지 색시 싹둑(∼싹둑) 법석 갑자기 몹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