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한동성/위키문헌

현재 위키소스의 임시 번역은 '위키자료집'입니다. 누가 처음에 이렇게 번역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제 생각에 이것은 프로젝트의 특성을 고려하면 좀 부적합한 이름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자료'의 뜻을 이렇게 설명합니다.

자료 [資料]
    [명사]
    1 연구나 조사 따위의 바탕이 되는 재료.
    2 만들거나 이루는 데 바탕이 되는 물자나 재료.
    3 [북한어]깨달아 알아낸 결과 얻어진 재료.

여기서 볼 수 있듯이 '자료'라는 말은 범위가 매우 넓습니다. 연구나 조사 따위의 바탕은 사진이 될 수도 있고 녹취록이 될 수도 있고 통계 정보가 될 수도 있고 음악이 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그림 자료', '음악 자료', '동영상 자료' 같은 말들이 어색하지 않습니다. 사실상 어떤 형태의 의미있는 정보라도 될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자료집'은 차라리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취급하는 위키미디어 공용에 더 적합한 이름입니다. 반면 위키소스에서 다루는 것은 source text입니다. 글로 된 자료들, 그 중에서도 우리가 보통 '문헌'이라고 부르는 것들, 그러니까 유명 문학 작품이라든가 법령, 기타 역사적인 의미가 있는 글(선언서, 성명서, 조약문, …)을 수록하는 공간이 위키자료집입니다. 이곳에 올라오는 제재의 성격은 아무리 넓게 봐도 '글'로 한정됩니다. 따라서 Wikisource의 'source'를 번역하면 '문헌'이 가장 잘 어울립니다.

문헌 [文獻]
    [명사]
    1 옛날의 제도나 문물을 아는 데 증거가 되는 자료나 기록.
    2 연구의 자료가 되는 서적이나 문서.

위키소스의 부제는 "자유로운 도서관"(The Free Library)입니다. 아시다시피 도서관의 주된 목적은 '문헌'을 보관하고 열람하는 것입니다. 위키소스의 전신은 오늘날 문서 제작 기술의 바탕을 만든 구텐베르크의 이름을 따 시작된, 저작권이 자유로우며 역사적인 보존 가치가 있는 문서들을 집대성해 누구나 열람할 수 있게 하는 계획인 "프로젝트 소스베르크"였습니다. 역시 '문헌'으로 일컬어지는 자료들과 잘 어울리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키문헌'이라는 명칭은 프로젝트 성격에 대해 위키미디어 공용과의 혼동을 막아주는 동시에, 위키책과의 혼동도 막아줍니다. 위키책은 프로젝트 참여자가 직접 입문서·교과서 등을 완성하여 제재를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인 반면, 위키소스는 이미 출판·공개된 문서를 수록하는 곳이며 프로젝트 참여자가 직접 만든 글을 바로 싣는 것은 프로젝트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습니다(프로젝트의 성격을 규정한 문서의 번역을 보세요). 그런데 아시다시피 이 프로젝트를 '자료집'으로 부르면, 학습서·입문서·교과서 등도 당연히 수록될 수 있는 것이 정상처럼 보입니다. 반면에 대다수 한국어 사용자는 실용적 목적으로 작성된 입문서·교과서를 '문헌'으로 부르지 않으며, 반면 이미 출판·공개되었으며 역사적 보존 가치가 있는 문서 자료는 '문헌'으로 부릅니다.

그러므로 위키소스가 뭐하는 프로젝트인지에 대해 한국어 사용자에게 가장 빠른 이해를 줄 수 있는 명칭은 '위키문헌'이고, '위키자료집'은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책 등 자매 프로젝트와 담당 분야를 혼동하기 쉬워 부적합하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더불어 Wikisource를 '위키문헌'으로, Wikilibrarian을 '위키사서'로 번역한다면 이 프로젝트와 프로젝트 참여자들이 하는 일을 가장 알기 쉽게 나타내주는 직관적이고 적절한 이름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