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학지남
서문, 범례, 목차
편집兵學指南 御製 兵學指南 序
於傳有之兵有形有神何
謂形金革旂旐鼓鐸鐲鐃
之物也何謂神經緯奇正
虛實變化之用也夫神能盡
形形不能盡其神故其書同
出於一人而談兵之家宗三略
而支壘圖然神依乎形〻達
乎神〻不可舍形而徒求誠
有法托於形而神行乎其中
者固智愚賢不肖之所通
習也奚翅陰策秘訣之不容 人〻學哉戚師繼光 明
朝人也跨制南北歷典機宜
戰守偉績至于今焜耀史
乘而其所撰紀效新書十八
篇精粗悉備顯微無間訓其
法雖阡陌褦襶之賤可能按
形而與知窮其神卽熊羆〻
將鳧藻之士尙且望洋而茫
無津筏信乎其爲韜鈐之
尸祝而我東之兵學指南又節
約新書之編也爲卷者五爲
目者九提要以便省撿疏義 以決旨歸門分類蒐立之學
官則凡我東水陸征繕京外
團練實無不新書乎自出
然增刪雜異脫誤亦多往〻
相矛盾予命哀合諸本以淘
洗之鋟板行于世斯可以總
三軍之耳目而垂一代之章
程矣雖然予嘗聞訾謷是書
之說矣新書之作蓋述南方
之節制則是其法已不幷以
北况自新書而節約者能不
倚於一偏而四亭八當乎言 固似矣實則未之究也今以
是書之營陣圖上下篇參
互較挈則五營五司南方之
軍制也上篇五十二陣是也三
部六司北方之軍制也下篇
立隊以下十七陣是也南地多
山川故以分合爲利北地多原
野故以方陣爲利至如上篇
之三隊平行五營立表兩陣
非其法之利於南秪爲類附
於開營行而列於上下篇之
一隊爲九以下七圖非其法之 主於北亦爲通用於南北方
而編於下夫以戚帥之跡遍
天下智周成敗論次其試於
形而運於神者以遺後世之
龜鑑其事至重其義至密
卽其肯以一方之偏制聊且粗
略而止哉雖然此姑以其形之
相近比倫之也苟神矣麾一旂
可成八陣鳴一鼓可令五營何
有於南北何有於古今然則不
驚虛不滯隅下學而上達所
以盡形所以盡神不曰兵之有 法如奕之有譜乎請是書者
知善奕者之不以譜爲奕幾
矣予以是勗將兵之臣仍書
卷首爲兵學指南序時予
卽阼十一年仲冬
奎章之寶 兵學指南凡例
一此書卽戚氏紀效新書之抄節成篇以便講習者訓局舊本
略有脫誤處如營陣正彀篇行營章前之右誤作右之前陣
圖上篇兩儀陣圖不擧隊長二路行遇警列陣圖俱在一路
行之一字誤作二字下篇舟師一寨列營圖不可拘方之方
字誤作妨字故今幷校正
一武士之中外各營考講習用是書則被無識卒伍竭半生之
精力僅誦一篇指南而尙患其臨卷口呿况盆之以添補諸
條殊非簡當之方故旗鼓定法篇望旗號二條營陳總圖篇
五行陣四條城操程式篇新增諸條只用於守禦營本而本
營新印本存而不論蓋欲繕完其書而不妨於時措也
一頭註則從訓局及南漢本通同合錄海西本只取一條而南
漢本書南字海西本書西字新增字書增字而別之
一旗鼓定法總訣諺解雙註書之營陣正彀舊無諺解故從南
漢本添補
一旗鼓定法與總訣俱出於戚書獨總訣一篇之低一字書之
殊無意義今亦釐正
一各本陣圖附識中不載車騎營法五條及陣法通變四圖故
添錄之
一各陣號令以大字書之與頭註毋混奉 敎校正別軍職折
衝將軍宣 傳官兼司僕寺內乘臣李儒敬 兵學指南目錄
卷之一
旗鼓定法
旗鼓總訣
卷之二
營陳正彀
卷之三
營陳總圖 上
卷之四
營陳總圖 下【陣法通變四圖附】
卷之五
場操程式
夜操程式 【附】
分練程式 【附】
城操程式
水操程式
권1
편집兵學指南卷之一
旗鼓定法 긔과 붑의 뎡ᄒᆞᆫ 법이라
凡各官兵耳只聽金鼓之聲目只看旗幟方色不拘何項 人員口來分付決不許聽如鼓聲不絶便前面是水火也 須跳入如鳴金該止就前面有財寶首級亦不許進取如 旗指之使前視旗爲命莫不就死如旗伏而不起脚下卽 是信地雖天神叫移動亦不許依從夜看火鼓與晝一般
- 므릣 각 쟝관과 군ᄉᆡ 귀로ᄂᆞᆫ 다만 증 붑소ᄅᆡᄅᆞᆯ 듣고 눈으로ᄂᆞᆫ 다만 긔치 빗ᄎᆞᆯ 보고 아모류의 사ᄅᆞᆷ이나 관원이나 거리ᄭᅵ디 말고 입으로 와 니ᄅᆞᄂᆞᆫ 말으란 결연히 허ᄒᆞ야 듣디 말라 만일 붑소ᄅᆡ 귿디 아니ᄒᆞᆯ딘대ᄂᆞᆫ 곧 앏면이 이 믈이며 블일디라도 ᄯᅩᄒᆞᆫ 모로미 ᄠᅱ여 들고 만일 증을 울려 맛당히 그틸딘대ᄂᆞᆫ 곧 앏ᄒᆡ 보ᄇᆡ며 도적의 머리 이실디라도 ᄯᅩᄒᆞᆫ 나아가 가지디 말라 만일 긔ᄅᆞᆯ ᄀᆞᄅᆞ쳐 ᄒᆞ여곰 앏ᄒᆞ라 홀딘대 긔ᄅᆞᆯ 보아 목숨을 삼아 죽음애 나아가디 아니티 몯ᄒᆞ고 만일 긔ᄅᆞᆯ 디오고 니ᄅᆞ혀디 아닐딘대ᄂᆞᆫ 발 아래 곧 이 뎡ᄒᆞᆫ ᄯᅡ히라 비록 하ᄂᆞᆯ 귀신이 불러 올마 움즉이라 ᄒᆞᆯ디라도 ᄯᅩᄒᆞᆫ 허ᄒᆞ야 그대로 좃디 말라 밤의ᄂᆞᆫ 등블과 증붑을 보되 낫과 ᄒᆞᆫ가지로 ᄒᆞ라
明砲號 츙통으로 ᄒᆞ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凡某號要起必放砲一聲使人有耳者先共聞之然後方用旗 幟金鼓等項示行凡官軍但聞砲響卽專一看有何旗幟之色 聽有何金鼓之聲卽速照行庶不誤事
- 므릣 아모 호령을 니ᄅᆞ혀 과댜 호매 반ᄃᆞ시 츙통 ᄒᆞᆫ 소ᄅᆡᄅᆞᆯ 노하 사람이 귀 잇ᄂᆞ니로 ᄒᆞ여곰 몬져 다 듣게 ᄒᆞᆫ 후의 보야흐로 긔치과 증과 붑류ᄅᆞᆯ ᄡᅥ 뵈야 ᄒᆡᆼᄒᆞᄂᆞ니 므릿 쟝관과 군ᄉᆡ 다만 즁통 소ᄅᆡᄅᆞᆯ 듣고 즉제 젼일ᄒᆞ야 므ᄉᆞᆷ 긔치 빗치 잇ᄂᆞᆫ고 보며 므ᄉᆞᆷ 증과 붑소ᄅᆡ 잇ᄂᆞᆫ고 드러 즉제 ᄲᆞᆯ리 그대로 ᄒᆡᆼᄒᆞ야사 거의 일을 그릇치디 아니ᄒᆞ리라
升帳砲三擧卽鳴金大吹打
- 댱의 오ᄅᆞᄂᆞᆫ 츙통은 세 번 노코 즉제 증을 울리고 큰ᄎᆔ타ᄅᆞᆯ ᄒᆞᄂᆞ니라
升旗砲一擧卽擂鼓鳴鑼升旗
- 긔 올리ᄂᆞᆫ 츙통은 ᄒᆞᆫ 번 노코 즉제 붑 ᄡᆡ오고 라 울리고 긔ᄅᆞᆯ 올리ᄂᆞ니라
肅靜砲入場發放後三擧要肅靜聽下營
- 엄슉고 고요ᄒᆞ라 ᄒᆞᄂᆞᆫ 츙통은 교쟝의 드러 발방ᄒᆞᆫ 후의 세 번 노호미니 엄슉고 고요ᄒᆞ야셔 진틸 령을 듣과댜 호미라
吶喊砲每一擧喇叭吹天鵝一聲吶喊一聲常時三擧止臨陣不拘金鳴乃止
- 고함ᄒᆞ라 ᄒᆞᄂᆞᆫ 츙통은 ᄆᆡ ᄒᆞᆫ 번 노코 나발노 텬아ᄒᆞᆫ 소ᄅᆡᄅᆞᆯ 부러든 고ᄒᆞᆷ ᄒᆞᆫ 소ᄅᆡᄅᆞᆯ ᄒᆞᄂᆞ니 샹시의ᄂᆞᆫ 세 번 노코 그티고 진의 림ᄒᆞ야ᄂᆞᆫ 거리ᄭᅵ디 말고 증을 울려야 이예 그티ᄂᆞ니라
分合砲一路一擧欲分幾路爲幾擧無定數擧畢看旗幟依數 分之合營同
- 난호며 모호ᄂᆞᆫ 츙통은 ᄒᆞᆫ 길헤ᄂᆞᆫ ᄒᆞᆫ 번 노코 현 길흘 난호려 ᄒᆞ면 현 번을 노하 뎡ᄒᆞᆫ 쉬 업스니 노키ᄅᆞᆯ 다 호매 긔치ᄅᆞᆯ 보와셔 그 수대로 난호라 영을 뫼호기도 ᄀᆞ트니라
閉營砲三擧卽大吹閉營門
- 진을 닷ᄂᆞᆫ 츙통은 세 번 노코 즉제 대ᄎᆔ타ᄒᆞ고 진문을 닷ᄂᆞ니라
定更砲遇夜擂鼓畢一擧喇叭吹天鵝聲
- 경을 뎡ᄒᆞᄂᆞᆫ 츙통은 밤을 만나 붑 ᄡᆡ오기ᄅᆞᆯ ᄆᆞᄎᆞ매 ᄒᆞᆫ 번 노코 나발로 텬아셩을 부ᄂᆞ니라
變令砲凡正行之間欲別更號令人衆隔遠恐失視聽故先擧 砲聞砲前令卽止專心傾耳聽新起何令照行
- 령을 고티ᄂᆞᆫ 츙통은 므릣 졍히 ᄒᆡᆼᄒᆞᄂᆞᆫ ᄉᆞ이의 각별이 령을 고티과댜 홀딘대 사ᄅᆞᆷ들이 멀리 격ᄒᆞ얏ᄂᆞᆫ디라 보며 듣기ᄅᆞᆯ 일흘가 저허ᄒᆞᆫ 고로 몬져 츙통울 놋ᄂᆞ니 츙통을 듣고 젼의 령을 즉제 그티고 ᄆᆞᄋᆞᆷ을 오오로고 귀ᄅᆞᆯ 기우려 새로 므ᄉᆞᆷ 령을 니로혀ᄂᆞᆫ고 드러 그대로 ᄒᆡᆼᄒᆞ라
伏路塘報擧砲是報警一擧賊小二擧賊衆守城時擧砲是某 面賊來北一南二東三西四
- 복로병과 당뵈 충툥을 노호믄 이ᄂᆞᆫ 도적 긔별을 알외미니 ᄒᆞᆫ 번 노호믄 도적이 젹다 호미오 두 번 노호믄 도적이 하다 호미니라 셩을 딕흴제 츙통을 노호믄 이ᄂᆞᆫ 아모 면으로셔 도적이 온다 호미니 븍으로셔 오면 ᄒᆞᆫ 번 노코 남으로셔 오면 두 번 노코 동으로셔 오면 세 번 노코 셔로셔 오면 네 번 놋ᄂᆞ니라
明笛號 호뎍 부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凡吹瑣吶謂之掌號笛要聚各官旗頭目發放軍務必須吹得 到齊乃止
- 므릣 대평쇼 부로믈 니론 쟝호뎍이니 각 쟝관과 긔 ᄃᆡ총을 뫼화 군즁 일을 발방콰댜 호미니 반ᄃᆞ시 모로미 부러 다 오믈 엇고 사이예 그티ᄂᆞ니라
若有緊急或衆至數萬只是旗總以上赴隊長守伍若吹在衙 門各偏裨傳帶頭目自哨官以上赴
- 만일 ᄀᆞ장 급ᄒᆞᆫ 일이 잇거나 혹 군ᄉᆡ 여러 만의 닐을딘대ᄂᆞᆫ 다만 이 긔총으로 ᄡᅥ 우희 가고 ᄃᆡ쟝은 제 ᄃᆡ오ᄅᆞᆯ 딕희여 이시라 만일 아문의 이셔 불띤대ᄂᆞᆫ 각 영쟝이 젼ᄒᆞ야 두목을 ᄃᆞ려 쵸관으로부터 ᄡᅥ 우히 가라
明喇叭號 나발 부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凡大小將領門前及敎場內行營處獨吹別無響器擧動是掌 號吹第一次是頭號要人興起收拾行李做飯吹第二次是二 號要人喫飯收拾出門詢問箚營信地聚齊吹第三次是三號 主將起身自衙門出到箚營地方另擬向往
- 므릣 크며 쟈근 쟝령의 문 앏과 믿 교쟝 안의 진ᄒᆡᆼᄒᆞᄂᆞᆫ 곧의 홀로 나발만 불고 다ᄅᆞᆫ 소ᄅᆡ 나ᄂᆞᆫ 긔계며 거동이 업슨 거시 쟝회니 ᄒᆞᆫ 번ᄶᅢ 부로믄 이ᄂᆞᆫ 처엄 호령이니 사ᄅᆞᆷ이 니러나 짐을 ᄎᆞᆯ히고 밥을 짓과댜 호미오 두 번ᄶᅢ 부로믄 이ᄂᆞᆫ 둘ᄶᅢ 호령이니 사ᄅᆞᆷ이 밥을 먹고 ᄎᆞᆯ혀 문의 나가 진 셰올 뎡ᄒᆞᆫ ᄯᅡ흘 무러 ᄀᆞᄌᆞ기 몯과댜 호미오 세 번ᄶᅢ 부로믄 이ᄂᆞᆫ 셋재
- 호령이니 쥬쟝이 몸을 니ᄅᆞ혀 아문으로브터 나셔 진 셧ᄂᆞᆫ ᄯᅡ의 가 각별이 향ᄒᆞ야 갈 ᄃᆡᄅᆞᆯ 뎡호려 호미니라
凡正操時擧號砲吹喇叭亦謂之掌號是要伏路塘報或樵汲 收回
- 므릣 졍히 조련ᄒᆞᆯ 제 호포 노코 나발 부로믈 ᄯᅩᄒᆞᆫ 니론 쟝회니 이ᄂᆞᆫ 복로병과 댱보며 혹 나모 븨며 믈 깃ᄂᆞ닐을 거두어 도라오과댜 호미니라
吹長聲一聲謂之天鵝聲要各兵一齊吶喊或銃手齊放或弓 手齊發
- 긴 소ᄅᆡ ᄒᆞᆫ 소ᄅᆡ 부로믈 니론 텬아셩이니 각 병이 ᄒᆞᆷᄭᅴ ᄀᆞᄌᆞ기 고함ᄒᆞ과댜 호미오 혹 됴츙ᄉᆔ ᄒᆞᆷᄭᅴ 노흐며 혹 궁ᄉᆔ ᄒᆞᆷᄭᅴ ᄡᅩ과댜 호미니라
吹擺隊伍聲是要一字擺列大隊也
- 파ᄃᆡ오 소ᄅᆡ 부로믄 이ᄂᆞᆫ 일ᄌᆞ로 큰 ᄃᆡᄅᆞᆯ 펴 버리과댜 호미니라
擺隊已定喇叭稍歇復又吹長聲謂之單擺開是要殺手擺小 隊銃手單列成陣備戰也
- 큰 ᄃᆡ 펴기ᄅᆞᆯ 임의 뎡ᄒᆞ고 나발이 져기 그티매 다시 ᄯᅩ 긴 소ᄅᆡᄅᆞᆯ 부로믈 니론 단파ᄀᆡ니 이ᄂᆞᆫ 살ᄉᆔ 쟈근 ᄃᆡᄅᆞᆯ 펴고 됴츙ᄉᆔ 홋ᄎᆞ로 펴 진을 일워 ᄡᅡ호믈 ᄎᆞᆯ히과댜 호미니라
吹長聲放砲一箇磨旗是要轉身各兵俱看旗所指處俱向某 處轉身
- 긴 소ᄅᆡᄅᆞᆯ 불고 츙통 ᄒᆞᆫ 낫츨 노코 긔ᄅᆞᆯ 마호믄 이ᄂᆞᆫ 몸을 두로과댜 호미니 각 병이 다 긔 ᄀᆞᄅᆞ틴 바 곧을 보와 다 아모 곧으로 향ᄒᆞ야 몸을 두로라
遇夜擂鼓畢天鵝聲是定更
- 밤을 만나 붑 ᄡᆡ오기ᄅᆞᆯ ᄆᆞᄎᆞ매 텬아셩을 부로믄 이ᄂᆞᆫ 경을 뎡호미니라
明哱囉號 ᄇᆞ라 부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凡吹長聲吹三聲是要兵起身再吹一次是要馬兵上馬車兵附 車步兵執器以待
- 므릣 긴 소ᄅᆡ 세 소ᄅᆡᄅᆞᆯ 부로믄 이ᄂᆞᆫ 군ᄉᆡ 몸을 니ᄅᆞ혀과댜 호미오 ᄯᅩ ᄒᆞᆫ 번을 부로믄 이ᄂᆞᆫ ᄆᆞᆯ 가진 군ᄉᆞᄂᆞᆫ ᄆᆞᆯ을 ᄐᆞ고 수ᄅᆡ 가진 군ᄉᆞᄂᆞᆫ 수ᄅᆡ의 븓고 거ᄅᆞᆫ 군ᄉᆞᄂᆞᆫ 긔계ᄅᆞᆯ 잡아셔 ᄡᅥ 기ᄃᆞ리과댜 호미니라
吹單哱囉是要頭目起身往宿討家時只哨官隊長起身
- 외쥬라 부로믄 이ᄂᆞᆫ 두목이 몸을 니ᄅᆞ혀과댜 호미니 머므러 자려 집어들 ᄯᅢᄂᆞᆫ 다만 쵸관과 ᄃᆡ쟝이 몸을 니ᄅᆞ혀라
明鑼號 명라ᄒᆞ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凡鳴鑼是要馬兵下馬車兵下車再鳴是要各兵坐息
- 므릣 라ᄅᆞᆯ 울리믄 이ᄂᆞᆫ ᄆᆞᆯ 가진 군ᄉᆞᄂᆞᆫ ᄆᆞᆯᄭᅴ ᄂᆞ리고 수ᄅᆡ 가진 군ᄉᆞᄂᆞᆫ 수ᄅᆡ의 ᄂᆞ리과댜 호미오 두 번ᄶᅢ 울리믄 이ᄂᆞᆫ 각 병이 안자 쉬과댜 호미니라
沿街傳鑼是要各兵解甲安歇
- 거리ᄅᆞᆯ 좃차 라ᄅᆞᆯ 젼ᄒᆞ이믄 이ᄂᆞᆫ 각 병이 갑옷ᄉᆞᆯ 벗고 평안이 쉬과댜 호미니라
鳴鑼邊是要旗幟分立于左右
- 라ᄀᆞ를 울리믄 이ᄂᆞᆫ 긔치 난화 좌우의 셔과댜 호미니라
明鼓號 붑티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凡點鼓是行營一聲約行二十步點緊鼓是緊行一聲行一步 擂鼓是交鋒要兵向前與賊厮殺
- 므릣 붑을 드므리 티믄 이ᄂᆞᆫ ᄒᆡᆼ군ᄒᆞ라 호미니 ᄒᆞᆫ 소ᄅᆡ의 스므 거름 즈음 가고 붑을 자조 티믄 이ᄂᆞᆫ ᄲᆞᆯ리 가라 호미니 ᄒᆞᆫ 소ᄅᆡ의 ᄒᆞᆫ 거름을 가고 붑을 ᄡᆡ오믄 이ᄂᆞᆫ 날를 서괴과댜 호미니 군ᄉᆡ 앏흐로 향ᄒᆞ야 도적과 서로 죽이과댜 호미니라
列陳後點鼓是要擡陳而前
- 진을 버린 후의 붑을 드므리 티믄 이ᄂᆞᆫ 진을 드러 나아가과댜 호미니라
下營定擂鼓是要樵汲入夜閉營門後擂鼓是起更
- 방진 티기ᄅᆞᆯ 뎡호매 붑을 ᄡᆡ오믄 이ᄂᆞᆫ 나모 븨고 믈 깃과댜 호미오 밤 드러 영문을 다든 후의 붑을 ᄡᆡ오믄 이ᄂᆞᆫ 경을 니ᄅᆞ혀미니라
吹角擂鼓鳴鐘是要發放夜巡鍾以金代
- 된각 불고 붑 ᄡᆡ오고 쇠붑 울리믄 이ᄂᆞᆫ 밤의 슌라ᄒᆞᄂᆞᆫ 군ᄉᆞᄅᆞᆯ 발방콰댜 호미니라 쇠붑은 증으로ᄡᅥ ᄃᆡᄒᆞ라
得勝鼓是要官兵回原地
- 이긔믈 어든 붑은 이ᄂᆞᆫ 쟝관과 군ᄉᆡ 처엄 잇던 ᄯᅡᄒᆡ 도라가과댜 호미니라
明摔鈸號 솔발ᄒᆞ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凡摔鈸鳴一次是要各兵收隊再鳴成大隊旗幟通回中軍
- 므릣 솔발을 ᄒᆞᆫ 번 울리믄 이ᄂᆞᆫ 각 병이 ᄃᆡ오ᄅᆞᆯ 거두과댜 호미오 다시 울리믄 큰 ᄃᆡᄅᆞᆯ 일우고 긔치 다 즁군의 도라오라 호미니라
對戰畢摔鈸鳴一次是要各整隊伍又鳴一次是要各分原隊
- ᄃᆡ뎍ᄒᆞ야 ᄡᅡ호믈 ᄆᆞᄎᆞ매 솔발을 ᄒᆞᆫ 번 울리믄 이ᄂᆞᆫ 각각 ᄃᆡ오ᄅᆞᆯ ᄎᆞᆯ호과댜 호미오 ᄯᅩ ᄒᆞᆫ 번 울리믄 이ᄂᆞᆫ 각각 처엄 ᄃᆡ오ᄃᆡ로 난호과댜 호미니라
明鉦號 증티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凡軍中一切鼓吹有音如號笛哱囉喇叭鑼鼓摔鈸等項每欲 止旗幟有色如認旗五方旗招等項每欲僕必鳴金一聲聽更 令號砲後卽如所更之令行二鳴是要吹打三鳴要吹打止
- 므릣 군즁의 일응 티며 부러 소ᄅᆡ 잇ᄂᆞᆫ 호뎍이나 ᄇᆞᆯ라나 나발이 나래나 붑이나 솔발 ᄀᆞ튼 류ᄅᆞᆯ ᄆᆡ양 그티고져 ᄒᆞ며 긔치 빗 잇ᄂᆞᆫ 인긔나 오방긔나 고쵸 ᄀᆞ튼 류ᄅᆞᆯ ᄆᆡ양 디우고져 호매 반ᄃᆞ시 증 ᄒᆞᆫ 소ᄅᆡᄅᆞᆯ 울리ᄂᆞ니 령 고티ᄂᆞᆫ 호포ᄅᆞᆯ 드른 후의 즉제 고틴 바 령ᄀᆞ티 ᄒᆡᆼ호미니라 두 번 울리믄 이ᄂᆞᆫ ᄎᆔ타 ᄒᆞ과댜 호미오 세 번 울리믄 ᄎᆔ타ᄅᆞᆯ 그티과댜 호미니라
對戰畢三鳴是退兵連鳴二聲要退兵回身立定
- ᄃᆡ뎍ᄒᆞ야 ᄡᅡ호믈 ᄆᆞᄎᆞ매 세 번 울리믄 이ᄂᆞᆫ 군ᄉᆞᄅᆞᆯ 믈니라 호미오 니워 두 소ᄅᆡᄅᆞᆯ 울리믄 믈린 군ᄉᆡ 몸을 두로혀셔 뎡
- 콰댜 호미니라
鳴金邊是發伏路塘報或擺列旗幟或發五方旗招立表
- 증ᄀᆞ를 울리믄 이ᄂᆞᆫ 복로과 당보ᄅᆞᆯ 내라 호미며 혹 긔치ᄅᆞᆯ 버려 셰오라 호미며 혹 오방 긔쵸ᄅᆞᆯ 발ᄒᆞ야 셰워 표호미라
明吹打號 ᄎᆔ타ᄒᆞ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凡吹打是主將升帳或開閉營正操時大吹打是要官兵回信 地操畢大吹打是要散操
- 므릣 ᄎᆔ타 ᄒᆡ오믄 이ᄂᆞᆫ 쥬쟝이 좌긔ᄒᆞ며 혹 영을 열며 다드미오 졍히 조련ᄒᆞᆯ 제 큰 ᄎᆔ타 ᄒᆡ오믄 이ᄂᆞᆫ 쟝관과 군ᄉᆡ 신디의 도라가과댜 호미오 조련을 ᄆᆞᄎᆞ매 큰 ᄎᆔ타 ᄒᆡ오믄 이ᄂᆞᆫ 조련을 흣과댜 호미니라
閉營時大吹打是要下明營閉營時不吹打是要下暗營
- 진을 다들 제 큰 ᄎᆔ타 ᄒᆡ오믄 이ᄂᆞᆫ ᄇᆞᆰ은 진을 티과댜 호미오 진을 다들 제 ᄎᆔ타ᄅᆞᆯ 아니 ᄒᆡ오믄 이ᄂᆞᆫ 어두온 진을 티과댜 호미니라
小吹打是小開門要于後堂應酬軍務士情
- 쟈근 취타ᄂᆞᆫ 이ᄂᆞᆫ 쟈근 좌긔의 문을 열오미니 후당의셔 군즁 일이며 군ᄉᆞ의 졍을 ᄃᆡ답과댜 호미니라
明起火號 긔화 놋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凡擧起火是要鈀手放火箭收樵汲閉門後擧起火是要擧火 炊飯入夜閉門後擧起火是要燃燈
- 므릣 긔화ᄅᆞᆯ 노호믄 이ᄂᆞᆫ 댱파ᄉᆔ 화젼을 노콰댜 호미오 나모 븨며 믈 깃기ᄅᆞᆯ 거두고 문 다든 후의 긔화ᄅᆞᆯ 노호믄 이ᄂᆞᆫ 블을 드러 밥을 짓과댜 호미오 밤 드러 문 다든 후의 긔화ᄅᆞᆯ 노호믄 이ᄂᆞᆫ 등의 블을 혀과댜 호미니라
伏路塘報擧起火是報警一擧賊少二擧賊衆
- 복로병과 당뵈 긔화ᄅᆞᆯ 노호믄 이ᄂᆞᆫ 도적 긔별을 알외미니 ᄒᆞ나흘 노호믄 도적이 젹댜 호미오 둘흘 노호믄 도적이 하다 호미니라
明鍾號 쇠붑 티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凡撞鍾是某面賊至北一南二東三西四如四面或二三面皆 賊則鍾聲不止
- 므릣 쇠붑을 티믄 이ᄂᆞᆫ 아모 면으로셔 도적이 온다 호미니 븍으로셔 오면 ᄒᆞᆫ 번 티고 남으로셔 오면 두 번 티고 동으로셔 오면 세 번 티고 셔로셔 오면 네 번 티고 만일 네 면이나 혹 두세 면으로셔 다 도적이 오면 붑소ᄅᆡᄅᆞᆯ 그티디 아니ᄒᆞᄂᆞ니라
明旗制 긔 졔도ᄅᆞᆯ ᄇᆞᆰ히미라
每一大營將官認旗以心坐本方以邊生旗色以帶應德把總 以心坐本方以邊應營將以帶應德哨官以心坐本方以邊應 把總以帶應營將旗總以心應本哨以邊應把總不用帶隊長 以色應旗總不用邊帶如有千總則把總以帶應營將以下照 此
- ᄆᆡ ᄒᆞᆫ 큰 영쟝슈의 인긔ᄂᆞᆫ ᄌᆞ의로ᄡᅥ 본방의 안티고 ᄀᆞᄋᆞ로ᄡᅥ 긔 빗ᄎᆞᆯ 내게 ᄒᆞ고 ᄃᆡ로ᄡᅥ 나라흘 응ᄒᆞ고 파총은 ᄌᆞ의로ᄡᅥ 본방의 안티고 ᄀᆞᄋᆞ로ᄡᅥ 영쟝을 응ᄒᆞ고 ᄃᆡ로ᄡᅥ 나라흘 응ᄒᆞ고 쵸관은 ᄌᆞ의로ᄡᅥ 본방의 안티고 ᄀᆞᄋᆞ로ᄡᅥ 파총을 응ᄒᆞ고 ᄃᆡ로ᄡᅥ 영쟝을 응ᄒᆞ고 긔총은 ᄌᆞ의로ᄡᅥ 본쵸ᄅᆞᆯ 응ᄒᆞ고 ᄀᆞᄋᆞ로ᄡᅥ 파총을 응ᄒᆞ고 ᄃᆡᄅᆞᆯ ᄡᅳ디 아니ᄒᆞ고 ᄃᆡ쟝은 빗ᄎᆞ로ᄡᅥ 긔총을 응ᄒᆞ고 ᄀᆞ와 ᄃᆡᄅᆞᆯ ᄡᅳ디 아니ᄒᆞᄂᆞ니라 만일 쳔춍이 이실딘대ᄂᆞᆫ 파총이 ᄃᆡ로ᄡᅥ 영쟝을 응호ᄃᆡ ᄡᅥ 아래ᄂᆞᆫ 이대로 ᄒᆞ라
明旗色 긔 빗ᄎᆞᆯ ᄇᆞᆰ히미라
黃旗屬中中營中軍所用但見黃旗卽知爲某中營某中軍也 在五營則爲五營之中在一營則爲一營之中少至五人則爲 五人之中紅旗屬前前營所用藍旗屬左左營所用白旗屬右 右營所用黑旗屬後後營所用但見某色旗卽知爲某營也在 五營則以營分方色在一營則以司分方色在一司則又以哨 分方色
- 누른 긔ᄂᆞᆫ 가온대 쇽ᄒᆞ니 즁영 즁군의 ᄡᅳᄂᆞᆫ 배니 다만 누른 긔ᄅᆞᆯ 보고 곧 아모 즁영이며 아모 즁군인 줄을 아ᄂᆞ니 다ᄉᆞᆺ 영의 이시면 다ᄉᆞᆺ 영 가온대 되고 ᄒᆞᆫ 영의 이시면 ᄒᆞᆫ 영 가온대 되고 젹어 다ᄉᆞᆺ 사ᄅᆞᆷ의 니ᄅᆞ면 다ᄉᆞᆺ 사ᄅᆞᆷ의 가온대 되ᄂᆞ니라 블근 긔ᄂᆞᆫ 앏ᄒᆡ 쇽ᄒᆞ니 젼영의 ᄡᅳᄂᆞᆫ 배오 프른 긔ᄂᆞᆫ 좌편의 쇽ᄒᆞ니 좌영의 ᄡᅳᄂᆞᆫ 배오 흰 긔ᄂᆞᆫ 우편의 쇽ᄒᆞ니 우영의 ᄡᅳᄂᆞᆫ 배오 검은 긔ᄂᆞᆫ 뒤ᄒᆡ 쇽ᄒᆞ니 후영의 ᄡᅳᄂᆞᆫ 배니 다만 아모 빗쳇 긔ᄅᆞᆯ 보고 곧 아모 영인 줄 아ᄂᆞ니 다ᄉᆞᆺ 영의 이시면 영으로ᄡᅥ 방ᄉᆡᆨ을 난호고 ᄒᆞᆫ 영의 이시면 ᄉᆞ로ᄡᅥ 방ᄉᆡᆨ을 난호고 ᄒᆞᆫ ᄉᆞ의 이시면 ᄯᅩ 쵸로ᄡᅥ 방ᄉᆡᆨ을 ᄂᆞᆫ호ᄂᆞ니라
明旗應 긔 응ᄒᆞ기ᄅᆞᆯ ᄇᆞᆰ히미라
各兵看本隊長所執旗隊長看本旗總所執旗旗總看本哨官 認旗哨官看本把總旗色把總看本營將旗色營將看主將旗 色主將旗或立或偃或點或磨先營將應之把總不許先應營 將旗先把總應之哨官不許先應把總旗先哨官應之旗總不 許先應哨官旗先旗總應之隊長不許先應旗總以下口傳身 率不用旗鼓號令要與旗鼓號令同
- 각 군ᄉᆞᄂᆞᆫ 제 ᄃᆡ쟝의 잡은 바 긔ᄅᆞᆯ 보고 ᄃᆡ쟝은 제 긔총의 잡은 바 긔ᄅᆞᆯ 보고 긔총은 제 쵸관의 인긔ᄅᆞᆯ 보고 쵸관은 제 파총의 긔 빗ᄎᆞᆯ 보고 파총은 제 영쟝의 긔 빗ᄎᆞᆯ 보고 영쟝은 쥬쟝의 긔 빗ᄎᆞᆯ 보와 쥬쟝의 긔ᄅᆞᆯ 혹 셰오며 혹 누이며 혹 뎜ᄒᆞ며 혹 마호매 몬져 영쟝이 응ᄒᆞ고 파총은 몬져 응호믈 허티 말라 영쟝의 긔ᄂᆞᆫ 몬져 파총이 응ᄒᆞ고 쵸관은 몬져 응호믈 허티 말라 파총의 긔ᄂᆞᆫ 몬져 쵸관이 응ᄒᆞ고 긔총은 몬져 응호믈 허티 말라 쵸관의 긔ᄂᆞᆫ 몬져 긔총이 응ᄒᆞ고 ᄃᆡ쟝은 몬져 응호믈 허티 말라 긔총으로ᄡᅥ 아래ᄂᆞᆫ 입으로 젼ᄒᆞ며 몸으로 더불고 긔와 붑 호령을 ᄡᅳ디 아니호ᄃᆡ 모로미 긔와 붑 호령으로 더부러 ᄀᆞ티 ᄒᆞ라
明認旗號 인긔 ᄡᅳ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各偏裨聽主將認旗磨動俱赴主將前磨動不止則把總以下 挨次俱赴
- 각 영쟝이 쥬쟝의 인긔 마ᄒᆞ며 움즉이믈 듣보와 다 쥬쟝의 앏ᄒᆡ 가되 마ᄒᆞ며 움즉이믈 그티디 아니커든 파총으로ᄡᅥ 아래 ᄎᆞ례로 다 가라
或不吹號笛用認旗招聚官旗發放畢認旗一麾俱散回原伍
- 혹 호뎍을 부디 아니코 인긔ᄅᆞᆯ ᄡᅥ 쟝관과 긔 ᄃᆡ총을 불러 모도와 발방ᄒᆞ기ᄅᆞᆯ ᄆᆞᄎᆞ매 인긔ᄅᆞᆯ ᄒᆞᆫ 번 둘러든 다 흣터 처엄 ᄃᆡ오의 도라가라
大發放時把總以下俱用認旗招聚發放
- 큰 발방ᄒᆞᆯ 제 파총으로ᄡᅥ 아래ᄂᆞᆫ 다 인긔랄 ᄡᅥ 불러 모도와 발방ᄒᆞᄂᆞᆫ니라
明五方旗招號 오방긔과 고쵸 ᄡᅳ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各營看主將旗立是何色便是何營聽候
- 각 영이 쥬쟝의 긔 셰온 거시 이 므ᄉᆞᆷ 빗친고 보와 믄득 이 아모 영이 듣보라
主將五方旗招俱起立點動則五方之營俱照旗而動如止于 一旗立點則該應之旗俱立點別旗照常若五方旗招俱偃則 五方之營俱照旗偃之若只一旗偃則該應旗俱偃別旗照常 某旗磨則該應旗俱磨別旗照常某旗向某方指點則該應旗 俱向某方各兵隨旗而往
- 쥬쟝의 오방긔와 고쵸ᄅᆞᆯ 다 니ᄅᆞ혀 셰워 뎜ᄒᆞ야 움즉이거든 오방의 영이 다 그 긔대로 움즉이고 만일 ᄒᆞᆫ 긔만 셰워 뎜호매 그티거든 게 당ᄒᆞᆫ 응ᄒᆞᆯ 긔ᄂᆞᆫ 다 셰워 뎜ᄒᆞ고 다ᄅᆞᆫ 긔ᄂᆞᆫ 샹ᄒᆡ대로 이시라 만일 오방긔와 고쵸ᄅᆞᆯ 다 누이거든 오방의 영이 다 그 긔대로 누이고 만일 다만 ᄒᆞᆫ 긔만 누이거든 게 당ᄒᆞᆫ 응ᄒᆞᆯ 긔난 다 누이고 다ᄅᆞᆫ 긔ᄂᆞᆫ 샹ᄒᆡ대로 이시라 아모 긔ᄅᆞᆯ 마ᄒᆞ거든 게 당ᄒᆞᆫ 응ᄒᆞᆯ 긔ᄂᆞᆫ 다 마ᄒᆞ고 다ᄅᆞᆫ 긔ᄂᆞᆫ 샹ᄒᆡ대로 이시라 아모 긔ᄅᆞᆯ 아모 방위로 향ᄒᆞ야 ᄀᆞᄅᆞ텨 뎜ᄒᆞ거든 게 당ᄒᆞᆫ 응ᄒᆞᆯ 긔ᄂᆞᆫ 다 아모 방위로 향ᄒᆞ고 각 군ᄉᆡ 긔ᄅᆞᆯ ᄠᆞᆯ와가라
大旗立門表高招立內表各兵聽四方表旗磨動照旗色蟻附 搶成方營
- 큰 긔ᄂᆞᆫ 문의 표ᄅᆞᆯ 셰오고 고쵸ᄂᆞᆫ 안ᄒᆡ 표ᄅᆞᆯ 셰오ᄂᆞ니 각 군ᄉᆡ ᄉᆞ방의 표긔 마ᄒᆞ야 움즉이믈 듣보와 긔 빗대로 ᄒᆞ야 가얌이 붓듯ᄒᆞ야 방영을 급히 일우라
下方營後磨黃旗是要發兵樵汲磨何色旗該營照令行
- 방영 틴 후의 누른 긔ᄅᆞᆯ 마호믄 이ᄂᆞᆫ 병을 발ᄒᆞ야 나모 븨며 믈 깃과댜 호미니 아모 빗쳇 긔ᄅᆞᆯ 마ᄒᆞ거든 게 당ᄒᆞᆫ 영이 그 령대로 ᄒᆡᆼᄒᆞ라
閉營時堅黑旗是要晝習夜營
- 진을 다들 제 검은 긔ᄅᆞᆯ 셰오믄 이ᄂᆞᆫ 나ᄌᆡ 밤 진을 니기과댜 호미니라
分練時立藍紅白旗三面是要一隊變爲三才陣立藍白旗二 面是要一隊分爲兩儀陳立黃旗一面是要合爲鴛鴦陳
- 난화 조련ᄒᆞᆯ 제 프른 긔 블근 긔 흰 긔 세흘 셰오믄 이ᄂᆞᆫ ᄒᆞᆫ ᄃᆡ 변ᄒᆞ야 삼ᄌᆡ 진이 되과댜 호미오 프른 긔 흰 긔 둘흘 셰오믄 이ᄂᆞᆫ ᄒᆞᆫ ᄃᆡ난 화량의 진이 되과댜 호미오 누른 긔 ᄒᆞ나흘 셰오믄 이ᄂᆞᆫ 뫼화 원앙진이 되과댜 호미니라
行營時如前面阻樹木開靑旗阻水澤開黑旗阻兵馬開白旗 阻山險開黃旗阻烟火開紅旗過所見之物卽捲如道可一路 行立高招一面二路平行立二面三路平行立三面四路平行 立四面擡營行立五面後隊遞相口傳前路樹某色旗幾高招 中軍卽擧變營號砲及隄備號令
- 진을 ᄒᆡᆼᄒᆞᆯ 제 만일 앏면의 나모 숩히 막혓거든 프른 긔ᄅᆞᆯ 펴고 믈이며 몯이 막혓거든 검은 긔ᄅᆞᆯ 펴고 군ᄉᆞ와 ᄆᆞᆯ이 막혓거든 흰 긔ᄅᆞᆯ 펴고 험ᄒᆞᆫ 뫼히 막혓거든 누른 긔ᄅᆞᆯ 펴고 ᄂᆡ며 블이 막혓거든 블근 긔ᄅᆞᆯ 펴되 보ᄂᆞᆫ 거시 지나거든 즉제 거드라 만일 길이 가히 ᄒᆞᆫ 길로 감즉ᄒᆞ거든 고쵸 ᄒᆞ나흘 셰오고 두 길로 펴 감즉ᄒᆞ거든 둘흘 셰오고 세 길로 펴 감즉ᄒᆞ거든 세흘 셰오고 네 길로 펴 감즉ᄒᆞ거든 네흘 셰오고 진을 드러 감즉ᄒᆞ거든 다ᄉᆞ슬 셰워 뒤ᄒᆡ 가ᄂᆞᆫ ᄃᆡ쟝이 서로 ᄀᆞ라 입으로 젼호되 앏길ᄒᆡ 아모 빗쳇 긔며 현 고쵸ᄅᆞᆯ 셰웟다 ᄒᆞ야든 즁군이 즉제 진 고티ᄂᆞᆫ 호푀나 믿 막아 방비ᄒᆞᆯ 호령을 드ᄂᆞ니라
大比較時堅藍高招是調射手堅紅高招是調銃手凡火器俱 集堅黑旗是調牌手堅白旗是調刀鈀手堅紅旗是調槍手堅 藍旗是調狼筅棍棒手
- 큰 비교할 제 프른 고쵸ᄅᆞᆯ 셰오믄 이ᄂᆞᆫ 샤슈ᄅᆞᆯ 모드라 호미오 블근 고쵸ᄅᆞᆯ 셰오믄 이ᄂᆞᆫ 츙슈ᄅᆞᆯ 모드라 호미니 므릣 블긔계ᄅᆞᆯ 다 모드라 검은 긔ᄅᆞᆯ 셰오믄 이ᄂᆞᆫ 등패슈ᄅᆞᆯ 모드라 호미오 흰 긔ᄅᆞᆯ 셰오믄 이ᄂᆞᆫ 도파슈ᄅᆞᆯ 모드라 호미오 블근 긔ᄅᆞᆯ 셰오믄 이ᄂᆞᆫ 창슈ᄅᆞᆯ 모드라 호미오 프른 긔ᄅᆞᆯ 셰오믄 이ᄂᆞᆫ 랑션슈과 곤봉슈ᄅᆞᆯ 모드라 호미니라
明高照旗號 고죠 긔 ᄡᅳ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此爲子層之主奇兵及親兵皆其主也夜則看燈以應五方之 用
- 이ᄂᆞᆫ 안층의 ᄌᆔ 되니 긔병과 믿 친병이 다 긔 ᄌᆔ라 밤이여든 등을 보와 ᄡᅥ 오방의 ᄡᅳ기ᄅᆞᆯ 응ᄒᆞᄂᆞ니라
明門旗號 문긔 ᄡᅳ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子壁一門外壘四門除朝暮吹打開門後遇閉門時必有令旗 令箭方開若無令旗令箭便是使臣大將自在門外決不許放 入
- 안진은 ᄒᆞᆫ 문이오 밧진은 네 문이니 아ᄎᆞᆷ 나죄 ᄎᆔ타ᄒᆞ고 문 연 제ᄅᆞᆯ 말고 후의 문 다든 제ᄅᆞᆯ 만나ᄂᆞᆫ 반ᄃᆞ시 령긔과 령젼이나 이셔야 보야흐로 열고 만일 령긔 령젼이 업스면 믄득 이 ᄉᆞ신이며 대쟝이 스ᄉᆞ로 문 밧긔 이실디라도 결연히 허ᄒᆞ야 노하 드리디 말라
明角旗號 각 긔ᄂᆞᆫ ᄡᅳ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凡立表若自角排起多不得均必自正面當門中左右分去方 得均齊
- 므릣 표ᄅᆞᆯ 셰오매 만일 모흐로부터 버려 니ᄅᆞ혀면 해 고로믈 엇디 몯ᄒᆞᄂᆞ니 반ᄃᆞ시 졍면으로부터 문 가온대ᄅᆞᆯ 당ᄒᆞ야 좌우로 ᄂᆞᆫ화 가야 보야흐로 시러곰 고로고 ᄀᆞ즉ᄒᆞ니라
行則每一對在正旗後正以生奇在招搖前奇以生正也中方 無角加別器一對
- ᄒᆡᆼᄒᆞᆫ 즉 ᄆᆡ ᄒᆞᆫ ᄡᅡᆼ이 졍긔 뒤ᄒᆡ 이시니 졍으로ᄡᅥ 긔ᄅᆞᆯ 내오미오 쵸요 앏ᄒᆡ 이시니 긔로써 졍을 ᄂᆡ오미라 즁방은 각이 업ᄉᆞ니 다ᄅᆞᆫ 긔계 ᄒᆞᆫ ᄡᅡᆼ을 더ᄒᆞᄂᆞ니라
明唑纛號 좌독 ᄡᅳ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行則在後止在左以中黃素帶表中軍以四帶爲四方之主
- ᄒᆡᆼᄒᆞᆫ즉 뒤ᄒᆡ 잇고 그틴즉 좌의 잇고 가온ᄃᆡ 누른 믠 ᄃᆡ로ᄡᅥ 즁군을 표ᄒᆞ고 네 ᄃᆡ로ᄡᅥ ᄉᆞ방의 쥬ᄅᆞᆯ 삼ᄂᆞ니라
明金鼓旗號 금고긔 ᄡᅳ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用以引金鼓凡吹打手坐作行止俱視此
- ᄡᅥ셔 ᄡᅥ 증과 붑을 인ᄒᆞᄂᆞ니 므릣 ᄎᆔ타ᄉᆔ 안ᄌᆞ며 닐며 ᄒᆡᆼᄒᆞ며 그티기ᄅᆞᆯ 다 이ᄅᆞᆯ 보와 ᄒᆞ라
明淸道旗號 쳥도긔 ᄡᅳ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軍行持衆之前以淸道路操習則遇掌號笛執在馬路引官哨 隊至將臺聽發放畢仍領送官哨隊回營
- 군ᄒᆡᆼ호매 모든의 앏ᄒᆡ 잡아 ᄡᅥ 길흘 ᄆᆞᆰ키고 조련 습진ᄒᆞᆯ 제ᄂᆞᆫ 쟝호뎍을 만나 ᄆᆞᆯ길의 잡아 이셔 쟝관과 긔 ᄃᆡ총을 인ᄒᆞ야 쟝ᄃᆡ의 니르러 발방을 듣고 ᄆᆞᄎᆞ매 인ᄒᆞ야 쟝관과 긔 ᄃᆡ총을 거ᄂᆞ려 보ᄂᆡ여 진의 도라가ᄂᆞ니라
明豹尾旗號 표미긔 ᄡᅳ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此旗所立之處再不容一人擅闖出入非有主將號令旗箭召 放有敢擅人不問官員大小人等軍法阻拿
- 이 긔 셰온 바 곧의 다시 ᄒᆞᆫ 사ᄅᆞᆷ도 용납ᄒᆞ야 쳔ᄌᆞ히 헤혀고 나드디 몯ᄒᆞ니 쥬쟝의 령긔며 령젼으로 브ᄅᆞ며 노호미 잇디 아니ᄒᆞ고 감히 쳔ᄌᆞ히 드ᄂᆞᆫ 쟤 잇거든 관원이며 크며 쟈근 사ᄅᆞᆷ을 묻디 말고 군법으로 막아 잡으라
明塘報旗號 당보긔 ᄡᅳ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賊急搖磨不止緩則只是點旗賊勢衆大圍磨周身無事三磨 三捲不再開
- 도적이 급ᄒᆞ거든 흔드러 마ᄒᆞ야 그티디 말고 느즈럽거든 다만 이 긔ᄅᆞᆯ 뎜ᄒᆞ고 도적의 셰 만코 크거든 둘러 마ᄒᆞ야 몸을 두로고 일이 업거든 세 번 마ᄒᆞ고 세 번 것고 다시 펴디 말라
明令旗念箭令票號 령긔 령젼 령표 ᄡᅳᄂᆞᆫ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凡差人傳令必令旗念箭令票有一方准聽方准出入若無此 三物主將自來亦不准聽亦不准放出入
- 므릣 사ᄅᆞᆷ을 브려 령을 젼호매 반ᄃᆞ시 령긔나 령젼이나 령ᄑᆈ나 ᄒᆞ나히 이셔사 보야흐로 쥰ᄒᆞ야 드ᄅᆞ며 보야흐로 쥰ᄒᆞ야 ᄂᆡ드리고 만일 이 세 가짓 거시 업ᄉᆞᆯ딘댄 믄득 쥬쟝이 스ᄉᆞ로 올디라도 ᄯᅩᄒᆞᆫ 쥰ᄒᆞ야 듣디 말고 ᄯᅩᄒᆞᆫ 쥰ᄒᆞ야 노하 ᄂᆡ드리디 말나
明燈火制 등블 졔도ᄅᆞᆯ ᄇᆞᆰ히미라
每隊每旗各懸燈一盞于旗上每哨懸燈二盞于認旗上每司 懸燈三盞于認旗上俱聯下各照方色每營懸五色燈五盞于 纛上聯下但正旗必用燈一盞俱照本營方色各把總用方色 雙燈一箇營將用五色雙燈五箇以上每燈各應備黑油罩一 件
- ᄆᆡᄃᆡ ᄆᆡ긔의 각각 등 ᄒᆞᆫ 잔을 긔 우ᄒᆡ ᄃᆞᆯ고 ᄆᆡᄎᆈ 등 두 잔을 인긔 우ᄒᆡ ᄃᆞᆯ고 ᄆᆡᄉᆡ등 세 잔의 인긔 우ᄒᆡ ᄃᆞ라 다니어 ᄂᆞ리와 각각 방ᄉᆡᆨ대로 ᄒᆞ고 ᄆᆡ영이 다ᄉᆞᆺ 빗쳇등 다ᄉᆞᆺ 잔을 좌독 우ᄒᆡ ᄃᆞ라니어 ᄂᆞ리오라 다만 졍긔ᄂᆞᆫ 반ᄃᆞ시 등 ᄒᆞᆫ 잔을 ᄡᅳ되 다 본영 방ᄉᆡᆨ대로 ᄒᆞ라 각 파총은 방ᄉᆡᆨ ᄡᅡᆼ등 ᄒᆞᆫ 낫ᄎᆞᆯ ᄡᅳ고 영쟝은 다ᄉᆞᆺ 빗쳇 ᄡᅡᆼ등 다ᄉᆞᆺ 낫ᄎᆞᆯ ᄡᅳ라 이샹 ᄆᆡ등의 각각 벅벅이 검은 뎌론 됴개 ᄒᆞᆫ 벌식 ᄀᆞ초라
明燈火號 등불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各營視中軍之燈各司視本營之燈各哨視本司之燈各旗視 本哨之燈各隊視本旗之燈各兵視本隊之燈如視晝旗一般
- 각 영은 즁군의 등을 보고 각 ᄉᆞᄂᆞᆫ 본영의 등을 보고 각 쵸ᄂᆞᆫ 본ᄉᆞ의 등을 보고 각 긔ᄂᆞᆫ 본쵸의 등을 보고 각 ᄃᆡᄂᆞᆫ 본긔의 등을 보고 각 병은 본ᄃᆡ의 등을 보되 나ᄌᆡ 긔 보기과 ᄒᆞᆫ가지ᄀᆞ티 ᄒᆞ라
中軍將雙燈連旗點是要蓋藏燈火移下暗營
- 즁군이 ᄡᅡᆼ등을 가져 긔ᄅᆞᆯ 니어 뎜ᄒᆡ오믄 이ᄂᆞᆫ 등블을 덥허 감초고 올마 어두온 진을 티과댜 호미니라
明暗令 그으기 ᄒᆞᄂᆞᆫ 령을 ᄇᆞᆰ히미라
不用金鼓之聲旗招之色只傳物件行止凡行營要止傳草木 枝要坐傳石塊要緩傳長棍要急傳貫耳小箭要收拾備戰或 賊不遠或防伏賊傳長令箭
- 증 붑 소ᄅᆡ며 긔쵸 빗ᄎᆞᆯ ᄡᅳ디 아니ᄒᆞ고 다만 믈건을 젼ᄒᆞ야 ᄒᆡᆼᄒᆞ며 그티ᄂᆞ니 므릣 ᄒᆡᆼ군을 그티과댜 홀딘대ᄂᆞᆫ 초목 가지ᄅᆞᆯ 젼ᄒᆞ고 안티과댜 홀딘대ᄂᆞᆫ 돌ᄯᅥᆼ이ᄅᆞᆯ 젼ᄒᆞ고 날희여 가과댜 홀딘대ᄂᆞᆫ 긴 곤쟝을 젼ᄒᆞ고 ᄡᆞᆯ리 가과댜 홀딘대ᄂᆞᆫ 귀 ᄭᅰᄂᆞᆫ 쟈근 살을 젼ᄒᆞ고 ᄎᆞᆯ혀 ᄡᅡ호믈 ᄀᆞ초과댜 ᄒᆞ거나 혹 도적이 머지 아니커나 혹 수믄 도적을 막과댜 홀딘대ᄂᆞᆫ 긴 령젼을 젼ᄒᆞᄂᆞ니라
明遇卒警令 급ᄒᆞᆫ 도적 만난 호령을 ᄇᆞᆰ히미라
儻塘報失瞭賊自行營腰間或前後突出把總哨官皆得自主 號令凡同行營司俱聽遇賊把司之令卽如中軍號令一般
- 만일 당뵈 ᄇᆞ라보기ᄅᆞᆯ 그릇ᄒᆞ야 도적이 가ᄂᆞᆫ 진허리 ᄉᆞ이로부터나 혹 앏흐로나 뒤흐로나 츙돌ᄒᆞ야 내ᄃᆞᄅᆞᆯ딘대ᄂᆞᆫ 파총 쵸관이 다 시러곰 스ᄉᆞ로 호령을 쥬ᄒᆞ고 므릣 ᄒᆞᆷᄭᅴ 가ᄂᆞᆫ 영이며 ᄉᆡ 다 도적 만ᄂᆞᆫ 파총의 령을 드러 곧 즁군의 호령과 ᄒᆞᆫ가지ᄀᆞ티 ᄒᆞ라
- 以上旗鼓號令但一行出決要依從將無還令將無二令是也如違誤承接號令而不誤事止於綑打若因而誤事者軍法從事
- 이샹 긔와 붑 호령을 다만 ᄒᆞᆫ 번 ᄒᆡᆼᄒᆞ야 내오매 결연히 모로미 그대로 좃ᄎᆞ라 쟝ᄉᆔ 도로 혀ᄂᆞᆫ 령이 업고 쟝ᄉᆔ
- 以上旗鼓號令但一行出決要依從將無還令將無二令是也如違誤承接號令而不誤事止於綑打若因而誤事者軍法從事
- 두가짇 령이 업다 ᄒᆡ오믄 이니라 만일 호령 승졉을 어긔여 그릇ᄒᆞ야도 일의 그르디 아닐딘대ᄂᆞᆫ 곤타 호매 그티고 만일 인ᄒᆞ야 일의 그릇ᄒᆞᆫ 쟤어든 군법대로 일을 좃ᄎᆞ라
旗鼓總決 긔와 붑을 모도와 니ᄅᆞᆫ 법이라
號砲要起令一擧是要起令或要更令三擧是要肅靜或升帳 或要閉營幾擧無定數是要分合
- 호포ᄂᆞᆫ 령을 니ᄅᆞ혀과댜 호미니 ᄒᆞᆫ 번 노호믄 이ᄂᆞᆫ 령을 니ᄅᆞ혀과댜 호미며 혹 령을 고티과댜 호미오 세 번 노호믄 이ᄂᆞᆫ 엄슉고 고요ᄒᆞ과댜 호미며 혹 댱막의 오로미며 혹 진을 닷과댜 호미오 현 번을 노화 뎡ᄒᆞᆫ 쉬 업스믄 이ᄂᆞᆫ 난호며 모도과댜 호미니라
號笛要發放吹在敎場隊長以上赴吹在衙門哨官以上赴
- 호뎍은 발방을 ᄒᆞ과댜 호미니 부로믈 교쟝의 이셔 ᄒᆞ거든 ᄃᆡ쟝으로ᄡᅥ 우히 가고 부로믈 아문의 이셔 ᄒᆞ거든 쵸관으로ᄡᅥ 우히 가라
鼓要進一聲約行二十步謂之點鼓是要行營一聲行一步謂 之緊鼓是要緊行連聲如雷謂之擂鼓是要交鋒或樵汲或要 起更角宮迭打謂之得勝鼓是要回信地
- 붑은 나아가과댜 호미니 ᄒᆞᆫ 소ᄅᆡ의 스므 거름 즈음 ᄒᆡᆼ호믈 닐온 뎜ᄒᆞᄂᆞᆫ 붑이니 이ᄂᆞᆫ ᄒᆡᆼ군ᄒᆞ과댜 호미오 ᄒᆞᆫ 소ᄅᆡ의 ᄒᆞᆫ 거름 ᄒᆡᆼ호믈 닐온 긴 ᄒᆞᆫ 붑이니 이ᄂᆞᆫ ᄲᆞᆯ니 ᄒᆡᆼᄒᆞ과댜 호미오 소ᄅᆡ 니어 우레 ᄀᆞ트믈 닐온 ᄊᆡ오ᄂᆞᆫ 붑이니 이ᄂᆞᆫ 날를 서괴과댜 호미며 혹 나모 븨며 믈 기르라 호미며 혹 경뎜을 니ᄅᆞ혀과댜 호미오 걱걱등등ᄒᆞ야 서로 티믈 닐온 이긔믈 어든 붑이니 이ᄂᆞᆫ 제 신디의 도라가과댜 호미니라
金要止三鳴是要退兵或要吹打止二鳴是要吹打連鳴二聲 是要退兵回身立定一鳴是一切鼓吹每欲止或欲僕旗鳴金 邊是發伏路塘報或發旗招
- 증은 그티과댜 호미니 세 번 울리믄 이ᄂᆞᆫ 군ᄉᆞᄅᆞᆯ 믈리과댜 호미며 혹 ᄎᆔ타ᄅᆞᆯ 그티과댜 호미오 두 번 울리믄 이ᄂᆞᆫ ᄎᆔ타
- ᄒᆞ과댜 호미오 두 소ᄅᆡᄅᆞᆯ 니어 울리믄 이ᄂᆞᆫ 물러 오ᄂᆞᆫ 군ᄉᆡ 몸을 두로혀셔 뎡콰댜 호미오 ᄒᆞᆫ 번 울리믄 이ᄂᆞᆫ 일응 티며 부ᄂᆞᆫ 거슬 ᄆᆡ양 그티과댜 호미며 혹 긔ᄅᆞᆯ 누이과댜 호미오 증ᄀᆞ를 울리믄 이ᄂᆞᆫ 복로과 당보ᄅᆞᆯ 발호미며 혹 긔쵸ᄅᆞᆯ 발호미니라
鑼要坐初鳴是要下馬再鳴是要坐息傳鑼是要安歇
- 라ᄂᆞᆫ 안ᄭᅪ댜 호미니 처음 울리믄 이ᄂᆞᆫ ᄆᆞᆯᄭᅴ ᄂᆞ리과댜 호미오 다시 울리믄 이ᄂᆞᆫ 안자 쉬과댜 호미오 라ᄅᆞᆯ 젼ᄒᆞ이믄 이ᄂᆞᆫ 평안히 쉬과댜 호미니라
哱囉要起初吹是要起身再吹是要執器及上馬吹單哱囉是 要頭目起身
- ᄇᆞᆯ라ᄂᆞᆫ 닐과댜 호미니 처엄 부로믄 이ᄂᆞᆫ 몸을 니ᄅᆞ혀과댜 호미오 다시 부로믄 이ᄂᆞᆫ 긔계ᄅᆞᆯ 잡으며 믿 ᄆᆞᆯᄭᅴ 오ᄅᆞ과댜 호미오 외ᄇᆞᆯ라ᄅᆞᆯ 부로믄 이ᄂᆞᆫ 두목이 몸을 니ᄅᆞ혀과댜 호미니라
喇叭要擺點鼓吹喇叭謂之擺隊伍是要擺大隊大隊已定又 吹長聲謂之單擺開是要列開小隊及單列吹長聲磨旗謂之 轉身是要向某處轉身吹長聲一聲謂之天鵝聲是要吶喊或 要齊放獨吹謂之掌號一號是要官兵做飯二號是要官兵出 場三號是主將起身
- 나발은 펴과댜 호미니 붑을 뎜ᄒᆞ고 나발 부로믈 닐온 파ᄃᆡ외니 이ᄂᆞᆫ 큰 ᄃᆡ오ᄅᆞᆯ 펴과댜 호미오 큰 ᄃᆡᄅᆞᆯ 임의 뎡호매 ᄯᅩ 긴 소ᄅᆡᄅᆞᆯ 부로믈 닐온 단파ᄀᆡ니 이ᄂᆞᆫ 쟈근 ᄃᆡ오ᄅᆞᆯ 버려 펴며 믿 홋벌로 벌과댜 호미오 긴 소ᄅᆡᄅᆞᆯ 불고 긔ᄅᆞᆯ 마호믈 닐온 뎐신이니 이ᄂᆞᆫ 아모 곧으로 향ᄒᆞ야 몸을 도로혀과댜 호미오 긴 소ᄅᆡ ᄒᆞᆫ 소ᄅᆡᄅᆞᆯ 부로믈 닐온 텬아셩이니 이ᄂᆞᆫ 고함ᄒᆞ과댜 호미며 혹 ᄒᆞᆷᄭᅴ 노콰댜 호미오 홀로 부로믈 닐온 쟝회니 ᄒᆞᆫ 번 부로믄 이ᄂᆞᆫ 쟝관과 군ᄉᆡ 밥을 짓과댜 호미오 두 번 부로믄 이ᄂᆞᆫ 쟝관과 군ᄉᆡ 교쟝의 나가과댜 호미오 세 번 부로믄 이ᄂᆞᆫ 쥬쟝이 몸을 니ᄅᆞ혀미니라
摔鈸要收初鳴是要收隊再鳴是要成大隊及收旗幟
- 솔발은 거두과댜 호미니 처엄 울리믄 이ᄂᆞᆫ ᄃᆡ오ᄅᆞᆯ 거두과댜 호미오 다시 울리믄 이ᄂᆞᆫ 큰 ᄃᆡ오ᄅᆞᆯ 일우며 믿 긔치ᄅᆞᆯ 거
- 두과댜 호미니라
吹打要開閉大吹打是要開閉營或要回信地小吹打是要小 開門不吹打閉營是要下暗營
- ᄎᆔ타ᄂᆞᆫ 열며 닷과댜 호미니 큰 ᄎᆔ타ᄂᆞᆫ 이ᄂᆞᆫ 진을 열며 닷과댜 호미며 혹 신디의 도라가과댜 호미오 쟈근 ᄎᆔ타ᄂᆞᆫ 이ᄂᆞᆫ 쟉게 문을 열과댜 호미오 ᄎᆔ타 아니ᄒᆞ고 진 다드믄 이ᄂᆞᆫ 어두온 진을 티과댜 호미니라
認旗要認辨立在信地是要于旗下稟事聽令搖旗謂之磨是 要將領赴揮旗謂之麾是要散回
- 인긔ᄂᆞᆫ 아라 분변콰댜 호미니 신디의 셰워 두믄 이ᄂᆞᆫ 긔 아래 가 일을 품ᄒᆞ며 령을 듣과댜 호미오 긔ᄅᆞᆯ 흔들믈 닐온 매니 이ᄂᆞᆫ 쟝령이 오과댜 호미오 긔ᄅᆞᆯ 두로 티믈 닐온 휘니 이ᄂᆞᆫ 흐터 도라가과댜 호미니라
五方旗招要坐起進止左右前後周旋獨竪一旗謂之立是要 何營聽候或要何手聽比鳴金僕旗是如所起之令行指旗謂 之點是要隨指而往磨是要隨令而行偃是要一體偃擧是要 一體擧應是一體用旗捲是要有事方開開是要接傳
- 오방의 긔와 고쵸ᄂᆞᆫ 안ᄌᆞ며 닐며 나아가며 그티며 좌ᄒᆞ며 우ᄒᆞ며 젼ᄒᆞ며 후ᄒᆞ며 쥬션콰댜 호미니 홀로 ᄒᆞᆫ 긔 셰오믈 닐온 립이니 이ᄂᆞᆫ 아모 영이 듣보과댜 호미며 혹 아모 ᄉᆔ 비교ᄅᆞᆯ 듣과댜 호미오 증을 울리고 긔ᄅᆞᆯ 뉘이믄 이ᄂᆞᆫ 니ᄅᆞ현 바 령ᄀᆞ티 ᄒᆡᆼ호미오 긔ᄅᆞᆯ ᄀᆞᄅᆞ티믈 닐온 뎜이니 이ᄂᆞᆫ ᄀᆞ라티믈 좃ᄎᆞ 가과댜 호미오 마호믄 이ᄂᆞᆫ 령ᄒᆞ믈 좃ᄎᆞ ᄒᆡᆼ콰댜 호미오 뉘이믄 이ᄂᆞᆫ ᄒᆞᆫ가지로 뉘이과댜 호미오 들오믄 이ᄂᆞᆫ ᄒᆞᆫ가지로 들과댜 호미오 응호믄 이ᄂᆞᆫ ᄒᆞᆫ가지로 긔ᄅᆞᆯ ᄡᅳ미오 거드믄 이ᄂᆞᆫ 일이 잇거든 보야흐로 펴과댜 호미오 펴기ᄂᆞᆫ 이ᄂᆞᆫ 니어 젼콰댜 호미니라
塘報旗要報警點是賊緩磨是賊急周身磨是賊衆三磨三捲 是無事
- 당보긔ᄂᆞᆫ 도젹 오ᄂᆞᆫ 긔별을 알외과댜 호미니 뎜ᄒᆡ오믄 이ᄂᆞᆫ 도적이 느즈미오 마ᄒᆡ오믄 이ᄂᆞᆫ 도적이 ᄲᆞ로미오 몸을 둘러 마ᄒᆡ오믄 이ᄂᆞᆫ 도적이 만ᄒᆞ미오 세 번 마ᄒᆞ고 세 번 거드믄 이ᄂᆞᆫ 일이 업스미니라
燈要明暗懸燈是要明營蓋燈是要暗營點燈是要移營
- 등은 ᄇᆞᆰ히며 어둡게 콰댜 호미니 등을 ᄃᆞᆯ오믄 이ᄂᆞᆫ 진을 ᄇᆞᆰ히과댜 호미오 등을 덥호믄 이ᄂᆞᆫ 진을 어둡게 콰댜 호미오 등을 뎜ᄒᆡ 오믄 이ᄂᆞᆫ 진을 옴기과댜 호미니라
起火是火號一擧是要鈀弓手放射或要擧火炊飯或要燃燈 報警時一擧是賊少二擧是賊衆
- 긔화ᄂᆞᆫ 이ᄂᆞᆫ 블호령이니 ᄒᆞᆫ 번 노호믄 이ᄂᆞᆫ 파슈와 궁ᄉᆔ 노호며 ᄡᅩ과댜 호미며 혹 블을 드러 밥을 짓과댜 호미며 혹 등블을 혀과댜 호미오 도적 오ᄂᆞᆫ 긔별 알욀 제 ᄒᆞᆫ 번 노호믄 이ᄂᆞᆫ 도적이 져그미오 두 번 노호믄 이ᄂᆞᆫ 도적이 만호미니라
暗令要出奇傳草木枝是要止傳石塊是要坐傳長棍是要緩 行傳小短箭是要急趨傳長令箭是要收拾備戰
- 그윽이 ᄒᆞᄂᆞᆫ 령은 긔특ᄒᆞᆫ 슐을 내과댜 호미니 초목 가지ᄅᆞᆯ 젼ᄒᆡ오믄 이ᄂᆞᆫ 그티과댜 호미오 돌ᄯᅥᆼ이ᄅᆞᆯ 젼ᄒᆡ오믄 이ᄂᆞᆫ 안ᄭᅪ댜 호미오 긴 곤쟝을 젼ᄒᆡ오믄 이ᄂᆞᆫ 날회여 가과댜 호미오 쟈근 쟈른 살을 젼ᄒᆡ오믄 이ᄂᆞᆫ ᄲᆞᆯ리 닷과댜 호미오 긴 령젼을 젼ᄒᆡ오믄 이ᄂᆞᆫ ᄎᆞᆯ혀 ᄡᅡ호믈 ᄡᅡ호과댜 호미니라
권2
편집兵學指南卷之二
營陣正彀
大端以奇正論不過一頭兩翼中軍爲心是爲握奇心運 四肢當敵者爲頭以迎鋒尾卽繼後而折至與頭更番間 出不窮兩翼隨之自遠而近迎合于前但遇敵處卽爲頭 爲正兵但在左右卽爲翼爲奇兵但在後卽爲尾爲策應 兵
- 대단은 긔병과 졍병으로ᄡᅥ 의논컨대 ᄒᆞᆫ 머리과 두 ᄂᆞ래의 지나디 아니 ᄒᆞ니 즁군이 심이 되니 이 긔ᄅᆞᆯ 잡으미 된디라 ᄆᆞᄋᆞᆷ이 ᄉᆞ지ᄅᆞᆯ 운동ᄒᆞ니 도적을 당ᄒᆞᆫ 쟤 머리 되여ᄡᅥ 날를 맛고 ᄭᅩ리ᄂᆞᆫ 곧 뒤흘 니어 것딜너 니ᄅᆞ러 머리로 더부러 번ᄀᆞ라 ᄉᆞ이로나 궁진티 아니ᄒᆞ고 두 ᄂᆞ래 좃ᄎᆞ 먼 ᄃᆡ로부터 갓가이 ᄒᆞ야 마자 앏ᄒᆡ 합ᄒᆞᆯ디니 다만 도적 만난 곧이 곧 머리 되니 졍병이 되고 다만 좌우의 잇ᄂᆞ니 곧 ᄂᆞ래 되니 긔병이 되고 다만 뒤ᄒᆡ 잇ᄂᆞ니 곧 ᄭᅩ리 되니 ᄎᆡᆨ응ᄒᆞᄂᆞᆫ 병이 되ᄂᆞ니라
編兵第一
凡選編必用把選哨哨選旗旗選隊隊選兵以年少身中骨軟 者二名爲第一第二充圓牌手年大貌偉力猛者二名爲第三 第四充狼筅手有精神骨力者四名爲第五第六第七第八充 長槍手有殺氣膽性者二名爲第九第十充鐺鈀手庸碌甘爲 人下者一名爲第十一充火兵
- 므릣 ᄲᆞ 역그매 반ᄃᆞ시 ᄡᅥ 파총은 쵸관을 ᄲᆞ고 쵸관은 긔총을 ᄲᆞ고 긔총은 ᄃᆡ쟝을 ᄲᆞ고 ᄃᆡ쟝은 군ᄉᆞᄅᆞᆯ ᄲᆞ되 나히 졈고 몸이 즁간ᄒᆞ고 ᄲᅨ 부드러온 쟈 두 명으로ᄡᅥ 뎨일 뎨이ᄅᆞᆯ 삼아 원패슈의 ᄎᆡ오고 나히 장대ᄒᆞ고 얼골이 크고 힘이 모딘 쟈 두 명으로 뎨삼 뎨ᄉᆞᄅᆞᆯ 삼아 랑션슈의 ᄎᆡ오고 졍신과 ᄲᅧ 힘 잇ᄂᆞᆫ 쟈 네 명으로 뎨오 뎨륙 뎨칠 뎨팔을 삼아 쟝창슈의 ᄎᆡ오고 살긔와 담긔 셩ᄭᅴ 잇ᄂᆞᆫ 쟈 두 명으로 뎨구 뎨십을 삼아 당파슈의 ᄎᆡ오고 용렬ᄒᆞ고 록록ᄒᆞ야 사ᄅᆞᆷ의 아래 되오
- 믈 ᄃᆞᆯ게 너기ᄂᆞᆫ 쟈 ᄒᆞᆫ 명으로 뎨십일을 삼아 화병의 ᄎᆡ오라
左右伍第二
一三五七九名爲一伍卽在左之伍也二四六八十名爲二伍 卽在右之伍也
- 일삼오칠구명이 첫ᄌᆡ ᄃᆡ외 되니 곧 좌의 잇ᄂᆞᆫ ᄃᆡ외오 이ᄉᆞ륙팔십명이 둘ᄌᆡ ᄃᆡ외 되니 곧 우의 잇ᄂᆞᆫ ᄃᆡ외 되ᄂᆞ니라
鴛鴦隊第三
凡定第一二三四五六七八九十俱橫看兩人一偶唯隊長在 前之中火兵在末之中自此行動立止俱照定過次序不許時 刻縱橫錯亂
- 므릣 ᄎᆞ례ᄅᆞᆯ 뎡호매 일이삼ᄉᆞ오륙칠팔구십이 다 빗기 보아 두 사ᄅᆞᆷ이 ᄒᆞᆫ ᄶᅡᆨ이니 오직 ᄃᆡ쟝은 앏 가온대 잇고 화병은 말재 가온ᄃᆡ 이실디니 일로브터 가며 움즉이며 셔며 그티믈 다 뎡한 ᄎᆞ례대로 ᄒᆞ고 시ᄀᆞᆨ도 죵횡ᄒᆞ야 어즈럽게 호믈 허티 말나
長短相濟第四
二牌平列狼筅各覆一牌長槍每二枝各分管一牌一筅短兵 防長槍進老此乃殺賊必勝第一戰法筅以用牌槍以救筅鈀 以救槍
- 두 패 평히 버럿거든 량션이 각각 ᄒᆞᆫ 패ᄅᆞᆯ 덥고 쟝창 ᄆᆡ 두 가지ᄂᆞᆫ 각각 난화 ᄒᆞᆫ 패와 ᄒᆞᆫ 션을 마탓고 쟈른 병긔ᄂᆞᆫ 쟝창의 나아 느릐믈 막을디니 이ᄂᆞᆫ 이에 도적을 죽이고 반ᄃᆞ시 이긜 읏듬 ᄡᅡ호ᄂᆞᆫ 법이라 션으로ᄡᅥ 패ᄅᆞᆯ ᄡᅳ고 창으로ᄡᅥ 션을 구ᄒᆞ고 파로ᄡᅥ 창을 구ᄒᆞᄂᆞ니라
遠近兼授第五
每一司殺手四哨鳥銃一哨每一兵必授以遠器禦敵于百步 之外必授以近器爲角于手足所接刀牌手皆近接器也各授 鏢一枝爲先鋒且籍筅爲長狼筅手以筅卽爲長器各腰刀一 爲短器牌亦筅之短兵也槍手以槍爲短兼習弓矢爲長鈀手 以鈀爲短兼給火箭爲長火兵以擔加刃爲短器備外意耳不 用長鳥銃手以銃爲長各授雙手刀爲短賊近則棄銃而用刀 大槪不過遠近之分遠多近少者合刃則致敗近多遠少者未 接而氣奪遠近不兼授則雖衆亦寡
- ᄆᆡ ᄒᆞᆫ ᄉᆞ의 살ᄉᆔ 네 ᄎᆈ오 됴츙이 ᄒᆞᆫ ᄎᆈ니 ᄆᆡ ᄒᆞᆫ 군ᄉᆞᄅᆞᆯ 반ᄃᆞ시 먼 긔계로ᄡᅥ 주어 도적을 ᄇᆡᆨ보 밧긔 막고 반ᄃᆞ시 갓가온 긔계로ᄡᅥ 주어 슈족의 졉ᄒᆞᄂᆞᆫ 바의 결을디니 도패슈ᄂᆞᆫ 다 갓가이 졉ᄒᆞᄂᆞᆫ 긔계라 각각 표 ᄒᆞᆫ 가지ᄅᆞᆯ 주어 션봉을 삼고 ᄯᅩ 션을 힘닙어 쟝긔ᄅᆞᆯ 삼고 랑션슈ᄂᆞᆫ 션으로ᄡᅥ 곧 긴 긔계ᄅᆞᆯ 삼고 각각 허리의 ᄎᆞᄂᆞᆫ 칼 ᄒᆞ나흐로 쟈른 긔계ᄅᆞᆯ 삼을디니 패ᄂᆞᆫ ᄯᅩᄒᆞᆫ 션의 쟈른 병긔라 창슈ᄂᆞᆫ 창으로ᄡᅥ 쟈른 거슬 삼고 겸ᄒᆞ야 궁시ᄅᆞᆯ 닉여 쟝긔를 삼고 파슈ᄂᆞᆫ 파로ᄡᅥ 쟈른 거슬 삼고 겸ᄒᆞ야 화젼을 주어 쟝긔를 삼고 화병은 메ᄂᆞᆫ 거스로ᄡᅥ 날를 더ᄒᆞ야 쟈른 긔계ᄅᆞᆯ 삼아 ᄯᅳᆺ밧긔 일을 방비호미오 긴 거슬 ᄡᅳ디 말고 됴츙슈ᄂᆞᆫ 츙으로ᄡᅥ 쟝긔를 삼고 각각 두 손으로 ᄡᅳᄂᆞᆫ 칼를 주어 쟈른 거슬 삼앗ᄯᅡ가 도적이 갓가온즉 츙을 ᄇᆞ리고 칼를 ᄡᅳ라 대개 먼 긔계와 갓가온 긔계ᄅᆞᆯ 난호매 지나디 아니ᄒᆞ니 먼 긔계 만코 갓가온 긔계 쟈근 쟈ᄂᆞᆫ 날를 합ᄒᆞᆫ즉 패호ᄆᆡ 닐위고 갓가온 긔계 만코 먼 긔계 쟈근 쟈ᄂᆞᆫ 졉젼티 못ᄒᆞ야셔 긔운을 아이ᄂᆞ니 먼 긔계 갓가온 긔계ᄅᆞᆯ 겸ᄒᆞ야 주디 아닌즉 비록 만ᄒᆞ야도 ᄯᅩᄒᆞᆫ 져그미니라
兩儀陣第六
一隊分爲二伍一牌一筅平列在前爲正中之奇長槍二枝平 列在後爲奇中之正短兵在後之中爲奇正互生
- ᄒᆞᆫ ᄃᆡ 난화 두 ᄃᆡ외 되니 ᄒᆞᆫ 패와 ᄒᆞᆫ 션이 평히 버러 앏ᄒᆡ 이셔 졍병 가온대 긔병이 되고 쟝창 두 가지 평히 버러 뒤ᄒᆡ 이셔 긔병 가온대 졍병이 되고 쟈른 병은 뒤 가온대 이셔 긔병과 졍병을 서ᄅᆞ 살로미 되ᄂᆞ니라
三才陣第七
每長槍二枝共管一牌爲左右奇兵二筅平列二鈀分救一筅 爲正兵奇兵大開抄敵以救正兵之不及也
- ᄆᆡ 쟝창 두 가지 모도 ᄒᆞᆫ 패ᄅᆞᆯ 맛다 좌우의 긔병이 되고 두 션이 평히 버럿거든 두 패 ᄂᆞᆫ화 ᄒᆞᆫ 션을 구ᄒᆞ야 졍병이 되고 긔병이 크게 여러 도적을 쵸략ᄒᆞ야 ᄡᅥ 졍병이 밋디 몯호믈 구ᄒᆞᆯ디니라
分營第八
凡隊直而爲二伍方而爲九分而爲三如四隊爲一旗虛其中 旗總居之如三隊以二爲外以一爲內幾旗幾哨幾司幾營俱 如前
- 므릣 ᄃᆡ 고드면 두 ᄃᆡ외 되고 모나면 구군이 되고 난호면 삼 ᄌᆡ진이 될디니 만일 네 ᄃᆡ ᄒᆞᆫ 긔 될딘대 그 가온대ᄅᆞᆯ 븨워 긔총이 잇고 만일 세 ᄃᆡᆫ대 두 ᄃᆡ로ᄡᅥ 밧글 삼고 ᄒᆞᆫ ᄃᆡ로ᄡᅥ 안흘 삼을디니 현 긔며 현 쵸며 현 ᄉᆞ며 현 영이 다 젼과 ᄀᆞ티 ᄒᆞ라
營額第九
隊止于三用陣法也旗止于三拘兵數也哨則四五六皆可通 便宜也每營不過五六司每軍不過十營將力只當止此也卽 什百千萬總是一法擴充變化之耳非執此爲定法無復可增 損也
- ᄃᆡ 세ᄒᆡ 그티믄 진법을 ᄡᅳ미오 긔 셰ᄒᆡ 그티믄 군ᄉᆞ 수의 거리ᄭᅵ미오 ᄎᆈᆫ즉 ᄉᆞ오륙이 다가호믄 편ᄒᆞ고 맛당호믈 통호미오 ᄆᆡ 영이 오륙 ᄉᆞ의 지나디 아니ᄒᆞ고 ᄆᆡ 군이 열 영의 지나디 안니호믄 쟝슈의 녁냥이 다만 이예 그티매 당호미니 곧 열히며 ᄇᆡᆨ이며 쳔이며 만이 다 이 ᄒᆞᆫ 법이라 미뤼여 ᄎᆡ와 변화ᄒᆞᆯ디니 이ᄅᆞᆯ 자바 뎡ᄒᆞᆫ 법을 삼아 다시 가히 더ᄒᆞ며 덜ᄒᆞ미 업ᄉᆞᆯ 거시 아니니라
首發放第十
各兵入敎場列成行伍聽掌號笛官旗引于場前轉神向上行 列臺下完立以卑而尊先隊長次旗總次哨官次把總兩邊平 出俱跪次營將于臺上跪先起發放畢官旗先尊行後卑行叩 頭而退
- 각 군ᄉᆡ 교쟝의 드러 버러 항오ᄅᆞᆯ 일웟다가 쟝호뎍을 듣고 쟝관과 긔 ᄃᆡ총이 교쟝 앏ᄒᆡ 인ᄒᆞ야 몸을 두로혀 우흘 향ᄒᆞ야 ᄒᆡᆼᄒᆞ야 ᄃᆡ 아ᄅᆡ 니ᄅᆞ러 구디 셔 ᄂᆞᄌᆞ 니로ᄡᅥ 노피되 몬져 ᄃᆡ쟝 버거 긔총 버거 쵸관 버거 파총이 두 ᄀᆞ으로 평히 나 다 ᄭᅮ럿거든 버거 영쟝이 ᄃᆡ샹의 ᄭᅮ럿다가 몬져 니러 발방을 ᄆᆞᄎᆞᄆᆡ 쟝관과 긔 ᄃᆡ총이 놉흔 항렬이 몬져 ᄒᆞ고 ᄂᆞ즌 항렬이 후의 ᄒᆞ야 고두ᄒᆞ고 믈너나라
開營行第十一
先前司次左司次中軍次右司次後司前營自臺前從東向西 直行左列各營挨接而行到右列之後向南而下右列各營挨 左列尾盡相接而行若南下與右列相近只挨隊于脚下轉身 不可魚貫而上若兩行相遠不相混則聽其魚貫隨敎場大小 兵之多寡以一週爲止兵多場小或二路行營或出場外行營
- 몬져 젼ᄉᆞ 버거 좌ᄉᆞ 버거 듕군 버거 우ᄉᆞ 버거 후ᄉᆞ 호ᄃᆡ 젼영이 ᄃᆡ 앏흐로브터 동을 좃ᄎᆞ 셔로 향ᄒᆞ야 바로 ᄒᆡᆼᄒᆞ거든 좌렬 각 영이 닛다혀 ᄒᆡᆼᄒᆞ야 우렬의 뒤ᄒᆡ 니르러 남을 향ᄒᆞ야 ᄂᆞ리고 우렬 각 영은 좌렬 ᄭᅩ리 다호믈 기ᄃᆞ려 서로 니어 ᄒᆡᆼ호ᄃᆡ 만일 남으로 ᄂᆞ리ᄆᆡ 우렬로 더부러 서로 갓갑거든 다만 ᄃᆡᄅᆞᆯ 니어 발 아ᄅᆡ셔 몸을 두로혀고 가히 고기 ᄭᅰ온 ᄃᆞ시 오르디 말고 만일 두 항렬이 서로 머러 서로 섯기디 아닌즉 그 고기 ᄭᅰ온 ᄃᆞ시 호믈 허ᄒᆞ라 교쟝이 크며 쟈금과 군ᄉᆞ의 하며 젹으믈 좃ᄎᆞ ᄒᆞᆫ 번 돌기로ᄡᅥ 그티믈 호ᄃᆡ 병이 하고 교쟝이 쟉거든 혹 두 길로 ᄒᆡᆼ영ᄒᆞ며 혹 교쟝 밧긔 내여 ᄒᆡᆼ영ᄒᆞ라
二層陣第十二
任有官兵若干司預先擬定或一司分二層或一司一層或兩 司分二層每層相去二十步中軍旗鼓等居中前抵前層之後 後坐後層之前
- 관병 현ᄉᆞ 인ᄂᆞᆫ 대로 미리 몬져 비겨 뎡ᄒᆞ야 혹 ᄒᆞᆫ ᄉᆞ로 두 층을 난호며 혹 ᄒᆞᆫ ᄉᆞ로 ᄒᆞᆫ 층ᄒᆞ며 혹 두 ᄉᆞ로 두 층의 난호ᄃᆡ ᄆᆡ
- 층의 서로 가미 이십보만 ᄒᆞ고 즁군과 긔고 등이 가온대 이셔 앏흔 젼층 뒤희 다히고 뒤흔 후층 앏ᄒᆡ 안즈라
大隊第十三
每旗三隊且平列爲一聚每旗橫看除人身留空三丈
- ᄆᆡ 긔의 세 ᄃᆡ ᄯᅩᄒᆞᆫ 평히 버러 ᄒᆞᆫ 모도미 되ᄃᆡ ᄆᆡ 긔 빗기 보아 사ᄅᆞᆷ의 몸을 말고 머르러 세 길을 븨오라
小隊第十四
照鴛鴦陣相去各一丈鳥銃手俱出兵前五步單列
- 원앙진대로 ᄒᆞ야 서로 가기ᄅᆞᆯ 각 ᄒᆞᆫ 길을 ᄒᆞ고 됴츙슈ᄂᆞᆫ 다 군ᄉᆞ의 앏 다ᄉᆞᆺ 거름의 나 홋ᄎᆞ로 버리라
作戰第十五
賊在百步之內鳥銃手齊放次前層鈀弓手放射次後層殺手 出戰再進再退至鳥銃之前銃手急出齊放次退回層內鈀弓 手放射次前層殺手出戰再進再退至鳥銃之前立定次兩層 殺手俱出一擁鏖戰賊敗各分原隊間花留退俱回信地
- 도적이 ᄇᆡᆨ 보 안ᄒᆡ 잇거든 됴츙ᄉᆔ ᄀᆞᄌᆞ기 노코 버거 앏층 파슈와 궁ᄉᆔ 노흐며 ᄡᅩ고 버거 뒤층 살ᄉᆔ 나 ᄡᅡ화 두 번 나으며 두 번 믈러 됴츙 앏ᄒᆡ 니ᄅᆞ러든 츙ᄉᆔ 급히 나 ᄀᆞᄌᆞ기 노코 버거 믈러 도라온 층 안 파궁ᄉᆔ 노흐며 ᄡᅩ고 버거 앏층 살ᄉᆔ 나 ᄡᅡ화 두 번 나으며 두 번 믈러 됴츙 앏ᄒᆡ 니르러셔 뎡ᄒᆞ고 버거 두 층 살ᄉᆔ ᄒᆞᆫ가지로 나 ᄒᆞᆫᄀᆞᆯᄀᆞ티 ᄭᅧ 힘써 ᄡᅡ호고 도적이 패ᄒᆞ거든 각각 처엄 ᄃᆡᄅᆞᆯ 난화 ᄭᅩᆺ ᄉᆞ이 텨로 ᄒᆞ야 쳡쳡히 믈러 다 신디의 도라 오라
設伏第十六
出戰隨變就於本陣內設前後伏兵正兵誘賊入前伏之內前 伏兵出救正兵卽回身向前此兵勝則後伏兵不動候收如正 兵誘賊入後伏之內後伏兵出救
- 나 ᄡᅡ호매 변을 좃ᄎᆞ 믄득 본진 안ᄒᆡ 앏뒤 복병을 베프고 졍병이 도적을 달래여 앏 복병 안ᄒᆡ 들거든 앏 복병이 나 구ᄒᆞ고 졍병이 즉제 몸을 두로혀 앏흐로 향ᄒᆞ고 이 병이 이긘즉 뒷 복병은 요동티 말고 거드믈 기ᄃᆞ리고 만일 졍병이 도적
- 을 달래여 뒷 복병 안ᄒᆡ 들거든 뒷 복병이나 구ᄒᆞ라
追賊第十七
如賊一戰而敗遂至奔北我兵追趕凡遇林木人家溪壑轉角 之處量其大小卽留一隊或一哨守其必出之口而他兵一面 徑向前追每遇一處卽留一處或村落極大者卽通行圍止聽 人進搜無賊高聲爲號又復進追如遇麥田茂草又皆可伏之 所我兵每一哨內卽留一隊分投星散搜打喊叫一面正兵徑 追
- 만일 도적이 ᄒᆞᆫ 번 ᄡᅡ화 패ᄒᆞ야 드듸여 다라나매 니ᄅᆞ러 우리 병이 ᄲᆞᆯ리 ᄯᆞ롤딘댄 므릣 나모 숩히며 사ᄅᆞᆷ의 집이며 시내와 굴헝이며 모롱이 도ᄂᆞᆫ 곧을 만나 그 크며 쟈그믈 혜아려 곧 ᄒᆞᆫ ᄃᆡ어나 혹 ᄒᆞᆫ 쵸ᄅᆞᆯ 머믈러 그 반ᄃᆞ시 남즉ᄒᆞᆫ 어귀ᄅᆞᆯ 딕희고 다ᄅᆞᆫ 병이 일면으로 즈레 앏흘 향ᄒᆞ야 ᄠᆞᆯ오ᄃᆡ ᄆᆡ양 ᄒᆞᆫ 곧을 만나 곧 ᄒᆞᆫ 곧의 머믈고 혹 촌락이 극히 크거든 곧 통ᄒᆞ야 가 에워 머믈고 사ᄅᆞᆷ이 나아가 수탐ᄒᆞ야 도적이 업다 소ᄅᆡᄅᆞᆯ 놉히 ᄒᆞ야 부ᄅᆞ믈 듯고 ᄯᅩ다시 나아가 ᄯᆞᆯ호ᄃᆡ 만일 보리 밧티며 무셩ᄒᆞᆫ 플을 맛나면 ᄯᅩ 다 가히 복병ᄒᆞ염 즉ᄒᆞᆫ 곧이니 우리 병이 ᄆᆡ ᄒᆞᆫ 쵸 안ᄒᆡ 곧 ᄒᆞᆫ ᄃᆡᄅᆞᆯ 머믈러 난화 더디고 별 흣ᄃᆞᆺᄒᆞ야 뒤며 고함ᄒᆞ야 부ᄅᆞ지디고 일면으로 졍병이 즈레 ᄯᆞᆯ호라
方營第十八
先約兵幾司外留若干隊每隊分地一丈自中軍兩分各得若 干步子壁同四方大旗立門表高招立內表執旗者先于中軍 中心四直各數行步數足立定爲四正之表角旗與四方旗同 出自正門旗下平行左右步數足立定爲四角之表凡司哨旗 隊照各方旗色望表蟻附挨擺隊畢如有數步未合再爲移置 相合
- 몬져 혜아려 군ᄉᆡ 현 ᄉᆡ니 밧진이 현 ᄃᆡ라 ᄒᆞ야 ᄆᆡ ᄃᆡ의 ᄯᅡ ᄒᆞᆫ 길식 난화 즁군으로브터 둘ᄒᆡ 난화 각각 현 거롬을 어드라
- 안진이 ᄒᆞᆫ 가지니라 ᄉᆞ방 큰 긔ᄂᆞᆫ 문의 표ᄅᆞᆯ 셰오고 고쵸ᄂᆞᆫ 안표ᄅᆞᆯ 셰오ᄂᆞ니 긔 자븐 쟤 몬져 즁군 즁심의 네 녁흐로 바로 각각 혜여 가 거롬 쉬 ᄎᆞ거든 셔 뎡ᄒᆞ야 네 졍면의 표ᄅᆞᆯ 삼고 각 긔ᄂᆞᆫ ᄉᆞ방 긔로 더부러 ᄒᆞᆫ가지로 나 졍문 긔 아ᄅᆡ로브터 평히 좌우로 가 거롬 쉬 ᄎᆞ거든 셔 뎡ᄒᆞ야 네 모의 표ᄅᆞᆯ 삼고 므릣 ᄉᆡ며 ᄎᆈ며 긔며 ᄃᆡ 각 방위 긔 빗대로 ᄒᆞ야 표를 ᄇᆞ라고 개얌이 븟듣ᄒᆞ라 ᄃᆡ 펴기 ᄆᆞᄎᆞ믈 기ᄃᆞ려 만일 두어 거롬이 합디 몯호미 잇거든 다시 옴겨 두어 서로 합게 ᄒᆞ라
大槪以二分爲外留一分爲子壁虛其中爲中軍如一司五哨 以鳥銃一哨爲子壁四哨爲外留每面一哨如二司以六哨爲 外留以四哨爲子壁如三司以二司爲外留以一司爲子壁如 四司各爲一面各撥二哨爲子壁如五司以四司爲外留一司 爲子壁各鳥銃一哨亦爲子壁六司以四司爲外留以二司爲 子壁由此而擴充之愈多愈善
- 대개 이 분으로ᄡᅥ 밧진을 삼고 일 분으로 안진을 삼고 그 가온대ᄅᆞᆯ 븨워 즁근이 되ᄂᆞ니 만일 ᄒᆞᆫ ᄉᆡ 다ᄉᆞᆺ ᄎᆈᆫ대ᄂᆞᆫ 됴츙 ᄒᆞᆫ 쵸로ᄡᅥ 안진을 삼고 네 쵸로 밧진을 삼으되 ᄆᆡ 면의 ᄒᆞᆫ 쵸식ᄒᆞ고 만일 두 ᄉᆡᆫ대ᄂᆞᆫ 여ᄉᆞᆺ 쵸로ᄡᅥ 밧진을 삼고 네 쵸로ᄡᅥ 안진을 삼고 만일 세 ᄉᆡᆫ대ᄂᆞᆫ 두 ᄉᆞ로ᄡᅥ 밧진을 삼고 ᄒᆞᆫ ᄉᆞ로ᄡᅥ 안진을 삼고 만일 네 ᄉᆡᆫ대ᄂᆞᆫ 각각 ᄒᆞᆫ 면을 ᄒᆞ고 각 두 쵸식 ᄲᅡ여 안진을 삼고 만일 다ᄉᆞᆺ ᄉᆡᆫ대ᄂᆞᆫ 네 ᄉᆞ로ᄡᅥ 밧진을 삼고 ᄒᆞᆫ ᄉᆞ로 안진을 삼고 각 됴츙 ᄒᆞᆫ ᄎᆈ ᄯᅩᄒᆞᆫ 안진이 되고 여ᄉᆞᆺ ᄉᆡᆫ대ᄂᆞᆫ 네 ᄉᆞ로ᄡᅥ 밧진을 삼고 두 ᄉᆞ로ᄡᅥ 안진을 삼을디니 일로 말ᄆᆡ아마 밀위여 ᄎᆡ오면 더옥 만ᄒᆞ야도 더옥 됴흐니라
如二枝合營則以各左右二部共四部爲外圍以各中部爲子 圍自前門平分又如三枝合營則以二營俱爲外營一營爲子 營四枝合營則以各左右部爲外營各中部爲子營中軍各居 中四角大中軍居中每營皆自正面中分各得一角兩半面五 枝合營外四肢各左右部各分一面爲外營一層各中部爲二 層中營一枝爲子營計共三層各中軍居各營角內中營與大 中軍俱居中
- 만일 이지로 영을 모혼즉 각 좌우 두 부식 대되 네 부로ᄡᅥ 밧위를 삼고 각 즁부로ᄡᅥ 안위를 삼으되 앏문으로부터 평히 난호고 ᄯᅩ 만일 삼지로 영을 모혼즉 두 영으로ᄡᅥ 다 밧영을 삼고 ᄒᆞᆫ 영으로 안영을 삼고 ᄉᆞ지로 영을 모혼즉 각 좌우 부로ᄡᅥ 밧영을 삼고 각 즁부로 안영을 삼고 즁군은 각각 가온대 네 모ᄒᆡ 잇고 대 즁군은 가온대 이시되 ᄆᆡ 영이 다 졍면으로부터 가온대ᄅᆞᆯ 난화 각각 ᄒᆞᆫ 모 두 편 반 면식 어드라 오지로 영을 모홀진댄 밧 ᄉᆞ지 각 좌우뷔 각각 ᄒᆞᆫ 면을 난화 밧영 ᄒᆞᆫ 층이 되고 각 즁뷔 두 층이 되고 즁영 일지 안영이 될디니 혜아리건댄 대되 세 층이라 각 즁군은 각 영 모 안ᄒᆡ 잇고 즁영과 다몯 대즁군은 다 가온대 이시라
若因行營便下方營左右二部卽爲外圍中部左右二司前後 各收進中間分開卽爲子營旗鼓雜流兩行列于中軍營定發 旗立表
- 만일 ᄒᆡᆼ영을 인ᄒᆞ야 곧 방영을 틸딘대 좌우 두 뷔 곧 밧위 되고 즁부 좌우 두 ᄉᆡ 젼후로 각각 거두어 즁간의 나아가 난화 펴 곧 안영이 되고 긔와 붑 잡류ᄂᆞᆫ 두 길로 즁군의 버리고 영이 뎡호매 긔ᄅᆞᆯ 발ᄒᆞ야 표ᄅᆞᆯ 셰오라
夜營第十九
下方營安拒馬下蒺藜張營幕擧火炊飯喫發伏路塘報每隊 撥兵二名守拒馬每一拒馬內備石子一堆落旗懸燈去營外 三十步燃柴一堆
- 방영을 티고 거마창을 평안이 ᄒᆞ고 마ᄅᆞᆷ을 펴고 영댱 막을 베프고 블을 드러 밥을 지어 먹고 복로와 당보ᄅᆞᆯ 발ᄒᆞ고 ᄆᆡ ᄃᆡ의 군ᄉᆞ 두 명식 ᄲᅡ여 거마창을 딕희 오고 ᄆᆡ ᄒᆞᆫ 거마창 안ᄒᆡ 돌 ᄒᆞᆫ 무덕이ᄅᆞᆯ ᄀᆞ초고 긔ᄅᆞᆯ 디워 등을 ᄃᆞᆯ고 영 밧 삼십 보의 가 나모 ᄒᆞᆫ 무덕이ᄅᆞᆯ 블디ᄅᆞ라
凡遇敵晝則空腹圍戰夜又饑奔二三十里入人家或城郭宿 歇而賊於一夜內預設奇伏我兵至曉復合行疲氣怠未戰而 已過賊伏或不入其伏定失其地利是以我勞而不及謀賊逸 而伏多中惟是夜營旣熟復有炊竈宿飽于野與敵晝夜相持 遇倦以奇遶之遇暗以死士乘之賊欲散掠而畏兵相守不敢 分其勢欲聚戰而我有守具不得與我交掎角上策無出乎此
- 므릣 도적을 만나매 낫인즉 ᄇᆡᄅᆞᆯ 븨워 에워 ᄡᅡ호고 밤의 ᄯᅩ 주려 이삼십 니ᄅᆞᆯ 돌아 인가나 혹 셩곽의 드러 자고 쉬매 도적이 ᄒᆞ로 밤 안ᄒᆡ 긔병과 복병을 미리 베플디라 우리 병은 새배 니ᄅᆞ러 다시 모ᄃᆞ되 ᄒᆡᆼᄒᆞ기의 피곤ᄒᆞ고 긔운이 게을러 ᄡᅡ호디 몯ᄒᆞ야셔 임의 도적의 복병의 디낫거나 혹 그 복병의 드디 아니ᄒᆞᆯ디라도 뎡히 그 디리ᄅᆞᆯ 일ᄒᆞᆫ디라 이러모로ᄡᅥ 나ᄂᆞᆫ 슈고로와 미처 ᄭᅬ티 몯ᄒᆞ고 도적은 평안ᄒᆞ야 복병이 맛티미 하ᄂᆞ니 오직 이 밤 진을 임의 닉히고 ᄯᅩ 밥 짓ᄂᆞᆫ 부억을 두어 들에 가 자고 ᄇᆡ 블니며 도적으로 더브러 밤나즐 서로 겨러ᄯᅡ가 게으르믈 만나든 긔병으로ᄡᅥ 에우고 어두우믈 만나든 죽기로 ᄡᅡ호ᄂᆞᆫ 군ᄉᆞ로ᄡᅥ ᄐᆞ면 도적이 흣터 노략과댜 ᄒᆞ되 군ᄉᆡ 서로 딕희엿ᄂᆞᆫ가 저허 감히 그 형셰ᄅᆞᆯ 난호디 몯ᄒᆞ고 뫼화 ᄡᅡ호과댜 호ᄃᆡ 내 딕흰 ᄀᆞ초미 잇ᄂᆞᆫ디라 시러곰 날로 더브러 결오디 몯ᄒᆞᄂᆞ니 엇결오ᄂᆞᆫ 읏듬 모ᄎᆡᆨ이 이에 나미 업ᄂᆞ니라
明營暗徙第二十
各將燈火蓋藏原處挨哨密行前有預差官軍在彼聽他調度 密密下營便下營差錯只許一人暗行扯改不許開口大叫候 移營旣畢留的當好漢每燈一名將燈仍行明開傳撃梆鼓
- 각각 등블을 가져 처엄 곧의 더퍼 ᄀᆞᆷ초고 쵸ᄅᆞᆯ 니어 ᄀᆞ만이 가라 앏ᄒᆡ 둔 미리 ᄎᆞ뎡ᄒᆞᆫ 관군이 뎌의 이시니 뎌의 지휘ᄅᆞᆯ 들어 ᄀᆞ만ᄀᆞ만 진을 티라 믄득 티기를 그릇ᄒᆞᆯ딘대ᄂᆞᆫ 다만 한 사ᄅᆞᆷ을 허ᄒᆞ야 ᄀᆞ만이 가 자바 고티고 입을 열어 크게 브르지지믈 허티 말라 진 옴기기ᄅᆞᆯ 이믜 ᄆᆞᄎᆞ믈 기ᄃᆞ려 머므론 뎍댱한 됴흔 놈이 ᄆᆡ 등의 ᄒᆞᆫ 명식 등을 가져 인ᄒᆞ야 ᄇᆞᆰ게 열기ᄅᆞᆯ ᄒᆡᆼᄒᆞ고 방고ᄅᆞᆯ 텨 젼ᄒᆞ라
行營第二十一
凡軍行路寬一丈二路行營前司在前之左路左司接前司之 後右司在前之右路後司接右司之後中軍在後之中路寬一 丈之外三路行營中軍入二路之中路寬二丈四路行營左司 入前司之右後司入右司之左中軍在後之中路寬二丈之外 擡營行中軍入四路之中
- 므릣 군이 ᄒᆡᆼ호매 길히 ᄒᆞᆫ 길만 너르거든 두 길로 ᄒᆡᆼ영호ᄃᆡ 젼ᄉᆞᄂᆞᆫ 앏 좟녁 길의 잇고 좌ᄉᆞ난 젼ᄉᆞ 뒤ᄒᆡ 다히고 우ᄉᆞᄂᆞᆫ 앏 웃녁 길의 잇고 후ᄉᆞᄂᆞᆫ 우ᄉᆞ 뒤ᄒᆡ 다히고 즁군은 뒤 가온대 이시라 길히 ᄒᆞᆫ 길 밧게 너르거든 세 길로 ᄒᆡᆼ영호ᄃᆡ 즁군은 두 길 가온대 들라 길히 두 길만 너르거든 네 길로 ᄒᆡᆼ영호ᄃᆡ 좌ᄉᆞᄂᆞᆫ 젼ᄉᆞ 웃녁ᄒᆡ 들고 후ᄉᆞᄂᆞᆫ 우ᄉᆞ 좟녁ᄒᆡ 들고 즁군은 뒤 가온대 이시라 길히 두 길 밧기 너르거든 진을 드러 ᄒᆡᆼ호ᄃᆡ 즁군은 네 길 가온대 들라
如二營行則左營先變三路在前右營變三路在後如三營行 加中營在中四營行則前營變三路在前之左左營變三路在 左之後右營變三路在前之右後營變三路在右之後大中軍 居中五營行則前左右後四營俱照四營例行惟中營獨行于 中大中軍又在中營之中下營之法已寓其中
- 만일 두 영이 ᄒᆡᆼᄒᆞᆫ즉 좌영은 몬져 세 길을 변ᄒᆞ야 앏ᄒᆡ 잇고 우영은 세 길을 변ᄒᆞ야 뒤ᄒᆡ 이시라 만일 세 영이 ᄒᆡᆼᄒᆞᆯ딘대ᄂᆞᆫ 즁영은 더ᄒᆞ야 가온대 잇고 네 영이 ᄒᆡᆼᄒᆞᆫ즉 젼영을 세 길을 변ᄒᆞ야 앏 좟녁ᄒᆡ 잇고 좌영은 세 길을 변ᄒᆞ야 좟녁 뒤ᄒᆡ 잇고 우영은 세 길을 변ᄒᆞ야 앏 웃녁ᄒᆡ 잇고 후영은 세 길을 변ᄒᆞ야 웃녁 뒤ᄒᆡ 잇고 대즁군은 가온대 이시라 다ᄉᆞᆺ 영이 ᄒᆡᆼᄒᆞᆫ즉 젼좌우후 네 영은 다 네 영례대로 ᄒᆡᆼᄒᆞ고 오딕 즁영은 홀로 가온대 가고 대즁군은 ᄯᅩ 즁영 가온대 이시라 영 티ᄂᆞᆫ 법은 임의 그 가온대 븟텻ᄂᆞ니라
每隊照鴛鴦陣雙人行則旗總在前領隊凡有言語傳報一隊 挨一隊每旗三隊平行則旗總在後押隊凡有言語傳報一旗 挨一旗
- ᄆᆡ ᄃᆡ 원앙진대로 ᄒᆞ야 두 사ᄅᆞᆷ식 간즉 긔총은 앏ᄒᆡ 이셔 ᄃᆡᄅᆞᆯ 거ᄂᆞ리고 므릣 말로 젼ᄒᆞ야 알외미 잇거든 ᄒᆞᆫ ᄃᆡ ᄒᆞᆫ ᄃᆡᄅᆞᆯ 닛고 ᄆᆡ 긔예 세 ᄃᆡ 평히 간즉 긔총은 뒤ᄒᆡ 이셔 ᄃᆡᄅᆞᆯ 거ᄂᆞ리고 므릣 말로 젼ᄒᆞ야 알외미 잇거든 ᄒᆞᆫ 긔 ᄒᆞᆫ 긔ᄅᆞᆯ 니으라
凡行營各將官不許離營先行亦不許在營尾後行遇警時下 營對敵俱聽主將號令各軍務要湊合下營如聞報而把總自 在尾後輒便下營及將官輒自離營假稱先鋒者俱治以軍法 凡途間隊伍務要明白淸肅但有行列不齊攙前越後疎密不 一斷絶不湊行走錯亂擅離隊伍點鼓不行聞金不止按旗不 伏擧旗不興開旗不接得令不傳傳令不明道路擠㩙言語喧 嘩者俱治以軍法
- 므릣 ᄒᆡᆼ영호매 각 쟝관이 영을 ᄯᅥ나 몬져 가기ᄅᆞᆯ 허티 말고 ᄯᅩᄒᆞᆫ 영 ᄭᅩ리 뒤ᄒᆡ 이셔 ᄒᆡᆼ호믈 허티 말라 도군ᄉᆡ 뫼혀 합ᄒᆞ야 영 티기ᄅᆞᆯ 힘ᄡᅳ과댜 호미니라 만일 긔별 듣고 파총이 스ᄉᆞ로 ᄭᅩ리 뒤ᄒᆡ 이셔 믄득 영을 티거나 밋 쟝관이 문득 스ᄉᆞ로 영을 ᄯᅥ나 거즛 션봉이라 일ᄏᆞᆺᄂᆞᆫ 쟈ᄅᆞᆯ 다 군법으로ᄡᅥ 다ᄉᆞ리라 므릣 길 ᄉᆞ이의 ᄃᆡ오ᄅᆞᆯ 힘ᄡᅥ 명ᄇᆡᆨᄒᆞ며 ᄆᆞᆰ고 엄슉과댜 호미니 다만 항렬이 ᄀᆞᄌᆞᆨ디 몯ᄒᆞ거나 앏흐로 내ᄃᆞᄅᆞ며 뒤흐로 넘거나 성긔며 ᄇᆡ기ᄅᆞᆯ ᄒᆞᆫᄀᆞᆯᄀᆞ티 몯ᄒᆞ거나 긋처져 몯디 못ᄒᆞ거나 ᄒᆡᆼᄒᆞ야 ᄃᆞᆺᄂᆞᆫ 거시 글너 어즈럽거나 쳔ᄌᆞ히 ᄃᆡ오ᄅᆞᆯ ᄠᅥ나거나 붑을 뎜ᄒᆞ야든 가디 아니ᄒᆞ거나 증을 듣고 그티디 아니ᄒᆞ거나 긔ᄅᆞᆯ 누르되 업ᄃᆡ디 아니ᄒᆞ거나 긔ᄅᆞᆯ 드러도 니디 아니ᄒᆞ거나 긔ᄅᆞᆯ 여러도 응졉디 아니ᄒᆞ거나 령을 엇고 젼티 아니ᄒᆞ거나 령 뎐ᄒᆞ기ᄅᆞᆯ ᄇᆞᆰ게 아니ᄒᆞ거나 길의 미릿거나 말이 들레ᄂᆞᆫ 쟤 잇거든 다 군법으로ᄡᅥ 다ᄉᆞ리라
塘報第二十二
某人不拘多少或二人爲一塘三四五人爲一塘或二三十塘 以至百塘遠近隨時的擬每塘相去五六十步或半里臨時稟 定人持小黃旗一面于未掌號前預行喫飯俱到主將門首自 主將寓所起爲第一塘行足步數挨次存留至塘報人盡止各 且坐息候兵行挨塘傳去俱行兵止挨塘傳去俱止若有樹木 人家轉曲不見賊近前一塘必回見後一塘兩旗相應訖方過 平處互相瞭應再均步行照法哨報如前無路可行水澤窄狹 則口傳一層各層一時俱傳賊來一層退至一層如賊不來復 又立定如賊再追一層又退一層只退至營前止斷不許磨旗 之後不論賊之追不追一齊擁衆徑回
- 그 사ᄅᆞᆷ을 하며 젹으믈 거리ᄭᅵ디 말고 혹 두 사ᄅᆞᆷ으로 ᄒᆞᆫ 당을 ᄒᆞ며 삼ᄉᆞ오인으로 ᄒᆞᆫ 당을 호ᄃᆡ 혹 이삽십 당으로ᄡᅥ ᄇᆡᆨ 당의 니르러 멀며 갓가오믈 ᄯᅢᄅᆞᆯ ᄯᆞᆯ와 맛게 뎡ᄒᆞ라 ᄆᆡ 당이 서로 가기ᄅᆞᆯ 오륙십 뵈어나 혹 반 리어나 림시ᄒᆞ야 픔뎡ᄒᆞ라 사ᄅᆞᆷ마다 쟈근 누른 긔 ᄒᆞ나흘 가져 쟝 일호 몯ᄒᆞᆫ 젼의 미리 밥 먹기ᄅᆞᆯ ᄒᆡᆼᄒᆞ고 다 쥬쟝문 머리의 니ᄅᆞ러 쥬쟝 잇ᄂᆞᆫ 곧으로브터 니러나 뎨일당이 되야 가ᄂᆞᆫ 거롬 쉬 ᄎᆞ거든 ᄎᆞ례ᄅᆞᆯ 니어 두어 머므로고 당보ᄒᆞᄂᆞᆫ 사ᄅᆞᆷ이 다 그티매 니ᄅᆞ러 각각 ᄯᅩ 안자 쉬고 병이 ᄒᆡᆼ호믈 기ᄃᆞ려 당을 니어 젼ᄒᆞ야 가다 ᄒᆡᆼᄒᆞ고 병이 그티거든 당을 니어 젼ᄒᆞ야 가다 그티고 만일 나모 숩히어나 사ᄅᆞᆷ의 집이어나 구뷔진 ᄃᆡ 이셔 도적 갓가오믈 보디 몯ᄒᆞ거든 앏 ᄒᆞᆫ 당이 반ᄃᆞ시 뒤 ᄒᆞᆫ 당을 도라 보와 두 긔 서로 응ᄒᆞ기ᄅᆞᆯ ᄆᆞᄎᆞ매 보야흐로 디나라 평ᄒᆞᆫ 곧이어든 서로 보와 응ᄒᆞ야 다시 거롬 수ᄅᆞᆯ 골라 ᄒᆡᆼᄒᆞ야 법대로 쵸탐ᄒᆞ야 알외라 만일 앏ᄒᆡ 길이 가히 갈 ᄃᆡ 업서 믈과 몯이어나 조분 ᄃᆡᆫ즉 입으로 ᄒᆞᆫ 층의 젼ᄒᆞ야든 각 층이 일시의 다 젼ᄒᆞ라 도적이 오거든 ᄒᆞᆫ 층이 믈러 ᄒᆞᆫ 층의 니ᄅᆞ고 만일 도적이 오디 아니 ᄒᆞ거든 다시 ᄯᅩ 셔 뎡ᄒᆞ고 만일 도적이 다시 ᄯᆞᆯ오거든 ᄒᆞᆫ 층이 ᄯᅩ ᄒᆞᆫ 층의 믈러오되 다만 믈러 영 앏ᄒᆡ 니ᄅᆞ러 그티고 결단ᄒᆞ야 긔ᄅᆞᆯ 마ᄒᆞᆫ 후의 도적이 ᄯᆞᆯ오며 ᄯᆞᆯ오디 아니믈 의논티 말고 일졔히 모ᄃᆞ닐을 ᄭᅧ 즈레 도라오믈 허티 말라
急營第二十三
凡軍行單日左伍執器右伍挑行李雙日右伍執器左伍挑行 李倐有賊近行營或首或尾或自中突出將行李棄于地下各 火兵看守卽將對伍代執之器取過手中便遵號令對敵中軍 若遠把總哨官皆得自主號令卽下急營凡同行營司俱聽遇 賊把司之令就于所行之地設伏在遠處營司一面據險阻安 營壁管各火兵做飯備守
- 므릣 군ᄒᆡᆼ호매 단일의ᄂᆞᆫ 좌녁 ᄃᆡ외 긔계ᄅᆞᆯ 잡고 웃녁 ᄃᆡ외 ᄒᆡᆼ니ᄅᆞᆯ 가디고 ᄡᅡᆼ일의ᄂᆞᆫ 웃녁 ᄃᆡ외 긔계ᄅᆞᆯ 잡고 좟녁 ᄃᆡ외
- ᄒᆡᆼ니ᄅᆞᆯ 가졋다가 믄득 도적이 ᄒᆡᆼ영ᄒᆞᄂᆞᆫ ᄃᆡ 갓가오미 잇거나 혹 머리로나 혹 ᄭᅩ리로나 혹 가온대로브터 ᄲᆞᆯ리 내ᄃᆞᄅᆞᆯ딘댄 가졋던 ᄒᆡᆼ니ᄅᆞᆯ ᄯᅡ 아래 ᄇᆞ려든 각 화병이 보아 딕희고 즉제 ᄶᅡᆨ ᄒᆞᆫ ᄃᆡ오 ᄃᆡ신의 잡은 긔계ᄅᆞᆯ 가져 손 가온대 ᄎᆔᄒᆞ야 믄득 호령을 좃ᄎᆞ 도적을 ᄃᆡ호ᄃᆡ 즁군이 만일 멀거든 파총 쵸관이 다 시러곰 스ᄉᆞ로 호령을 쥬ᄒᆞ야 즉시 급ᄒᆞᆫ 진을 티되 므릣 ᄒᆞᆫ 가디로 가ᄂᆞᆫ 영이나 ᄉᆡ나 다 도적 만ᄂᆞᆫ 파총의 령을 드러 믄득 가ᄂᆞᆫ 바 ᄯᅡᄒᆡ 복병을 베프고 먼 곧의 잇ᄂᆞᆫ 영ᄉᆞᄂᆞᆫ 일면을로 험ᄒᆞ고 막힌 ᄃᆡ의 거ᄒᆞ야 진을 평안이 ᄒᆞ고 각 화병을 거ᄂᆞ려 밥을 짇고 딕희기ᄅᆞᆯ ᄀᆞ초라
行暗營第二十四
每哨各領字號挨哨密密行營不許開口說話不用金鼓旗招 只傳暗令行止
- ᄆᆡ ᄎᆈ 각각 군호ᄅᆞᆯ 거ᄂᆞ리고 쵸ᄅᆞᆯ 니어 ᄀᆞ만ᄀᆞ만 영을 ᄒᆡᆼ호ᄃᆡ 입을 열어 말 호믈 허티 말고 증과 붑과 긔과 고쵸ᄅᆞᆯ ᄡᅳ디 말고 다만 ᄀᆞ만 ᄒᆞᆫ 령을 젼ᄒᆞ야 ᄒᆡᆼᄒᆞ며 그티라
急下暗營第二十五
卽便於脚下立定每司爲一營搶擇地勢照原操令書內營陣 立定聽候每總爲一處不許相連又要相應
- 곧 믄득 발 아래셔 뎡하야 ᄆᆡ ᄉᆡ ᄒᆞᆫ 영이 되ᄃᆡ ᄯᅡ 형셰ᄅᆞᆯ 급히 ᄀᆞᆯᄒᆡ야 근본 조련ᄒᆞᄂᆞᆫ 령셔 ᄂᆡ의 영진대로 ᄒᆞ야 셔 뎡ᄒᆞ야 듣보와 기ᄃᆞ리라 ᄆᆡ 총이 ᄒᆞᆫ 곧이 되ᄃᆡ 서로 닛기ᄅᆞᆯ 허티 말고 ᄯᅩ 서로 응콰댜 호미니라
渡水第二十六
凡渡大水處先下方營近水塘報于四遠高處瞭無伏賊卽非 賊境亦下營後渡依次以一哨照法渡之渡過一旗卽箚成一 旗之陣整列器械卽如賊在面前一般然後坐地休息等候一 哨過完箚成哨陣一司過完箚成司營一營過完箚成大營卽 一營方聽令而行以後照此如塘馬倏然報警卽不必渡各于 兩岸候戰
- 므릣 큰 믈 건너ᄂᆞᆫ 곧의 몬져 방영을 믈 갓가온 ᄃᆡ 티고 당 뵈 네 녁ᄒᆡ 멀고 놉흔 곧의 매복ᄒᆞᆫ 도적 업스믈 보고 곧 도적의 디경이 아니라도 ᄯᅩᄒᆞᆫ 영을 틴 후의 건너되 ᄎᆞ례대로 ᄒᆞ야 ᄒᆞᆫ 쵸로ᄡᅥ 법대로 건너되 ᄒᆞᆫ 긔 건너미 디나거든 곧 ᄒᆞᆫ 긔 진을 구디 일우고 긔계ᄅᆞᆯ 졍졔히 버려 곧 도적이 ᄂᆞᆺ 앏ᄒᆡ 이심ᄀᆞ티 ᄒᆞᆫ가지로 ᄒᆞᆫ 연후의 ᄯᅡᄒᆡ 안자 쉬며 기ᄃᆞ리되 ᄒᆞᆫ ᄎᆈ 디나가 다 ᄒᆞ매 쵸진을 구디 일우고 ᄒᆞᆫ ᄉᆡ 디나가 다 ᄒᆞ매 ᄉᆞ영을 구디 일우고 ᄒᆞᆫ 영이 디나가 다 ᄒᆞ매 큰 영을 구디 일우고 곧 ᄒᆞᆫ 영이 보야흐로 령을 드러 ᄒᆡᆼᄒᆞᄃᆡ ᄡᅥ 후ᄂᆞᆫ 이대로 ᄒᆞ라 만일 당매 믄득 도적의 긔별을 알외여든 즉제 반ᄃᆞ시 건너디 말고 각각 두 두던의셔 ᄡᅡ호기ᄅᆞᆯ 기ᄃᆞ리라
爭般喧嘩不循行序擠衆兢先第一要禁惟哨隊挨次而渡一 人不致攙先越後自然不喧自然無爭
- ᄇᆡᄅᆞᆯ ᄃᆞ토와 지져괴여 가ᄂᆞᆫ ᄎᆞ례ᄅᆞᆯ 좃디 아니ᄒᆞ고 모ᄃᆞ니ᄅᆞᆯ 미리 잇고 몬져ᄅᆞᆯ ᄃᆞ토미 읏듬 금콰댜 호미라 오직 쵸와 ᄃᆡ ᄎᆞ례ᄅᆞᆯ 니어 건너되 ᄒᆞᆫ 사ᄅᆞᆷ을 앏흐로 내ᄃᆞᄅᆞ며 뒤흐로 건너믈 닐위디 아니면 ᄌᆞ연히 지져괴디 아니코 ᄌᆞ연히 ᄃᆞ토미 업ᄂᆞ니라
過險第二十七
凡臨賊如遇沮澤深林大山不可擅過須據形勢一面搜索伏 賊一面稟覆中軍請兵埋伏訖聽令再行遇賊佯兵誘之入伏 攻之
- 므릣 도적을 림호매 만일 즌 굴헝과 깁흔 수플과 큰 뫼흘 만날딘대ᄂᆞᆫ 가히 쳔ᄌᆞ히 디나디 말고 모로미 형셰ᄅᆞᆯ 의거ᄒᆞ고 일면으로 숨은 도적을 수탐ᄒᆞ여 찻고 일면으로 즁군의 품ᄒᆞ야 알외여 병을 쳥ᄒᆞ야 복병을 므드믈 ᄆᆞᄎᆞ매 령을 들러 다시 ᄒᆡᆼᄒᆞ라 도적을 만나거든 거즛 군ᄉᆞ로 달래여 복병ᄒᆞᆫ ᄃᆡ 들거든 티라
住宿第二十八
所至地方如當入人家安揷各兵到于城外或村內空所每一 營爲一路一字箚定坐息各哨官隊總執旗同火兵進城或入 村尋討歇家每一隊務在一家不許相離若一家難容卽分間 壁一哨在一街一司在一隅一營在一面本營各部不許相混 本部各司不許相混本司各哨不許相混本哨各旗不許相混 將旗揷在各家門首出城稟云歇家討完然後挨營而入大小 將領于各兵所歇信地適中街面露坐待各兵俱進人家安歇 將領方進人家卽主將亦如此
- 니ᄅᆞᆫ 바 디방의 만일 맛당히 인가의 드러 평안이 머믈딘대 각 병이 셩 밧긔나 혹 촌 안 뷘 곧의 니르러 ᄆᆡ ᄒᆞᆫ 영이 ᄒᆞᆫ 길이 되야 일ᄌᆞ로 구디 뎡ᄒᆞ야 안ᄌᆞ 쉬고 각 쵸관과 ᄃᆡ총이 긔ᄅᆞᆯ 잡고 화병과 ᄒᆞᆫ가지로 셩의 나아가거나 혹 촌의 드러가 쉴 집을 ᄎᆞ자 어드되 ᄆᆡ ᄒᆞᆫ ᄃᆡ ᄒᆞᆫ 집의 잇기ᄅᆞᆯ 힘ᄡᅥ 서로 ᄠᅥ나믈 허티 말고 만일 ᄒᆞᆫ 집의 용납기 어렵거든 곧 ᄉᆞ이 ᄇᆞ람을 난호라 ᄒᆞᆫ ᄎᆈ ᄒᆞᆫ 거리의 잇고 ᄒᆞᆫ ᄉᆡ ᄒᆞᆫ 모희 잇고 ᄒᆞᆫ 영이 ᄒᆞᆫ 면의 이시되 본영 각 뷔 서로 섯기믈 허티 말고 본부 각 ᄉᆡ 서로 섯기믈 허티 말고 본ᄉᆞ 각 ᄎᆈ 서로 섯기믈 허티 말고 본쵸 각 긔 서로 섯기믈 허티 말라 긔ᄅᆞᆯ 가져 각 집 문 머리의 ᄭᅩ자 두고 셩의 나 품ᄒᆞ야 니ᄅᆞᄃᆡ 쉴 집을 엇기ᄅᆞᆯ 다 ᄒᆞ다 ᄒᆞᆫ 연후의 영을 니어 들어가되 크며 쟈근 쟝령이 각 병 쉬ᄂᆞᆫ 바 신디의 거듕ᄒᆞ야 거리 앏ᄒᆡ 나 안ᄌᆞᆺ다가 각 군ᄉᆡ 다 인가의 나아가 평안히 쉬믈 기ᄃᆞ려 쟝령이 보야흐로 인가의 나아가고 곧 쥬쟝이라도 ᄯᅩᄒᆞᆫ 이ᄀᆞ티 ᄒᆞ라
野營第二十九
凡軍行至未時擇堪屯營地方馳高熟視必山水可據之地如 無山則在平野必進退便利之處水草方便形勢可觀者立中 軍旗幟預計同行兵數當爲幾營每營合若干步發旗立表照 表搶營如去賊遠只以拒馬蒺藜爲營若近賊地方或係境外 或當疑地應立木柵度夜
- 므릣 군ᄒᆡᆼ호매 미시의 니ᄅᆞ러 진 쳠즉ᄒᆞᆫ 디방을 ᄀᆞᆯ희되 노픈 ᄃᆡ ᄃᆞᆯ녀 반ᄃᆞ시 산ᄉᆔ 가히 의거ᄒᆞᆯ ᄯᅡ흘 닉이 보고 만일 뫼히 업슨즉 평ᄒᆞᆫ 들의 이시되 반ᄃᆞ시 나으며 므르미 편ᄒᆞ고 니ᄒᆞᆫ 곧과 믈과 플이 방편ᄒᆞ고 형셰 가히 보암즉ᄒᆞᆫ 듸 듕군 긔치ᄅᆞᆯ 셰오고 미리 ᄒᆞᆫ가지로 가ᄂᆞᆫ 병쉬 맛당히 몃 영이 되며 ᄆᆡ 영이 현 거롬의 합호믈 혜아려 긔ᄅᆞᆯ 발ᄒᆞ야 표ᄅᆞᆯ 셰오
- 고 표대로 영을 일우라 만일 도적의 가미 멀딘댄 다만 거마창과 마ᄅᆞᆷ으로ᄡᅥ 영을 ᄒᆞ고 만일 도적의 디방이 갓갑거나 혹 디경 밧긔 ᄆᆡ이거나 혹 의심된 ᄠᅡᄒᆡ 당ᄒᆞᆯ딘대ᄂᆞᆫ 벅벅이 목ᄎᆡᆨ을 셰워 밤을 지내라
營壁第三十
凡立定營盤不係有門之處便是何人何官到彼要行闖過者 定行阻住決不許放過便是本隊兵士亦要出入由門
- 므릣 영쥬회를 셰워 뎡호매 문 잇ᄂᆞᆫ 고ᄃᆡ ᄆᆡ이디 아니ᄒᆞᆯ딘대 문득 이 아모 사ᄅᆞᆷ이며 아모 관원이라도 뎌의 니ᄅᆞ러 허혀고 나가과댜 ᄒᆞᄂᆞᆫ 쟤어든 뎡히 막아 머므로믈 ᄒᆡᆼᄒᆞ고 결단ᄒᆞ여 노하 디나믈 허티 말라 믄득 이 본ᄃᆡ 군ᄉᆡ라도 ᄯᅩᄒᆞᆫ 나며 들믈 문으로 말믜암과댜 호미니라
營門第三十一
每日夜該營內各輪一哨官把門主將親隨執藍旗每門二名 除朝暮吹打開門後遇閉門時必有令旗令箭方開凡開門左 右相近各一旗官軍披執嚴陣以待若無令旗令箭便是使臣 大將自在門外決不許放入如主將出營外必以一人代主將 司令
- ᄆᆡ양 낫과 밤의 당ᄒᆞᆫ 영 안희 각각 ᄒᆞᆫ 쵸관을 돌녀 문을 직희고 쥬쟝의 갓가이 ᄯᆞ로ᄂᆞ니 프른 긔ᄅᆞᆯ 자바 ᄆᆡ 문의 두 명식 ᄒᆞ라 아ᄎᆞᆷ 나죄 ᄎᆔ타ᄒᆞ야 문 열 제ᄂᆞᆫ 말고 후의 문 다들 ᄯᆡ를 만나ᄂᆞᆫ 반ᄃᆞ시 령긔며 령젼이 이셔야 보야흐로 열고 므릣 문 열 제 좌우의 서로 갓가온 각 ᄒᆞᆫ 긔 관군이 헤혀 자바 진을 엄히 ᄒᆞ야ᄡᅥ 기ᄃᆞ리라 만일 령긔와 령젼이 업슬딘댄 문득 이 ᄉᆞ신과 대쟝이 스ᄉᆞ로 문 밧긔 이실디라도 결단ᄒᆞ야 허ᄒᆞ야 노하 드리디 말라 만일 쥬쟝이 영 밧긔 나갈딘댄 반ᄃᆞ시 ᄒᆞᆫ 사ᄅᆞᆷ으로ᄡᅥ 쥬쟝을 ᄃᆡᄒᆞ야 령을 가음알게 ᄒᆞ라
各營放出放入各由本營門內若別營之軍誤出營門者軍法 施行凡公差馬匹俱在營門外單身進入把門人看馬大將入 營亦只承馬從官以下俱步 :각 영이 노하 내며 노하 드리믈 각각 본영 문 안흐로 말ᄆᆡ암고 만일 다ᄅᆞᆫ 영 군ᄉᆡ 영문으로 그릇 나ᄂᆞᆫ 쟤어든 군법으로 시ᄒᆡᆼᄒᆞ라 므릣 공ᄎᆡ의 마필을 다 영문 밧긔 두고 홋몸으로 나아 들거든 문 잡은 사ᄅᆞᆷ이 ᄆᆞᆯ을 보라 대쟝이 영의 들 제 ᄯᅩᄒᆞᆫ 다만 ᄆᆞᆯ을 ᄐᆞ고 ᄯᆞ로ᄂᆞᆫ 관원으로ᄡᅥ 아래ᄂᆞᆫ 다 거르라
伏路第三十二
以各營司所向之方爲信地每面發伏路兵五名爲一伏每伏 半里每路五伏或一路二路三路每一晝夜換班一次見面交 代遇賊與大營交戰卽從後大叫預于樹木山石之間縛火把 藥柴草臨時燒起
- 각각 영이며 ᄉᆡ 향ᄒᆞᆫ 바 방위로ᄡᅥ 신디ᄅᆞᆯ 삼아 ᄆᆡ 면의 복로병을 발호ᄃᆡ 다ᄉᆞᆺ 명으로 ᄒᆞᆫ 복을 삼아 ᄆᆡ 복의 반니식 ᄒᆞ며 ᄆᆡ 길의 다ᄉᆞᆺ 복을 호ᄃᆡ 혹 ᄒᆞᆫ 길이어나 두 길이어나 세 길ᄅᆞᆯ ᄒᆞ야 ᄆᆡ양 ᄒᆞᆫ 낫과 밤의 ᄎᆞ례 밧고기ᄅᆞᆯ ᄒᆞᆫ 번을 호ᄃᆡ ᄂᆞᆺ츨 보와 서로 ᄃᆡ신ᄒᆞ라 도적이 큰 영으로 더브러 ᄡᅡ호기 서괴믈 만날딘댄 즉제 뒤흘 좃ᄎᆞ 크게 브르지지고 미리 나모와 뫼와 돌 ᄉᆞ이의 가 블 묵금을 ᄆᆡ고 싀초ᄅᆞᆯ 약ᄒᆞ야 ᄯᅢᄅᆞᆯ 림ᄒᆞ야 블 딜러 니ᄅᆞ혀라
輪射第三十三
如不得速戰或已立營壘遇賊衝我或五六十數人我兵俱伏 旗息鼓暗執器械肅靜不動待彼衝到十數步內亦不動賊必 退去漸益前來如加至百十以上砲手聽對敵號令或于木城 或于壕岸或于拒馬下更番射賊空者復裝飽者續放放者方 裝裝者又發如此而雖終日砲放不乏必無放盡而無砲之失 弓弩火箭手亦聽令照銃輪射
- 만일 시러곰 ᄲᆞᆯ니 ᄡᅡ호디 몯ᄒᆞ야 혹 임의 진을 셰오ᄆᆡ 도적이 날을 츙돌ᄒᆞ믈 만날딘댄 혹 호륙십 수읫 사ᄅᆞᆷ이어든 우리 병이 다 긔ᄅᆞᆯ 누이며 붑을 쉬오고 ᄀᆞ마니 긔계ᄅᆞᆯ 자바 엄슉ᄒᆞ고 고요히 ᄒᆞ야 움즉이디 말고 뎌의 열두어 거롬 안희 츙돌ᄒᆞ야 니ᄅᆞ믈 기ᄃᆞ려 ᄯᅩᄒᆞᆫ 움즉이디 아니ᄒᆞ면 도적이 반ᄃᆞ시 믈러가 졈졈 더ᄒᆞ야 나아오리니 만일 더 ᄇᆡᆨ열ᄡᅥ 우
- 희 이ᄅᆞ러든 포ᄉᆔ 도적 ᄃᆡ젹ᄒᆞᆯ 호령을 드ᄅᆞ되 혹 나모 셩이어나 혹 ᄒᆡᄌᆞ 언덕이어나 혹 거마창 아래 번가라 도적을 ᄡᅩ되 뷘 쟤 다시 장약ᄒᆞ야든 ᄎᆡ온 쟤 니어 노코 노흔 쟤 보야흐로 쟝약ᄒᆞ야든 장약ᄒᆞᆫ 쟤 ᄯᅩ 노흐면 이러ᄐᆞᆺ ᄒᆞ야 비록 날이 ᄆᆞᄎᆞ도 블노키 ᄭᅳᆫ허지디 아니ᄒᆞ야 반ᄃᆞ시 노키ᄅᆞᆯ 다 ᄒᆞ야 포 업슨 그ᄅᆞ미 업스리니 궁노와 화젼ᄉᆔ ᄯᅩᄒᆞᆫ 령을 드러 츙슈대로 돌려 ᄡᅩ라
戰彀第三十四
凡列陣須一息而定列時勿使賊知尤妙敵不知則用暗令列 陣敵知則用明令列陣列畢火器在先擡陣而前或寇來衝我 或列陣待我俟到五十步內火器聽令齊發只有一次次看起 火各射火箭弓箭且行且射兵士乘火煙如雲一齊擁進須是 飛走母亂隊伍蜂叢蟻附如山崩如墻堵不可毫髮遲疑無有 不勝此非擊殺之力乃火煙之勢飛進之雄奪其心目徑前交 鋒彼自靡矣兵法謂勢險節短始如處女敵人開戶終如脫兎 敵不及拒不其然乎
- 므릣 진 버리기ᄅᆞᆯ 모로미 ᄒᆞᆫ숨의 뎡호ᄃᆡ 버릴 ᄯᅢ의 도적으로 ᄒᆞ여곰 알게 말미 더옥 묘ᄒᆞ니라 도적이 아디 몯ᄒᆞᆫ즉 그윽ᄒᆞᆫ 령을 ᄡᅥ 진을 버리고 도적이 안즉 발근 령을 ᄡᅥ 진을 버리되 버리기ᄅᆞᆯ ᄆᆞᄎᆞ매 블 긔계 앏ᄒᆡ 이셔 진을 드러 나아가고 혹 도적이 와 날을 츙돌ᄒᆞ거나 혹 진을 버려 날을 기ᄃᆞ리거든 오십 보 안희 니ᄅᆞ믈 기ᄃᆞ려 블 긔계 령을 드러 ᄀᆞᄌᆞ기 노흐되 다만 ᄒᆞᆫ 번을 ᄒᆞ고 버거 긔화ᄅᆞᆯ 보아 각각 화젼 궁젼을 ᄡᅩ아 ᄯᅩᄒᆞᆫ ᄒᆡᆼᄒᆞ며 ᄯᅩᄒᆞᆫ ᄡᅩ고 군ᄉᆡ 블과 ᄂᆡ 구룸 ᄀᆞ트믈 타 ᄀᆞᄌᆞ기 ᄭᅧ 나아 모로미 이 나라 ᄃᆞᄅᆞ되 ᄃᆡ오ᄅᆞᆯ 어즈럽게 말며 벌 못ᄃᆞᆺ 개야미 븟ᄃᆞᆺ호되 뫼 믄허딤 ᄀᆞ트며 담다음 ᄀᆞ트야 가히 호발도 더ᄃᆡ고 의심티 아니면 이긔디 몯호미 잇디 아니ᄒᆞᄂᆞ니 이 티며 죽이ᄂᆞᆫ 힘이 아니라 이예 ᄂᆡ와 블 형셰며 나라 나아감의 웅장호미 그 ᄆᆞᄋᆞᆷ과 눈을 아스미니 즈레 나아가 날를 서괴면 뎨 스ᄉᆞ로 ᄡᅳ러디리라 병법의 닐온 형셰 험ᄒᆞ면 졀ᄎᆡ 쟈르다 ᄒᆞ고 처음은 쳐녀 ᄀᆞ티 ᄒᆞ다가 젹인이 지게ᄅᆞᆯ 열거든 ᄆᆞᄎᆞᆷ내 버서난 톳기 ᄀᆞ티 ᄒᆞ면 도적이 미처 벙으리왓디 몯ᄒᆞᆫ다 ᄒᆞ니 그 그러티 아니ᄒᆞ냐
- 以上節制正戰也戰間翼擊以分其力遊伏以疑其專出奇
- 以乘其衆更番妙處俱在臨時制變將所自出
- 이샹은 졀졔ᄒᆞᆫ 졍젼이라 ᄡᅡ호ᄂᆞᆫ ᄉᆞ이의 ᄂᆞ래로 텨ᄡᅥ 그 힘을 난호고 유병과 복경으로ᄡᅥ 그 오롯호믈 의심캐 ᄒᆞ고 긔병을 내여 ᄡᅥ 그 모든 이ᄅᆞᆯ 탈디니 번ᄀᆞ라 ᄒᆞᄂᆞᆫ 묘ᄒᆞᆫ 곧은 다 ᄯᅢᄅᆞᆯ 림ᄒᆞ야 변을 제어호매 이시니 쟝ᄉᆔ 스ᄉᆞ로 내ᄂᆞᆫ 배니라
권3
편집권4
편집권5
편집兵學指南卷之五
場操程式
懸操牌 第一
操期前一日懸操牌各營傳知
掌一號 第二
中軍稟掌號早晚于主將次日主將門前掌號各將官門前皆 掌號各兵做飯將官亦做飯
掌二號 第三
官兵喫飯備裝入敎場列成行伍【前左營爲左列右後營爲右列中營橫列于臺下兩邊營 將在本營之中把總在本司之中哨官在本哨之頭旗總在本 旗之頭隊長在本隊之前一三五七九名在隊長後之左二四 六八十名在隊長後之右火兵在二伍後之中】旗鼓官擺列淸道威儀于主將門前以 待【淸道旗在前五方大旗與五方高招相間爲中行門旗與角 旗相間爲左右行中五方旗前左在左右後在右中在中豹 尾旗在其後金鼓旗又在其後吹打手在金鼓旗之後巡視令 旗軍牢在座馬前座纛在座馬後親兵敎師塘報又在其後器 械相間於旗幟左右行】
掌三號 第四
主將起身出門放砲三擧鳴金二下大吹打
入場 第五
主將將入敎場鳴金三下吹打止擧號砲一聲吹天鵝聲各兵 點旗吶喊共三次鳴金一下喇叭止鳴金大吹打中軍千把總 哨官信地跪迎候過卽隨行主將將至將臺鳴金吹打止鳴鑼 邊旗幟分列于左右鳴金鑼止千總以下聽候于轅門外【淸道旗立 于轅門兩邊旗幟中行分入于左右行遞上轉身立定爲第一 行金鼓旗立于淸道旗之內吹打手遞上轉身立定爲第二行 軍牢巡視手令旗令箭貫耳箭等遞上轉身立定 爲第三行黃門旗手叉桿作門于淸道旗之前】
小開門 第六
主將坐定鳴金小吹打鳴金吹打止中軍旗鼓旗牌等官從臺 上先行參見【中軍兩跪一揖旗鼓旗牌兩跪兩揖】次軍牢巡視手吹鼓手等分班 叩頭命起去應聲退
升帳 第七
中軍稟放升帳砲命起來應聲退放砲三聲鳴金大吹打伴倘 先喝牢子站齊牢子大喝三聲畢牢子一人進跪大呼開門旗 手應聲揮旗而退鳴金吹打止
升旗 第八
中軍稟升旗命起應退放砲一聲擂鼓鳴鑼共三通升旗鳴金 鑼鼓止營將千把總哨官由轅門趨入以次參見卽回還信地 【營將千總兩跪一揖把總哨官兩跪兩揖每班趨入牢子大喝】
招官旗 第九
中軍稟掌號笛聚官旗聽發放命起應退擧號砲一聲卽吹雙 瑣吶淸道旗左右直下官旗挨次隨行到列陣盡頭轉身由馬 路回上隊長偃旗到臺下堅起完立于左右每一哨爲縱列各 把哨旗隊每班爲橫列【若衆至數萬每一司爲縱列隊長守伍】淸道旗跪告官旗 到齊命起應退鳴金號笛止【若不吹笛磨動主將認旗各營 將赴磨動不止則各把總又赴下 至隊長皆然若止招營將則營將出馬路卽鳴金僕旗】
聽發放 第十
中軍傳雲官旗過來各齊應一聲畢卽擧足進前轉身向上鳴 鼓一通先隊長次旗總次哨官次把總次千總俱跪中軍于臺 上跪先起發放曰官旗聽著應耳聽金鼓應目視旌旗應手熟 擊刺應步閑進止應萬人一心應軍法有常應再將應作何擧 動軍令親口分付每聽一句話卽應聲畢各班內一人先尊後 卑高聲報曰某官叩頭命起應畢卽轉身退至原地向內轉身 相向立定
巡視發放 第十一
傳云巡視官生過來應聲旗牌官跪于前巡視旗跪于後聽發 放曰凡入操喧譁不肅應下營行伍不齊應行營攙前越後應 臨陣擧動違令應斬賊强奪首級應戰畢妄殺降人應種種作 奸犯科俱聽爾拿來處置應若故縱需索治爾之罪應如前各 叩頭命起應退
官旗下地方 第十二
中軍稟官旗下地方命起應退卽傳云官旗下地方各齊應一 聲鳴金大吹打淸道旗領官哨隊行到列陣盡頭回上官旗各 還原地淸道旗回至跪告官旗到地方命起應退鳴金吹打止 擧號砲鳴鑼各兵坐息鳴金鑼止五方旗招俱偃各營一體偃 旗【如欲令各營一體發放五方旗招不偃】
一體發放 第十三
各營將一體掌號笛照臺上發放把總用認旗招哨官以下發 放只傳臺上分付親口之言不用耳聽金鼓等文哨官用認旗 招旗隊總發放所聞把總之言次及已意畢回還旗總立于第 二隊長之前各隊長及兵士俱跪發放云奉臺上號令將上官 話頭一一講說畢隊長卽轉身向後大聲曰奉臺上號令發放 各兵跪聽【凡發放將領居中官旗中分自左右回至完立】
開營行 第十四
中軍稟放肅靜砲命起應退放砲三聲中軍稟掌號下營命起 應退卽掌一號鳴金邊發塘報用十塘每塘二人相去十步掌 二號擧號砲吹哱囉各兵立鳴金哱囉止擧號砲立紅方旗于 臺上前營聽候向右點前營將亦向右點千把總哨官旗隊總 挨次俱點鳴金僕旗鳴金邊五方旗招俱起分立三行【中五方旗及角 旗照方色換立】擧號砲點鼓點五方旗招各營一體點動前營自臺前 從東向西直行【或將鴛鴦隊雙人行或每旗三隊平行】左營挨接而行到右列之 後向南而下中軍旗鼓等前接左營之後後接中營之前右列 各營俟中營尾盡相接而行遇折旋處旗總以上旗俱點
分路 第十五
前營頭到將臺左邊前路立高招二面中軍擧號砲鳴金鼓止 各兵立擧分路砲立高招依數點鼓右後營趨至前左營之右 幷行爲二路中軍中營在二路後之中【分三路則放砲三聲立高招三面中軍入兩路 之中分四路則放砲四聲立高招四面左營入前營之右後營 入右營之左中軍中營在四路後之中分五路則放砲五聲立 高招五面中營入左後營之中中軍又入中營之中】兵行一週到敎場前擧號砲鳴鑼各 兵坐息鳴金鑼止五方旗招俱偃各營一體偃旗
列陣 第十六
塘報搖旗報警前營頭局哨官微聲傳有警各隊長挨傳至尾 局卽還報知道到頭局擧號砲吹哱囉五方旗招俱起各兵立 吹轉身喇叭各兵卽轉身點緊鼓吹擺隊伍喇叭各兵緊趨一 字擺列每旗爲一聚留空三丈鳥銃手且平列于殺手之後前 營爲左前層右營爲右前層自內擺向外左營爲左後層後營 爲右後層自外擺向內【若四路行則兩層俱擺向外】兩層相去二十步中軍 旗鼓等居中前抵前層之後後坐後層之前中營爲老營各營 火兵俱入老營【若一路行則前營爲前層左營在左分二層右營在右分二層中營爲後層後營爲老營】再 吹單擺開殺手照鴛鴦隊相去各一丈銃手俱出兵前五步單 列【凡擺隊中一隊不動只以左右二隊擺開單列則隊長不動只以左右伍挨次擺開】鳴金喇叭止擧號 砲鳴鑼各兵坐息鳴金鑼止【如欲回軍轉陳則行到將右邊塘報在後報警吹長聲喇叭五方 旗招俱向後指各隊一時轉身向後中軍亦轉身營將把總出 在中司中哨之前哨官旗總出在本哨本旗之前聽點鼓左營 前營出中軍之右後營右營出中軍之左如前行營到敎場前 當中擧號砲鳴鑼坐息如前報警擧號砲吹哱囉起立吹轉身 喇叭點鼓吹擺隊伍喇叭後營在左之前右營在左之後左營 在右之前前營在右之後左後營自內擺向外前右營自外擺 向內鳴鑼坐息賊在百步之內放銃射矢出戰三次賊敗俱退 信地塘報又在後報警卽吹轉身喇叭各隊一時轉身向後鳥 統手俱出前右營之前中軍亦轉身點鼓擡陣行至老營之前 鳴金鼓止立表下方營老營迎入爲子壁面操完前營向南西 角轉身回上左營接前營之後右營向南東 角轉身回上後營接右營之後俱回信地】
鳥銃鈀弓齊放 第十七
賊在百步之內擧號砲吹哱囉各兵起立鳴金哱囉止擧號砲 吹天鵝聲鳥銃手齊放【或一次盡擧或分五次擧】卽收隊伍擧起火一枝前 層火箭弓箭手及旗隊總俱出到鳥銃處與鳥銃旗隊總平列 吹天鵝聲火箭弓箭齊發【火箭燃射二枝弓箭發九矢】
後層出戰 第十八 擧號砲點鼓火箭弓箭手俱回原隊後層間隊而出待出立隊 之前擂鼓吹天鵝聲各兵執器向前【行營列陣執器俱向上】吶喊飛趨作 戰鳴金鼓止一面留一旗或一隊于左右爲後伏兵又點鼓緊 行又擂鼓吹天鵝聲吶喊作戰止一面留一旗或一隊于左右 爲前伏兵又點鼓緊行又擂鼓吹天鵝聲吶喊作戰各兵將鴛 鴦隊擠密鏖戰賊敗鳴金鼓止摔鈸鳴各整隊伍再鳴各分原 隊鳴金三下器械向前身首向後退回約二三十步連鳴金二 聲是賊追來各兵卽轉身作虎聲立定又用前令佯退誘賊入 前伏之內伏兵吶喊齊起卽鳴金二聲各兵轉身作虎聲立定 擂鼓吹天鵝聲吶喊作戰一次賊敗又照前退兵掌喇叭收後 伏兵三退至鳥銃之前鳴金二聲作虎聲立定【凡伏兵旣起卽聽正兵號令】
鳥銃鈀弓再次齊放 第十九
又作賊來狀鳥銃手急出退回一層之前擧號砲吹天鵝聲銃 手齊放擧起火一枝退回一層內火箭弓箭手旗隊總及鳥銃 旗隊總等亦照前齊發
前層出戰 第二十
擧號砲點鼓原一層未出兵出戰號令設伏俱如前老營一面 分遣奇兵于賊退之路潛伏以待一層如前佯退至前伏之內 伏兵起卽回身立定作戰一次又誘賊入後伏之內伏兵吶喊 齊起
兩層俱出 第二十一
兩層俱照前令一擁追賊一面留一旗或一隊于左右以守賊 伏或搜伏擂鼓吹天鵝聲不絶吶喊不斷只是一次交鋒所遣 奇兵一時從後吶喊齊起迎合于前老營兵亦鼓噪從之以助 聲勢
間花疊退 第二十二
賊敗鳴金鼓止摔鈸鳴各兵照前淸隊鳴金鈸止間花疊退號 令如前三退各到信地竪起器械擧號砲鳴鑼坐息
下方營 第二十三
中軍稟稱賊已敗遁下方營查功罪命起應退擧號砲鳴金邊 執五方旗招者先于中軍中心四直各數行步數足立定爲四 正之表【如一營五司每司五哨則得十七步爲內表又得五十步半爲外表】角旗與四方大旗同 出自正門旗下平行左右步數足立定爲四角之表【若因行營變爲方營 則先將兩路分開搶營營定發旗立表】擧號砲吹哱囉各兵起立鳴金哱囉止點 鼓吹擺隊伍喇叭磨動表旗各兵照旗蟻附分爲外層子層【前營 自朱雀旗擺至靑龍旗左營自靑龍旗擺至玄武旗右營自朱 雀旗擺至白虎旗後營自白虎旗擺至玄武旗中營前左中司 自紅高招擺向藍高招過黑高招右後司自紅高招擺向白 高招至中司之尾若因一路行列陣下營則每營各居一面】中 軍居子壁之中各營將居外壘四角之內吹單擺開喇叭各兵 列開小隊鳴金喇叭止卽安拒馬下蒺藜張營幕
發伏路塘報 第二十四
擧號砲再鳴金邊分定伏路塘報各將鳥銃弓矢火箭等具俱 赴中軍領字號令箭出門伏路中軍差官數出擧號砲鳴鑼各 兵俱入幕休息每隊輪撥二人守拒馬中軍黃大旗黃高招及 中五方旗俱偃各營一體偃旗唯表旗不偃 發樵汲 第二十五
擧號砲中軍竪大旗【若一營操則只竪黃旗】擂鼓發兵樵汲中軍先差官 目分向四門數出回報鳴金僕旗放砲三聲鳴金大吹打閉營 門
查功罪 第二十六
擧號砲吹單哱囉各官旗起立卽掌號笛左邊官旗向左內旋 子壁外旋右邊官旗向右內旋子壁外旋至中軍齊鳴金號笛 止中軍發放叩頭等項皆如臺上發放【就將戰陣行過得失應改應遵此後應作何擧 動軍令逐一發放不必用耳聽金鼓等文】就將戰陣合格違令者對衆發落各營將 類報本日未到差病姓名【謂之曰遞擧子】鳴金大吹打散到信地
收樵汲 第二十七
擧號砲立大旗吹喇叭一遍哱囉一通各兵俱起執器如待敵 狀擧號砲鳴金大吹打開營門收樵汲兵仍差四人赴各門數 兵入回中軍報數鳴金吹打止
炊飯 第二十八
放砲三聲鳴金大吹打閉營門擧號砲鳴鑼坐息放起火一枝 營中擧火傳鑼解甲炊飯蓐食
四面操 第二十九
塘報磨旗伏路兵擧砲某面賊來中軍竪某色旗應之吹哱囉 某面兵起立擧號砲點鼓外圍兵緩行交戰收兵退兵俱照二 層戰陣號令行收兵時中軍大吹打以應之【若已安拒馬只將遠器更番射賊不 許離拒馬內】 收營 第三十
四面操完中軍稟營操畢請收營命起應退中軍擧號砲吹哱 囉竪大旗各起身摔鈸鳴收拒馬營幕各成小隊再鳴成大隊 中軍原發旗招俱回點鼓將方營照前變爲二層立定【若老營入爲子 壁則變爲三層立定】吹長聲喇叭擧號砲五方旗招俱向後指各兵卽向 後轉身鳥銃手亦出兵前點鼓擡陣行約二十餘步鳴金鼓止 又吹長聲喇叭五方旗招俱向前指各兵俱如前轉身鳴金大 吹打擡陣行回到信地鳴金吹打止摔鈸鳴如前收隊
回信地 第三十一
擧開營砲吹天鵝聲各兵不點旗吶喊共三次鳴金大吹打前 營在前之左路左營接前營之後右營在前之右路後營接右 營之後【若有中營則前左司接左營之後中右後司接後營之後】平行左右各回信地箚定 【兵多則不須魚貫而上只從本哨之頭轉身立定】
謝操 第三十二
中軍到臺下中軍以下至哨官入跪主將前高聲報曰中軍千 把總哨官謝操卽叩頭命起應退
散操 第三十三
中軍稟散操命起應退鳴金大吹打各兵于脚下轉身南下不 須魚貫而上【如欲數兵將令旗作門于兩邊各隊俱單人行從門出中軍差官目逐哨數出】各哨一體 擺列旗鼓威儀各隨本營至中路散出不許候送主將【如欲變陣不稟 散操鳴鑼坐地聽變陣號令】
落旗 第三十四 中軍稟散操命起應退鳴金大吹打各兵于脚下轉身南下不 須魚貫而上【如欲數兵將令旗作門于兩邊各隊俱單人行從門出中軍差官目逐哨數出】各哨一體 擺列旗鼓威儀各隨本營至中路散出不許候送主將【如欲變陣不稟 散操鳴鑼坐地聽變陣號令】
落旗 第三十四
中軍稟落旗命起應退擧號砲鑼鼓三通落旗掌一號鳴金邊 旗幟分立三行掌二號主將起身上馬鳴金大吹打
夜操程式【附】
晝習 第一
操畢再下方營擧號砲竪黑旗大吹打閉營門擧號砲擂鼓鳴 鑼落旗各營一體落旗擧起火一枝懸空燈籠各營一體懸燈 照法演之
安營 第二
日暮下方營安拒馬下蒺藜張營幕晝操時如未實炊放火兵 炊來飯衆每隊撥兵二名守拒馬每一拒馬內備石子一堆每 一旗後堀厠坑一所距營外三十步積柴一堆擧號砲傳鑼各 兵入幕安歇
夜號 第三
中軍稟請夜號于主將傳知各哨各哨傳知各兵只是一字隨 時定擬【發伏路塘報已見晝操方營條內】
燃燈 第四
入夜中軍擧號砲三聲大吹打閉營門擧號砲吹哱囉各兵立 擧號砲吹天鵝聲吶喊共三次擧號砲落旗各營一體落旗【如欲 演炬擧號砲點鼓吹長聲單擺開子壁兵移就外壘單列外壘 兵又移就前面若干步單列中軍擧號砲燃炬各營一體燃炬 鳴金僕炬一體僕炬共三次擧號砲吹天鵝聲不絶吶喊不斷擧火不停鳴金乃止】擧起火一枝中軍燃 燈各營一體燃燈【或演炬畢卽摔鈸鳴收退原地燃燈】
發放夜巡 第五 中軍擧號砲吹角擂鼓鳴金畢發放云官軍聽著應夜巡謹愼 應吳了事軍法不饒應起去應聲要高要齊要長念十箇字爲 准擧號砲鳴鑼坐息每司輪撥兵一旗哨官一員巡本夜每旗 撥兵二人燃火于營外【如欲出奇掌號笛官旗俱赴中軍聽發放改旌旗爲燈火卽將本夜應作擧動 逐一分付叩頭下地方等項俱照晝操行】
起更傳箭 第六
擂鼓三通擧定更砲一聲喇叭吹天鵝聲每一擊鼓各營刁斗 相映一遍傳更箭不拘何處起凡箭過不許出聲只于守更人 身上敲一下合營內輪將官一員總巡每營輪把總一員巡本 營每司每哨每旗亦輪哨官旗隊總巡本司本哨本旗
遇警 第七
遇賊或塘報先至或伏路先知擧砲擧起火中軍擧號砲一聲 吹哱囉起立賊至五十步擧號砲吹天鵝聲銃手分五次輪放 賊至三十步擧起火一枝鈀弓手放射亦用更番賊至營下各 兵拋石不許離拒馬內賊退鳴金大吹打鳴金止
明營暗徒 第八
中軍擧號砲一聲將雙燈連旗點各營燈火通點中軍傳令箭 二枝各營卽將燈火蓋藏原處中軍傳小短箭一枝留的當好 漢每燈一名守燈卽挨哨密行必分兩路行前有預差官軍在 彼問他暗號對著卽聽他調度兩路分開迎合搶營必須密密 相連不許開口叫呼只許一人暗行扯改挨移營畢的當好漢 將燈明開傳擊梆鼓遇有賊至好漢一時藏燈高聲爲號遠設 奇伏等兵卽從後大叫暗營亦擧號砲吹天鵝聲一齊吶喊各 兵得乘機便賊敗摔鈸鳴收入照前守更
收營 第九
五更發擂畢擧號砲落號燈各營燈火俱滅天色微明放砲升 旗掌號一通伏路塘報收回吹哱囉各兵立摔鈸鳴各兵收拒 馬營幕四方表旗俱回中軍擧開營砲吹天鵝聲吶喊共三次 點鼓開營行【或變爲二層各回信地聽變陣號令】
分練 程式【附】
調一隊前來 第一
自掌號入場至稟升旗俱照合操例行中軍稟請分練擧號砲 立紅方旗磨動主將認旗前司把總赴臺前分付調第一隊前 來應聲退立點前哨方色相同之旗前哨官點認旗以應之一 旗總又點槍旗一隊長又點槍旗將鴛鴦陣赴臺前向前立定 鳴鑼坐息
分爲兩儀陣 第二
擧號砲吹單哱囉各起身執器械擧號砲吹擺隊伍喇叭立藍 白大旗二面分爲兩儀陣鳴金僕旗喇叭止擧號砲點鼓前行 擂鼓吹天鵝聲吶喊飛跑鳴金鼓止共三次摔鈸鳴收整隊伍 立定擧號砲鳴金三聲卽器械向前身首向後退回連鳴金二 聲作虎聲回身立定三退至原調來所立信地鳴鑼坐息
變爲三才陣 第三
擧號砲吹單哱囉各起身擧號砲吹擺隊伍喇叭立藍紅白大 旗三面變爲三才陣鳴金僕旗喇叭止操令如前操畢鳴鑼坐 息
合爲鴛鴦陣 第四
擧號砲吹單哱囉各起身擧號砲摔鈸鳴立黃旗一面合爲鴛 鴦陣鳴金僕旗鈸止擧起火鈀弓手出前與隊長平列吹天鵝 聲放火箭射矢摔鈸鳴俱回原隊點鼓前行操法如前操畢擧 號砲吹轉身喇叭卽將兩伍俱向內轉身立定打得勝鼓回在 本旗總後空地立定鳴鑼坐息
挨隊練 第五
旗總又點槍旗第二隊照前習戰畢回在本旗總後空地坐息 旗總又點槍旗第三隊照前習戰畢又回在本旗總後空地坐 息一旗完又聽二旗三旗各輪照一旗之法操畢俱回空地坐 息
合一哨練 第六
三旗俱完擧號砲卽今把總點本哨方色相同之旗哨官應之 將操過三旗官兵前來向前齊列每旗爲一聚留空三丈擧號 砲吹擺隊伍喇叭每隊橫去一丈鳴鑼坐息擧號砲吹哱囉起 立操法俱同一隊例操畢又吹單擺開立藍白大旗二面每隊 分爲兩儀陣操令同前操畢鳴鑼坐息擧號砲吹哱囉起立擧 號砲又吹單擺開立藍紅白大旗三面每隊變爲三才陣操令 同前操畢摔鈸鳴仍收鴛鴦隊打得勝鼓回在信地鳴鑼坐息
練鳥銃哨 第七 照前操第二第三四哨俱從一隊起四哨俱完把總點鳥銃哨 方色相同之旗哨官應之一旗總又點槍旗一隊長又點槍旗 將鴛鴦陣赴臺前向前立定擧號砲吹擺隊伍喇叭各兵一字 單列鳴鑼坐息擧號砲吹哱囉起立擧號砲吹天鵝聲齊放一 次卽收隊伍又分五次明白決示擧號砲吹天鵝聲每次二名 輪放擧畢卽收隊伍打得勝鼓回在本旗總後空地立定鳴鑼 坐息挨隊練同殺手例
合一司練 第八
五哨俱完擧號砲點紅方旗把總應之卽聽點鼓先前哨次左 哨次中哨次右哨次後哨挨哨前來到臺下鳴鑼坐息擧號砲 吹哱囉起立吹轉身喇叭點鼓吹擺隊伍喇叭一字擺列前右 二哨爲前層左後二哨爲後層餘俱照合操例行再不用兩儀 三才等陣只是將鴛鴦陣交鋒畢打得勝鼓各回信地立定鳴 鑼坐息如此操各司俱完照合操例散操
城操 程式
立中軍 第一
先於本城高處可以四面瞭視之地立三丈桅杆一根無高處 從便再高尤妙上用大繩一條十二幅大白旗一面下立樓舖 或房屋一所預備燈籠油燭大鐘大砲碗口砲及隨銃應該物 件俱掌印官下親隨管收又派守法親兵分方暸城外火砲撥 吹鼓手一副專執號令不許差扯
派守 第二 闔城竝近城及入城避患者不拘大小士夫軍民人等計城垜 若干先除策應駐隊外每垜可分幾人每五垜定垜長一人二 十五垜立城長一人五十垜立雉總一人以小官當之每城一 面立城將一人以城內見任官當之每正舖內火夫五名以小 官一員專管鑼鼓炭火每近門通衢或要口選所住相近有名 好漢若干名當之每處立頭目以領之倘聞城上有聚攻賊登 城卽應援城內有奸細卽防禦每門樓角上軍士或民兵若干 名分與信地專備賊聚衆來時攻打應援預選城內好漢在官 軍民極驍勇者若干名厚其工食責令下城在牛馬牆內防禦
出示 第三
每年操一次預十日出示聽各設備停妥
到中軍 第四
至期必天氣晴明城主于中軍高處放大砲三聲鳴金大吹打 畢擂鼓鳴鑼車起大白旗在城見任文武大小官俱戎裝錦繡 到中軍參見畢分班列坐于左右
發伏路 第五
坐定放大砲三聲鳴金邊發伏路兵每面十名俱赴中軍領三 眼銃起火等器出城分伏于四面要害每伏一名相去一里
登城 第六
侯伏路者徑到城下報賊在二十里外撞鐘如該方數掌號三 擂鼓三各派定守城官兵人等盡數執器上城放大砲三聲鳴 金大吹打閉城門放大砲一聲吹天鵝聲喇叭吶喊共三次鳴 鑼各兵休息坐立從便務要肅靜不許亂走喧嘩
一面操 第七
伏路人于城外本面放砲放起火中軍稟賊攻東面已到百步 內本面不待中軍號令自擧砲佛狼機鳥銃齊打又報賊至五 十步內弓矢齊發中軍擧砲如該方數卽擂鼓鳴鑼廠夫盡出 向垜口以備攻打報賊到牛馬牆外城上打石
牛馬牆准備 第八
一面牛馬牆內兵准備城上垜夫看見牆外有敵與幾垜相對 該垜火夫只高聲喝云來了牆內遊兵就于銃眼向外暸賊勢 小著准打銃勢大對處放大將軍連說兩聲來了是已到牛馬 牆下預備利槍由孔中看定戳去必能掛住賊腹不中則備上 牆擊打若賊轉過數步再叫罷了別垜相對又叫來了照前准 備
該面遊兵應援 第九
本面城將擧砲擂鼓是賊聚衆登城中軍放大砲擂鼓點該方 色大旗該面遊兵飛趨應援報賊已敗退該面徑行令止砲又 報賊已遠遁回巢中軍鳴金鑼鼓俱止鳴金大吹打遊兵各回 信地一面操完又操一面
四面齊操 第十
四面操完報操畢中軍鳴鑼各在城面休息倏城外伏路人四 面砲火齊擧是賊四面來攻中軍流水撞鐘照前禦畢
下城 第十一 中軍放大砲三聲鳴金大吹打鳴鑼每五垜留一人看暸餘俱 下城休息
夜操 第十二
侯夜中軍稟起操掌一號各兵上城掌二號各官到齊掌三號 城主到中軍放大砲三聲車起雙燈沿城垜長火夫各懸燈如 式城內人家門上各懸燈一盞俱關鎖大門以本家一人坐守 【如欲演炬先放大砲三聲中軍燃炬各垜一體燃炬 中軍吹天鵝聲擧炬各垜擧炬吶喊共三次畢懸燈】發擂撞鐘 畢傳更中軍打更鼓一次梆鳴各垜一體傳梆一更盡放砲吹 長聲喇叭轉更約二更之時城外伏路照砲火報警俱如白晝 例操畢守過夜各照令下城
水操 程式
懸操牌 第一
先一日寨將懸操牌該操各司挨䑸傳知各收拾聽候
發哨船 第二
次日平明看天色晴霽風浪不作掌一號做飯食收拾棚索等 具一面鳴金邊發哨船遠去做四面探賊狀
列營 第三
掌二號各司照尖字札列船在洋聽候
升船廳 第四
掌三號主將乘座船入洋擧號砲吹天鵝聲喇叭各船齊聲吶 喊共三次主將升船廳中軍稟放升帳砲卽放砲三聲鳴金大 吹打伴倘先喝牢子站齊牢子大喝三聲畢牢子一人進跪大 呼開門卽開船門鳴金吹打止先分總哨官捕盜乘脚船聽候 于座船下牢子報官哨進各上座船分班參見【分總兩跪一揖哨官捕盜兩跪 兩揖】畢回還各船
招官旗 第五
中軍稟掌號笛聚官旗聽發放命起應退卽吹號笛各分總把 哨捕舵碇繚隊長人等俱用脚船湊至座船下布告官分付官 旗過來將脚船挨次列在座船兩邊捕盜以上俱上座船列定 【或跪在小船不必入座船】舵工以下至隊長各三板小船上跪
官哨發放 第六
布告官發放曰官旗聽著應耳聽金鼓應眼視旌旗應駕船如 馬應見賊爭先應同舟共命應船各爲戰應縱逃賊舟軍法不 貸應發放畢官哨挨次報叩頭命起應退
舵繚碇隊長發放 第七
次舵工聽著應一舟之功全賴爾輩應將舵斜開不能直射賊 舟者斬首示衆應報舵工叩頭分付舵工起去次繚手聽著應 見賊減帆使風用奸應縱逃賊舟斬首示衆應報繚手叩頭分 付繚手起去次碇手聽著應聞報賊至起碇不速應事到緊急 不肯棄碇應以致悟事軍法不貸應報碇手叩頭分付碇手起 去次隊長聽著應各兵分有兼藝應遠近務要中機應爾等專 司督催應不許先自錯亂應遠近違令畏避躱奸爾與同罪應 報隊長叩頭分付隊長起去
官旗下地方 第八 中軍稟官旗下地方命起應退布告官分付官旗下地方鳴金 大吹打各官捕隊俱散回各船鳴金吹打止
一體發放 第九
各司哨招捕盜發放各捕盜招隊長發放畢一面起碇揚帆
升旗起操 第十
中軍稟賊船已見在洋行使放銃升行旗起操卽擧號砲一聲 擂鼓升行旗中軍稟放肅靜砲卽放砲三聲各兵卽肅靜聽候 中軍點旗各把哨捕隊挨次點旗擧號砲點鼓各船尖字札者 一齊向前
看賊船先用火器 第十一
遠哨船放砲報警中軍船鳴金鼓止擧號砲點鼓吹擺隊伍喇 叭各司各船一字擺列中中司各船且列在各司之後看粧塘 賊船【哨船揬賊後卽粧作賊船】約在二百步之內擧號砲吹天鵝聲喇叭先 將狼機鳥銃【俱不用鉛子】火箭【另做小起火代用】分班打射
次用軍火器 第十二
再近三十步以內擧號砲吹天鵝聲鳴鑼擊鼓放噴筒【只放空筒】鏢 槍【用乾木枝】兼毒弩與銃矢齊發【弓張空勢銃無鉛子】
對船攻打 第十三
再近船邊船上用火桶【空木桶】噴筒火箭瓦罐大小石子及擲滑 濕之物上斗上船尾者用犁頭鏢【細竹木以紙綿纆頂】擲賊舟
力戰碎舟 第十四
以我大船正其篷舵向賊小船作犁沈勢粧塘船亦用大船二 隻作搖櫓遲狀小船槳櫓甚利用四五船作圍擊狀以一隻逼 我大船邊兩船做力戰狀斗上船尾俱擲鏢放神飛砲洞碎賊 舟【常操不用】另爲浮板載六合銃別用脚船以繩牽引必近賊舟對 身燃發【板碎銃沈不復顧矣】
整䑸回船 第十五
賊敗中軍船摔鈸鳴各司依次收䑸如前尖字札後司在前前 司在後左哨在右右哨在左照陸操轉陣例回船列定擧號砲 吹天鵝聲吶喊共三次鳴金大吹打各司開船行使首尾相接 鴈行而行
下方營 第十六
行到列營原處鳴金吹打止擧號砲點鼓吹擺隊伍喇叭各司 將各船分開搶成方營營定擧號砲吹轉身喇叭各回船向前 擧號砲傳鑼各船俱下碇安揷【如一寨三司前司在前左右二哨自前門平分中司在中左右 二哨接前司二哨之尾後司在後左右二哨接中司二哨之尾聯船爲方營】
發樵汲 第十七
中軍船擂鼓立黃旗各船發樵汲兵赴中軍船領籌票上岸買 辦柴米等具
查功罪 第十八
中軍稟聚官旗查功罪命起應退卽吹號笛官旗用脚船挨次 赴座船下列定就將戰陣行過得失此後應作軍令逐一發放 又將合格達令者對衆發落畢如前下地方
收樵汲 第十九 中軍船擧號砲掌喇叭收樵汲兵擧號砲鳴金邊發哨船于四 遠各給三眼銃起火等具
落旗懸燈 第二十
日落時中軍船上鳴金大吹打鳴金吹打止擧號砲三聲仍鳴 鑼擂鼓落旗各船一體落旗夜昏中軍發擂三通畢擧起火三 枝懸燈于桅上各船一體懸燈于桅上【桅上懸燈專辨司中軍五盞把總四盞俱上 下列前右哨一盞左後哨二盞俱平列中哨三盞上下列 船上燈無賊則只懸二盞有賊則盡懸所有于船四面】
發放夜暸 第二十一
中軍船擧號砲三聲吹角擂鼓鳴金畢布告官分付官軍聽著 應夜瞭謹慎應誤了事軍法不饒應發放畢擧號砲吹天鵝聲 各船齊擊鐵木便物一次每更用兵二名一名船頭遠視一名 船尾高瞭【如欲出奇掌號笛招官旗發放照晝操夜營例行】
遇船過 第二十二
預遣小船于上流臨時順流而下各船卽便鳴鑼擊鼓中軍船 擧號砲吹天鵝聲各船齊聲大喊以壯軍威
遇黑塊 第二十三
預將柴草作塊繫于上流臨時放下所遇船上兵夫以石擊之 一面大叫若止草塊則已若是賊來卽鳴鑼打銃各船一體防 備
遇賊船 第二十四
某面哨船放砲擧起火中軍船擧號砲吹天鵝聲吶喊三次以 應之看粧塘賊船約在二十步以下俱照晝操例行賊敗鳴金 大吹打鳴金吹打止如前守更
散操歸港 第二十五
天色微明中軍船上發擂三通鳴金大吹打鳴金吹打止擧號 砲三聲鳴鑼擂鼓落燈各船一體落燈擧開營砲三聲吶喊三 次一面起碇揚帆擧號砲點鼓吹招䑸喇叭各船依序隨䑸入 港安泊
丁未新刊 壯營藏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