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태조대왕
  2. 차대왕


태조대왕기(太祖大王紀)

태조대왕(太祖大王)<혹은 국조왕(國祖王)이라고도 하였다.>의 이름은 궁(宮)이다. 어렸을 때의 이름은 어수(於漱)이며, 유리왕의 아들 고추가(古鄒加) 재사(再思)의 아들이다. 어머니 태후(太后)는 부여 사람이다. 모본왕이 죽었을 때 태자가 불초하여 사직을 주관하기에 부족하였으므로, 나라 사람들이 을 맞이하여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게 하였다. 왕은 나면서부터 눈을 떠서 볼 수 있었고 어려서도 남보다 뛰어났다. 즉위할 때 나이가 7살이었으므로 태후가 수렴청정(垂簾聽政)하였다.

3년(서기 55) 봄 2월에 요서(遼西)에 10성을 쌓아 한나라 군사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가을 8월에 나라의 남쪽에서 메뚜기떼(蝗)가 곡식을 해쳤다. 4년(서기 56) 가을 7월에 동옥저(東沃沮)를 정벌하고 그 땅을 빼앗아 성읍으로 삼았다. 영토를 개척하여 동쪽으로 창해(滄海)까지 이르렀고 남쪽으로 살수까지 이르렀다. 7년(서기 59) 여름 4월에 왕은 고안연(孤岸淵)에 가서 물고기를 구경하다가 붉은 날개가 달린 흰 물고기를 낚아 잡았다. 가을 7월에 서울(=국내성)에 큰 물이 나서 백성들의 집이 떠내려가고 물에 잠겼다. 10년(서기 62) 가을 8월에 동쪽으로 사냥 나가 흰 사슴을 잡았다. 나라의 남쪽에 누리가 날아 곡식을 해쳤다.

16년(서기 68) 가을 8월에 갈사국왕의 손자 도두(都頭)가 나라를 들어 항복하여 왔다. 도두를 우태(于台)로 삼았다. 겨울 10월에 천둥이 쳤다. 20년(서기 72) 봄 2월에 관나부(貫那部) 패자(沛者) 달가(達賈)를 보내 조나(藻那)를 정벌하고, 그 왕을 사로잡았다. 여름 4월에 서울에 가뭄이 들었다.

22년(서기 74) 겨울 10월에 왕은 환나부(桓那部) 패자 설유(薛儒)를 보내 주나(朱那)를 정벌하고, 그 왕자 을음(乙音)을 사로잡아 고추가로 삼았다.

25년((서기 77년)) 겨울 10월에 부여 사신이 와서 뿔이 셋 달린 사슴과 꼬리가 긴 토끼를 바쳤다. 왕은 상서로운 물건으로 여기고 대사(大赦)하였다. 11월에 서울에 눈이 석 자나 내렸다.

46년(서기 98) 봄 3월에 왕은 동쪽으로 책성(柵城)을 돌아보았는데, 책성의 서쪽 계산(罽山)에 이르러 흰 사슴을 잡았다. 책성에 이르자 여러 신하와 더불어 잔치를 베풀어 마시고, 책성을 지키는 관리들에게 차등을 두어 물건을 내렸다. 마침내 바위에 공적을 새기고 돌아왔다. 겨울 10월에 왕은 책성으로부터 돌아왔다. 50년(102) 가을 8월에 사신을 보내 책성 백성을 안심시키고 위로하였다.

53년(105) 봄 정월에 부여의 사신이 와서 호랑이를 바쳤는데, 길이가 한 길 두 자나 되었고 털 색깔이 매우 밝았으나 꼬리가 없었다. 왕은 장수를 보내 한나라의 요동에 들어가 여섯 현을 약탈하였다. 요동태수 경기(耿夔)가 군사를 내어 막으니, 우리 군사가 크게 패하였다. 가을 9월에 경기가 맥인(貊人)을 격파하였다. 55년(107) 가을 9월에 왕은 질산(質山) 남쪽에서 사냥하여 자주색 노루를 잡았다. 겨울 10월에 동해곡(東海谷)의 관리가 붉은 표범을 바쳤는데 꼬리의 길이가 아홉 자나 되었다.

56년(108) 

봄에 크게 가물었고, 여름이 되자 땅이 벌거숭이가 되어 백성들이 굶주렸다. 왕은 사신을 보내 진휼하였다. 57년(109) 봄 정월에 사신을 한나라에 보내 안제(安帝)가 원복(元服)을 입은 것을 축하하였다. 원복(元服)-성년이 되어 성인의 의관을 착용하는 의식. 59년(111) 사신을 한나라에 보내 토산물을 바치고 현도(玄菟)에 복속하기를 구하였다. <통감(通鑑)에 이르기를 『이해 3월에 고구려 왕이 예맥과 함께 현도를 쳤다.』고 하였으므로, 혹 속하기를 구하였는지 또는 침략했는지 알 수 없다. 하나는 잘못일 것이다.>-김부식 注

62년(114) 봄 3월에 일식(日食)이 있었다. 가을 8월에 왕은 남해를 순수하였다. 겨울 10월에 남해로부터 돌아왔다. 64년(116) 봄 3월에 일식이 있었다. 겨울 12월에 눈이 다섯 자나 내렸다. 66년(118) 봄 2월에 지진이 일어났다. 여름 6월에 왕은 예맥과 함께 한나라의 현도를 치고 화려성(華麗城)을 공격하였다. 가을 7월에 누리와 우박이 곡식을 해쳤다. 8월에 담당 관청에 명하여 어질고 착한 사람과 효성이 있어 부모에게 순종하는 사람을 천거하게 하고, 홀아비, 과부, 고아, 자식없는 자 및 늙어서 스스로 살 수 없는 자들을 위문하고 옷과 먹을 것을 주었다. 69년(121) 봄에 한나라의 유주자사(幽州刺史) 풍환(馮煥), 현도태수 요광(姚光), 요동태수 채풍(蔡諷) 등이 군사를 거느리고 침략해 와서 예맥의 우두머리를 쳐서 죽이고 병마와 재물을 모두 빼앗아 갔다. 왕은 이에 아우 수성(遂成)을 보내 군사 2천여 명을 거느리고 풍환, 요광 등을 역습하게 하였다. 수성은 사신을 보내 거짓 항복하였는데 풍환 등이 이것을 믿었다. 수성은 그에 따라 험한 곳에 자리잡고 대군을 막으면서, 몰래 3천 명을 보내, 현도·요동 두 군을 공격하여 성곽을 불사르고 2천여 명을 죽이거나 사로잡았다. 여름 4월에 왕은 선비(鮮卑) 8천 명과 함께 가서 요수현(遼隊縣)을 쳤다. 요동태수 채풍이 군사를 거느리고 신창(新昌)으로 나와 싸우다가 죽었다. 공조연(功曹掾) 용단(龍端), 병마연(兵馬掾) 공손포(公孫酺)가 몸으로 채풍을 보호하여 막았으나 모두 진영에서 죽었으며, 이때 죽은 자가 100여 명이었다. 겨울 10월에 왕은 부여로 행차하여 태후묘(廟)에 제사지내고, 백성으로 곤궁한 자들을 위문하고 물건을 차등있게 내려 주었다. 숙신(肅愼) 사신이 와서 자주색 여우가죽 옷과 흰 매, 흰 말을 바쳤다. 왕은 잔치를 베풀어 위로하고 돌려 보냈다. 11월에 왕은 부여로부터 돌아왔다. 왕은 수성이 군무와 정사를 통괄하게 하였다. 12월에 왕은 마한(馬韓), 예맥의 1만여 기병을 거느리고 나아가 현도성을 포위하였다. 부여왕이 아들 위구태(尉仇台)를 보내 군사 2만 명을 거느리고 와서, 한나라 군사와 힘을 합쳐 싸웠으므로 우리 군대가 크게 패하였다. 70년(122) 왕은 마한, 예맥과 함께 요동을 쳤다. 부여왕이 군사를 보내 요동을 구하고 우리를 깨뜨렸다. <마한은 백제 온조왕 27년(서기 9)에 멸망하였다. 지금 고구려 왕과 함께 군사를 보낸 것은 아마 멸망한 후 다시 흥한 것인가?>-김부식 注

71년(123) 겨울 10월에 패자 목도루(穆度婁)'를 좌보로 삼고, 고복장(高福章)을 우보로 삼아, 수성과 함께 정사에 참여하게 하였다. 72년(124) 가을 9월 그믐 경신에 일식이 있었다. 겨울 10월에 사신을 한나라에 보내 조공하였다. 11월에 서울에 지진이 일어났다. 80년(132) 가을 7월에 수성왜산(倭山)에서 사냥하고 주위 사람들과 함께 잔치를 열었다. 이때 관나(貫那) 우태 미유(彌儒)·환나(桓那) 우태 어지류(菸支留)·비류나(沸流那) 조의(皂衣) 양신(陽神) 등이 은밀히 수성에게 말하였다. “이전에 모본왕이 죽었을 때 태자가 불초하여 여러 신하들이 왕자 재사를 세우려 하였으나, 재사가 자신이 늙었다고 하여 아들에게 양보한 것은, 형이 늙으면 아우가 잇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지금 왕이 이미 늙었는데도 양보할 뜻이 없으니 당신은 헤아려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수성은 말하였다. “뒤를 잇는 것은 반드시 맏아들이 하는 것이 천하의 떳떳한 도리이다. 왕이 지금 비록 늙었으나 적자가 있으니 어찌 감히 엿보겠느냐?” 미유가 말하였다. “아우가 어질면 형의 뒤를 잇는 것이 옛적에도 있었으니 당신은 의심하지 마십시오.”

이로써 좌보 패자 목도루수성이 다른 마음이 있는 것을 알고, 병을 칭하여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 

86년(138) 봄 3월에 수성질양(質陽)에서 사냥하면서 7일 동안 돌아오지 않았는데, 놀고 즐기는데 헤아림이 없었다. 가을 7월에 또 기구(箕丘)에서 사냥하고 5일 만에 돌아왔다. 그 아우 백고(伯固)가 간하였다. “화복(禍福)에는 문이 없습니다. 다만 사람이 부르는 것입니다. 지금 당신은 왕의 아우의 몸으로 모든 벼슬아치의 으뜸이 되어, 지위가 이미 지극하며 공로도 역시 큽니다. 마땅히 충의로써 마음을 지키고, 예절로써 사양하며 자신의 욕심을 이기고, 위로는 왕덕에 부응하고 아래로는 민심을 얻어야 합니다. 그런 연후에야 부귀가 몸에서 떠나지 않고 재난이 생기지 않습니다. 지금 그렇게 하지 않고 즐거움을 탐하여 근심거리를 잊고 있으니, 나는 은밀히 당신을 위하여 위험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수성은 대답하였다. “무릇 사람의 심정으로 누가 부귀하고도 환락하려고 하지 않겠느냐? 그러나 그것을 얻는 자는 만에 하나도 없다. 지금 내가 즐길 수 있는 형편에 있는데 뜻대로 할 수 없다면 장차 어디에 쓰겠느냐?” 수성은 마침내 듣지 않았다. 90년(142) 가을 9월에 환도(丸都)에 지진이 일어났다. 왕이 밤에 꿈을 꾸는데 한 표범이 호랑이 꼬리를 깨물어 잘랐다. 깨어서 그 길흉 여부를 물으니 어떤 사람이 말하였다. “호랑이는 백수의 으뜸이고, 표범은 같은 종류의 작은 것입니다. 그 뜻은 왕족으로서 대왕의 후손을 끊으려고 음모하는 자가 있는 것 같습니다.” 왕은 불쾌하여 우보 고복장에게 말하였다. “내가 어젯밤 꿈에 본 것이 있었는데, 점치는 사람의 말이 이와 같으니 어찌하면 좋겠는가?” 고복장이 답하였다. “착하지 않은 일을 하면 길(吉)이 변하여 흉(凶)이 되고, 착한 일을 하면 재앙이 거꾸로 복이 됩니다. 지금 대왕께서 나라를 집처럼 근심하고, 백성을 아들처럼 사랑하시니, 비록 작은 이변이 있더라도 무슨 걱정이 있겠습니까?”

94년(146) 가을 7월에 수성왜산 밑에서 사냥하면서 주위 사람들에게 말하였다. “대왕이 늙도록 죽지 않고 내 나이도 장차 저물어 가니 기다릴 수 없다. 주위에서 나를 위하여 꾀를 내어라.” 주위사람들은 모두 “삼가 명을 좇겠습니다.”고 하였다. 이때 한 사람이 홀로 나아와 말하였다. “저번에 왕자께서 상서롭지 못한 말씀을 하실 때, 주위 사람들이 직간하지 못하고 모두 ‘삼가 좇겠습니다.’고 말하니 간사하고 아첨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직언을 하려고 하는데 높으신 뜻이 어떠한지 알 수 없습니다.” 수성은 말하기를 “그대가 직언을 할 수 있다면 약석(藥石)이 되는 것이니 어찌 의심을 하겠느냐?”라고 하였다. 그 사람이 대답하였다. “지금 대왕께서 어질어서 서울과 지방에 다른 마음을 가진 사람이 없습니다. 당신은 비록 공이 있으나 무리 중에 간사하고 아첨하는 사람들을 거느리고 어진 임금을 폐하려 모의한다면, 이것은 한 가닥 실로 만균(萬鈞)의 무게를 매어서 거꾸로 끌려고 하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비록 매우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그것이 불가함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왕자께서 의도와 생각을 바꾸어 효성과 순종으로 임금을 섬기면, 대왕께서 왕자의 착함을 깊이 알고 반드시 선양할 마음이 있을 것이며, 그렇지 않으면 장차 화가 미칠 것입니다.” 수성은 기뻐하지 않았다. 주위 사람들이 그 곧음을 질투하여 수성에게 참언하였다. “왕자께서는 대왕이 늙었기 때문에 임금의 지위가 위태로워질까 염려하여, 뒤를 이을 것을 도모하려고 하는데, 이 사람이 이와 같이 망언하니 저희들은 비밀이 누설되어 화가 미칠까 염려됩니다. 마땅히 죽여 입을 막아야 합니다.” 수성은 그 말을 좇았다. 가을 8월에 왕은 장수를 보내 한나라 요동서안평현(西安平縣)을 쳐서, 대방령(帶方令)을 죽이고 낙랑태수의 처자를 사로잡았다. 겨울 10월에 우보 고복장이 왕에게 말하기를 “수성이 장차 반란을 일으킬 터이니 청컨대 먼저 죽이십시오.”하니, 왕은 말하였다. “나는 이미 늙었다. 수성이 나라에 공이 있으므로 나는 장차 왕위를 물려주려고 하니 그대는 번거롭게 걱정하지 말라.” 고복장이 말하였다. “수성의 사람됨이 잔인하고 어질지 못해, 오늘 대왕의 선양을 받으면 내일 대왕의 자손을 해칠 것입니다. 대왕께서는 다만 어질지 못한 아우에게 은혜를 베풀 것은 알고, 무고한 자손에게 화가 미칠 것은 알지 못하십니다. 원컨대 대왕께서는 깊이 헤아리십시오.” 12월에 왕은 수성에게 말하였다. “나는 이미 늙어 모든 정사(政事)에 싫증이 났다. 하늘의 운수는 너의 몸에 있다. 더욱이 너는 안으로 국정에 참여하고, 밖으로 군사(軍事)를 총괄하여 사직을 오래 보존한 공이 있고, 신하와 백성들의 소망을 채워 주었다. 내가 맡기는 이유는 사람을 얻었다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니, 너는 왕위에 올라 영원히 신의를 얻어 경사를 누려라.” 그리고 왕은 왕위를 물려주고 별궁으로 물러나, 태조대왕이라고 칭하였다.

<후한서에 이렇게 쓰여 있다. 『안제(安帝) 건광(建光) 원년(121)에 고구려 왕 이 죽어 아들인 수성이 왕위에 올랐다. 현도태수 요광이 아뢰기를 ‘그들이 상(喪) 당한 것을 타서 군사를 내어 공격하려고 합니다.’고 하니, 의논하던 자들이 모두 허락할 만하다고 여겼다. 상서(尙書) 진충(陳忠)이 말하였다. ‘이 전날에 교활하게 굴 때에는 요광이 토벌하지 못하다가 죽은 다음에 공격하는 것은 의가 아닙니다. 마땅히 사람을 보내 조문하고 이전의 죄를 책망하되 용서하여 죽이지 말고 뒤에 잘되는 쪽을 택하여야 할 것입니다.’ 안제가 그 말을 따랐다. 다음 해에 수성은 한나라의 산 포로를 돌려보냈다.』 해동고기(海東古記)를 살펴보면 이렇게 쓰여 있다. 『고구려 국조왕(國祖王) 고궁(高宮)은 후한 건무(建武) 29년(서기 53) 계사(癸巳)에 즉위하였는데, 이때 나이가 일곱 살이어서 국모(國母)가 섭정하였다. 효환제(孝桓帝) 본초(本初) 원년 병술(丙戌)(146)에 이르러 친동생 수성에게 왕위를 양보하였다. 이때 궁의 나이가 100살이었으며 왕위에 있은 지 94년째였다.』 그러므로 건광 원년은 궁이 재위한 지 69년째 되는 해이다. 그러므로 후한서에 적힌 것과 고기(古記)는 달라 서로 합치되지 않는다. 후한서의 틀린 것이 어찌 이와 같은가?>-김부식 注

차대왕기(次大王紀)

차대왕(次大王)의 이름은 수성이고 태조대왕의 친동생이다. 용감하고 굳세며 위엄이 있었으나 인자함이 적었다. 태조대왕의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그 때 나이가 76세였다.

2년(147) 봄 2월에 관나 패자 미유를 좌보로 삼았다. 3월에 우보 고복장을 죽였다. 복장이 죽음에 임하여 탄식하며 말하였다. “원통합니다. 내가 그 때 선왕의 가까운 신하로서 반란을 일으키려는 역적[賊亂之人]을 보고도 어떻게 묵묵히 말하지 않을 수 있었겠습니까? 한스럽게도 선왕께서 나의 말을 따르지 않아 여기에 이르렀습니다. 당신은 이제 막 왕위에 올랐으니 마땅히 정치와 교화를 새롭게 하여 백성에게 보여야 할 터인데, 옳지 않은 것으로써 한 사람의 충신을 죽이는 것입니다. 나는 도(道)가 없는 때에 사느니 차라리 빨리 죽는 것이 낫겠습니다.” 그리고는 처형당하니 원근 사람들이 듣고 모두 분하고 애석해 하였다. 가을 7월에 좌보 목도루가 병을 칭하고 은퇴하였으므로, 환나 우태 어지류를 좌보로 임명하고 작위를 더하여 대주부(大主簿)로 삼았다. 겨울 10월에 비류나 양신(陽神)을 중외대부(中畏大夫)로 임명하고 작위를 더하여 우태로 삼았다. 모두 왕의 오랜 친구들이다. 11월에 지진이 일어났다. 3년(148) 여름 4월에 왕은 사람을 시켜 태조대왕의 맏아들 막근(莫勤)을 죽였다. 그 아우 막덕(莫德)은 화가 연이어 미칠까 두려워 스스로 목을 메었다. 사론(史論): 옛날 송(宋)나라의 선공(宣公)은 그 아들 여이(與夷)를 세우지 않고 동생 목공(繆公)을 세웠으니, 작은 것을 참지 못하여 큰 뜻을 어지럽게 하여 여러 대의 환난을 가져왔다. 그래서 춘추(春秋)에서는 『대거정(大居正)』이라고 하였다. 지금 태조왕이 의(義)를 알지 못하고 왕위를 가벼이 여겨 어질지 못한 동생에게 줌으로써, 화(禍)가 한 충신과 두 사랑하는 아들에게 미치게 하였으니 한탄하지 않을 수 없다. 가을 7월에 왕은 평유원(平儒原)에서 사냥하는데 흰 여우가 따라오며 울어서 왕이 [활을] 쏘았으나 맞지 않았다. 무당에게 물으니 [무당이] 대답하였다. “여우라는 것은 요사스런 짐승이어서 상서로운 조짐이 아닙니다. 하물며 그 색이 희니 더욱 괴이한 것입니다. 그러나 하늘이 말을 간곡하게 할 수 없으므로 요괴로 보여 준 것은, 임금께서 두려워하며 수양하고 살펴서 스스로 새로워지게 하려는 것입니다. 임금께서 만약 덕을 닦으면 화를 바꾸어 복을 만들 수 있습니다.” 왕은 말하였다. “흉이면 흉이라 하고, 길이면 길이라 할 것이지, 네가 이미 요사스럽다고 하였다가 또 복이 된다고 하니 무슨 거짓말이냐?” 마침내 그를 죽였다.-김부식 注 4년(149) 여름 4월 그믐 정묘에 일식이 있었다. 5월에 다섯 별이 동쪽에 모였다. 일자(日者)가 왕의 노여움을 두려워하여 속여서 “이것은 임금의 덕이요 나라의 복입니다.”고 고하였다. 왕은 기뻐하였다. 겨울 12월에 얼음이 얼지 않았다. 8년(153) 여름 6월에 서리가 내렸다. 겨울 12월에 천둥이 치고 지진이 일어났다. 그믐에 객성(客星)이 달을 범하였다.

13년(158) 봄 2월에 살별[星孛]이 북두에 나타났다. 여름 5월 그믐 갑술에 일식이 있었다. 20년(165) 봄 정월 그믐에 일식이 있었다. 3월에 태조대왕이 별궁에서 죽었다. 나이가 119세였다. 겨울 10월에 연나(椽那) 조의(皂衣) 명림답부(明臨荅夫)가 백성들이 견디지 못하므로 왕을 죽였다. 왕호를 차대왕이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