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록담/꾀꼬리와 국화

물오른 봄버들 가지를 꺾어 들고 들어가도 문안 사람들은 부러워하는데 나는 서울서 꾀꼬리 소리를 들으며 살게 되었다.

새문 밖 감영 앞에서 전차를 내려 한 십분쯤 걷는 터에 꾀꼬리가 우는 동네가 있다니깐 별로 놀라워하지 않을 뿐외라 치하하는 이도 적다.

바로 이 동네 인사들도 매(每) 간(間)에 시세가 얼마며 한 평에 얼마 오르고 내린 것이 큰 관심거리지 나의 꾀꼬리 이야기에 어울리는 이가 적다.

이삿짐 옮겨다 놓고 한밤 자고난 바로 이튿날 햇살 바른 아침, 자리에서 일기도 전에 기왓골이 옥(玉)인 듯 쨔르르 쨔르르 울리는 신기한 소리에 놀랐다.

꾀꼬리가 바로 앞 나무에서 우는 것이었다.

나는 뛰어나갔다.

적어도 우리집 사람쯤은 부지깽이를 놓고 나오던지 든 채로 황황히 나오던지 해야 꾀꼬리가 바로 앞 나무에서 운 보람이 설 것이겠는데 세상에 사람들이 이렇듯이도 무딜 줄이 있으랴.

저녁때 한가한 틈을 타서 마을 둘레를 거니노라니 꾀꼬리뿐이 아니라 까투리가 풀섶에서 푸드득 날라갔다 했더니 장끼가 산이 찌르렁 하도록 우는 것이다.

산비둘기도 모이를 찾아 마을 어구까지 내려오고, 시어머니 진짓상 나수어다 놓고선 몰래 동산 밤나무 가지에 목을 매어 죽었다는 며느리의 넋이 새가 되었다는 며느리새도 울고 하는 것이었다.

며느리새는 외진 곳에서 숨어서 운다. 밤나무꽃이 눈같이 흴 무렵. 아침 저녁 밥상 받을 때 유심히도 극성스럽게 우는 새다. 실큼하게도 슬픈 울음에 정말 목을 매는 소리로 끝을 맺는다.

며느리새의 내력을 알기는 내가 열 세 살 적이었다.

지금도 그 소리를 들으면 열 세 살 적 외롬과 슬픔과 무섬탐이 다시 일기에 며느리새가 우는 외진 곳에 가다가 발길을 돌이킨다.

나라 세력으로 자란 솔들이라 고스란히 서 있을 수밖에 없으려니와 바람에 솔소리처럼 아늑하고 서럽고 즐겁고 편한 소리는 없다. 오롯이 패잔(敗殘)한 후에 고요히 오는 위안 그러한 것을 느끼기에 족한 솔소리, 솔소리로만 하더라도 문 밖으로 나온 값은 칠 수밖에 없다.

동저고리 바람을 누가 탓할 이도 없으려니와 동저고리 바람에 따르는 훗훗하고 가볍고 자연과 사람에 향하여 아양 떨고 싶기까지 한 야릇한 정서 그러한 것을 나는 비로소 알아내었다.

팔을 걷기도 한다. 그러나 주먹은 잔뜩 쥐고 있어야 할 이유가 하나도 없고, 그 많이도 흉을 잡히는 일을 벌이는 버릇도 동저고리바람엔 조금 벌려 두는 것이 한층 편하고 수월하기도 하다.

무릎을 세우고 안으로 깍지를 끼고 그대로 아무데라도 앉을 수 있다. 그대로 한나절 앉았기로소니 나의 게으른 탓이 될 수 없다. 머리 우에 구름이 절로 피명 지명 하고 골에 약물이 사철 솟아 주지 아니하는가.

뻐끔채꽃, 엉겅퀴송이, 그러한 것이 모두 내게는 끔직한 것이다. 그 밑에 앉고 보면 나의 몸동아리, 마음, 얼, 할 것 없이 호탕하게도 꾸미어 지는 것이다.

사치스럽게 꾸민 방에 들 맛도 없으려니와, 나이 30이 넘어 애인이 없을 사람도 뻐끔채 자주꽃 피는 데면 내가 실컷 살겠다.

바람이 자면 노오란 보리밭이 후끈하고, 송진이 고여 오르고, 뻐꾸기가 서로 불렀다.

아침 이슬을 흩으며 언덕에 오를 때 대수롭지 않이 흔한 달기풀꽃이라도 하나 업수이 여길 수 없는 것을 보았다. 이렇게 적고 푸르고 이쁜 꽃이었던가. 새삼스럽게 놀라웠다.

요렇게 푸를 수가 있는 것일까.

손끝으로 으깨어 보면 아깝게도 곱게 푸른 물이 들지 않던가. 밤에는 반딧불이 불을 켜고 푸른 꽃잎에 오물어 붙는 것이었다.

한번은 닭이풀꽃을 모아 잉크를 만들어가지고 친구들한테 편지를 염서(艶書)같이 써 붙이었다. 무엇보다도 꾀꼬리가 바로 앞 나무에서 운다는 말을 알리었더니 안악(安岳) 친구는 굉장한 치하 편지를 보냈고 장성(長城) 벗은 겸사 겸사 멀리도 집알이를 올라왔었던 것이다.

그날사 말고 새침하고 꾀꼬리가 울지 않았다. 맥주 거품도 꾀꼬리 울음을 기다리는 듯 고요히 이는데 장성(長城) 벗은 웃기만 하였다.

붓대를 희롱하는 사람은 가끔 이러한 섭섭한 노릇을 당한다.

멀리 연기와 진애를 걸러오는 사이렌 소리가 싫지 않게 곱게 와 사라지는 것이었다.

꾀꼬리는 우는 제철이 있다.

이제 계절이 아주 바뀌고 보니 꾀꼬리는 커니와 며느리새도 울지 않고 산비둘기만 극성스러워진다.

꽃도 잎도 이울고 지고 산국화도 마지막 슬어지니 솔소리가 억세어 간다.

꾀꼬리가 우는 철이 다시 오고 보면 장성(長城) 벗을 다시 부르겠거니와 아주 이우러진 이 계절을 무엇으로 기을 것인가.

동저고리바람에 마고자를 포기어 입고 은단추를 달리라.

꽃도 조선 황국(黃菊)은 그것이 꽃 중에는 새 틈에 꾀꼬리와 같은 것이다. 내가 이제로 황국을 보고 취하리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