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음악/서양음악의 기초와 역사/서양음악의 역사/바로크 음악

바로크 음악

편집

Baroque 音樂

원래 바로크란 17, 18세기의 미술양식을 말하는 것이었으나, 일반적으로 1600년경부터 1750년경의 음악에 대해서도 이 명칭으로 부르고 있다.

그러나 바로크 시대를 좀더 세분한다면 다음과 같이 셋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초기 바로크는 1580-1630년, 중기 바로크는 1630-1680년, 후기 바로크는 1680-1750년이다. 바로크 음악의 역사적 배경을 보면 정치적으로는 절대주의 왕정으로부터 계몽주의로의 이행을 볼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는 중상주의(重商主義), 정신사적(精神史的)으로는 합리주의적·계몽주의적인 사조의 흐름 속에서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여러 사회적 상황이 몇 겹으로 겹쳐서 궁정·도시·교회 등 세 활동범위를 기초로 하여 바로크 음악을 형성했던 것이다.

그런데 이 시대의 음악은 통주저음(通奏低音)의 기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바로크 음악의 시대를 '통주저음의 시대'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그리고 바로크 음악은 '정서론(情緖論)' 즉 '음악의 궁극목적은 음과 음의 리듬, 멜로디, 하모니, 음정 등으로 모든 정서를 자아내는 데 있다'고 하는 독특한 타율적 미학관(美學觀)으로 뒷받침되고 있다.

1세기 반에 걸친 바로크 시대에서는 국가나 지역에 따라 상당히 시기와 양식의 차를 볼 수 있으므로, 이를 각국별로 개관하면 다음과 같다.

이탈리아에서는 G. 가브리엘을 중심으로 하는 베네치아 악파의 협주양식이나 페리, 카치니의 모노디 양식 오페라가 바로크 양식의 선구를 이루었고, 로마 및 베네치아 악파를 거쳐 A. 스카를라티 등의 나폴리파에 와서는 벨 칸토 창법으로 명인기적(名人技的)인 기교를 과시하는 명가수 중심의 오페라로 변화해 갔다. 1730년대에는 서정적인 비극을 테마로 하는 오페라 세리아와 코믹한 요소를 중심으로 하는 오페라 부파 등 2개의 스타일이 뚜렷이 분리하게 되었다.

또한 모노디 양식에서 종교적인 제재를 다루는 칸타타나 오라토리오가 카리시미에 의하여 확립되었다. 기악 면에서는 트리오 소나타, 교회 소나타, 실내 소나타, 그리고 주로 바이올린 주법의 눈부신 발전과 함께 합주 협주곡, 독주 협주곡의 형식이 생겨났다.

프랑스에서는 루이 13세로부터 15세에 이르는 절대주의 시대를 중심으로 하여 번영하였는데, 1720-1730년에 걸친 경쾌·우아한 로코코의 갤런트 양식이 두드러졌으며 장중한 표현을 지닌 륄리나 라모 등의 오페라, 쿠플랭 등 클라브생 악파 등이 현저한 발전을 보였다.

영국에서는 17세기 초인 엘리자베스조의 버지널 음악 등의 번영을 기반으로 하여 왕정복고 후에는 퍼셀 등이 앤섬, 오페라, 마스크 등의 국민적인 양식을 낳았다. 그리하여 18세기에는 헨델이 오라토리오의 전통을 이룩하였다.

독일에서는 초기 바로크가 네덜란드의 폴리포니 전통을 기반으로 하여 베네치아의 복합창 양식, 모노디 양식을 융합시켜 독일 프로테스탄트 음악의 전통을 세웠으며, 모테토, 오라토리오,수난곡, 코랄 등에 우수한 작품을 남겼다. 이러한 전통을 이어받아 텔레만, 헨델, 바흐 등 3인의 거장이 잇달아 등장하였고, 바로크 음악을 절대적인 위치로 이끄는 데 공헌했다.

모노디의 기원

편집

monody-起源

모노디란 화음반주를 가진 단일 멜로디의 음악양식을 가리키나, 엄밀히 말하면 1600년경, 피렌체의 카메라타 그룹에 의하여 이루어진 통주저음(通奏低音)의 반주가 있는 레치타티보 양식의 독창 성악곡을 뜻한다. 이에 앞서서 이미 16세기의 류트 반주가 있는 독창가곡으로 편곡한 것에서 그 싹을 엿볼 수 있다.

피렌체의 카메라타 그룹은 고대 그리스에서 본딴 '신음악'의 이론을 세웠다. 즉, 언어와 멜로디가 완전 일치하고, 언어가 지배하고 음악이기에 따를 것을 지향하며, 텍스트를 명확하게 이해시켜 주기 위하여 대위법의 텍스처를 금하고 간단한 반주가 따르는 솔로의 형태를 취하여야 하며, 언어는 바르고 자연스러운 억양으로 불러야 한다는 등의 근본원리가 확립되었다. 오늘날에 남아 있는 피렌체 모노디의 가장 오래된 예는 카치니의 가곡에서 볼 수 있다.

카메라타

편집

Camerata

16세기 말에 고대 그리스극의 음악을 본따 피렌체의 바르디가(家)에 모인 작곡가·시인·학자·예술 애호가들의 그룹을 가리킨다. 그 멤버에는 천문학자인 갈릴레이의 아버지 V. 갈릴레이, 시인인 O. 리누치니, 작곡가 J. 페리, E. 카발리에리, G. 카치니 등이 있었다. 그들은 음악보다 말을 중시하여 말과 멜로디의 완전일치, 말은 올바르고 자연스런 억양으로 노래부른다는 등의 이상(理想)을 표현하는 적절한 방법으로서 모노디 양식을 주로 사용하였다.

오페라의 탄생

편집

opera-誕生

중세의 종교적 의식에서 전례극(11-13세기)과 신비극(14-16세기)이라 불리는 두 가지 종교극이 생겼다. 종교극은 원래 예배식의 일부로 그리스도 탄생의 이야기나 부활의 이야기를 드라마로 상연함으로써 시작되었으며, 차차 거리의 광장 등에서 전문적인 배우들에 의하여 상연하게 되었다. 그러나 당시만 해도 음악은 아직 전혀 부수적인 구실밖에 하지 못했다.

16세기에 이르러 신화의 테마를 중심으로 하여 합창과 댄스, 팬터마임 등이 궁정축연에서 상연되었으며(발레) 세속적 연극의 막간에 기악반주로 독창·합창·발레 등을 상연한 데서 '인테르메디오'가 생겼다. 또한 신화나 우화를 제재로 하여 시·기악·성악·댄스·연기를 결합한 형태로 왕후나 귀족을 위하여 상연된 것을 가면극 '마스크'라 불렀다.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에 걸쳐 마드리갈의 스타일로 작곡되어 즉흥희극(卽興喜劇) 코메디아 델라르 테풍의 제재를 다룬 극음악을 '마드리갈 코미디'라 하며 O. 벳키의 <양피파르나소>(1594년 상연)가 대표적인 작품이다.

스틸레 레치타티보

편집

敍唱樣式

17세기 초 카치니의 '신음악'에 사용된 기악반주가 따른 성악양식을 말하며, 규칙적인 리듬이나 가사의 반복을 특징으로 한다. '스틸레 라 프레젠타티보'(극장양식)는 역시 17세기 초 오페라 작곡가인 페리나 카치니 등이 채용한 극적 표현양식을 말한다. 언어의 자연스런 리듬·악센트·억양 등을 철저하게 존중하였으나, 한편으로는 음악의 자연스런 흐름이 손상된다는 느낌을 면할 수 없다.

오페라의 발달

편집

opera-發達

현재 남아 있는 작품 중에서 가장 오래된 오페라는 리누치니가 대본을 쓰고, 페리와 카치니가 각각 작곡하여 1600-1602년에 피렌체에서 상연된 <에우리디체>를 들 수 있다. 페리와 카치니의 두 작품은 어느 것이나 텍스트의 자연스런 리듬, 악센트 및 억양을 충실하게 지키는 피렌체파의 스틸레 라프레젠타티보 양식으로 작곡되어 있어 멜로디 자체에는 독립된 구조가 없다는 점과 끊임없이 반복되는 형식대로의 카덴차, 단조로운 멜로디선 등의 결점도 볼 수 있다.

통주저음

편집

通奏低音

리만이 바로크 시대를 '통주저음의 시대'라 불렀듯이 낮은음표 밑에 숫자를 달아 화성을 나타내는 방법은 이 시대의 최대 특징이라 하겠다.

기원에 관해서는 비아다나(1564-1627)를 발명자로 생각했던 시대도 있었으나, 반주자가 처음 멜로디에 바탕을 두고 즉흥적으로 화성을 채웠음은 이미 16세기 후반의 종교 합창곡의 오르간 반주에서 볼 수 있다. 이 경우 즉흥연주용의 스코어로서 성악의 최저성부를 쓰고 그 아래에 다른 성부에 생기는 화음을 명시하는 기호를 나타냈다. 이 방법은 17세기에 이르러 모노디스트들이 사용하면서부터 널리 세상에 알려졌다.

통주저음을 쓴 현존하는 가장 오랜 예는 1600년에 출판된 페리의 오페라 <에우리디체(Euridice)>이다. 이와 같은 초기시대에는 반주부가 전적으로 타성부를 화성적으로 강화하는 역할을 했으나 17세기 후반에 이르자 점차로 독립성이 부여되어 장식적인 비화성음이 들어가게 되었다. 한편 독일에서는 18세기 전반에 반주부분에 모방과 그 밖의 대위법적 기법을 채택하여 더욱 독립성을 유지시켜, 마침내는 통주저음의 전성기를 가져왔다.

바로크 시대의 악기

편집

Baroque 時代-樂器

바로크 시대에는 악기에 많은 개량이 있었으나 원칙적으로는 르네상스 시대에 사용되었던 것의 대부분이 바로크 시대에도 계승되었다고 하겠다. 건반악기로는 하프시코드·클라비코드, 지르바만(1683-1753)이 개량하여 절정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는 바로크 오르간이 있으며, 한편 아직 미숙하기는 하나 피아노에 대한 시도가 이탈리아의 하프시코드 제작자인 크리스토포리에 의하여 시작되었다.

현악기로는 르네상스 시대에서 이어받은 비올 종류에 새로 바이올린이 추가된다. 특히 이탈리아에서는 바이올린사상 고전적인 도시 크레모나(Cremona)의 아마티가(家)와 현재의 표준적 바이올린을 처음으로 만든 스트라디바리, 또는 아마티 문하이며 역시 명장인 구아리네리가(家) 등이 계속 등장하였다.

칸타타

편집

cantata

실내 칸타타는 극적 요소를 포함한 독창 혹은 중창에 악기의 반주가 따르는 형식이다. 반복하는 통주저음 위에 소리의 멜로디를 두고, 이야기 부분에는 레치타티보풍으로, 서정적인 표현에는 아리오소풍의 텍스처로 작곡되었다.

초기에 해당하는 17세기 전반의 작곡가에는 루이지 로시, M. 체스티, 카리시미 등이 있으나, 이 세기의 후반엔 레치타티보와 아리아를 번갈아 두고 가성부는 화려하고 유려한 멜로디를 갖는 스타일이 되며, 나폴리파 오페라의 거장(巨匠)들, 즉 A. 스트라데라나, A. 스카를라티가 활약했다.

교회 칸타타

편집

敎會 cantata

18세기 초엽 무렵부터 칸타타의 형식이 독일 프로테스탄트 교회음악으로 전용(轉用)하게 되어 함부르크의 노이마이스터는 성서에서 인용한 가사에 자유로운 서정시를 덧붙였다. 그 이후로 모테토나 교회 콘체르토, 오페라의 영향 등을 각각 채택하여 발전시켰으며, 코랄 칸타타, 시편 칸타타, 격언 칸타타 등으로 나누어진다. J. S. 바흐는 형식과 내용에서 변화가 풍부한 200여 곡의 교회 칸타타를 남기고 있다.

오라토리오의 기초

편집

oratorio-基礎

오라토리오라 함은 주로 종교적인 제재로 독창·합창·관현악을 사용하여 무대장치·의상·연기 등을 수반하지 않고 음악만으로 연주되는 악곡형식을 말한다. 오라토리오는 중세 전례극의 아류(亞流)라고 하겠으나 무대묘사를 배제했다는 점과 대사(臺辭)를 읊는 사람이 있다는 점에서 전례극과는 다르다고 하겠다.

16세기 중엽에 로마의 성(聖) 지로라모 데라 카리타 성당의 기도소(祈禱所=오라토리오)에서 수도사 필립포 네리가 오라토리오 집회를 시작하였다. 이 집회에서는 성서의 낭독 외에 문답체의 라우다 영창(詠唱)도 하였는데, 여기서 오라토리오의 형식이 발전하였던 것이다.

초기 오라토리오의 작품으로는 1600년에 오라토리오 집회에서 상연된 카발리에리의 <영혼과 육신의 극>으로, 이 작품은 피렌체파의 모노디 원리를 종교음악에 적용시킨 가장 오래된 예이나, 역시 종교극적인 요소가 많다고 하겠다. 이 밖에 마드리갈 스타일의 합창과 솔로를 포함하는 아네리오의 <아름다운 영혼의 극> 등이 있다.

라틴어 오라토리오

편집

Latin語 oratorio

북이탈리아에서 발생하여 대사를 읊는 부분이 호모포닉한 스타일의 합창으로 작곡되어 있는 점 등이 특징이나, 뒤에 로마로 중심이 옮겨져 G. 카리시미에서 최성기를 맞는다. 그의 작풍은 <예프테> 등에서 볼 수 있듯이 텍스트에 포함된 관념을 충분히 파악하여 레치타티보와 아리오소의 대화나 코러스로 극의 발전을 진행시켜 적절한 표현방법으로 감동적인 작품을 남기고 있다.

속어 오라토리오

편집

俗語 oratorio

카발리에리 이후 이탈리아어 오라토리오는 17세기 후반에 와서 매우 번성하였다. 스파냐, 체노, 메타스타지오 등이 오라토리오 가사를 개혁한 결과 합창이 중요하지 않게 되고 아리아가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여 관현악 반주가 있는 레치타티보, 명인예적(名人藝的) 기교를 채택하는 등 나폴리파 오페라의 경향을 닮아갔다. 로마·베네치아파의 전통을 잇는 로티, 카르다라나 나폴리파의 스카를라티, 레오, 하세, 욤멜리 등이 당시의 대표적인 오라토리오 작곡가이다.

이탈리아의 오페라

편집

Italia-opera

1607년에 만토바에서 상연된 C. 몬테베르디(1567-1643)의 <오르페오(Orfeo)>는 종래의 모든 형식과 독자적인 수법을 교묘하게 결합시켜 초기 오페라 중에서 가장 우수한 작품으로 손꼽힌다.

로마에는 란디, 로시 등의 이른바 로마 악파가 있었고, 우화풍(寓話風)의 이야기를 테마로 하여 폴리포닉한 코러스, 명확한 조(調) 조직을 지닌 아리아, 칸초네풍의 서곡을 채택한 것 등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베네치아는 1637년에 세계 최초의 오페라 극장인 산캇시아노가 열린 뒤부터 일약 유럽의 오페라 중심지가 되었다. 몬테베르디의 <폽페아의 대관식(戴冠式)>, 카발리에리의 <지아소네>, 체스티의 <황금의 사과> 등을 대표작으로 들 수 있으며 역사나 신화·우화적인 제재를 테마로 하여 그것에 코믹한 에피소드를 가미한 것이 많았다. 유절형식(有節形式), 론도 형식, 다 카포 아리아 등 아리아의 형식이 많아졌다는 점과 레치타티보와 아리아가 형식적으로 분화하기 시작했다는 점, 그리고 대규모의 기계장치를 한 화려한 무대장치 등의 특징을 볼 수 있다.

스틸레 콘치타토

편집

興奮樣式

1624년 베네치아에서 상연된 몬테베르디의 오페라 <탄크레디와 클로린다의 싸움>은 그가 스틸레 콘치타토라는 새로운 기악의 기법(技法)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여기서 그는 분노나 흥분의 기분을 표현하기 위하여 급속히 반복되는 현의 트레몰로를 써서 새로운 양식의 음악적인 표현법을 개척하였다.

나폴리파 오페라

편집

Napoly派 opera

17세기의 말엽부터 18세기의 전반에 걸쳐 로마·베네치아파의 뒤를 이은 나폴리파는 우수한 작곡가들에 의하여 18세기의 전형적인 오페라 악파가 되었다. 이 악파에 속하는 작곡가로는 창시자로 불리는 A. 스카를라티 외에 욤멜리, 피치니, 페르골레시, 트라에타, 파이지엘로, 치마로자, 하세, 그라운 등을 들 수 있다.

그들의 공적은 ABA의 전형적인 다 카포 아리아 형식의 확립, 오케스트라를 수반하는 레치타티보, 즉 레치타티보 아콘파니아토 또는 레치타티보 스토르멘타토, '빠르게-느리게-빠르게'의 이탈리아식 서곡의 채용, 아름다운 목소리를 들려주기 위한 벨 칸토 창법, 카스트라토나 뛰어난 기법을 들려주는 명가수들의 배출 등으로 말미암아 극적인 통일성이 결여될 만큼 음악이 우위에 서게 되었다.

다 카포 아리아

편집

da capo Aria

17세기 말엽부터 18세기에 걸쳐 사용된 전형적인 아리아의 형식이다. A-B-A 세 부분의 구성으로 되었으며 제3부분은 가수가 즉흥적으로 장식을 하는 경우가 많다. B의 부분은 조성(調性)·박자·템포가 A와 대조적인 경우가 많다. A. 스카를라티가 다 카포 형식을 그의 오페라에 채용한 이후로 성악적인 묘기를 발휘시키기 위한 이 아리아는 나폴리파에서 대단한 인기를 가졌으며 모든 극음악(劇音樂)에 쓰였다.

이탈리아풍 서곡

편집

Italia風序曲

17세기 말경 A. 스카를라티의 <다르 마로 일 베네>에 이탈리아풍 서곡이 처음으로 사용된 뒤부터 바로크시대에 애용되었다. 이 서곡은 '빠르게-느리게-빠르게'의 세 구조를 지니며 제1부는 알레그로, 제2부는 그라베, 제3부는 프레스토가 되는 경우가 많다. 이 이탈리아풍 서곡은 신포니아라고도 하며, 고전파 교향곡의 싹이 되었다.

레치타티보 아콘파니아토

편집

recitativo acconpaniato통주저음 악기의 반주가 붙는 레치타티보를 레치타티보 세코라 하며, 그 밖의 관현악 반주가 있는 것을 레치타티보 아콘파니아토 또는 스트로멘타토라고 한다. 이것은 오페라의 극적 클라이맥스의 장면에서 한층 감동을 깊게 하기 위하여 쓰인다. 후기 나폴리파의 작곡가인 하세, 그라운, 욤멜리, 글루크, 트라에타가 이 형식을 썼으며, 또한 모차르트의 오페라에서도 아리아의 감정을 미리 표현하기 위하여 효과적으로 쓰이고 있다.

프랑스의 오페라

편집

France-opera

중세의 목가극이나 궁정의 발레를 토대로 하여, 또는 이탈리아 오페라의 영향을 받아 프랑스 오페라가 처음으로 공적(公的)인 성립을 보게 된 것은 1669년 피에르 페랑과 로베르 캉베르가 왕립음악 아카데미를 설립한 뒤부터였다. 1670년 이후에는 루이 14세의 보호를 받아 륄리가 등장하여, 그 후의 프랑스 오페라의 기초를 확립시켰다.

륄리의 대본을 쓴 키노는 신화나 전설에서 제재를 얻어 전통적인 5막 구성의 양식을 만들었다. 또한 코러스나 발레에 중요한 의의를 부여했으며 화려한 무대장치나 묘사적인 기악곡 등이 그들의 협력으로 탄생하였다.

18세기 중엽에는 그들의 서정비극의 전통을 이어받은 라모가 대위법적인 스타일을 구사하여 코러스를 극적으로 처리하고 오케스트라의 표현력을 확대시켰다.

프랑스풍 서곡

편집

France風序曲

프랑스풍 칸초나를 말하며, 종래의 칸초나, 교회 소나타 등의 전통을 이어받아 륄리에 의하여 처음으로 확립되었다. 그 예는 그의 발레 <아르시디아느>에서 처음 선을 보였다. 느림-빠름-느림의 구조로 점(附點) 리듬의 장중한 도입부 뒤에 칸초나풍인 알레그로의 모방적인 스타일의 부분이 계속되고 끝에 가서 처음과 같이 완만한 부분이 가해진다. 이 형식은 모음곡(組曲)의 서곡으로서 남아 있으며 바로크 시대에 널리 애호되었다.

화성론

편집

和聲論

장 필리프 라모는 1715년 클레르몽 페랑에서 오르간 주자로 일하면서 유명한 이론서인 <화성론>을 저술하였다. 이론가로서의 그는 그 뒤에도 많은 저술을 하였는데, 그 이론의 특징은 3도를 겹친 화음구성, 화음의 자리바꿈(轉回)법칙, 기초 저음에 의한 화음연결 원리의 확립 등이며 그의 이론이 근대의 기능화성법의 기초를 이룩하였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영국 오페라

편집

英國 opera

16세기 말에 '마스크'에서 발전하였다. 마스크는 원래 신화나 우화적인 제재를 지녔으며 정교한 무대장치와 대사(臺辭)의 대화, 노래, 기악 등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17세기에 들어와서는 대화의 부분을 모노디풍의 스타일로 작곡하거나 간소한 민요풍의 가곡을 삽입하기도 했다. 그리하여 공화제(共和制)의 시대가 되자 디브난트는 이탈리아나 프랑스 오페라의 영향을 받아 최초의 영국 오페라 <로도스의 포위>를 발표하였다

17세기 후반이 되자 M. 로크, J. 브로, H. 퍼셀 등 3인의 작곡가가 영국음악의 황금시대를 이룩하였다. 당시 셰익스피어 극은 기계장치나 노래, 발레, 기악곡 등과 함께 상연되고 있었는데 그들은 그 부수음악을 작곡하였으며 그것이 영국 오페라의 전통적인 형식이 되었다. 퍼셀(1658-1695)은 여러 국민양식을 융합한 영국 최대의 작곡가이며 <디도와 에네아스>는 우수한 독창성과 유기적인 통일을 지닌 구성법, 그리고 그 생생한 극적 표현 등으로 그의 대표작이 되어 있다.

독일 오페라

편집

獨逸opera

독일 오페라의 전신은 도덕적이며 종교적인 내용을 지니는 학교극 또는 교훈극인데 최초의 독일 오페라는 1627년에 H. 슈츠가 작곡한 <다프네(Daphne)>이다. 함부르크에서는 독일 최초의 오페라 극장이 1678년에 창설되어 J. 타일레의 <인간의 창조, 타락, 구원>이 상연되었다. 초기에는 슈트룬크, 프랑크 등의 작곡가가 있었으나 이탈리아나 프랑스 오페라가 원어 그대로 또는 번역되어 상연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윽고 J. 푹스나 R. 카이제르 등이 등장하여 참된 국민적인 오페라 활동에 지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함부르크 오페라의 중심적 인물이라고 하는 카이제르는 아름다운 멜로디를 지닌 많은 아리아를 남겼으며 프랑스와 이탈리아 오페라의 영향을 독일적인 개성으로 교묘하게 통일하였다. 그의 뒤로는 J. 마테존을 비롯하여 헨델, 텔레만이 함부르크를 위하여 오페라를 썼으나 1737년에 오페라 극장이 폐쇄되자 오페라는 점차 쇠퇴하고 말았다. 브랑슈바이크에서는 프랑스나 이탈리아의 영향을 받은 쿠서, 그리고 하노버에서는 스테파니가 헨델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바이센페르스에서는 클리거가, 또 빈에서는 J. 푹스가 활약하였다. 뿐만 아니라 드레스덴은 로티나 하세 등에 의하여 독일에서의 나폴리파 오페라의 중심지가 되었다.

독일가곡

편집

獨逸歌曲

17세기의 초기에 일상적인 것을 노래한 서정시나 민요풍의 리트가 새로이 발전되었다. H. 알베르트는 프로테스탄트의 코랄이나 이탈리아의 모노디풍 솔로, H. 샤인의 영향을 받아 통주저음이 있는 다성적인 서정가곡을 탄생시켜 독일가곡의 선구자가 되었다. 그리고 A. 클리거는 소박하고 단순한 민요풍의 유절형식(有節形式)을 써서 예술적 향기가 높은 가곡을 썼다.

바로크 시대의 기악 발달

편집

Baroque 時代-器樂發達1600년 이전은 성악의 시대라고도 할 정도로 성악의 전성기로서, 기악을 위한 것으로는 간단한 춤곡(舞曲)이나 성악곡의 편곡 정도밖에는 없었다. 그러나 바로크 시대에 와서부터는 처음으로 기악이 성악과 자리를 같이하여, 기악형식이나 기악을 위한 새로운 형식이 확립되고 많은 기악곡이 산출되었다.

기악형식의 대부분은 프랑스의 성악곡인 샹송이 이탈리아 사람에 의하여 기악으로 옮겨졌다. 이른바 칸초네 프랑 체제(프랑스풍 칸초네)를 기초로 하여 그것이 모노디의 발명과 결부되어 여러 가지 방법으로 독립된 기악형식으로 발전하였던 것이다.

우선 칸초나 가운데 대비적(對比的)인 부분이 각각 독립하여 개개의 대조적인 악장을 취함으로써 카프리치오가 생겨났다. 이것은 다른 여러 형식에 비하여 대위법적(對位法的)이며 푸가의 전신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모테토가 기악으로 옮겨진 리체르카레, 자유로운 대위법에 의한 즉흥적인 판타지 등도 푸가의 전신이다. 그리고 지로라모 프레스코발디(1583-1643)는 이러한 악곡에서 몇 개로 나뉜 대조적인 부분 사이의 주제를 통일하여 전체를 엄밀하고 유기적인 조직으로 하고 또한 그 주제에 기악적인 음형(音型)을 사용함으로써 모방적인 대위법의 기악곡을 만들어냈다.

그 뒤로 각 부분은 그 내부구조를 충실케 함으로써 그 수효를 줄이고 주제와 그 응답 사이에도 으뜸조(主調)와 딸림조(屬調)라고 하는 기능적인 관계를 확립시켰다. 또 파헤르베르(1653-1706)에 의하여 주제가 들어가는 배분이 개량되고 에피소드가 조직적으로 편성되게 된다. 북독일의 북스테후데(1637-1707)도 토카타와 푸가에서 극적인 요소를 도입하였다. 이리하여 17세기 전반(全般)을 통하여 점차 푸가의 개개 요소가 성립하고, 바로크 시대의 후기에 오자 다른 대위법적 악곡을 누르고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게 됐다.

한편 칸초나에 의거하지 않는 악곡형식도 새로 생겼으며 특히 건반악기를 위한 여러 변주곡이 유행하고 저음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음형, 즉 오스티나토 바스에 기초를 둔 변주곡인 파사칼리아, 샤콘, 그라운도 등이 왕성하게 작곡되었다.

교회 소나타의 성립

편집

敎會 sonata-成立

건반악기를 위한 칸초나는 주제를 통일함으로써 푸가로 발전하였으나 기악 앙상블 편성에 의한 칸초나부터는 대조적인 각 부분이 각각 독립성을 갖게 되었고 또한 그 수효가 줄어들자 이에 따라 교회 소나타가 성립한다. 이것은 흔히 느림-빠름-느림-빠름의 4악장으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는 장중하고 성실하며 또한 추상적인 형식이다.

이 형식은 1650-1750년의 1세기 동안에 매우 애용되어 지오반니 바티스타 비타리(1644경-1692), 주제페 트레를리(1650경-1708), 그리고 17세기 최대의 걸물인 아프칸제로 코레리(1653-1713)가 많은 작품을 남기고 있다.

실 소나타

편집

室 sonata

이것은 실제로는 일련의 춤곡으로 되어 있으며 보통은 알르망드-쿠랑트-사라반드-지그, 거기에 임의의 춤곡이나 자유로운 구성의 서악장(序樂章)이 부가되거나 또는 되지 않기도 한다. 이러한 두 형식은 여러 악기편성을 위하여 작곡되었는데, 가장 애용된 것은 2개의 바이올린과 콘티누오의 편성이었다.

이것을 악보로 보면 3개의 멜로디선(旋律線)으로 표기되므로 특히 트리오 소나타라 하며 바로크 시대를 통하여 매우 애용된 실내악 형태이다. 이 밖에도 통주저음과 독주악기의 편성으로 된 솔로 소나타를 위한 작품도 남아 있다. 우수한 독주악기인 바이올린을 위한 곡은 말할 나위도 없거니와 비올이나 비올라 다 감바, 오보에나 플루트 등을 위한 작품도 남아 있다.

모음곡의 성립

편집

組曲-成立

몇 개의 춤곡(舞曲)을 결합시켜 구성하려는 시도는 이미 16세기부터 있었다. 즉 짝수박자의 것과 3박자의 것, 속도가 빠른 것과 느린 것이 결합되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모음곡(組曲)의 초기 발전에 관해서는 이탈리아의 영향을 받은 바가 많으며 영국은 지그를, 에스파냐는 사라반드를, 프랑스는 그 밖의 많은 춤곡과 전체적인 세련성을, 그리고 독일은 알르망드와 모음곡을 통일된 형식으로 만든다는 생각을 상호간에 제공하여 마침내는 단순히 춤을 추기 위한 곡에서 벗어나 양식화(樣式化)된 예술형식으로 나아갔다.

모음곡이 음악형식으로 확립되기 위하여 큰 공헌을 한 사람은 J. 프로베르거(1616-1667)인데, 그는 처음에 알르망드―쿠랑트-사라반드의 3악장 형식을 택했었다. 그 뒤로 지그가 추가되어 17세기 말엽에는 4악장형식이 널리 쓰였다. 연주형태로는 건반악기용의 것이 많았으나 관현악 모음곡, 실내악 편성으로 된 소나타 다 카메라도 이러한 장르에 들어간다.

콘체르토 그로소의 발생

편집

concerto grosso-發生

바로크 시대의 가장 중요한 관현악 형식으로서 합주협주곡(concerto grosso)을 들 수 있다. 전체는 투티 또는 리피에노라고 하는 관현악부와 콘체르티라고 하는 2-4개의 독주악기군(獨奏樂器群)으로 나뉘며, 양자가 번갈아 나타나 다이내믹한 대비(對比)를 이룬다. 이 명칭이 처음으로 사용된 것은 1698년에 로렌초 그레고리(1700경)에 의해서라고 전해지나, 그 이전에도 이미 코렐리나 알레산드로 스트라데라(1645경-1682)가 이 원리를 바탕으로 한 작품을 남기고 있다. 콘체르티노의 악기군(樂器群)으로서 이탈리아에서는 2개의 바이올린과 콘티누오라는 편성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이것이 곧 트리오 소나타의 편성이다.

한편 독일에서는 독주악기로서 관악기를 즐겨 썼다. 이탈리아 양식에 따른 가장 훌륭한 예로는 헨델의 <콘체르토 그로소집 (集)>이 있으며, 또한 이런 장르에서 최고의 걸작이라면 역시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일 것이다.

독주협주곡

편집

獨奏協奏曲 solo concerto

하나의 독주악기와 관현악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일반적 형태인데, 독주악기에 따라 피아노 협주곡·바이올린 협주곡 등으로 불린다. 합주협주곡과 다른 점은 독주악기가 보다 두드러진 움직임을 보이고 보다 오랜 시간 연주된다는 점이며, 교향곡에 맞먹을 정도의 깊은 세계를 표현할 수 있는 형식이다.

최초의 독주협주곡은 G. 토렐리(1658-1709), T. 알비노니(1671-1750) 등에 의한 것인데 1700년경에 공개되었고 또한 A. 비발디(1678경-1741/42)에 의해 확립되고 대규모의 형식으로 발전하였다. 그의 협주곡은 빠름-느림-빠름의 3악장으로 되어 있으며 각각 그 내부는 일련의 투티와 솔로로 이루어져 있다.

비발디의 형식을 이어받은 사람으로는 F. 제미니아니(1687-1763), G. 타르티니(1692-1770), P. 로카텔리(1693-1764), 헨델, 바흐, G. 텔레만(1681-1767) 등을 들 수 있다.

기악에 의한 교회음악

편집

器樂-敎會音樂

바로크 시대 이전에는 교회에서 연주되는 것이라면 거의가 예외없이 성악이었다. 기악양식과 새로운 기악형식의 성립, 그리고 각 악기 사이의 양식이 구별되기 시작한 이 시대부터 교회를 위한 새로운 기악형식이 생겨났다. 그리하여 신도들이 부르는 코랄을 위한 오르간 전주부에 중요한 의미가 주어져서 코랄 전주곡이라는 독립된 기악곡이 탄생하였다.

이 형식에 큰 공헌을 한 사람은 S. 샤이트(1587-1654)로서 그에 의하여 오르간 음악의 기교적인 면은 완성의 경지에 이르렀다. 이 때문에 그 이후 J. S. 바흐에 이르는 일련의 독일 오르간 음악의 거장들은 전적으로 코랄 전주곡의 새로운 형식을 만들어내는 데 전념하였다.

J. 파헬벨은 이 새로운 형식에 푸가를 곁들였으며, G. 뵘(1661-1735)은 코랄의 멜로디를 번뜩이는 듯한 섬세한 음표로 장식하였고, 또한 디트리히 북스테후데(1637-1707)는 코랄의 멜로디에서 나오는 소재를 자유롭게 환상적으로 다루는 코랄 판타지를 만들었다.

교회 칸타타의 완성

편집

敎會 cantata-完成

17세기 전후에 이탈리아에서 시작되고 세속적인 제재를 다룬 칸타타는 독일에서는 주로 교회음악에 쓰였으며, 교회 칸타타라고 하는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형식을 이룩하였다. 이를 위해 큰 역할을 한 최초의 사람은 H. 슈츠(1585-1672)이다.

그는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모노딕한 콘체르타트 양식을 독일 교회음악에 도입하였고 코랄에는 거의 의거하지 않은 자유롭고 극적인 예배음악을 만들었다.

한편 슈츠와 같은 시대의 작곡가 사이에는 코랄을 사용함으로써 교회 칸타타를 보다 풍부하게 하려는 움직임이 보였다.

이러한 사람들로는 M. 프레트리우스(1572-1621)와 J. H. 샤인(1586-1630)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두 흐름은 바로크 후기에 이르러 작사자(作詞者)인 E. 노이마이스터(1671-1756)가 등장함으로써 가사에 시적인 자유시가 도입되고 또 레치타티보와 아리아가 주목됨에 따라 결정적인 영향을 받아 J. S. 바흐에 의해 위의 모든 것을 집약한 완성을 이룩하게 되었다.

수난곡

편집

受難曲

복음서에 의거하여 그리스도의 수난을 다루는 수난곡의 역사는 멀리 초기 크리스트교 시대에까지 거슬러올라갈 수 있다.

우선 성주간(聖週間)에 성직자가 복음서를 낭독하는 것으로 시작되며, 12세기에는 각 등장인물을 다른 성직자가 독송양식(讀誦樣式)의 단선성가(單旋聖歌)로 부르는 코랄 패션이 이루어진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전체를 모테토풍의 다성합창곡으로 작곡하는 이른바 모테토 패션이 되며, 바로크 시대에 이르러 새로운 양식이 나타나자 복음서의 인물이나 복음저술가(마태, 누가, 요한, 마가)에는 레치타티보가 사용되고 자유롭게 시작(詩作)을 한 부분이 코랄이나 아리아의 형태로 삽입되어 오라토리오의 형태에 접근한다. 이 패션을 오라토리오 패션이라고 하며, 18세기 초기의 함부르크 악파에 의하여 절정에 달했다.

이 악파를 위해 중심이 되어 작사한 사람은 브로케스(1680-1747), 작곡가로는 헨델, 텔레만, 카이저 등이 있다. 한편 바흐는 부분적으로는 브로케스의 시를 쓰고 있으나 전면적으로는 복음 저술가들의 기술(記述)을 중심으로 하였고, 또 프로테스탄트의 코랄을 더하여 서사적인 동시에 서정적이며 극적인 긴장감을 더한 독자적 경지를 개척하였다.

바흐와 헨델

편집

Bach-Hendel

바로크 시대는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1685-1750)와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1685-1759)이 등장함으로써 절정을 이루어 일단 정리되었다고 하겠다.

이들 두 사람은 다른 17세기 초기의 대가들과는 달리 새로운 형식이나 양식을 만든 것이 아니라 기존의 요소를 각각 독자적인 방법으로 자기 것으로 하여 소화 완성시켰다. 이들은 모두가 독일 사람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주변의 여러 나라 양식을 받아들여 혼합 또는 융합시켰다는 점에서도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생애나 인격이 매우 다르듯이 음악도 여러 점에서 다르다는 점은 흥미있는 일이라 하겠다.

우선 바흐는 일생를 통하여 국외에 나간 일이 없고 여행이라 해도 기껏해야 함부르크 정도였음에 대하여 헨델은 독일, 이탈리아, 영국에서 그의 일생를 보냈으며 특히 마지막에는 영국에 귀화한 말하자면 국제인이었던 것이다. 바흐는 두 번의 결혼에서 20명이나 되는 자녀를 두었고 끊임없이 신변의 자질구레한 잔근심으로 고민하였음에 반하여 헨델은 결혼도 하지 않고 항상 모험을 즐겼다.

뿐만 아니라 바흐가 독일에서도 이름높은 전통적 음악가의 집안에서 성장하였음에 반하여 헨델에겐 전혀 음악가 조상이 없었으며 또한 그가 음악가가 되려는 뜻을 부친은 완강하게 반대하였다. 인격 면에서도 바흐는 겸손하고 경건하며 때로는 완고했음에 비하여 헨델은 보다 세속적이며 겉보기에 화려하고 귀족적이었다고 한다. 이와 같은 두 사람의 차이는 그대로 음악에도 나타나 우리의 흥미를 끈다.

작곡에 쓰는 악곡형식으로서 바흐는 오페라를 제외하고는 당시 있었던 대부분의 형식을 다루었으나 역시 주력은 교회 칸타타나 오르간 작품 같은 교회음악이라고 하겠다. 한편, 헨델의 대부분의 작품은 오페라와 오라토리오였는데, 그의 오라토리오는 매우 인간적이고 현실적인 것으로 말하자면 종교적 제재에 의한 오페라 같은 것이었다.

또 바흐의 작품 대부분이 교회나 궁정에 근무할 때 요청에 따라 쓴 실리적인 것이었음에 비하여 헨델은 틈이 나는 대로 아무런 목적이나 필요성도 없이 작곡하였다는 점도 흥미롭다고 하겠다.

두 사람의 작품을 보면 바흐는 바로 대위법 기술의 정수(精粹)를 다한 사람이나, 그것에만 만족하지 않고 당시에 이미 궁정문화에 침투했던 프랑스나 이탈리아의 양식을 스스로 받아들여 칸타타에 아름다운 꽃을 피우기도 했다.

거기에는 그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배운 여러 나라의 온갖 요소가 모두 투입되어 그만이 지닐 수 있는 최고로 천재적인 용광로 속에서 융화되어 일치미(一致美)를 이루고 있다. 콘티누오만으로 반주되거나 또는 여러 개의 악기로 반주되는 독창이나 중창에 의한 이탈리아식 다 카포 아리아, 오페라적인 아리오소와 레치타티보, 가장 초기의 가브리엘 형태에서 바흐 시대의 프랑스식 서곡에 이르기까지의 관현악 신포니아, 협주곡, 트럼펫의 팡파르, 풍요한 장식성을 지니고 성악성부에 얽혀드는 기악의 오블리가토 성부, 복합창형식, 때로는 성악에까지 적용되는 프랑스의 리드미컬한 춤곡, 이러한 것이 독일의 오랜 전통인 코랄과 결부되고 있다. 대체로 바흐만큼 코랄을 훌륭하게 활용하고 또 코랄을 창작의 중심으로 삼기에 정당함을 느낀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와 마찬가지로 여러 나라 양식의 혼합은 기악 분야에서도 볼 수 있다. 프로베르거의 전통, 쿠프랭의 프랑스 모음곡형식, 쿠나우에 의하여 전해진 이탈리아의 소나타 다 카메라양식, 도메니코 스카를라티의 건반 텍스처(鍵盤書法), 푸가에 있어서도 클라비어 푸가는 이탈리아 협주양식의 영향을 나타내나 오르간 푸가는 북독일 오르간 악파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협주곡 분야에서는 끊임없이 비발디가 모범으로 숭앙되며, 가장 이탈리아의 특징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바흐의 작품은 매우 많은 여러 가지 양식을 포함하고, 또한 작곡한 분야도 넓으며 바흐 개인으로서도 시대에 따라 기술적, 내용적으로 현저하게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개인양식을 간단히 종합하기란 곤란하다고 하겠다.

한편 헨델은 그 명성을 거의 그의 극적 작품에서 얻었지만 통주저음을 바탕으로 성립되는 바로크적 협주양식에 기초를 두고 유려한 벨 칸토의 성악적 멜로디와 결부하여 항상 간결·명쾌하며 밝은 표현을 나타낸다. 그의 멜로디에서 벨 칸토 양식은 독일의 내면적인 힘찬 표현과 결부되어 호모포니의 방향으로 향한다.

또한 바로크 특유의 일정한 악형(樂型)의 반복이 사라반드, 쿠랑트, 가보트 등의 리듬에 지탱되면서 단조롭게 고수(固守)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바흐에서 볼 수 있는 표현의 길이라든가 다양성은 없으나 그 대신 알기 쉽고 명쾌한 표정을 보여준다.

그는 합창에서도 가장 뛰어난 솜씨를 발휘했다. 특히 후기의 오라토리오에서는 여기에 중점을 두고 있다. 여기서는 그도 역시 대위법 양식을 쓰고 있으나 바흐처럼 엄격하지는 않고 그 내부에 호모포니적인 화성적 경향을 내포하여 감정을 다이내믹하게 고조시키는 수단으로 삼고 있다.

또 협주양식에 특징적인 솔로와 투티, 피아노와 포르테, 레가토와 마르카토, 폴리포니와 호모포니, 장조와 단조 등의 대조를 잘 활용하여 심리적 긴장과 다이내믹한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이상 독일에서 성장하고 그 전통을 익힌 뒤에 주위 여러 나라의 갖가지 양식을 받아들인 점에서는 모두가 공통되나 그것을 어떻게 혼합시키고 융합하여 자기 것으로 했느냐의 점에서 두 사람은 매우 다른 경지의 높이를 이룩하고 있는데, 그들이 취한 태도에서의 근본적인 차이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점에 집약된다고 하겠다.

(1) 두 사람이 모두 폴리포니의 대가이나, 바흐의 음악에서는 폴리포니가 지배적이며 헨델의 음악은 호모포니가 지배적이다.

(2) 바흐의 성악곡의 최대 특징은 기악적이란 점에 있다. 즉 그 성악 멜로디는 종종 연주가 곤란할 정도로 기악의 이디엄에 가깝다. 한편, 헨델은 보다 성악적 표현법이 풍부한 작곡법을 택하며, 기악작품에서까지도 본질적으로는 성악의 이디엄 바탕으로 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