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사/중세사회의 발전/고려의 성립/후삼국

후삼국〔槪說〕

편집

지방 성주(城主)들의 대두는 신라 중앙 정부의 지배력을 약화시켰으며, 수취체제도 점점 해이해져 갔다. 더구나 신라 말기 귀족들의 사치 향락은 늘어갔고, 따라서 비용도 증가했지만, 충족시킬 만한 재원(財源)은 반대로 줄어들었다. 이러한 재정적인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정부는 지방의 주·군에 조세를 독촉하게 되니(889), 농민들은 결국 이중 부담을 강요받게 되었다.신라의 성시(盛時)로부터 무거운 조세와 역역(力役)을 부담하고 있던 농민들은 유민(流民) 혹은 도적이 되어 질서를 교란하였다. 그러나 이 새로운 질서는 금성(金城, 慶州)을 중심으로 한 신라의 구질서에 대한 타격을 뜻한다. 조세의 독촉은 영세한 농민층을 자극하여 농민반란(農民叛亂)을 일으키게 하였다. 이리하여 진성여왕 3년(889) 원종(元宗)과 애노(哀奴)의 난을 위시하여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죽주(竹州, 竹山)의 기훤(箕萱), 북원(北原, 原州)의 양길(梁吉), 완산(完山, 全州)의 견훤(甄萱), 양길 부하 궁예(弓裔) 등이 두드러진 반란군의 두목들이었다. 그 밖에 붉은 바지를 입은 적고적(赤袴賊)이란 반란군과 초적(草賊)이라고 하는 이름 없는 농민 반란군이 수없이 일어났다.이들 중 견훤과 궁예는 각기 백제와 고구려의 부흥을 부르짖으며 새로운 정권을 수립, 건국하여 신라와 정립(鼎立)하게 되었다. 이를 후삼국(後三國)이라 한다.그리하여 견훤은 완산주(完山州, 全州)를 근거로 삼아 의자왕의 원한을 갚는다는 구호 아래 후백제를 건국하였다. 그러나 견훤은 왕위 계승 문제로 아들 신검(神劍)에게 유폐되면서 몰락의 길을 걸어갔다. 궁예는 효공왕 때 후고구려(後高句麗)를 건국하였다. 뒤에 국호를 마진(摩震)으로 고치더니 다시 태봉(泰封)으로 고치고, 국도를 송악에서 철원(鐵圓)으로 옮겨 9관등을 설정했다.궁예의 뒤를 이어 북방의 왕조로 추대된 것은 왕건(王建)이었다. 왕건은 즉위와 함께 국호를 고려(高麗), 연호를 천수(天授)라 하고 송악에 천도하니, 이것이 뒷날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의 건국이었다.

진성여왕

편집

眞聖女王

신라 51대 왕(재위:887

897). 이름은 만(曼). 헌강(憲康)·정강(定康) 두 왕의 여동생으로 정강왕이 후사가 없었기 때문에 그의 유조(遺詔)로 왕위에 올랐다. 소행이 좋지 못하여 각간(角干) 위홍(魏弘)과 내통하여 궁중의 미모의 소년들을 두고 음행을 일삼고 뇌물을 받는 등 기강을 흐렸다. 또한 지방에서는 조세가 걷히지 않았고 병제(兵制)가 퇴폐하여 도적이 발생하였다. 이 틈을 타서 북원(北原)의 도적 양길(梁吉)의 부하 궁예가 침범하고 견훤이 모반하여 후백제를 세워 다시 삼국이 맞서게 되었다. 헌강왕의 서자 요를 태자로 봉했으나 왕위를 감당치 못하고 11년 만에 양위하고 말았다. 각간 위홍과 대구화상에게 『삼대목』을 편찬케 하였으나 전하지 않는다.

기훤

편집

箕萱

신라 진성여왕 때 군웅(群雄) 중의 한 사람. 죽주(竹州) 출생. 889년(진성여왕 3) 나라가 어지러워 각처에서 반란이 일어날 때 그는 죽주에서 군사를 모아 난을 일으켰다. 이때 궁예도 부하를 이끌고 여기에 가담했으나 기훤이 멸시하므로 기훤의 부하인 원회(元會)·신항(神?) 등을 꾀어 북원(北原)의 양길(梁吉)에게 갔다.

양길

편집

梁吉(良吉)

신라 진성여왕 때의 반란자. 왕실의 부패로 국정이 문란해지자 북원(北原, 忠州) 등 30여 성을 공략, 세력을 폈다. 헌강왕 5년 궁예를 부하로 맞아 여러 지방을 공격하여 영역을 넓혔으나 궁예의 세력이 커지자 이를 두려워하여 죽이려다가 역습을 받아 대패했다. 효공왕 3년(899) 국원성주 등 10여 성주(城主)를 이끌고 궁예를 공격, 비뇌성(非惱城)에서 싸웠으나 역시 대패하여 도주했다.

견훤

편집

甄萱 (?

936) 후백제의 왕(재위:900

935년). 아자개(阿慈介)의 아들. 상주(尙州)출생. 신라가 혼란한 틈을 타 892년(진성여왕 6) 반기를 들고 여러 성을 공략한 후 무진주(武珍州·光州)를 점령. 독자적인 기반을 닦은 후 900년(효공왕 4) 완산주(完山州:全州)에 입성. 스스로 후백제왕(後百濟王)이라 일컬었다. 한편 중국에도 사신을 보내어 국교를 맺으면서 궁예의 후고구려와 자주 충돌하여 세력 확장에 힘썼다. 그 뒤 왕건이 세운 고려와도 수시로 충돌, 군사적 우위를 유지했고 926년 신라 수도 경주(慶州)를 함락하여 친려(親麗) 정책을 취하던 경애왕(景哀王)을 죽게 한 후 김부(金傅)를 왕으로 삼고 철수, 신라인의 원한을 샀다.929년 고창(古昌:安東)에서 왕건군에게 패전한 후부터 차차 형세가 기울어져 유능한 신하들이 왕건에게 투항, 934년 웅진(雄津:公州) 이북의 30여 성이 고려에 귀순했다. 이듬해 왕위 계승 문제로 맏아들 신검(神劍)에 의하여 금산사(金山寺)에 유폐되었다가 탈출하여 왕건에게 투항, 상부(尙父) 칭호와 양주(楊州)를 식읍(食邑)으로 받았다. 936년 왕건에게 신검의 토벌을 요청, 후백제를 멸망케 하였으며, 얼마 뒤에 황산사(黃山寺)에서 등창으로 죽었다.

궁예

편집

弓裔 (?

918)

마진(摩震)·태봉(泰封)의 왕. 성은 김씨, 호는 선종(善宗). 본래는 승려이며 신라 제47대 헌안왕(憲安王)의 아들, 또는 차대(次代) 경문왕(景文王)의 아들이라는 설도 있다. 일찍이 세달사(世達事:浮石寺)의 승려가 되고 선종이라 이름했으나 장년이 되면서 담력을 과시, 승률(僧律)에 구애받지 않았다. 신라가 완전히 쇠퇴하였을 때, 891년(진성왕 5) 죽주(竹州)의 적괴(賊魁) 기훤(基萱)의 부하, 892년 양길(梁吉)의 부하가 된 후 사방을 공략, 공을 세웠다.901년 왕을 자칭하고 송악(宋岳:개성)에 도읍, 부장(部將) 왕건을 보내어 양길을 쳐서 그 땅을 빼앗았다. 904년 국호를 마진(摩震), 연호를 태무(泰武)라 했다.905년 국도를 철원(鐵圓:鐵原)으로 옮기고 911년 국호를 태봉(泰封)으로, 연호를 수덕만세(水德萬歲)로 개칭하였다. 한편 왕건으로 하여금 후백제를 공략하게 하였다. 그 후 차츰 교만해져서 스스로 미륵불(彌勒佛)이라 하고 그 장자를 청광보살(靑光菩薩), 막내를 신광보살(神光菩薩)이라 한 후, 일반 민중에게 기괴한 위용으로 그 위세를 과시, 더욱 기교잔인하여 인심을 잃었다. 이에 장군 홍유, 신숭겸 등은 마침내 왕건을 추대하고 반기를 들었고 궁예는 난을 피하였으나 백성에게 살해되었다.

후백제

편집

後百濟

892(신라 진성왕 6)

936(고려 태조 19) 신라 말 892년에 완산주(完山州:현 全州)에서 견훤(甄萱)이 세운 나라. 후삼국의 하나. 견훤은 본시 상주(尙州) 지방의 사람으로 일찍이 전공(戰功)이 있어 서남해변방비(西南海邊防備)의 비장(裨將)이 되었다. 이 무렵 신라의 내정이 극도로 문란해져 각처에서 도적이 잇달아 일어나자, 견훤은 이 틈을 타서 벼슬을 버리고 892년에 군사를 일으켜 무진주(武辰州:현 光州)를 점령하였다. 그는 완산주까지 점령하고 백성들에게 자기는 백제 의자왕의 숙원을 풀어보겠다고 선언하며 892년에 후백제를 건국하였다. 그리고 모든 관서(官署)를 설치하고 관직을 정하였으나 관서와 관직명은 전하는 것이 없어 알 수가 없으며 신라의 관제를 답습한 듯하다.견훤은 건국하면서 중국의 오월(吳越)과 통교를 하는 한편 영토를 확장하기에 바빴다. 901년(효공왕 5) 대야성(大耶城)을 공격하고 918년(경명왕 2)에 왕건(王建)의 건국을 하례하여 외교적으로 유대를 가지려고 하였다. 그러나 920년(경명왕 4)에 견훤이 대야성을 공격하고 진례성(進禮城:茂朱)으로 진격할 때 신라는 고려의 왕건에게 구원을 청하여 그 도움을 얻었다. 이로 인하여 후백제와 고려와의 사이는 좋지 못하게 되고 반대로 신라·고려의 관계는 친밀하게 되어 후백제에게 공동의 적으로 종종 군사행동을 가해 왔다. 이에 견훤은 먼저 신라를 징벌(徵伐)하려고 927년(경애왕 4) 10월에 대병을 거느리고 신라 서울 경주로 쳐들어가 마침 포석정(鮑石亭)에서 연락(宴樂)의 흥에 취하고 있는 틈에 수도 경주를 습격했다.견훤은 경애왕을 죽이고 왕족 김부(金傅:敬順王)를 신라왕으로 삼고 또한 왕제(王弟)·재상(宰相)·역대진보(歷代珍寶)·병장(兵仗)·자녀(子女)·백공(百工) 등을 취하여 군사를 돌이켰다. 고려의 왕건은 이 소식을 듣고 크게 노하여 친히 정병을 거느리고 공산(公山)에서 견훤군을 맞아 싸웠으나 김낙(金樂)·신숭겸(申崇謙) 등 장군을 잃고 겨우 몸을 피하여 돌아갔다. 이후 후백제와 고려는 충돌이 잦았다. 그 중 934년에 왕건의 운주(運州:洪城) 친정으로 웅진(熊津:公州) 이북의 30여 성을 잃게 된 후백제는 큰 타격을 받았다.그 이듬해에 후백제의 내부에는 부자 형제(父子兄弟)의 불화로 파탄이 생겼다. 즉 여러 명의 처로부터 수십 명의 아들을 낳은 견훤은 넷째 아들 금강(金剛)을 사랑하여 왕위를 전하려 하자, 장자 신검(神劍)이 불쾌히 여겨 그 아우 두 사람과 모의하여 아버지인 견훤을 금산사(金山寺)에 유폐한 후 금강을 죽이고, 신검이 자립하여 대왕(大王)이 되었다. 견훤이 절에서 빠져나와 고려에 투속하게 되니 후백제는 완전히 분열되어 고려로 하여금 통일 사업에 좋은 기회를 주게 되었다. 그러던 중에 935년(경순왕 9) 신라의 경순왕은 왕건에게 항복하였다. 또 견훤의 사위이며 후백제의 장군인 박영규(朴英規)도 사람을 왕건에게 보내어 내응(內應)하니 왕건은 대군으로 선산 부근에서 신검의 후백제군을 격파하고, 다시 서로 진격하여 황산(黃山:連山) 부근에 진영을 쳤다. 그러자 신검이 다시 항거할 의기를 잃고는 그 아우 양검(良劍)·용검(龍劍)과 문무의 관료를 이끌고 나와 항복하였다. 후백제의 항복으로 왕건은 후삼국을 통일하여 고려 500년의 기초를 이루게 되었다.

태봉

편집

泰封

신라 말기 궁예(弓裔)가 세운 나라(901

918). 궁예는 892년 북원(北原:原州)의 적괴 양길(梁吉)의 부하가 되어 그의 신임을 얻고 강원도 각지를 공략하는 한편 수년 간 자기의 세력을 부식(扶植)하고 임진강(臨津江) 일대를 공취하여 차차 독자적 기반을 닦아 898년에는 송악군(宋岳郡:開成)에 웅거하여 자립의 기초를 세웠다.이 무렵 왕건(王建:고려 태조)이 궁예의 휘하로 들어왔으므로 그에게 철원태수(鐵圓太守)의 벼슬을 주고 북원의 양길에게 대항하게 하여 그 땅을 빼앗고 901년 스스로 왕이라 칭하며 국호를 ‘고려’라 하였다. 당시 궁예는 신라에 의하여 망한 고구려를 대신하여 복수한다고 호언하며 서북지방의 인심을 모으려 하였다. 904년에는 국호를 마진(摩震)이라 하고 연호를 무태(武泰)라 하였으며 신라의 관제를 참작하여 관제를 정하고 국가의 체제를 갖추었다.이듬해 국도(國都)를 철원으로 옮기고 성책(聖冊)이라 개원(改元)하였다가 911년 국호를 태봉이라 고치는 한편 연호를 수덕만세(水德萬歲)라 개원, 914년 다시 정개(政開)라고 고쳤다. 궁예는 철원을 중심으로 하여 강원·경기·황해의 대부분과 평안·충청의 일부를 점령함으로써 신라나 견훤(甄萱)의 후백제보다도 큰 세력을 형성하였다.그리하여 태봉은 계속 신라의 북쪽을 침범하는 한편 왕건으로 하여금 수군을 이끌고 서남해 방면으로부터 후백제를 침공하게 하여 진도(珍島)·고이도성(皐夷島城)을 격파하고 금성(錦城·羅州)을 점령하였다. 이리하여 국토가 넓어짐에 궁예는 대규모의 궁궐을 건축하고, 오행사상(五行思想)을 믿어 신라의 금덕(金德)에 이기고자 자기를 수덕(水德)으로 하였으며, 또한 스스로를 미륵보살(彌勒菩薩)이라 칭하며 일상의 기거동작을 부처와 같이 위용을 갖추게 하였다.원래 성격이 괴상한 궁예는 점차 전제적인 군주로 변하여 호화스런 생활을 하면서 잔인성을 나타내어 간언(諫言)하는 자를 박살(搏殺)하고 드디어는 그 부인 강씨(康氏)까지도 잔학하게 죽여 폭군으로 타락하였다. 민심이 날로 이탈하고 측근자들은 전전긍긍하게 되어 마침내 홍유(洪儒)·배현경(裵玄慶)·신숭겸(申崇謙)·복지겸(卜智謙) 등 부장 4인이 의논하여 민중의 신망을 얻은 왕건을 새 왕으로 추대하고 궁예를 쫓아내니 그는 부양(斧壤:平康)에서 백성들에게 살해당했다. 궁예는 원래 승려 출신으로 정권을 잡은 뒤에도 모든 기거동작을 불교식으로 하여 그가 남긴 석등롱(石燈籠)이나, 팔관회(八關會)를 개최한 일 등은 뒤에 고려에도 영향을 끼쳤다.

고려의 건국

편집

高麗-建國

신라 말 송악 지방의 호족 출신이었던 왕건은 처음 궁예의 무장으로 활약하다가 918년 궁예를 축출한 제장(諸將)의 추대를 받아 왕위에 올랐다. 왕건은 왕위에 오른 뒤 국호를 고려, 연호를 천수(天授)라 하고 서울을 송악으로 옮겼다.고구려의 후계로 자처하는 데 있어 왕건은 궁예와 다름이 없었다. 그러나 왕건은 새로운 국가로서의 면목을 일신하기를 원하였으며, 그 목적으로 수도를 자기의 본거지로 옮겼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스로의 정치적·군사적 기반을 확고히 하였을 뿐만 아니라, 호족으로서의 성격을 뚜렷이 나타내 주었다.왕건은 또 대외 정책에 있어서도 궁예와는 달리 친(親)신라 정책을 썼다. 견훤을 타도하기 위하여 신라와 우호를 맺은 것이다.

이는 또 한편 신라의 전통과 권위의 계승자로서의 지위를 얻으려고 한 것이었다. 그러나 왕건이 군사적인 대(對)신라 작전을 소홀히 한 것은 아니었다. 즉 금성(金城) 북(北) 50리의 땅에 신광진(神光鎭)을 설치하여 고려의 군사를 주둔케 하였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