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통상·산업/산업의 경영형태/상업의 경영형태


商業-經營形態〔序說〕 상업은 재화(財貨) 및 용역(用役)의 구입·교환·판매를 영업적으로 하는 것을 지칭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업의 주목적은 재화에 가공을 하거나 구입자가 소비하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전매(專賣)함으로써 생기게 되는 이윤을 획득하는 데에 있다. 상업경영은 이와 같은 상업을 활동영역으로 하여 자기의 계산과 책임하에 일정 소재지에서 상업활동을 전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것은 상업의 영역에서 구입재화(購入財貨)에 대한 가공 및 자가소비(自家消費)를 제외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생산이나 가공은 활동영역에서 제외되며, 그 주된 임무는 재화의 이전에 놓이게 된다. 즉 상업경영은 ① 특정상품을 취급하는 것이고, ② 그것의 활동은 재화의 매매에 있으며, ③ 동일한 업무를 계속적·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영업활동이며, ④ 그와 같은 활동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여 전개된다는 것이 상업경영의 특성이다. 전술한 이와 같은 상품의 전매기능을 수행하는 상업경영은 몇 가지 기준에 따라 그 형태가 분류되는데 이것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경영주체의 성격에 따라 공공상업경영(公共商業經營)과 사영상업경영(私營商業經營)으로 나눌 수 있는데, 공공상업경영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와 같은 공공기관에서 정부 전매품의 도·소매업을 경영하는 경우, 철도 및 기타의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등을 말한다. 이에 대해 사영상업경영은 개인이 자신의 계산과 책임하에 상업을 경영하는 경우로서, 이것은 그 수에 따라 단독상업경영(單獨商業經營)과 집단상업경영(集團商業經營)의 2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둘째로, 제공하는 기능의 내용에 따라 본원적(本源的) 상업경영과 조성적(助成的) 상업경영으로 구분되는데, 본원적 상업경영에는 상품매매업(商品賣買業), 즉 도매업·소매업·무역업 등이 있다. 그리고 조성적 상업경영에는 금융업을 비롯하여 교통업·보험업·차고보관업·중개업·통신업 등이 있다. 상업경영의 형태는 광의(廣義)로 보아 이상과 같이 나누어 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상품매매업, 그 중에서도 특히 도·소매업 경영으로만 국한시키는 것이 통례이다. 따라서 여기서도 이와 같은 점에 기초를 두고 소매업 경영(소매업경영)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이와 같은 상업경영도 여러 기준에 따라 다시 몇 가지로 분류되고 있다. 즉 ① 취급하는 상품에 따라서 단일품목(單一品目) 취급소매점(single-line store)과 복수품목(複數品目) 취급소매점(multiple­line store), ②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서 무(無) 서비스점(non­service stores, self-service stores)과 불완전 서비스점(limited service stores)·완전 서비스점(full service stores), ③ 경제조직형태에 따라서 독립단체점(獨立單體店)·종속단체점(從屬團體店)·연쇄점(chain store)·백화점(department), ④ 입지(立地) 형태에 따라서 전원점(田園店)·촌락점·도시점·교외점 등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이상과 같은 분류는 그다지 이용되고 있지 않다. 그것은 현실적인 필요에 따라 새로운 형태가 대두되는 까닭이다. 즉 연쇄점의 새로운 형태로서 자유연쇄점(voluntary c­hain store)이 나타나고 있고, 이 밖에도 통신판매점(mail order store), 슈퍼마켓(super market)·할인점(discount store)·생산자직영소매점·생산자협동조합점·소비자협동조합점·상점가(shopping centers)·자동판매기점(automatic vending stores) 등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소매를 업(業)으로 한 경영형태가 상술한 것처럼 다양한 데 비하여 도매를 업(業)으로 한 경영형태는 비교적 단순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도매거래가 직접적으로 소매상과 산업상·상업상·기관상 및 직업적 사용자나 다른 도매상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것에 종사하는 것이 본질적 특성이므로, 이를 그대로 경영형태에 반영시켜 그 수가 비교적 한정되는 것이다. 도매상은 기능의 특화(specialization)에 의해서 각종 도매상이 발생되고, 또 통합(integration)에 의해서도 새로운 형태의 대두를 보게 되었는데, 이것을 경영형태별로 살펴본다면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가 있다. (1) 완전기능도매점(full functional wholesalers) ― 이것은 일명 용역도매상(용역도매상:service wholesalers) 또는 정규도매상(regular wholesalers)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이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가 있다. ① 일반적 도매상(general merchandise wholesalers), ② 일반품종도매상(general line wholesalers), ③ 전문도매상(special wholesalers) (2) 한정기능도매상(限定機能都賣商:limited functional who­lesalers) ― 이것은 완전기능 도매상의 기능 가운데서 일부를 수행하지 않는 도매상인데 이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① 직송 도매상(drop shippers), ② 현금지참 도매상(cash and carry wholesalers), ③ 통신판매 도매상(mail order wholesalers). <安 台 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