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언어I·한국문학·논술/작문과 문법/여러 법칙과 규정/표준어 규정

제 1 장 총 칙

편집

제 1 항

편집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 2 항

편집

외래어는 따로 사정한다.

제 2 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편집

제 1 절 자 음

편집

제 3 항

편집

다음 단어들은 거센소리를 가진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         고


끄나풀

나팔-꽃



부엌

살-쾡이



 

 

털어-먹다


끄나불

나발-꽃



부억

삵-괭이



 

 

떨어-먹다


 

 

동~, 들~, 새벽~, 동틀~

 

 

1. ~막이, 빈 ~, 방 한 ~

2. '초가삼간, 윗간'의 경우에는 '간' 임.

재물을

다 없애다.



 

 

제 4 항

편집

 다음 단어들은 거센소리로 나지 않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         고


가을-갈이

거시기

분침


가을-카리

거시키

푼침


 

제 5 항

편집

 어원에서 멀어진 형태로 굳어져서 널리 쓰이는 것은,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         고


강낭-콩

고삿

사글-세

울력-성당


강남-콩

고샅

삭월-세

위력-성당


 

겉~, 속~

'월세'는 표준어임.

떼를

지어서 으르고 협박하는 일




다만, 어원적으로 원형에 더 가까운 형태가 아직 쓰이고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         고


갈비

갓모

굴-젓

말-곁

물-수란

밀-뜨리다

적-이

휴지


가리

갈모

 구-젓

말-겻

물-수랄

미-뜨리다

저으기

수지


~구이, ~찜, 갈빗-대

1. 사기 만드는 물레 밑고리

2. '갈모'는 갓 위에 쓰는, 유지로 만든 우비

 

 

 

 

적이-나,

적이나-하면



 

제 6 항

편집

 다음 단어들은 의미를 구별함이 없이, 한 가지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         고




둘-째

셋-째

넷-째

빌리다




두-째

세-째

네-째

빌다


생일, 주기

'제 2, 두 개째'의 뜻

'제 3, 세 개째'의 뜻

'제 4, 네 개째'의 뜻

1. 빌려 주다, 빌려 오다

2.

'용서를 빌다'는 '빌다'임.




다만, '둘째'는 십 단위 이상의 서수사에 쓰일 때에 '두째'로 한다.
 




비         고


열두-째

스물두-째


 


열두 개째의 뜻은 '열둘째'로 스물두 개째의

뜻은 '스물둘째'로

제 7 항

편집

수컷을 이르는 접두사는 '수-'로 통일한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         고


수-꿩

수-나사

수-놈

수-사돈

수-소

수-은행나무


수-퀑, 숫-꿩

숫-나사

숫-놈

숫-사돈

숫-소

숫-은행나무


'장끼'도 표준어임.

 

 

 

'황소'도

표준어임.




다만 1. 다음 단어에서는 접두사 다음에서 나는 거센소리를 인정한다. 접두사 '암-'이 결합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         고


수-캉아지

수-캐

수-컷

수-키와

수-탉

수-탕나귀

수-톨쩌귀

수-퇘지

수-평아리


숫-강아지

숫-개

숫-것

숫-기와

숫-닭

숫-당나귀

숫-돌쩌귀

숫-돼지

숫-병아리


 




다만 2. 다음 단어의 접두사는 '숫-'으로 한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         고


숫-양

숫-염소

숫-쥐


수-양

수-염소

수-쥐


 



 

제 2 절 모 음

편집

제 8 항

편집

양성 모음이 음성 모음으로 바뀌어 굳어진 다음 단어는 음성 모음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         고


깡충-깡충

-둥이

 

발가-숭이

 

보퉁이

봉죽

뻗정-다리

아서, 아서라

오뚝-이

주추


깡총-깡총

-동이

 

발가-송이

 

보통이

봉족

뻗장-다리

앗아, 앗아라

오똑-이

주초


큰말은 '껑충껑충'임.

←童-이, 귀-, 막-, 선-, 쌍-, 검-, 바람-, 흰-

센말은 '빨가숭이', 큰말은 '벌거숭이, 뻘거숭이'임.

 

←奉足. ~꾼, ~들다

 

하지 말라고 금지하는 말

부사도 '오뚝-이'임.

←柱礎.

주춧-돌




다만, 어원 의식이 강하게 작용하는 다음 단어에서는 양성 모음 형태를 그대로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         고


부조(扶助)

사돈(査頓)

삼촌(三寸)


부주

사둔

삼춘


~금, 부좃-술

밭~, 안~

시~,

외~, 처~



 

제 9 항

편집

 'ㅣ' 역행 동화 현상에 의한 발음은 원칙적으로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아니하되, 다만 다음 단어들은 그러한 동화가 적용된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         고


-내기

냄비

동댕이-치다


-나기

남비

동당이-치다


서울-, 시골-, 신출-, 풋-




「붙임 1」  다음 단어는 'ㅣ' 역행 동화가 일어나지 아니한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         고


아지랑이


아지랭이


 




「붙임 2」  기술자에게는 '-장이', 그 외에는 '-쟁이'가 붙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         고


미장이

유기장이

멋쟁이

소금쟁이

담쟁이-덩굴

골목쟁이

발목쟁이


미쟁이

유기쟁이

멋장이

소금장이

담장이-덩굴

골목장이

발목장이


 



 

제 10 항

편집

다음 단어는 모음이 단순화한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         고


괴팍-하다

 

-구먼

미루-나무

미륵

여느

온-달

으레

케케-묵다

허우대

허우적-허우적


괴퍅-하다/

괴팩-하다

-구면

미류-나무

미력

여늬

왼-달

으례

켸켸-묵다

허위대

허위적-허위적


 

 

 

←美柳~

←彌勒. ~보살, ~불, 돌~

 

만 한 달

 

 

 

허우적-거리다

제 11 항

편집

다음 단어에서는 모음의 발음 변화를 인정하여, 발음이 바뀌어 굳어진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         고


-구려

깍쟁이

 

 

나무라다

미수

바라다

상추

시러베-아들

주책

지루-하다

튀기

허드레

호루라기


-구료

깍정이

 

 

나무래다

미시

바래다

상치

실업의-아들

주착

지리-하다

트기

허드래

호루루기


 

1. 서울~, 알~, 찰~

2. 도토리, 상수리 등의 받침은 '깍정이'임.

 

미숫-가루

'바램〔所望〕'은 비표준어임.

~쌈

 

←主着. ~망나니, ~없다

←支離

 

허드렛-물,

허드렛-일



 

제 12 항

편집

'웃-' 및 '윗-'은 명사 '위'에 맞추어 '윗-'으로 통일한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다만 1. 된소리나 거센소리 앞에서는 '위-'로 한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다만 2. '아래, 위'의 대립이 없는 단어는 '웃-'으로 발음되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제 13 항

편집

한자 '구(句)'가 붙어서 이루어진 단어는 '귀'로 읽는 것을 인정하지 아니하고, '구'로 통일한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다만, 다음 단어는 '귀'로 발음되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제 3 절 준 말

편집

제 14 항

편집

준말이 널리 쓰이고 본말이 잘 쓰이지 않는 경우에는, 준말만을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제 15 항

편집

준말이 쓰이고 있더라도, 본말이 널리 쓰이고 있으면 본말을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붙임> 다음과 같이 명사에 조사가 붙은 경우에도 이 원칙을 적용한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제 16 항

편집

준말과 본말이 다 같이 널리 쓰이면서 준말의 효용이 뚜렷이 인정되는 것은, 두 가지를 다 표준어로 삼는다. (ㄱ은 본말이며, ㄴ은 준말임)

제 4 절 단수 표준어

편집

제 17 항

편집

비슷한 발음의 몇 형태가 쓰일 경우, 그 의미에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 중 하나가 더 널리 쓰이면, 그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제 5 절 복수 표준어

편집

제 18 항

편집

다음 단어는 ㄱ을 원칙으로 하고, ㄴ도 허용한다.

제 19 항

편집

어감의 차이를 나타내는 단어 또는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다 같이 널리 쓰이는 경우에는,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 (ㄱ, ㄴ을 모두 표준어로 삼음)

제 3 장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편집

제 1 절 고 어

편집

제 20 항

편집

사어(死語)가 되어 쓰이지 않게 된 단어는 고어로 처리하고, 현재 널리 사용되는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제 2 절 한 자 어

편집

제 21 항

편집

고유어 계열의 단어가 널리 쓰이고 그에 대응되는 한자어 계열의 단어가 용도를 잃게 된 것은, 고유어 계열의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제 22 항

편집

고유어 계열의 단어가 생명력을 잃고 그에 대응되는 한자어 계열의 단어가 널리 쓰이면, 한자어 계열의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제 3 절 방 언

편집

제 23 항

편집

방언이던 단어가 표준어보다 더 널리 쓰이게 된 것은,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다. 이 경우, 원래의 표준어는 그대로 표준어로 남겨 두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도 표준어로 남겨 둠)

제 24 항

편집

방언이던 단어가 널리 쓰이게 됨에 따라 표준어이던 단어가 안 쓰이게 된 것은, 방언이던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제 4 절 단수 표준어

편집

제 25 항

편집

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 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제 5 절 복수 표준어

편집

제 26 항

편집

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및 가지가 널리 쓰이며 표준어 규정에 맞으면,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