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언어I·한국문학·논술/삼국-통일신라의 문학/상고시대 문학/제천의식
祭天儀式
우리 상고시대인들은 기원전 3세기를 전후하여 고조선·부여·고구려·읍루(揖婁)·옥저(沃沮)·예맥(濊貊)·마한(馬韓)·진한(辰韓)·변한(弁韓) 등의 원시 공동체 내지 부족국가를 형성, 정착생활을 하면서부터 상당히 발전된 문화를 형성했다.
처음 우리 신화·전설·가요가 구체적으로 불린 자리에 제천의식이 있었고, 서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공통적인 생활 모습으로서 무속신앙(巫俗信仰), 곧 샤머니즘을 가지고 있었다. 또 수렵경제에서 농업경제로 넘어오면서 집단적인 부족회의와 공동적인 제전으로 제천의식을 열고, 생명의 근원인 창조신과 더불어 곡신(穀神)을 제사지냈다.
이 때 각 부족이 모여 단체적으로 가무와 천신지기(天神地祇)를 제사지냈으니 비로소 상고시대 한민족의 예술과 문학의 맹아가 싹텄다.
영고
편집迎鼓
상고시대에 지금의 만주를 중심으로 퍼져 있던 부여에서 해마다 12월에 행하던 종교 의식으로 온 나라 백성들이 모여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회의를 열어 며칠을 연이어 술마시고 노래하고 춤추었다 한다. 진수(陳壽)의 <삼국지> 중 <위지 동이전(魏志東夷傳)> 부여조(扶餘條)에는 "부여 사람들은 은(殷)나라 정월이 되면 하늘에 제사를 드리는데, 온 나라 백성들이 크게 모여서 며칠을 두고 마시고 먹으며 춤추며 노래 부르니 그것을 곧 '영고'라 일컫는다. 또한 낮밤을 가리지 않고 길목에는 사람이 가득차 있으며 늙은이·어린이 할 것 없이 모두가 노래를 불러 그 소리가 날마다 그치지 않았다 (夫餘 以殷正月 祭天 國中大會 連日飮食歌舞 名 曰迎鼓 行道晝夜 無老幼皆歌 連日聲不絶)"라고 기록하고 있다.
동맹
편집東盟
고구려의 종교의식이며 원시 종합예술인 매년 10월에 열리던 명절로 하늘에 제사지내고 또 여러 사람이 가무를 즐겼다 하며, 이를 '동명(東明)'이라고도 한다. <위지 동이전> 고구려조에는 "고구려 백성들은 노래 부르기와 춤추기를 좋아하며 나라 안의 모든 읍(邑)과 촌락에서는 밤이 되면, 많은 남녀가 모여서 서로 노래하며 즐겨 논다. 10월에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데 온 나라 사람들이 크게 모여서 '동맹'이라 부르고 있다(其民喜 歡舞國中邑落 暮夜男女君聚 相就歌戱 以十月祭天 國中大會 名曰東盟)"라고 기록했다.
무천
편집舞天
고대 예(濊)의 종교의식이며 종합예술의 하나로 음력 시월 하늘에 제사지내고 즐겁게 놀았다 한다. <위지 동이전> 예조(濊條)에 기록하기를 "매양 시월에 하늘에 제사지내되, 낮밤을 마시고 노래 부르며 춤추니 이것을 '무천'이라 한다(常用十月祭天 晝夜飮酒歌舞 名之爲舞天)"고 했다.
기타 제천의식
편집其他祭天儀式
남쪽의 한족(韓族)도 이와 같은 습속으로 5월이나 10월 농사의 시필기(始畢期)를 기하여 제사지내고 노래와 춤을 추었다. <위지 동이전> 마한조(馬韓條)에는 "마한에서는 매양 5월에 모종을 끝마치고 나서 귀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많은 사람들이 떼지어 노래 부르고 춤추며 술을 마셔 밤낮을 쉬지 않았다.
그 춤추는 모양은 수십인이 같이 일어나서 서로 따르며, 땅을 낮게 혹은 높게 밟되 손과 발이 서로 응하여 그 절주(節奏)는 마치 중국의 탁무와 같았다. 10월에 농사일이 다 끝나고 나면 또 같은 놀이를 했다(馬韓 常以五月下種訖 祭鬼神群聚歌舞飮酒 晝夜無休 其舞數十人 俱起相隨踏地低昻 手足相應 節奏有以鐸舞 十月農功畢 亦復如上)"고 기록했다. 또한 변진조(弁辰條)의 기록에는 "그 풍속이 노래와 춤과 술 마시기를 좋아하고, 슬(瑟)이라는 악기가 있는데, 그 모양은 마치 중국의 축(筑)과 비슷하고 그것을 탈 때에는 또한 음곡이 있다(俗喜歌舞飮酒 有瑟 其相似筑 彈之亦有音曲)"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