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사/근대 유럽과 아시아/계몽주의와 프랑스 혁명/18세기경의 세계

18세기경의 세계〔槪說〕

편집

18세기는 계몽주의 시대라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 같다. 중세의 기독교적 이념은 합리주의와 17세기 고전정신의 조화 앞에서 물러갔고, 이 이념은 계몽주의 사상이라는 18세기의 지적 운동의 충격을 받고 더욱 물러가게 되었던 것이다. 계몽주의 사상은 인간이 노력하면 이상적 사회를 건설할 수 있다는 확신을 토대로 하였고, 이러한 확신은 서양사에 있어서 하나의 새로운 현상이 되어 인간생활의 세속화는 이제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되게 된 것이다. 이리하여 기성 종교, 특히 기독교는 ‘이성의 시대’의 일관한 도전에 직면하여 수세에 몰리게 되었던 것이다.

계몽주의의 씨앗은 영국에서 뿌려져 거기서 싹이 돋아났으나 꽃이 핀 것은 프랑스에서이다. 볼테르의 「영국에서 부친 서한」은 프랑스뿐 아니라 유럽 전체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디드로는 백과사전을, 몽테스키외는 『법의 정신』을 만들어 계몽사상을 고취했다.

프러시아의 프리드리히 2세, 러시아의 캐서린 2세는 전형적인 계몽적 전제군주라 하겠다. 프리드리히 2세는 오스트리아 계승전쟁에서 마리아 테레지아를 기습했고, 7년전쟁을 통하여 프러시아를 유럽의 최강국으로 만들었으며, 폴란드를 분할하여 프러시아 왕국을 확장하는 데 성공하였다. 뿐만 아니라 바바리아 계승전쟁에선 마리아 테레지아의 아들 조셉 2세의 계획을 좌절시켰다. 그러나 프리드리히 2세의 위대함은 그의 군사적 성공에 있다기보다는 계몽주의적 이념을 십분 호흡하여 이른바 ‘선의의 전제 군주’가 됐다는 사실에 있다. 마리아 테레지아도 국민 사이에 덕망이 높았으며, 빈시(市)가 음악의 중심지가 되었던 것도 그의 치하에 이루어진 업적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계몽주의 사상은 점차 과격한 면을 드러내게 되어, 루소는 이성 만능의 풍조에 반발하고 낭만주의의 시조가 되었다. 미국의 독립혁명이나 프랑스 대혁명은 계몽주의의 소산이기는 하지만 오히려 계몽주의 운동의 약점을 드러낸 점 또한 의심할 여지가 없는 것이다. 1776년에 미국은 민주주의의 대원칙을 천명하고 독립, 이어서 이러한 원칙을 최대한 정치에 응용함으로써 커다란 진보를 이룩하였다. 프랑스 대혁명은 어떤 의미에서는 계몽주의 운동의 좌절이요, 이성의 효능이 그 한계를 명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리하여 프랑스 대혁명은 나폴레옹 같은 군인에게 정권을 제공하였다. 1799년의 쿠데타를 통해 나폴레옹이 프랑스의 정권을 장악함으로써 전세계는 다시 시련 속에 빠져들어갔으며, 18세기는 혼란 속에 저물어갔다.

한편 18세기의 근동은 러시아의 남하정책과 오스트리아의 진출에 의해 오스만 투르크 제국에 쇠퇴의 그림자가 감돌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18세기 후반에 이르러 수차에 걸친 러시아와의 전쟁 결과로서 크림 반도를 상실하는 등 제국은 약체화하였다. 이즈음 발칸의 불안이 증대함에 따라서 유럽 열강의 터키를 둘러싼 대립은 격화 일로에 있었다.

이란 방면에는 투르크와 대립하고 있던 사파비

왕조가 18세기 전반부터 아프간족의 침입으로 혼란상태에 빠졌다.

18세기 후반경에는 카자르 왕조가 성립되었으나 유럽 세력의 압박에 직면했다.

또한 인도에는 영국·프랑스의 식민지 항쟁이 격화되었다. 플라시전(戰) 결과 영국의 인도 지배가 결정적으로 되었으며, 영국의 동인도회사는 통치기관으로서 벵갈 지방을 지배하기에 이르렀다.

중국에서는 청조(淸朝)의 강희(康熙)·옹정(雍正)·건륭(乾隆) 3대의 황금시대를 맞이하여 영토도 중국 사상 최대의 제국으로 확대되었다. 18세기 전반의 지정은제(地丁銀制)에 의한 세제의 획기적인 진보와 한인(漢人) 병용(倂用)의 행정체제로 중앙집권 체제는 커다란 발전을 보게 됐다. 또한 농업 생산력의 현저한 향상과 농촌 공업의 발달도 내외의 상업을 발전시켰다. 청조는 해외 무역을 엄격한 통제하에 두고 오직 공행(公行)이라는 관허상인(官許商人)들로 하여금 행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에도 불구하고 유럽에의 수출무역은 대단히 성하여져 대량의 외국 은(外國銀)이 유입되어 화폐경제의 발달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거대한 상업자본의 활동을 촉진시켰다. 그러나 건륭제 치세 후반에 들어와서는 관료의 부패, 재정의 핍박에 의한 중세정책(重稅政策)으로 사회불안이 증대하였고, 백련교도(白蓮敎徒)의 난 등으로 청조가 점차 쇠약해지자 유럽 열강은 이 틈을 타 강력하게 진출해 왔다. 이 시대의 문화는 청조의 한인 지식층에 대한 회유책으로 학예의 장려나 대편찬 사업이 행해졌다.

한편 청조의 배만(排滿)·반청(反淸) 사상의 탄압으로 유학(儒學)에서는 고전의 실증적 연구 방면에서 많은 진보를 보였으나, 경세학(經世學)으로서 유교사상의 생명은 거의 소멸된 느낌이 있었다. 이와 같은 비판정신의 위축은 결국 과거의 문헌에 대한 실증적 연구에 몰두하게 하여 고증학(考證學)이 일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