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미술/동양미술의 흐름/중국의 미술/서역의 미술

서역

편집

西域

서역이라는 말은 최근에 이르러 우리들에게 몹시 낯익은 말이 되었다. 서역(西域)이라는 용어는 원래 중국의 사서(史書) <사기(史記)> <한서(漢書)>의 서역전(西域傳) 중에 서방(西方)에 위치한 제국(諸國)의 민족·풍속·습관·문화 등의 양상을 기술한 사필(史筆)에 의해 막연히 서방 제국(西方諸國)의 뜻으로 쓰이기도 하고, 또는 총령(蔥嶺=파미르高原) 이동(以東)의 천산남로(天山南路) 지방에 국한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쓰이기도 했다. 서역(西域)은 흔히 중앙아시아라는 말과 동의어로 이해되고, 그곳을 횡단하는 실크 로드(silk road)나 초원로(草原路, steppe road)에 흥미가 집주(集注)되고 있다. 서역의 범위는 동(東)은 황하(黃河)의 분수령(分水嶺)에서 싱안령산맥(興安嶺山脈)까지, 북(北)은 이시크 쿨(湖), 발하슈 노르, 알라 쿨을 포함하는 톈산산맥(天山山脈) 북로(北路)의 지방, 남(南)은 곤륜산맥(崑崙山脈)·힌두쿠시산맥, 서(西)는 추강, 탈라스강 유역에서 아랄해(海)로 흘러서 들어가는 유역 일대를 중심으로 그 변경지역으로 둘러싸인 넓은 무대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심은 톈산산맥과 곤륜산맥 사이에 끼어 있는 타클라마칸 사막 주변으로서, 이러한 산맥 기슭에서 산맥으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농경목축생활을 영위한 유사도시(流沙都市)라든가, 중국의 신장(新疆) 위구르 자치구(自治區)나 티베트에 속하는 지역이라든가, 총령(蔥嶺)의 서쪽에 있는 시르다리야, 아무 다리야 양하천(兩河川)을 중심으로 한 소련령(領) 터키스탄이라든가, 그 밖에 톈산북로(天山北路) 지방이나 소련령 스밀레첸스크주(州) 등에서 인간이 생활하며 문화를 이룩하였다.

이와 같이 넓은 무대에 거주하며 문화를 만들어 낸 민족에는 차이나·터키스탄과 소련령(領) 터키스탄의 이름이 보여 주듯이 터키족(族)이 세력을 차지하고 있은 듯이 보이나, 기원전 5세기에서 기원(紀元) 10세기라는 오랜 세월 동안에는 상당히 수많은 종족이나 부족이 여기에 등장하였다고 생각된다.

중국의 사서(史書)에도 서역(西域)에서 활약한 민족·도시국가로서 흉노(匈奴), 월지(月氏), 새(塞), 오손(烏孫), 고창(高昌), 토곡혼(吐谷渾), 언기(焉耆), 구자(龜玆), 소륵(疏勒), 우전, 계빈, 강거(康居), 파사(波斯), 불림, 안식(安息), 대식(大食), 돌궐(突厥) 등을 들고 있다. 이러한 종족들이 어떠한 민족계통에 속하는지는 뚜렷이 알려져 있지 않은 것이 많으나, 아리아계(系:이란종)와 터키계의 종족이 복잡하게 뒤섞여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서역 미술의 특질

편집

西域美術-特質

원래 그들은 선사시대(先史時代) 이래 중앙아시아에 정주(定住)하면서 고유한 문화나 예술을 양성하고 있던 것이 아니라, 북방 유목민(北方遊牧民)이 남하(南下)하여 오아시스에 이주하기도 하고 또는 동(東)의 한민족(漢民族)이 식민지를 서역(西域)에 두기도 하였으며, 서방(西方) 로마나 이란의 식민지가 생기기도 하였다. 또한 문화전통을 중시하지 않는 자유로운 생활을 영위한 상업집단이 이동해 오기도 하였으므로 그 문화형성은 뿌리 없는 풀과 같이, 덧없이 피었다가 지는 꽃과 같은 형편이었다.

종교는 자유로운 생활태도를 가져 개방적인 코스모폴리탄(世界人)이었던 상인들에 의해 신앙되고 또 유입되었다. 불교(佛敎)를 위시하여 마니교(摩尼敎), 경교(景敎:그리스도교의 일파. 네스토리우스파), 현교(조로아스터교), 회교(回敎)가 동쪽으로 유포되어 갔다.

더욱이 이러한 종교가 사상이나 형이상적인 학문보다도 극히 구체적·즉물적인 가시물(可視物)이나 실리적(實利的)인 학문(예를 들면 건축기술이나 양식, 회화조형의 기술과 소재의 매력이라든가, 천문역법, 의약의술 의장의 종까지)으로, 환언하면 그리스-로마 세계나 서(西)아시아, 인도 등의 문화 전반과 박물학적인 백과전서의 지식을 중앙아시아에 전하고 다시 중국으로 가져갔던 것이다. 따라서 중앙아시아의 문화·미술의 특질은 바로 이러한 복합성 가운데서 찾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거기에다 서점팽창(西漸膨脹)한 한족의 문화와 미의식이나 티베트인의 미의식도 첨가되었다.

스키타이의 미술

편집

-美術

중앙아시아의 미술의 추세를 살펴볼 때에는 실크로드와 스텝로드가 문제가 되게 마련이다. 기원전 5세기, 흑해 북변(黑海北邊)에는 유목기마민족(遊牧騎馬民族) 스키타이가 그리스 문화를 흡수하면서 금속공예미술(金屬工藝美術)에서 독특한 미의식을 발휘하고 있었다. 동물의장(動物意匠, animal style)이란 장식의장(裝飾意匠)이 바로 이것이다. 그것은 그들의 일상생활에서 낯익어 온 초원의 맹수식육동물(猛獸食肉動物)이나 맹금류(猛禽類)와 가축동물(家畜動物)과의 투쟁 등을 주제로 하였으며, 대구(帶鉤)나 장신구라든가, 종교의식용(宗敎儀式用)의 폴(pole), 거울 또는 무구(武具)나 단검(短劒), 전동(箭筒) 등의 장식에 나타나 있는데 수렵문양도 그들이 즐겨 쓰는 의장(意匠)의 한가지였다. 또한 동물을 그들의 토템(祖靈神)으로서 신앙하였으며, 말의 재갈에 붙은 장식과 말안장끈 등의 장식의장에는 가축과 공상동물(空想動物)을 많이 이용하였다. 이러한 귀금속과 청동(靑銅)의 포터블한 유품을 보유한 유목기마민족이 동점현상(東漸現象)을 일으켜, 여러 부족으로 나뉘어 기원전 3세기경부터 카스피해 북안(北岸)에서 아랄해 북방에 펼쳐지는 키르기스 초원에 분포되었고, 그 분파(分派)는 서(西) 시베리아 삼림대(森林帶)와 알타이산맥의 북동부에, 또는 더욱 동진하여 바이칼호(湖) 남쪽에서 중국 북부 오르도스지방(綬遠地方)에까지 달하고 있었다.

그들 유목기마민족의 일부에 중국과 항쟁하였던 흉노(匈奴)가 있다. 그들은 정주생활(定住生活)을 영위하는 일 없이 초원대(草原帶)를 자유로이 이동하며 동물의장(動物意匠)을 서에서 동으로 운반하여 갔다. 따라서 흉노의 미술은 물론이고, 흉노와 접촉하고 있던 중국의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에서 한대(漢代)에 걸쳐 있던 금속공예, 직물(織物), 칠기(漆器) 등속의 주제(主題)로서 동물의장(動物意匠)이 쓰여지고, 거꾸로 한대(漢代)의 그러한 모티프를 가진 견직물 제품이 노인 우라(몽골 북부의 하라강 부근의 산 이름)의 흉노인 선우(單于=王)의 분묘에서 출토되었다. 춘추전국시대의 금속공예에서 볼 수 있는 상감기법(象嵌技法)과 터키옥(玉)의 사용 등의 서방적(西方的)인 요소의 전래는 바로 이러한 톈산산맥(天山山脈) 북쪽의 삼림지대를 이동하던 유목민이 초래시킨 것인지도 모른다.

실크 로드

편집

Silk Road

기원전 4세기 후반, 알렉산드로스 대왕(大王)의 동방원정은 도시국가(Polis)의 이동 그 자체였다. 즉 그리스 세계의 경제기구(經濟機構)나 종교 생활양식이 도입되고 토착민(土著民)의 생활을 공존케 하면서 오아시스 도시가 형성되었다. 이미 지중해에서 메소포타미아 평원, 이란 고원 북부를 통과하여, 북서(北西) 인도로의 통상로가 개설되려 하고 있어서 대왕 원정군(大王遠征軍)의 통과로(通過路)와 도시설립이 그대로 동서를 잇는 역체로(驛遞路)로서의 완성을 의미하고 있었다. 이 길을 통하여 서(西)아시아의 종교와 미술, 많은 기술, 천문역법(天文曆法)이 인도로 유입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왕의 동정(東征)의 진정한 목적은 비단(絹)을 구하는 데 있었다는 설도 있으며, 만약에 그것을 시인한다면 실크 로드의 서반 부분(西半部分)은 기원전 3세기에 확립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겠다.

당시 메소포타미아에서 이란 고원에 걸쳐서 군림하고 있던 것은 유목민족국가 파르티아(安息)로, 서쪽의 로마가 동쪽 한제국(漢帝國)의 비단을 구하던 기원전후(紀元前後)에서 실크 로드의 전선(全線)은 완성되었다고 생각된다.

불교미술의 동점

편집

佛敎美術-東漸

인도미술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인도에서는 유목민(遊牧民) 대월지(大月氏)의 일족인 쿠샨조(朝:貴霜)가 이러한 활발한 통상무역(通商貿易)이 행해진 시점에서, 무역중계(貿易中繼)의 요충으로서 동서교역에 활약하여, 중앙아시아의 실크 로드의 거점(據點) 우전까지도 그 영토 안에 포함시키고 있었다. 그 무렵 불교미술에서는 처음으로 불상의 조형화(造形化)가 착수되게 되었고 한편에서는 승단(僧團)에 경제원조를 제공하기도 하고 불상(佛像)이나 사원(寺院)을 건립하는 공덕(功德)이 내세(來世)를 약속한다고 가르치는 대승불교(大乘弗敎)가 일어나 그것들이 급속도로 상업도시국가군(商業都市國家群)에 퍼져 나갔다. 쿠샨조(朝)의 카니시카왕의 숭불태도(崇佛態度)에는 그러한 현세이익적인 냄새가 느껴진다. 이렇게 하여 불교와 불교미술은 실크 로드를 통해 극히 착실하게 동점하기 시작하였다.

톈산 남·북로의 유적

편집

天山南·北路-遺跡

톈산산맥과 곤륜산맥 기슭에는 전한(前漢) 때에 하천(河川)과 풍부한 샘을 이용하여 농경생활을 영위한 오아시스 도시가 타클라마칸 사막을 사이에 두고 남북(南北)에 호상(弧狀)으로 점재(點在)하여, 동서문화교류(東西文化交流)와 불교동점(佛敎東漸)의 길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한 교통로 중 톈산남로(天山南路) 북도(北道)와 남도(南道)라 불리는 곳에는 오늘날 많은 도시유적과 교외(郊外) 마애벽(摩崖壁)의 천불동(千佛洞)이 존재하고 있다. 20세기 초 영국의 A.스타인, 프랑스의 펠리오, 독일의 르코크, 그륀베델, 러시아의 오르덴베르히 등이 지세조사(地勢調査)에서 고고발굴(考古發掘)로 진전시켜 위대한 불교미술 유구(遺構)와 갖가지 유품들을

소개하였다.

톈산남로 북도에서의 이러한 유적은 야르칸드에서 동쪽으로 향하여 카시가르, 투크즈사라이, 쿰슈크의 불교유적을 거쳐 구자(龜玆) 문화권으로 들어간다.

이 문화권(文化圈)에는 키질 천불동(千佛洞), 쿰트라 천불동, 스바시 사원지(寺院址) 등의 석굴사원(石窟寺院)과 평지가람(平地伽藍)이 산재하여 있다. 또한 카라샤르 지구(地區)의 숄추크, 밍그오이의 유적(遺跡)을 거쳐 투르판 문화권에 달한다. 여기에는 베제크리크, 아스타나, 카라호자의 유적군(遺跡群)이 있으며 하미를 통해 둔황(敦煌)에 이른다.

톈산남로 남도(天山南路南道) 방면은 야르칸드에서 코탄 문화권에 들고 라와크, 단단오이릭, 니야 같은 불교유적을 거쳐 첼첸, 미란 사원군지(寺院群址)에 이르며, 거기서부터는 이 길을 좌로 벗어나서 로프노르호(湖)의 서쪽 로란에, 거기서 동으로 또는 본도(本道)로 되돌아와 동으로 나가면 모두 옥문관(玉門關)을 통하여 둔황에 이른다.

톈산북로(天山北路)는 톈진산맥을 북으로 우회하여 둔황에서 우루무치, 알마 아타, 타라스를 거쳐 페르가나(大宛國)의 타슈켄트에 들며, 다시 터키스탄의 여러 유적인 피얀지켄트, 아이르탐, 아지나 테페를 거쳐 보하라, 파르티아 유적 니사를 지나, 카스피해 남안(南岸)을 따라 실크 로드로 통한다.

소련령 터키스탄의 미술

편집

蘇聯領-美術

소련령 터키스탄은 아무 다리야, 시르 다리야의 두 하천에 의한 비옥지(肥沃地)로, 기원전 2000년에 이미 청동기(靑銅器)문화가 번성하였다. 특히 이시크 쿨에서 출토(出土)되었던 가축을 주출(鑄出)하여 테두리를 만들고 장식한 제사용(祭祀用)의 고배형 향로(高盃形香爐)나 공물대(供物台) 또는 유침(留針)의 종류에서 뛰어난 조형을 찾을 수 있다.

가축의 자태(姿態) 파악이나 조형감각에서 세밀교치(細密巧緻)함이 보여 이 고장 주민들의 조형활동은 멀리 거슬러 올라가 고찰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조형감각과 미의식이 불교미술이라는 알맞는 제재를 얻게 되어 기원 2세기경부터 이 고장에 활발한 조영(造營)이 일어났다. 석조도시유구(石造都市遺構)나 건축세부(建築細部), 벽화(壁畵), 조소(彫塑)의 종류가 매우 많이 발견되고 있다.

1933년 아이르탐의 불교사원에서 발굴된 건축세부나 석조(石造) 프리즈는 기원 2세기 간다라 지방의 불교조형 활동에 호응하여 만들어진 우수작품의 하나이다. 그레코-파르티아 미술의 영향을 짙게 나타내고 있으며, 아칸투스의 잎사귀를 크게 만들고 그 중간에 갈런드(花網, garland)를 갖는 여성과 악인(樂人)들의 흉상(胸像)이 새겨져 있다.

형자(形姿)나 표정, 또는 잎사귀의 형식과 면(面)의 처리 등에 파르티아의 대상도시(隊商都市) 하트라, 팔미라 등의 프리즈(帶狀裝飾小壁)를 연상하게 한다. 그리고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의 불교사원 건축의 프리즈도 동일한 양식을 갖고 있는 점도 주목을 끈다.

소그드 미술

편집

-美術

기원 3세기∼4세기의 고대 호라즘왕(王)의 도시유적(都市遺跡)이나 카시갈 지방을 중심으로 기원 7세기∼10세기에 소그드인의 미술활동이 일어났다.

소그드인의 미의식이나 미적 감각은 이란 고원(高原)의 사산조(朝)의 영향을 농후하게 받고 있는 듯하다. 그들은 이란 고원의 페르시아인(人)과 같은 시체 처리를 행하며 그 조장(鳥葬)이나 풍장(風葬) 형식에서 힌트를 얻어 전문적으로 사육(飼育)한 개에게 시체를 먹이고 남은 뼈를 장골기(藏骨器, 오스아리)에 넣어 매장하고 있었다.

이소(泥塑)로 정사각형의 상자 모양을 만들어 외면에 주걱(spatula)으로 각문(刻文)과 인문(印文)의 장식문양을 베푼 관(棺)에 식물문(植物紋)을 넣은 뚜껑이 붙는데, 치졸(稚拙)하지만 힘찬 조형이 보이며, 다른 이상토우(泥象土偶)와 더불어 토착 소그드인의 미의식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피얀지겐트 출토의 벽화나 건축세부 등을 보면 궁정미술의 대표 유품처럼 보이며, 채화(彩畵)의 기법이나 또 선청색(鮮靑色)의 래피스 라즐리(청벽색의 돌로 아프가니스탄산)의 사용에 의한 효과, 또는 갑주(甲胄)의 형식, 왕후의 보관 등에 사산조(朝) 페르시아 미술의 영향을 받고 있다.

더욱이 소실(燒失)된 건물의 벽면에 사용했던 고부조(高浮彫) 장식에 연주문(連珠紋), 기마수렵문(騎馬狩獵紋)이 있으며 사산조(朝) 미술과 같은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가 있다. 벽면의 채화법(彩畵法)이 후일의 페르시아 세밀화(細密畵, miniature)와 유사하여 러시아 학자의 일부에서는 소그드 회화가 세밀화의 기원이라고 주장하고 있을 정도이다.

서방미술의 보급

편집

西方美術-普及

소그드 미술에서 볼 수 있는 그러한 그레코-사산조(朝) 미술의 물결은 남하(南下)하여 아프가니스탄의 바미안 석굴벽화(石窟壁畵)에서도 볼 수 있다. 대협곡(大陜谷)의 마애(摩崖)를 이용하여 조출(彫出)한 53m, 35m의 2체(體)의 불입상(佛立像)은 간다라 미술의 거대화 현상의 하나인데, 여기서는 천장벽화(天障壁畵)의 수리아신(神), 비천상(飛天像), 천불상(千佛像) 등을 그릴 경우 채화기법과 조형감각, 채색안료(彩色顔料)의 취향에다 그레코-사산조(朝) 미술을 절충 조화하고 있었다.

서역미술의 서방요소

편집

西域美術-西方要素

그레코-사산 등의 서방요소를 담은 새로운 미술경향은 불교미술 속으로 엮여져 불교 동점(佛敎東漸)의 길을 터갔다. 가령 톈산남로북도(天山南路北道)에 위치하는 쿠차 문화권(文化圈)의 키질 천불동 벽화류(壁畵類) 등이 그에 해당된다.

거기에는 그들 쿠차인(人) 남녀의 의장풍속(衣裝風俗)이 극히 버터 냄새가 풍기는, 접는 깃에 좁은 소매로 된 상의, 양복 바지에 장화(長靴), 장식이 있는 단검(短劒), 아름다운 상투로 되어 있는 등, 대상도시(隊商都市) 주민의 이국취미가 유감없이 발휘되어 있으며 불교 공양자(佛敎供養者)의 상(像)이 뚜렷하게 묘사되어 있다.

마애석굴(磨崖石窟)은 이미 인도 본토(本土)의 마우리아조(朝) 때로 거슬러 올라가나, 그것이 성하였던 곳은 데칸고원 서북부로, 기원전 2세기에서 굽타조(朝)에 걸친 기간이었다. 북서(北西) 인도의 협곡마애(峽谷磨崖)의 이용은 바미안에서 볼 수 있고 그후 중앙아시아의 톈산산맥(天山山脈), 곤륜산맥(崑崙山脈)의 산록협곡(山麓峽谷)에 굴원(窟院)이 속속 개착(開鑿)되었다. 키질 천불동도 그 대표례(代表例)의 하나이며 그 형식에 까치발천장(천장에 나무틀로 4각으로 짜고 그 위에서 45°움직여서 나무틀을 차례로 포갠 형식)을 보여 준 스탭대(帶) 특유의 건축구조를 모방하거나 인도적인 굴원례(窟院例)도 있어 흥미를 끌게 한다. 천장과 벽면을 장식한 벽화의 주제는 석가모니의 일대기와 전세설화(前世說話) 등이 있고, 공양자(供養者)의 초상이나 화가의 모습, 식물문양(植物紋樣)도 다채롭게 표현되어 있다.

그것들은 키질 협곡동(峽谷洞) 천장 벽화와 같이 산형(山形)무늬의 구획(區劃)에 본생담(本生譚)의 일부를 장식화풍(裝飾畵風)으로 세밀히 표현한 형식과, 마야동(洞)의 분사리도(分舍利圖)나 세족동(洗足洞)의 불설법도(佛說法圖)와 같이 대구도(大構圖)로 벽화를 장식한 형식으로 나눌 수가 있다.

또한 섬세한 묘선(描線)으로 윤곽을 취한 표현으로 된 것과 힘차고 굵은 터치로 윤곽선(輪郭線)을 취하여, 인간의 육체에 표주박형의 복부와 타원(楕円)의 볼기라든가, 무릎과 같은 유형적(類型的) 묘사를 보이는 특수 표현으로 된 것이 있어, 이 후자와 같은 벽화가 동점(東漸)하여, 둔황북위굴(敦煌北魏窟)에 있고 그 선청색(鮮靑色)이나 선홍색(鮮紅色:후에 갈색으로 변화), 선록색(鮮綠色), 금박(金箔) 등을 넣은 호화스러운 장식미는 서방요소라고 할 수가 있다. 특히 선청색(鮮靑色)에는 래피스 라즐리를 사용한 것 같다.

서방요소는 유익천사상(有翼天使像)과 연주조문(連珠鳥紋), 그리스계(系) 신상(神像), 무구갑주(武具甲胄)의 형식 등에도 보여 그것들이 불교와 더불어 동점(東漸)해 갔다.

톈산남로남도(天山南路南道)의 동쪽에 위치하는 오아시스 도시 미란의 사원지(寺院址)의 벽화에 그레코 양식의 그림을 볼 수가 있다. 즉, 제3사지(第三寺址)의 벽화에 힘찬 터치로 표현된 명쾌한 조형을 갖는 유익천사상이 있다. 유익인물(有翼人物)의 기원은 서아시아에서 찾을 수 있는데 서방(西方)에서는 승리의 여신 니켈로서 표현되었으나 머리 정상(頂上)의 치아 상투풍(風)의 발형(髮形)을 보이는 미란의 유익천사상은 분명히 청년의 모습을 연상케 한다. 또한 이 벽화에서 볼 수 있는 불전도(佛傳圖)와 본생담(本生譚)도 간다라 조각을 회화화한 기미(氣味)가 엿보이나 표현된 인물, 풍속이나 표정, 필치묘법(筆致描法) 등은 유프라테스 하반(河畔)에 있는 파르티아 대상도시(隊商都市) 두라 에우로포스의 벽화와 잘 닮아 이 벽화는 그레코-파르티아 미술의 동점 현상(東漸現象)으로서 주목되고 있다.

한편 조소유품에서는 남도(南道)의 코탄 주변의 사원지 발굴 유물(寺院址發掘遺物)과, 북도(北道)의 툼슈크 출토의 유품 등도 볼 만한 것의 하나라고 하겠다. 특히 오타니 탐험대(大谷探險隊:일본탐험대)가 코탄에서 채집한 동제도금불두(銅製鍍金佛頭)는 중앙아시아 미술유물의 최고급품 중의 하나로서, 조형표현의 훌륭한 점은 중앙아시아에서 유일한 청동불두(靑銅佛頭)란 점, 수부별주형식(首部別鑄形式)으로 되어 있는 점 등 자료적 가치도 극히 높다.

니야와 라와크의 사원지(寺院址) 출토의 소조조각(塑造彫刻), 툼슈크 출토의 테라코타상(像) 등은 그 어느 것이나 간다라풍(風)의 조형표현이 기조가 되어 있다. 이런 유품의 대부분은 틀에 의해 직어내는 대량생산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토착미술(土著美術)의 계보를 이어받은 조잡하면서도 힘찬 조형을 갖는 이점토우류(泥粘土偶類)의 다량생산이 있었던 사실을 아울러 생각해 본다면 당시의 오아시스 도시가 얼마나 번영하고 있었는지를 알 수 있다.

서역미술의 동방요소

편집

西域美術-東方要素

중국인의 한대(漢代) 이래 서역지방으로의 팽창진출에 수반하여 중국의 미의식과 조형감각이 넘친 중국화의 전통이 둔황(敦煌)을 기점으로 남도(南道)의 일부와 북도(北道)를 중심으로 서점(西漸)하여 갔다. 이런 유품은 구차 문화권의 쿰트라 천불동(千佛洞)과 시크신, 그리고 투르판 문화권의 베제크리크나 젠김, 또 카라 코오쟈(고창국의 수도) 주변의 아스타나 고묘유적(古墓遺跡)에까지 미치고 있다. 쿰트라 출토의 비천도(飛天圖)나 오타니 탐험대(大谷探險隊)가 가져온 소조보살두부(塑造菩薩頭部)·부인두부(婦人頭部) 등은 채색묘법(彩色描法)과 감각이 완전히 한인 미의식(漢人美意識)의 소산이다.

중국에 가까운 투르판 문화권의 젠김과 베제크리크 불동(佛洞)의 벽화에는 불서원도(佛誓願圖)와 정토만다라도(淨土曼茶羅圖) 등의 대구도벽화가 다수 유존(遺存)되고 있으며, 섬세하고 숙달된 묘선으로 인물이나 후광(後光), 운문(蕓紋), 유수문(流水紋), 식물 등을 표현하고 있다.

물론 철선묘풍(鐵線描風)을 갖는 윤곽선을 기조(基調)로 하여, 표정과 채화기법(彩畵技法)과 풍속의장(風俗衣裝) 등에서 현저히 중국적인 조형표현을 볼 수 있다. 불교회화(佛敎繪畵) 외에는 카라 코쟈 출토의 마니교 회화(敎繪畵)가 주목되는 바 교주(敎主) 마니가 회화의 명수였다는 전설을 배경으로 뛰어난 세밀화풍(細密畵風)의 유품에 흥미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서방(西方)·중국 양요소(兩要素)의 집대성의 장소, 그 진열장이 둔황천불동(敦煌千佛洞)의 북위(北魏)에서 5대(代)에 이르는 굴원(窟院)이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