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문화·민속/민속연희(놀이)/한국의 민속연희(놀이)/한국의 민속연희〔서설〕

韓國-民俗演戱〔序說〕 우리 민족이 전승하고 있는 민속연희를 살펴보면 탈놀이, 꼭두각시놀이, 농악, 곡예, 각종 연중행사놀이, 무당굿, 부락제(部落祭) 민속무용 등이 이 범주에 해당될 것이라고 본다. 위에 열거한 민속연희들은 오늘날에도 연행(演行)되기 때문에 관람하고 감상할 수 있는데, 문헌에 기록되어 있는 5기(五伎)라든가, 팔관회(八關會)·황창무(黃昌舞)·무애무(無▩舞)·처용무(處容舞)·탁무(鐸舞)·농주지회(弄珠之戱) 및 고려시대의 연등회(燃燈會), 동해안 지역에 널리 퍼져 있는 사자춤, 선천(宣川)의 항장무(項莊舞) 등은 오늘날 아무 곳에서도 볼 수 없게 되었다. 문헌에 기록되어 있는 여러 가지 민속연희가 민속적인 것인지, 또는 특수계층의 연희였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 수 없다. 왜냐하면 그 기록이 너무나도 조잡(粗雜)하여 그런 연희의 내용과 구성을 짐작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기껏해야 '남녀군취가무(男女群聚歌舞)'라든가 '가무백희(歌舞百戱)' 등의 단편적 술어가 보이고 좀 상세한 기록이라는 것도 연희를 관람한 뒤 인상적인 장면과 사실을 한시(漢詩)로 읊은 것 정도이다. 따라서 몇몇 연구자가 이 분야에 대한 연구에 손을 대고 정력적으로 노력했지만 그들의 노력으로 알려진 연희의 내용과 구성과 기능은 아직도 지극히 미흡한 상태다. 예컨대 민속연희가 외국에서 전래되었으리란 추정(推定)의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문헌에 기록되어 있는 연희들은 오늘날 대부분이 인멸된 상태로 그 명칭이 바뀌어졌거나 기능을 달리해서 나타났든지, 또는 내용을 변개(變改)해서든지, 그 단편적인 모습이 현행(現行)의 연희 속에서 전승되고 있으리란 점은 짐작할 수 있다. 다음에 우리나라 민속연희의 특징적인 점을 종목별로 개괄해 보기로 한다. 먼저 탈놀이와 꼭두각시놀이를 보면, 이 두 가지의 민속연희가 가장 짜임새가 있는 민속연희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는 승려들의 유야랑적(遊冶郞的) 생활의 단면과 수도승이 미색(美色)에 미혹(迷惑)되어 가는 과정, 신분이나 문벌로 허세를 부리는 양반이 간지(奸智)스런 하인에게 조롱당하는 내용, 첩의 개입으로 가정에 불화를 초래하는 가정생활 등이 많이 취급되고 있다. 또 등장인물인 가면과 인형은 기발하고 이들은 음악반주에 따라 춤·노래·몸짓·재담(才談)을 엮어 나간다. 이들 민속연희에는 또 일정한 주제를 정해 이를 일정하게 전개시키는 것이 아니고이질적인 주제를 연결하여 과장·축소의 몸짓, 결말·욕 등을 곁들인다. 여기에 동원되는 요설적(饒舌的) 대화들은 관중의 소학적(笑謔的) 흥취를 돋운다. 그러나 춤만은 소학적인 요소가 없이 높은 예술성을 가진 것으로 추어진다. 농악은 꽹과리·징·장구·북·소고(小鼓) 등의 타악기를 비직업적인 농민들이 합주(合奏)하여 연행되는 놀이다. 농악의 가락과 장단, 연행되는 종목과 순서는 지역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 그러나 구군대(舊軍隊)의 조련(調練)놀이, 상쇠놀이, 장구놀이, 법고놀이, 12발 상모돌리기, 연풍대(燕風臺)춤, 촌극(寸劇) 등은 농악의 정식 연희 내용이고 이에 농경 제작업의 모의(模擬)를 곁들인 지방도 있다. 상기한 것을 줄여서 농어업(農漁業)에 있어서 사기를 높이는 데 이용하기도 하고, 지신(地神)밟기라는 신앙적 행사에 곁들이기도 하고, 연중행사놀이, 부락제의 여흥에도 사용하여 흥취의 효과를 높인다. 이러한 농악을 직업화하여 다른 민속연희의 몇 가지와 합쳐서 연희하는 사당패의 놀이도 생기게 되었다. 연중 행사놀이는 개괄하기가 힘들 정도로 그 놀이의 종류가 다양하다. 여기에는 부락민의 거의 전부가 참가할 만큼 대규모적인 놀이도 많은데 거의가 정월 14∼15일 밤에 연행된다. 이 놀이는 부락의 안전과 농사의 풍작(豊作)을 위해서 연행된 것이다. 연중 행사놀이는 전국적으로 퍼져 있는 것도 있고 어느 지역에 고유한 것도 있다. 한편 무당굿 중 큰굿은 가무악(歌舞樂)과 재담(才談)·덕담(德談)·촌극 등으로 엮어진 종교적 의례이다. 그러나 여기서 종교적 의의만 빼면 근대에 와서 나타난 뮤지컬과 같은 양상을 띠게 된다. 무당굿은 무당에 의해 연행되는 것으로 3일 내지 5일간 주야로 계속된다. 가요에는 민요와 잡가(雜歌)와 판소리가 있고 무용은 구성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다른 연희에 비해 적다고 하겠다. 가요나 무용은 보통 다른 연희에 곁들여서 연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상 말한 탈놀이, 꼭두각시놀이, 무당굿, 가요, 무용 등등은 고도의 연행기술을 요하므로 이들을 연행하기 위해서는 다년간의 전문적인 수련이 필요하다. 이에 반해 연중행사놀이는 특별한 기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누구나 참가할 수 있는 민중적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다. <任 晳 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