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기술·통신/재료기술/무기재료기술/도자기

도자기

편집

陶磁器

미세한 흙가루를 반죽하여 형태를 만들고 구워서 단단하고 안정된 형태의 여러 가지 기구를 만들 수 있는데, 이렇게 만든 것을 우리는 도자기라 부른다. 토목 건축재료로는 기와·토관(土管)·타일·벽돌, 위생도기로서는 세면대·변기, 그 밖에 용기류(容器類)·식기류·장식품이나 미술품 등이 도자기로 제조된다. 같은 방법으로 전기를 전도치 않는 절연재료(絶緣材料)로서 애자(碍子), 세라믹스 콘덴서가 되는 페라이트, 약품에 의해 침식되지 않는 내식재료(耐蝕材料) 등의 도자기도 만들어진다.

도자기 원료의 3요소

편집

陶磁器原料-三要素

흙가루를 반죽하여 도자기를 만드는 데는 다음 3종의 성질을 가진 원료를 필요로 한다(〔그림〕-1).

⑴ 반죽할 때에 힘을 가하면 형태가 변하고, 힘을 제거해도 그대로의 형태를 유지하는 성질이 있어야 한다. 이 성질을 가진 것이 점토(粘土)인데, 만약 점토가 없다면 건조시킬 때 부서져 버린다.

⑵ 열을 가해 성형된 형태로 고화시킬 때, 흙가루와 흙가루 사이를 굳게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재료가 필요한데 이 역할을 하는 것이 장석(長石)으로서, 1,000℃ 정도가 되면 장석 속에 들어 있는 알칼리 성분이 녹아서 유리질이 되어 입자(粒子)와 입자 사이를 메운다. 이 유리질은 약간만 온도가 내려가도 곧 굳어 버리므로 입자와 입자는 굳게 결합된다.

⑶ 또 하나의 원료는 도자기의 본체가 되는 것으로, 만들어진 도자기의 비중(比重)이라든가, 어느 정도의 온도에서까지 사용할 수 있는가 등 도자기의 주요 성질을 결정하는 인자가 되며, 석영질(石英質)의 흙, 즉 규석(硅石)이 쓰인다. 이 성분이 많이 함유된 도자기는 처음 성형되었을 때의 형태와 구워냈을 때의 형태가 별로 달라지지 않는다. 그러나 점토질의 원료는 구우면 수증기가 빠져나가고, 장석질 원료는 유리화되어 부피가 작아지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소성수축(燒成收縮)이라 부른다.

도자기의 성형법

편집

陶磁器-成形法

도자기 원료를 반죽하여 성형하는 데는 다음 3가지 방법이 있다.

녹로에 의한 방법

편집

전술한 3대 주원료를 적당한 방법으로 섞고 잘 반죽하여 원판(円板) 위에 올려놓고 이 원판을 회전시킨다. 손이나 대나무주걱 등으로 원료에 힘을 가하면서, 대접이나 접시 혹은 꽃병 등 목적하는 형태로 만든다. 기술적으로는 상당히 어려운 방법인데 꽤 오래 전부터 써 오던 방법이며, 현재도 공예품 등을 제작할 때 이용되고 있다.

석고로 된 거푸집을 쓰는 방법

편집

石膏-方法

흙을 반죽할 때 물을 많이 사용하면 걸쭉하고 잘 흘러내리는 반죽이 된다(이것을 slip이라고 부른다). 이것을 석고로 만든 틀에 부으면 여분의 물이 흡수되어 묽었던 흙이 굳어진다. 이 방법은 같은 형태의 도자기를 대량 생산할 때 이용된다(〔그림〕-2).

점토·장석을 원료로 사용하지 않는 방법

편집

粘土·長石-原料-使用-方法

도자기에 따라서는 점토나 장석 성분이 들어 있으면 성질이 떨어지는 것이 있다. 이런 종류의 도자기는 성형하는 데 점토를 쓰는 대신, 전분(澱粉) 등의 풀을 사용하거나 높은 압력을 가해 굳힌다. 또 장석(長石)의 역할을 하는 재료를 넣지 않고 아주 높은 온도로 하여 주성분 중의 일부가 녹을 정도로 강하게 굽는 때도 있다.

도자기 굽는 법

편집

陶磁器-法

도자기를 굽는 데는 1,000℃ 이상의 고온이 필요한데, 이를 위한 장치가 가마(窯)라 불리는 것으로, 최소한의 연료를 사용하여 최고의 온도를 얻을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등요

편집

登窯

전국 각지에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온 것으로,

〔그림〕-2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우선 원료를 반죽·성형한 것을 가마 위쪽 부분의 선반모양으로 된 받침 위에 여러 층으로 쌓는다. 이어서 가장 밑층에서 나무를 때면 그 화염이 상층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 때 온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가마 옆에 뚫린 구멍으로 장작을 던져 넣는다. 이렇게 해서 차례로 가장 윗부분까지 열이 퍼지는데, 가마 전체가 계단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굴뚝 역할을 하게 되어 연료가 계속 타게 되는 것이다.

터널요

편집

tunnel 窯

등요의 경우는 구워진 도자기를 꺼내려면 불을 끄고 가마가 식을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이러한 불편을덜기 위해 가마를 터널식으로 만들어 출구와 입구를 낮은 온도로, 중앙을 고온으로 만든다.

구우려는 재료를 대차(臺車) 위에 얹고 터널속을 천천히 통과시켜서 굽는 방식이다. 도자기를 공업적으로 대량생산하는 데는 이 방법이 이용된다(〔그림〕-3).

도자기의 채색과 장식

편집

陶磁器-彩色-裝飾 토기(초벌구이) 土器

원료를 반죽하여 가마에서 구워 낸 것을 질그릇·토기(土器)라 부르며, 이것은 표면이 거칠고, 잘 구워지지 않는 것은 표면에서 수분을 흡수하거나 속에 담은 물이 스며나오기도 한다.

유약

편집

釉藥

질그릇·토기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그 위에 유약(釉藥:잿물)을 바르고, 다시 가마 속에 넣어 구우면, 광택이 있고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는 표면을 만들 수 있다. 또 점토를 성형한 뒤 미리 유약을 발라 굽는 방법도 있다. 유약은 유리질이므로 광택있는 표면이 될 뿐 아니라 뜨거운 유리를 갑자기 식히면 갈라지는 성질을 응용하여, 화병 등의 표면에 잘게 갈라진 무늬를 만들 수도 있다. 이처럼 잔 무늬로 갈라진 것을 관유(貫乳)라고 부른다. 유약은 나트륨·칼륨·마그네슘·칼슘·납·붕소·알루미늄의 산화물 등을 고르게 혼합한 것으로, 이 성분은 보통 유리와 대체로 같으나 도자기의 종류·굽는 온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채색·그림붙이기

편집

彩色-

도자기는 모양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무늬나 그림을 넣는 것이 보통이며, 착색·그림 붙이기의 방법에는 2가지가 있다. 그 하나는 색소지(色素地)란 방법으로, 흙을 반죽할 때 미리 착색제를 섞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색유(色釉)라 하여 유약에 착색제를 섞어 초벌 구운 것 위에 바른 다음 다시 굽는 방법이다. 그림을 넣는 방법으로는 초벌 구운 것에 직접 그림을 그리고(혹은 전사지를 붙이거나), 그 위에 유약을 바르는 것, 유약을 발라 구워 낸 다음 그림을 그리고 다시 굽는 등의 방법이 있다.

도자기의 착색제

편집

( 陶磁器-着色劑)    색깔이 마음에 들어 산 옷이 1년도 안 가서 색이 바랜다거나, 세탁할 때 물이 빠져 다른 옷까지 버리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도자기의 경우는 그런 일이 절대로 없다. 그 이유는 도자기의 색채는 고온으로 구워서 발색(發色)시킨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끓는 물에 담가도, 오랜 세월이 흘러도 변색하지 않으며, 몇 천년 전의 도자기가 지금도 아름다운 색채를 잃지 않고 미술품·골동품으로 사랑을 받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고온으로 구워 목적하고 있는 색채를 얻는 일은 몹시 어려운 작업으로서, 착색약품의 차이·굽는 온도·가마 속의 연료가 완전히 연소하고 있는지의 여부 등에 의해 색채가 미묘하게 변화한다.  착색제로는 코발트·망간·철·구리·티탄·크롬·금·은·납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같은 약품이라도 굽는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색을 내는 경우가 많다. 극히 일반적인 착색제와 그 발색을 들자면 〔표〕-1과 같다.


 


〔표〕-1  여러 가지 착색제


착 색 재



착 색 제



크롬산칼륨

크론산납

산화코발트

염화제일코발트

산화제일코발트

중크롬산칼륨













염기성탄산구리

황산구리

산화제이철

MnSO4·7H2O

NiO

TiO2














 

 

도자기의 구분

편집

( 陶磁器-區分 )   이제까지 여러 가지 종류의 점토를 반죽·성형하여 구운 것을 통틀어 도자기라 불러왔는데, 이 가운데에는 이른바 도기(陶器)·자기(磁器)·토기(土器) 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 외에도, 굽는 온도가 높고 유약을 사용하지 않은 불투명한 것을 석기라 부르기도 한다. 석기의 종류에는 성형된 것을 굽기 전에 짚으로 싸서, 짚에서 나온 재가 유약과 같은 작용을 하여 그 부분만 무늬가 생긴 것, 연료로 사용한 소나무의 재가 유약작용을 한 것, 숯불의 탄소가 재료 속의 철분과 화합한 것 등이 있다.

 


〔표〕-2  도자기의 구분


 


자      기


도      기


토      기


굽는 온도


가장 높다.


보통.


비교적 낮다.


초벌구이 때


물을 거의 흡수하지 않는다.


물을 흡수한다.


물을 흡수한다.


비쳐 보았을 때


밝게 비친다.


빚을 통과시키지 않는다.


빛을 통과시키지 않는다.


가볍게 튀겼을 때


맑은 소리.


탁한 소리.


탁한 소리.


유     약


사용.


사용.


사용하지 않았거나 조금 사용.


제     품


얇은 식기.


두꺼운 식기, 위생 도기.


기와, 토관, 화분.